맨위로가기

영재교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재 교육은 지적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을 위한 교육으로, 플라톤 시대부터 논의되었다. 한국에서는 1983년 경기과학고등학교 설립을 시작으로 영재학교가 운영되었고, 2000년 영재교육진흥법 제정으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후 영재 교육의 대상과 분야가 확대되었으며, 관련 연구기관과 학회가 설립되었다. 영재 교육은 별도 학급, 심화 학습, 가속 학습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학생들의 개별적인 학습 속도와 관심사를 고려한 개별화 학습도 제공된다. 그러나 영재 교육은 엘리트주의, 사회적 불평등 심화, 정서적 문제, 시험 준비 과열 등 다양한 논쟁점을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재교육 - 어메이징 메리
    어메이징 메리는 7살 수학 천재 메리를 삼촌 프랭크가 키우면서 외할머니와 양육권을 두고 갈등을 겪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 대안 교육 - 오픈 대학교
    오픈 대학교는 원격 교육을 통해 고등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자 1969년 영국에 설립된 공립 대학교로, 다양한 학습 방식과 폭넓은 분야의 교육 과정, 활발한 연구 활동, 그리고 전 세계 파트너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교육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 대안 교육 - 환경 교육
    환경 교육은 인간과 환경의 지속가능한 공존을 위해 환경 문제에 대한 이해와 책임감 있는 행동을 증진시키는 교육 활동으로, 유네스코와 UNEP의 국제적인 주도하에 모든 계층의 시민 참여를 목표로 여러 관련 분야와 연관되어 현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인식되지만, 여러 장애물에 직면하며 학생들의 경험과 자료에 기반한 정보에 입각한 결정과 행동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영재교육
개요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
분야특수 교육
대상높은 지적 능력 또는 특정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이는 아동 및 청소년
목표잠재력 최대한 개발, 고차원적 사고 능력 함양,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강화
역사
기원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존재, 플라톤의 '이상 국가' 구상에서 영재 교육 개념 제시
초기 영재 교육주로 귀족 자제 대상, 개인 교습 또는 소규모 그룹 지도 형태
현대적 영재 교육20세기 초 미국 시작, 지능 검사 활용하여 영재 선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대한민국198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 도입, 과학고등학교, 영재학교 설립 운영
특징
교육 방법심화 학습: 일반 교육 과정보다 더 깊이 있는 내용 학습
가속 학습: 학습 속도 높여, 더 많은 내용 더 빠르게 학습
풍부화 학습: 다양한 활동 통해 학습 내용 폭넓게 이해
개별화 학습: 학생의 흥미와 능력 맞춰 개별 학습 계획 수립
교육 내용지적 능력 개발: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함양
사회 정서적 발달: 리더십, 협동심, 공감 능력 함양
진로 탐색: 자신의 재능과 흥미 맞는 진로 탐색 기회 제공
교육 환경소규모 학급: 교사-학생 간 상호 작용 증진
수준별 학습: 비슷한 능력 가진 학생들끼리 모여 학습
다양한 학습 자료: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 자극
첨단 기술 활용: 학습 효과 극대화
대한민국 영재 교육
영재 교육 기관영재학교: 과학 기술 분야 영재 육성 위한 특수 목적 고등학교
과학고등학교: 수학, 과학 분야 특기자 육성 위한 고등학교
대학교 부설 영재 교육원: 대학의 우수 교수진과 시설 활용하여 영재 교육 실시
교육청 영재 교육원: 지역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영재 교육 기관
영재 학급: 일반 학교 내에서 운영되는 영재 교육 프로그램
영재 선발학교장 추천
영재성 검사
심층 면접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평가
영재 교육 프로그램R&E (Research and Education): 학생 스스로 연구 주제 선정, 연구 수행, 논문 발표
멘토링: 전문가 멘토 통해 진로 상담, 학습 지도
해외 연수: 국제적 감각 넓히고, 다양한 문화 체험
특별 활동: 캠프, 워크숍, 발표회 등
논란 및 비판
영재 판별의 어려움잠재력 가진 학생 놓칠 가능성, 획일적 기준 적용 문제
사교육 조장영재 교육원 입학 위한 경쟁 심화, 과도한 사교육 부담
영재 교육 효과에 대한 의문장기적 효과 미흡, 사회성 부족, 지나친 경쟁 심리 유발 우려
교육 기회 불균등사회 경제적 배경 따라 교육 기회 차등 발생 가능성
참고 자료
관련 법률영재교육진흥법
관련 단체한국과학창의재단
관련 웹사이트한국과학창의재단 영재교육

2. 역사

영재 교육은 수천 년 전부터 이어져 왔다. 플라톤(기원전 427년경–기원전 347년경)은 지적으로 뛰어난 젊은 남녀에게 특화된 교육을 제공할 것을 옹호했다.[19] 중국당나라(580–618 CE) 시대에는 신동들을 황궁으로 소환하여 특별 교육을 실시했다.[19] 르네상스 시대에는 예술, 건축, 문학 분야에서 창의적인 재능을 보인 사람들에게 정부와 개인이 후원(patronage)을 했다.[19]

프랜시스 골턴은 인간의 지적 능력에 대한 초기 서양 연구 중 하나를 수행했다. 그는 부모가 평균에서 벗어나면 자녀도 그렇게 되지만 부모보다는 덜하다는 것을 발견했는데,[20] 이는 평균으로의 회귀의 초기 관찰 사례 중 하나였다. 골턴은 개인의 저명함이 개인의 직접적인 유전 계통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결론지었다.[21]

1918년 스탠퍼드 대학교의 루이스 터먼은 알프레드 비네의 비네-시몽 지능 검사를 스탠퍼드-비네 검사로 개량하고, 검사에 지능 지수 (IQ) 점수를 도입했다. 터먼은 캘리포니아에서 IQ 140 이상인 어린이 643명을 대상으로 종단 연구인 천재의 유전적 연구를 시작하여 평생 동안 지속적으로 평가했다. 터먼의 연구는 고지능 아동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취약하거나, 지능이 일찍 소멸되거나,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거나, 성취도가 낮다는 등의 흔한 오해를 반증했다고 주장했다.[24]

터먼의 동료인 레타 홀링워스는 가정 환경과 학교 구조에도 중요성을 부여했다.[25] 홀링워스는 영재 학생들을 조기에 발견하고, 매일 접촉하며, 비슷한 능력을 가진 학생들과 함께 묶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소련의 스푸트니크 발사 이후, 미국에서는 1958년 국방 교육법 (NDEA)을 통해 공교육에서 과학, 수학 및 기술을 강화하기 위해 10억 달러 규모의 예산을 투입했다. 미국 교육부는 1972년 Marland 보고서[31]를 통해 영재성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를 제시하고, 각 교육구에 이를 채택할 것을 촉구했다.

2. 1. 한국의 영재 교육

한국의 과학 영재 교육은 1983년 경기과학고등학교를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54] 이후 한국과학영재학교, 서울과학고등학교, 대구과학고등학교가 추가되어 현재 4개의 영재학교에 약 1,5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이는 고등학생 1,300명 중 1명(0.08%)에 해당한다. 2008년까지 약 50,000명, 즉 초등 및 중학생 140명 중 1명(0.7%)이 영재 교육을 받았다.

2000년대 들어 영재교육은 정보학, 예술, 체육, 창작, 인문학 및 사회 과학 분야로 확대되었으며, 2008년 정부 지원을 받는 한국예술영재교육원이 설립되었다. 영재 청소년을 가르칠 전문 교육자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교사들은 기본 교육(60시간), 심화 교육(120시간), 해외 교육(60시간)을 받고 있다.

2002년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한국영재교육센터(NRCGTE)를 설립하여 영재 교육 연구 개발과 정책 시행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GIFTED), 한국영재교육학회, 사단법인 한국영재학회 등 25개 대학에서 영재 교육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 1. 1. 김대중 정부와 영재교육진흥법

김대중 정부는 2000년에 영재교육진흥법을 제정하여 영재 교육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육성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34] 이는 국가적 차원에서 영재 교육을 지원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중요한 조치였다.

2. 1. 2. 노무현 정부와 영재 교육 확대

노무현한국어 정부는 영재 교육의 대상을 확대하고, 사회경제적으로 소외된 계층의 영재를 위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2. 2. 외국의 영재 교육

미국에서는 19세기부터 영재 교육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1868년 세인트루이스 공립 학군에서 유연한 진급 제도가 도입되었고,[89] 1884년에는 매사추세츠주 오번, 1886년에는 뉴저지주 엘리자베스, 1891년에는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도 도입되었다.[89][93] 1920년까지는 전미 주요 도시의 3분의 2에서 영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생겨났다.[89]

1957년 스푸트니크 쇼크 이후, 1958년 국방 교육법이 제정되어 과학, 수학 분야의 영재 교육이 강조되었다.[93]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싱가포르 등 여러 국가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영재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공립 영재 교육은 주마다 다르다.

영재 교육 제공 학교 수
주/준주공립 초등학교
프로그램 운영
부분 선발
공립 고등학교
완전 선발
공립 고등학교
뉴사우스웨일스주952517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0161
퀸즐랜드주003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030
빅토리아주??6
태즈메이니아주000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000
노던 준주000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에서는 캘거리 교육청(CBE)이 GATE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에서는 밴쿠버 교육 위원회의 영재 프로그램(MACC)이 운영된다. 온타리오주 필 교육구는 지역 향상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싱가포르에서는 영재 교육 프로그램(GEP)이 1984년에 도입되었다.[55]

잉글랜드에서는 학교가 영재 및/또는 재능있는 학생의 5~10%를 식별해야 한다.[59]

3. 영재의 정의 및 판별

영재는 일반적으로 지적 능력, 창의성, 예술성, 리더십, 학문적 적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뛰어난 성취를 보이거나 잠재력을 가진 사람으로 정의된다. 영재 판별에는 지능 검사, 성취도 검사, 교사 및 학부모 추천, 학생 작품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11][12] 다중 지능 이론은 지능의 다차원적 측면을 강조하며, 영재 판별에 있어서도 다양한 지능 영역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재성 평가는 일반적으로 해당 연령, 성별, 국가의 개인과 비교하여 지적 기능이 상당히 발달한 아동을 식별하기 위해 규범 참조 심리 검사를 사용한다. 대부분의 교육 위원회는 지적(인지) 기능 또는 지능 지수(IQ) 검사에서 상위 2%에 해당하는 학생을 영재로 정의하며, 일부는 개별화된 성취도 검사 및/또는 교실 성과를 통해 뛰어난 학업 성취도를 입증하도록 요구한다.[7][8]

개별 IQ 검사는 영재성을 식별하는 최적의 방법이지만, 영재로 판명된 사람들 사이의 차이점을 잘 구별하지 못하므로, 다양한 검사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7][9] 학령기 아동의 영재성 식별에 널리 사용되는 검사는 WISC-IV와 SB5이며, WIAT-III는 아동의 전체 학습 지식을 결정하는 학업 성취도 검사로 활용된다.[7][9] SB5는 다양한 지능 지표를 평가하며 언어적 및 비언어적 검사를 모두 사용하고,[10] WIAT-III는 읽기, 쓰기, 수학 및 구두 언어와 같이 학교 학습 과정의 측면을 측정한다.[7] 8세 정도에 조기 평가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7][8] 집단 외 성취도 검사(예: SAT 또는 ACT 조기 응시)도 영재 학생들을 조기에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9]

교육 당국마다 영재성에 대한 정의가 다를 수 있으며, 심지어 동일한 IQ 검사를 사용하더라도 영재의 기준이 다를 수 있다. 피터 마샬의 연구에 따르면, 영재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더 어려운 어린 시절을 보내는 것은 아니며, 어려운 환경에 처했을 때 영재성이 오히려 도움이 된다.[15]

수잔 K. 존슨은 영재 아동이 지적, 창의적, 예술적, 리더십 능력, 특정 학문 분야 등에서 높은 수행 능력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한다. 미국 영재 아동 협회는 영재성을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뛰어난 적성 또는 역량을 보이는 것으로 정의하며,[17] 텍사스 주에서는 영재 및 재능 있는 학생을 지적, 창의적, 예술적 분야에서 높은 수행 능력을 보이거나 리더십 능력이 뛰어나거나 특정 학문 분야에서 뛰어난 학생으로 정의한다.

하워드 가드너다중 지능 이론은 지능의 다차원적 측면을 강조하며, 언어, 논리/수학, 시각/공간, 음악, 신체 운동, 개인 내, 대인 관계, 자연주의 지능 등 여러 독립적인 지능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홍콩의 교육 위원회 보고서는 다중 기준을 사용하는 폭넓은 영재성 정의를 채택할 것을 제안하며, 다음 영역 중 하나 이상에서 뛰어난 성취 또는 잠재력을 보이는 아동을 영재로 간주한다:[48]


  • 높은 수준의 측정된 지능
  • 특정 학문 분야에서의 뛰어난 학업 적성
  • 창의적 사고
  • 시각 및 공연 예술 분야의 뛰어난 재능
  • 또래 집단의 자연스러운 리더십
  • 정신 운동 능력

3. 1. 한국의 영재 판별

한국에서는 영재교육진흥법에 따라 영재교육대상자 선정 심사위원회를 통해 영재를 판별한다.[7][8] 영재 판별에는 지능 검사,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교사 관찰 추천, 면접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된다. 특히, 과학 영재 학교 입시에서는 창의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7][9]

일반적으로 영재성 평가는 규범 참조 심리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해당 연령, 성별, 국가의 개인과 비교하여 지적 기능이 상당히 발달한 아동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부분의 교육 위원회는 지적(인지) 기능 또는 IQ 검사에서 상위 2%에 해당하는 학생을 영재로 정의한다. 일부 교육 위원회에서는 개별화된 성취도 검사 및/또는 교실 성과를 통해 아동이 뛰어난 학업 성취도를 입증하도록 요구하기도 한다.[7][8]

개별 IQ 검사는 영재성을 식별하는 최적의 방법이지만, 영재로 판명된 사람들 사이의 차이점을 잘 구별하지 못한다. 따라서 검사자는 개별 IQ 검사와 그룹 또는 개별 성취도 검사를 병행하는 등 다양한 검사를 함께 사용한다.[7][9]

학령기 아동의 영재성을 식별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검사는 WISC-IV와 SB5이다. WIAT-III는 아동의 전체 학습 지식을 결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학업 성취도 검사이다.[7][9] WISC-IV는 한국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7]

SB5는 유동적 추론, 일반 지식, 양적 추론, 공간 처리 및 작업 기억 등 다양한 지능 지표를 평가하며, 언어적 및 비언어적 검사를 모두 사용한다.[10] WIAT-III는 읽기, 쓰기, 수학 및 구두 언어와 같이 전통적인 학교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과정의 측면을 측정한다.[7]

8세 정도에 조기 평가를 시작하는 것이 학생의 특정 요구 사항을 파악하고 교육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7][8]

집단 외 성취도 검사(예: SAT 또는 ACT 조기 응시)도 영재 학생들을 조기에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며, 다양한 인재 발굴 프로그램에서 활용된다. 또한 단일 IQ 검사에서 최고 백분위에 속하는 아동을 구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9]

모든 영재 아동을 단독 검사만으로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으므로, 교사와 학부모의 추천은 필수적인 추가 요소이다.[11][12]

4. 영재 교육의 유형

영재 교육은 학생들의 특성과 교육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일반적인 영재 교육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별도 학급 방식: 영재 학생들을 다른 학생들과 분리하여 별도의 학급이나 학교에서 교육한다. '영재 집합 학급'이라고도 한다.
  • 몬테소리 교육 방식: 세 개의 연령 그룹이 섞여 있는 몬테소리 학급에서는 영재 학생들이 또래 아이들과 함께 학습 진도를 높일 기회를 얻는다. 몬테소리 교육은 매우 자유로운 학습 환경을 제공하므로, 평균보다 두 배 빠른 속도로 학습하는 영재에게 적합하다.[97]
  • 촉진 방식: 학생들은 자신의 능력에 맞는 높은 수준의 수업으로 진급한다. 일부 대학교는 조기 입학을 인정하여 영재 아동이 어린 나이에 대학교에서 배울 기회를 제공한다. 이 방식은 학력에 맞는 내용을 학습할 수 있지만, 사회적 소외를 유발할 수 있다.
  • 발췌 지도 방식: 학생들은 일정 시간 동안 영재 학급에서 배우고, 나머지 시간은 동급생과 같은 반에서 배운다.
  • 심화 학습 방식: 학생들은 모든 학습 시간을 동급생과 함께 보내지만, 지적 도전을 줄 수 있는 특별 과제를 받는다.
  • 홈스쿨링 방식: 파트타임으로 학교에 다니거나, 상시 가정에서 학습하는 등 다양한 교육 옵션이 있다. 학급 내용, 그룹 구성, 학습 지도자 및 가정교사 선택에 다양한 옵션이 있다. 학교에 다니지 않고 가정 학습 시 교육 지도 가이드라인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아이 자신의 흥미, 필요, 목표에 따라 스스로 학습시키는 언스쿨링도 포함된다. 미국에서는 예산 삭감과 표준화를 염두에 둔 교육 방침으로 인해 학군에서 영재 교육을 줄이는 경향이 있고, 영재 개인에게 대응할 수 있는 개별 학습법을 모색하는 가족이 늘어나면서 홈스쿨링 방식을 받는 영재 아동이 급증하고 있다.[96]
  • 서머 스쿨 방식: 여름 방학 동안 영재 아동을 대상으로 집중 강의나 캠프를 진행한다. 1979년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 설립된 CTY(Center for Talented Youth, 영재 아동을 위한 센터)의 서머 스쿨이 유명하며, 2007년 현재 영국, 아일랜드, 버뮤다, 스페인, 태국, 중국, 멕시코에 지부가 있다.[96]
  • 과외 활동: 방과 후 과외 활동이나 취미로 체스와 같은 지적 게임을 선호한다.


각 방식에는 장단점이 있으며, 영재 교육의 효과는 학생의 특성, 교육 환경, 교사의 자질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4. 1. 가속 학습 (Acceleration)

학생들은 자신의 능력과 준비도에 더 적합한 내용을 다루는 상위 수준의 수업으로 진급한다. 이는 학년을 건너뛰는 것 또는 정상적인 교육 과정을 정상 기간보다 짧게 완료하는 "집약"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1] 과목 가속(부분 가속이라고도 함)은 수학이나 언어와 같은 한 과목에서 학생을 진급시키면서 역사나 과학과 같은 다른 과목은 변경하지 않는 유연한 방식이다.[1] 이러한 유형의 가속은 일반적으로 IQ보다는 학업 성취도 검사를 기반으로 한다.[1]

일부 대학에서는 재능있는 어린 학생들이 조기에 대학에 다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조기 입학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미국에서는 많은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학교 관계자와 학생의 부모의 동의를 받아 우수한 학생들이 등록할 수 있다.[1]

가속은 재능있는 아이들에게 그들의 능력과 준비도에 맞는 확립된 교육 과정의 학업 자료를 제공하며, 이러한 이유로 학교의 관점에서 볼 때 저비용 옵션이다.[1] 이로 인해 소수의 아이들이 더 나이 많은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을 듣게 될 수 있다. 대부분의 재능있는 학생들에게 가속은 학업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모두 유익하다.[1] 전 학년 건너뛰기는 빠른 가속으로 간주된다. 일부 지지자들은 표준 혼합 능력 교실에 유급되는 것의 단점이 가속의 단점보다 훨씬 더 나쁘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심리학자 미라카 그로스(Miraca Gross)는 "이 아이들[일반적인 교실에 유급된]의 대부분은 사회적으로 거부당하고[일반적인 학업 재능을 가진 또래에 의해] 고립되며 매우 불행합니다. IQ 180+의 아이들이 일반 교실에 유급되면 훨씬 더 심각한 위험에 처하고 심각한 정서적 고통을 경험합니다."라고 보고한다.[2] 이 가속된 아이들은 가능하다면 한 반에 함께 배치해야 한다.[3] 연구에 따르면 가속은 학생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오랫동안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 따르면 전 학년 가속을 경험한 고IQ 개인은 성인이 되어 더 높은 수입을 올렸다.[4]

4. 2. 심화 학습 (Enrichment)

학생들은 정규 교육 과정 외에 추가적인 학습 자료나 활동을 제공받는다. 심화 학습은 일반 교실 교사가 제공하는 수정된 과제처럼 간단할 수도 있고, 마음의 오디세이, 데스티네이션 이매지네이션, 브레인 볼, 미래 문제 해결, 과학 올림피아드, 전국 역사 데이, 과학 박람회, 스펠링 비와 같은 학업 경쟁과 같은 공식적인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도 있다. 심화 활동 프로그램은 학교 수업 시간 외에도 조직될 수 있다(예: 중등 과학 교육의 ASCEND 프로젝트[5]). 이 작업은 정규 학교 과제 외에 추가적으로 수행되며, 이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다. 이 접근 방식의 비판가들은 영재 학생들에게 동일한 양의 작업을 고급 수준으로 하는 대신 더 많은 작업을 요구한다고 주장한다. 중등 학교 수준에서는 영어, 스페인어, 라틴어, 철학, 과학과 같은 과목을 수강하거나 특별 활동에 참여하는 옵션이 있다. 일부는 심화 학습과 가속화 사이에 필수적인 선택이 있다고 인식하며, 마치 두 가지가 상호 배타적인 대안인 것처럼 생각한다. 그러나 다른 연구자들은 이 둘을 서로 보완하는 것으로 본다.[6]

4. 3. 개별화 학습 (Individualized Learning)

몬테소리 교육 방식은 세 개의 연령 그룹이 섞인 학급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또래 아이들과 함께 학습 진도를 높일 기회를 제공한다. 몬테소리 교육은 매우 자유로운 학습 환경을 제공하므로, 평균보다 두 배 빠른 속도로 학습하는 영재에게 적합하다.[97]

홈스쿨링 방식은 파트타임으로 학교에 다니거나, 상시 가정에서 학습하는 등 다양한 교육 옵션을 포함한다. 학급 내용, 그룹 구성, 학습 지도자 및 가정교사 선택에 다양한 옵션이 있다. 학교에 다니지 않고 가정 학습 시 교육 지도 가이드라인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아이 자신의 흥미, 필요, 목표에 따라 스스로 학습시키는 언스쿨링도 포함된다. 미국에서는 예산 삭감과 표준화를 염두에 둔 교육 방침으로 인해 학군에서 영재 교육을 줄이는 경향이 있고, 영재 개인에게 대응할 수 있는 개별 학습법을 모색하는 가족이 늘어나면서 홈스쿨링 방식을 받는 영재 아동이 급증하고 있다.[96]

4. 4. 풀아웃 (Pull-out)

학생들은 정규 수업 시간의 일부를 영재 학급에서 학습하고, 나머지 시간은 일반 학급에서 학습한다.[96] 이러한 프로그램은 반나절 학업 프로그램부터 매주 한 시간의 교육적 과제까지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은 핵심 커리큘럼에 대한 확장 및 심화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 한 학업 향상을 촉진하는 데 비효율적이다. 대부분의 풀아웃 프로그램은 다양한 비판적 사고 훈련, 창의적 연습, 그리고 일반적으로 표준 커리큘럼에서는 도입되지 않는 과목들을 포함한다. 영재 풀아웃 프로그램에서 소개되는 자료는 논리 연구와 철학에서 수학에 이르는 분야에 대한 적용과 관련이 있다. 학생들은 이러한 경험적 추론 기술을 수업 안팎의 교육 모든 측면에 적용하도록 권장된다.

4. 5. 클러스터 그룹핑 (Cluster Grouping)

클러스터 그룹핑은 한 학급에 4명에서 6명의 영재 및 재능 있는 학생 또는 학업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을 모아 하루 종일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클러스터 교사는 영재 학습자를 위해 차별화된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특별 훈련을 받는다. 클러스터는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사용된다. 클러스터 그룹 내에서 수업은 심화 학습, 확장 학습, 고차원적 사고 기술, 사전 평가 및 차별화, 내용 압축, 가속화된 학습 속도, 내용의 복잡성 증가 등을 포함할 수 있다.[96]

4. 6. 전담 학급 및 학교 (Full-time Separate Classes or Schools)

영재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과 분리된 별도의 학급이나 학교에서 교육을 받는다. 이러한 학급 및 학교는 "집중 영재 프로그램" 또는 "전담 영재 프로그램"이라고 불리기도 한다.[96]

이러한 형태의 교육은 일반 학급보다 학급 규모가 작고 학생 대 교사 비율이 낮아 비용이 더 많이 드는 경향이 있다. 비영리 학교는 영리 학교보다 저렴하게 운영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수요가 높아 학부모가 비용의 일부를 부담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96]

일부 사립학교는 학업적으로 재능 있는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주된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학교들에 대한 정보는 전미영재아동협회(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의 자료 디렉토리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이들 학교는 엘리트주의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교직원의 전문성 개발과 훈련을 지원하고, 학생들의 사회적, 정서적, 학문적 재능을 충족시키기 위한 교육 과정을 개발하며, 학부모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96]

일부 영재 학급은 학생들이 직접 수업을 주도하고 과제, 시험 등을 스스로 결정하는 자기 주도 학습 또는 개별화 학습을 제공한다.[96]

5. 영재 교육의 논쟁점

영재 교육은 '영재'라는 용어의 적절성, '영재성'의 정의, 일반 지능 측정의 타당성 등 여러 논쟁점을 안고 있다. 예를 들어, '영재성'이 수행 능력인지 잠재력인지, 초기 IQ 검사가 특권층에 유리하게 작용했는지 등은 여전히 논란거리이다.[68]

영재 교육에 대한 주요 비판 중 하나는 일반적인 지도 방법 대신 영재 교육을 받은 아이는 "평범한" 학교나 어린 시절을 경험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반면, 영재 교육은 영재 아동이 또래 급우와 대화하고 적절히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게 하여, 훗날 난관에 부딪혔을 때 더 잘 대처할 수 있게 한다는 반론도 있다.

시라큐스 대학교의 세이폰 셰빈 교수는 교육에서 트리아지가 발생하여 영재 교육이 학교 자원을 흡수하고, 다른 학생들에게 돌아갈 자원을 줄인다고 주장한다.[98] 그러나 그녀의 연구는 일반 학교가 아닌 영재에게 자원이 집중된 학교를 대상으로 했다는 지적도 있다.

1990년대부터 능력별 진로 지도를 폐지하는 '''디트래킹'''(Detracking) 개념이 확산되었다. 이는 반 편성으로 인한 차별, 친구 관계 균열, 자존심 손상, 하위 그룹 학생들의 학습 의욕 저하 등의 비판에서 비롯되었다.[100] 또한, 같은 수준이나 흥미를 가진 사람들만 모이면 의견 다양성이 사라지므로, 이질적인 혼합 그룹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있다.

영재교육(GATE 또는 TAG)이라는 명칭은 해당 교육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사람은 재능이 없다는 것을 암시한다는 비판도 있다.

5. 1. 엘리트주의와 사회적 불평등

영재 교육 프로그램은 주로 특권층 자녀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여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실제로 영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해 사용되는 초기 IQ 검사는 특권 계층과 인종에게 더 높은 점수를, 불리한 하위 집단에게 더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68] 물론 IQ 검사가 지난 반세기 동안 상당히 변화하여 초기 검사에 대한 많은 반대가 '문화 중립적' 검사(예: 레이븐 검사)에 의해 해결되었지만,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68]

많은 부유한 가정에서는 자녀의 영재성 검사를 위해 교육 심리학자와 상담할 여유가 있지만, 소득이 제한적인 가정에서는 검사 비용을 감당할 수 없어 교육구의 자원에 의존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의 많은 교육구에서는 영재 프로그램에 백인 및 아시아계 미국인 학생의 비율이 과도하게 높은 반면, 히스패닉계 및 아프리카계 미국인 학생은 일반적으로 과소 대표된다.[68]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이는 검사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미국 내 학업 격차의 결과일 수 있다.[69]

영재 프로그램은 영재 교육을 받는 학생의 대다수가 특권층 출신인 곳에서 엘리트주의적이라는 인식을 받는 경우가 많다. 빈곤층 출신의 영재 아동을 식별하고 지원하는 것은 가족의 경제적 불안정에서 비롯되는 정서적 문제부터 가족의 교육 및 시간 부족으로 인한 학령 전 인지 발달 격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고유한 과제를 제시한다.[70]

뉴욕시의 경험에 따르면, 특정 시험을 기반으로 영재 프로그램 입학을 결정하면 중산층, 백인 또는 아시아계 학생이 훨씬 더 많이 선발되고, 이러한 학생들이 다니는 학교에서 더 많은 프로그램이 개발될 수 있다.[71]

5. 2. 정서적 문제

영재는 학문적인 이점을 가지지만, 심리적으로는 다른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72] 지적으로 뛰어난 사람이 다른 분야에서도 뛰어나리라는 보장은 없다. 모든 학생은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기술을 평가받아야 하며, 이 때 "보상적인" 약점이나 "일치하는" 발전과 같은 전통적인 편견은 배제되어야 한다.[72]

영재 학생들이 모든 학문 분야에 재능이 있다는 것은 흔한 오해이며,[73] 이는 영재 아동에게 부정적인 정서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부모와 교사는 영재 학생에게 학문적 성공에 대한 비현실적인 기대를 하는 경우가 많다.[74] 이러한 압박은 영재 학생이 높은 수준의 불안, 완벽주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경험하게 할 수 있다.[74][75] 영재 학생은 자신의 정체성을 영재성으로 정의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다른 사람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할 때 자아 개념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74]

학문적 재능이 뛰어난 학생은 급우들과 어울리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76] 이러한 어려움은 성인이 되면서 완화되기도 하지만, 정서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회적 압력 때문에 아이들은 다른 학생들과 어울리기 위해 자신의 지능을 "낮추는" 경우도 있다.[77] 이는 임상 우울증을 겪는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전략이며, 사회적으로 민감한 청소년에게서 더 자주 나타난다. 교육자들은 이러한 행동을 지양해야 한다.

어리고, 열정적이거나 공격적인 학생들은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다른 학생들보다 더 많은 관심을 받으려 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로 오해될 수 있다.

많은 영재 학생의 부모는 자녀의 사회 정서적 측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학교와 영재 교육 프로그램은 학문적 성취에만 집중하고, 건강한 발달에 필수적인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영재의 정서적 욕구 지원(SENG)과 같은 전국 조직과 지역 조직이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등장했다.

일부 미확인 영재 학생들은 정규 수업에 지루함을 느껴 몽상에 잠기거나, 수업 내용을 놓쳐 교사에게 학습 부진 학생으로 오해받을 수 있다.

영재 학생들은 통계적으로 양극성 장애와 같은 정신 질환 진단을 받거나 마약, 알코올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약간 더 높다.[78][79][80][81] 또한 학습 장애를 함께 가질 가능성도 더 높다.[82] 학습 장애와 영재성을 동시에 가진 학생들은 이중 예외라고 불리며, 학교에서 특별한 관심이 필요할 수 있다.

영재 교육 환경에서는 영재 학생이 따돌림을 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영재반과 일반 학급이 함께 있는 학교에서는, 영재라는 사실이 다른 학생들을 불쾌하게 만들어 괴롭힘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99] 이러한 차별은 학생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면, 높은 지능 때문에 놀림을 받더라도, 영재 학생들은 자신을 동등하게 대해주는 친구를 찾아 괴롭힘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5. 3. 시험 준비 과열

영재 교육 프로그램 지원자를 대상으로 하는 시험 준비 산업이 성장했다. 특히 뉴욕시에서는 4세의 어린아이들이 영재반 유치원에 등록하기 위해 시험을 치르는데, 이러한 현상은 사교육을 조장하고, 우수한 선천적 지적 재능이 부족한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대거 입학하게 만들 수 있다. 반면 시험 준비에 참여하지 않거나 그럴 자원이 없는 선천적 재능을 가진 학생들은 배제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85]

참조

[1] 서적 A Nation Deceived:How Schools Hold Back America's Brightest Students University of Iowa
[2] 웹사이트 Factors in the social adjustment and social acceptability of extremely gifted children http://www.gt-cybers[...] 2007-09-27
[3] 서적 The Relationship of Grouping Practices to the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Learner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1991
[4] 논문 Income differences among grade skippers and non-grade skippers across genders in the Terman sample, 1936–1976 2017
[5] 서적 Enriching School Science for the Gifted Learner Gatsby Science Enhancement Programme 2007
[6] 서적 Developing Math Talent: A Guide for Educating Gifted And Advanced Learners in Math Prufrock Press 2005
[7] 서적 Contemporary Intellectual Assessment: Theories, Tests, and Issues. Third Edition http://eric.ed.gov/?[...] Guilford Press 2011-12-31
[8] 논문 Small poppies: Highly gifted children in the early years
[9] 웹사이트 Assessing Intellig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ttp://www.guilfordp[...] 2014-06-09
[10] 논문 The Stanford-Binet: An Evaluation of the Technical Data Available Since the 1972 Restandardization. http://eric.ed.gov/?[...] 1979-11-30
[11] 웹사이트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 AAEGT – Australian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http://www.aaegt.net[...] 2016-05-10
[12] 웹사이트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http://www.raisingwi[...] 2015
[13] 서적 Terman's Kids: The Groundbreaking Study of How the Gifted Grow Up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14] 서적 Grouping and Acceleration Practices in Gifted Education – Linda Brody,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U.S.) – Google Boeken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2-04-14
[15] 간행물 Growing Up Gifted: Triangulations with the Gulbenkian Project University of Manchester 1995
[16] 서적 Educating a Gifted Child Oakley Books 2013
[17] 간행물 Redefining giftedness for a new century: Shifting the paradigm http://www.nagc.org/[...] 2011
[18] 서적 Identificati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Identifying Students for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Services Prufrock 2013-08-31
[19] 서적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Allyn and Bacon 1997
[20] 문서 Francis Galton, Sir. Gale Group 2001
[21] 문서 Francis Galton. Gale Group 2000
[22] 문서 Lewis Madison Terman. Gale Research 1998
[23] 문서 Lewis Madison Terman. Gale Research 1998
[24] 문서 Lewis Madison Terman.Dictionary of American Biography, Supplement 6: 1956–1960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1980
[25] 웹사이트 Leta Stetter Hollingworth http://www.indiana.e[...] 2007-12-31
[26] 웹사이트 Leta Stetter Hollingworth: Her Life http://www.webster.e[...] 2007-12-31
[27] 뉴스 Sputnik heralded space race, focus on learning https://www.usatoday[...] 2007-10-03
[28] 웹사이트 U.S. Senate: Sputnik Spurs Passage of the National Defense Education Act https://www.senate.g[...] 2024-03-18
[29] 간행물 The Philosophy and Objectives of The National Defense Education Act. 1960-01
[30] 뉴스 The IQ factor: Despite advances in defining gifted children, intelligence testing still plays a large role. http://www.post-gaze[...] 2001-06-10
[31] 간행물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Report to th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by the U.S. Commissioner of Education and background papers submitted to the U.S. Office of Education, 2 vol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2
[32] 간행물 Defining Giftedness. ERIC Clearinghouse on Handicapped and Gifted Children 1985
[33] 간행물 A Nation at Risk: The Imperative for Educational Reform. 1983
[34] 웹사이트 Jacob K. Javits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Education Program http://www.ed.gov/pr[...] 2019-04-01
[35] 웹사이트 Jacob Javits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Education Act http://www.nagc.org/[...] 2007-12-31
[36] 뉴스 No Child Left Behind? Ask the gifted https://www.nytimes.[...] 2006-04-05
[37] 뉴스 Leave No Gifted Child Behind https://www.washingt[...] 2010-05-03
[38] 웹사이트 Government of New South Wales https://web.archive.[...] 2015-10-05
[39] 웹사이트 Government of Western Australia http://www.det.wa.ed[...] 2015-10-05
[40] 웹사이트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https://web.archive.[...] Queensland Government 2015-10-05
[41] 웹사이트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South Australia 2015-10-05
[42] 웹사이트 Parliamentary Inquiry into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http://www.parliamen[...] Parliament of Victoria 2015-10-06
[43] 문서 Centre for Talent and Potential Development http://aspatlavras.b[...] Associação de Pais e Amigos para Apoio ao Talento 2016-04-13
[44] 웹사이트 Gifted https://www.cbe.ab.c[...] Calgary Board of Education 2019-05-17
[45] 웹사이트 Louis Riel Decision Letter http://www.cbe.ab.ca[...] Calgary Board of Education 2013-12-18
[46] 웹사이트 About Westmount https://www.westmoun[...] 2020-08-07
[47] Retyped document Education Commission Report No 4: The Curriculum and Behavioural Problems in Schools https://www.e-c.edu.[...] 1990-11
[48] 웹사이트 Definition of Giftedness https://archive.toda[...]
[49] 웹사이트 Rationale and Principles of Gifted Education Policy in Hong Kong https://archive.toda[...]
[50] 웹사이트 Operation Mode of Gifted Education in Hong Kong https://archive.toda[...]
[51] 서적 A Brief History of NIOGATE: An Experiment in Gifted Education in Iran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52] 서적 Gifted International World Council for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1982
[53] 웹사이트 41 Schools in Tehran for the Exceptionally Talented https://financialtri[...] 2015-05-25
[54] unpublished master's thesis A comparative study on gifted education for mathematic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Dankook University
[55] 웹사이트 GEP FAQs: Pupils https://web.archive.[...]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016-05-10
[56] 웹사이트 GEP FAQs: Schools https://www.moe.gov.[...]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57] 간행물 An overview of the social validity of the Education Programs for Talented Students Model (EPTS). Education and Science, 36, 213–229.
[58] 학술지 Validity of the Anadolu-Sak Intelligence Scale i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https://www.psycholo[...]
[59] 서적 Science Education for Gifted Learners Routledge
[60] 간행물 Teaching able, gifted and talented pupils: overview, 2002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61] 뉴스 Why Warwick stopped running the gifted and taolented programme – Gifthorse bolts https://www.guardian[...] 2010-10-07
[62] 뉴스 The future of the gifted and talented programme – The tricky issue of talent https://www.guardian[...] 2010-10-07
[63] 뉴스 Ministers pull the plug on gifted and talented academy https://www.telegrap[...] 2010-10-21
[64] 웹사이트 The Big Picture http://www.nagc.org/[...]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2007-12-31
[65] 뉴스 Is There a Gifted Gap? Gifted Education in High-Poverty Schools https://files.eric.e[...] Thomas B. Fordham Institute 2020-01-10
[66] 웹사이트 NAGC – Information & Resources – Glossary of Gifted Terms http://www.nagc.org/[...] 2006-11-05
[67] 문서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What Do We Know? National Association of Gifted Children (Prufrock Press, Inc.)
[68] 학술지 Racial and Ethnic Representation in Gifted Programs SAGE Publications
[69] 학술지 The impact of race and ethnicity on the identification process for giftedness in Utah
[70] 학술지 Identifying and Nurturing the Gifted Poor http://www.nagc.org/[...] 2000-05
[71] 뉴스 A System Divided series: Gifted, Talented and Separated: In One School, Students Are Divided by Gifted Label — and Race https://www.nytimes.[...] 2013-01-14
[72] 서적 Exceptionally Gifted Children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7-02-03
[73] 학술지 The origins and ends of giftedness http://www.drjilljen[...] 2014-10-23
[74] 학술지 Children with gifts and talents: Looking beyond traditional labels 2010
[75] 학술지 Addressing Counseling Needs of Gifted Students 2006
[76] 웹사이트 Genius Denied: How to Stop Wasting our Brightest Young Minds http://www.geniusden[...] 2017-02-03
[77] 웹사이트 an oige http://homepage.tine[...] 2017-02-03
[78] 학술지 Commo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Male Drug Abusers in New Zealand* 1977-04-01
[79] 웹사이트 Gifted, Talented, Addicted http://www.talentdev[...] 2017-02-03
[80] 웹사이트 Supporting the Emotional Needs of the Gifted – SENG http://www.sengifted[...] 2017-02-03
[81] 웹사이트 Laurie Gunst - Inspiring People - Living Louder - DanaRoc.com http://www.danaroc.c[...] 2017-02-03
[82] 웹사이트 Twice Exceptional: When Your Child is Both Gifted and Learning Disabled http://www.psy-ed.co[...] 2014-08-21
[83] 문서 Camilla Persson Benbow and Julian C. Stanley. Consequences in High School and College of Sex Differences in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A Longitudinal Perspective. http://aer.sagepub.c[...]
[84] 간행물 Halpern, D.F. et al. The Science of Sex Differenc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http://134.173.180.1[...]
[85] 뉴스 Schools Ask: Gifted or Just Well-Prepared? https://www.nytimes.[...] 2013-02-28
[86] 웹사이트 How Can I Prepare My Child for Testing? http://www.hoagiesgi[...]
[87] 서적 Academic Advocacy for Gifted Children: A Parent's Complete Guide Great Potential Press
[88] 웹사이트 Gifted Assessments http://www.psy-ed.co[...] 2014-06-30
[89] 문서 Colangelo, N., & Davis, G. (1997).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2nd ed.). New York: Allyn and Bacon. 英語版の出典
[90] 문서 Davis, G., & Rimm, S. (1989).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英語版の出典
[91] 문서 Hansen, J., & Hoover, S. (1994). Talent development: Theories and practice. Dubuque, IA: Kendall Hunt.英語版の出典
[92] 문서 Newland, T. (1976). The gifted in historical perspectiv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英語版の出典
[93] 문서 Piirto, J. (1999). Talented adults and children: Their development and education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94] 문서 Marland, S. P., Jr. (1972).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Report to th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by the U.S. Commissioner of Education and background papers submitted to the U.S. Office of Education, 2 vols.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Government Documents Y4.L 11/2: G36)英語版の出典
[95] 문서 National Excellence: A Case for Developing America's Talent http://www.ed.gov/pu[...]
[96] 문서 w:en:Center for Talented Youth 2007年2月23日17:13版
[97] 문서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http://www.nagc.org/[...]
[98] 문서 Sapon-Shevin, M. (1994). Playing Favorites: Gifted Education and the Disruption of Community.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英語版の出典
[99] 문서 Purdue University Study: Gifted children especially vulnerable to effects of bullying http://www.purdue.ed[...]
[100] 문서 アメリカにおける能力別グループ指導 http://www.nichibun-[...]
[101] 문서 Identifying Gifted Children: A Practical Guide(ISBN-13: 978-1593630034)
[102] 문서 우수아교육,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