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황은 건륭제의 아들로, 친왕 작위를 받았으나 병약하여 22세에 사망했다. 그의 어머니는 협민황귀비였으며, 첫 황후 효현황후의 장례를 감독했으나 슬퍼하는 기색을 보이지 않아 건륭제의 노여움을 샀다. 영황은 1750년에 사망했으며, 건륭제는 그에게 정안친왕의 시호를 내렸다. 영황은 정실 이라리씨와 측실 이얼껀줘뤄씨를 두었으며, 각각 미앤더와 미앤언을 낳았다. 2018년 드라마 《여의전》에서 딩차오가 영황을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륭제의 황자 - 영선
영선은 건륭제의 아들로, 의친왕에 봉해져 가경제와 도광제 치세 동안 존경을 받았으며, 술과 여색을 즐기다 86세로 사망하여 청나라 황족 중 가장 장수했다. - 건륭제의 황자 - 영장 (청나라)
건륭제의 셋째 아들 영장은 폐병으로 승마에 능숙하지 못했고 효현순황후 장례 감독 중 부적절한 행동으로 황위 계승에서 제외된 후 순군왕에 추증되었으나, 아들이 없어 영성의 아들 면의가 후사를 이었다. - 만주 정람기인 - 윤사
청나라 강희제의 여덟 번째 아들 윤사는 옹정제의 형제이자 황위 계승 경쟁자였으나, 옹정제 즉위 후 아키나로 개명당하고 유폐되어 사망, 건륭제 시대에 복권된 인물이다. - 만주 정람기인 - 아이신기오로 도도
- 청나라의 종실 친왕 - 면흔
가경제의 아들인 면흔은 1등 숭선친왕에 봉해졌으나 황위 계승에는 실패했고, 관료 생활 중 홍수 피해 구호 활동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자금성 인쇄소 관리 부실로 징계를 받았으며, 사망 후 숭선휘친왕으로 추봉되어 그의 아들이 작위를 계승했고,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한다. - 청나라의 종실 친왕 - 경친왕
경친왕은 청나라 황족에게 부여된 작위로, 건륭제의 아들 영린에게 시작되어 여러 대에 걸쳐 계승되었으며, 이쾅 대에 이르러 철모자왕이 되었다.
영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애신각라 영황 (愛新覺羅·永璜) |
만주어 표기 | ᠶᠣᠩ ᡥᡠᠸᠠᠩ |
출생일 | 1728년 7월 5일 |
사망일 | 1750년 4월 21일 (향년 21세) |
아버지 | 건륭제 |
어머니 | 철민황귀비 |
배우자 | 이랍리씨 |
자녀 | 면덕, 면은, 정공친왕 |
작위 | |
작위명 | 친왕(親王) |
시호 | 정안친왕 (定安親王) |
사후 작위 | 정친왕 |
가계 | |
왕조 | 애신각라 |
조부 | 옹정제 |
숙부 | 복의 |
이복 동생 | 가경제 |
이복 조카 | 목군왕, 도광제, 서회친왕, 혜단친왕 |
2. 생애
영황은 건륭제의 장남으로, 친왕에 책봉되었으나 22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어머니 협민황귀비(協敏皇貴妃)는 영황이 어릴 때 사망했다.
1748년, 건륭제의 첫 황후 효현황후가 사망하자 영황은 장례 감독 임무를 맡았으나, 동생 영장(永璋); 1735–1760과 함께 슬픔을 크게 드러내지 않아 건륭제의 분노를 사 후계 구도에서 제외되었다.
1750년 영황이 사망하자 건륭제는 크게 후회하며 '정안친왕(定安親王)'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2. 1. 어린 시절
영황은 건륭제 시대에 친왕 작위에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향년 22세의 젊은 나이로 훙서(薨逝)하였다. 그의 어머니 '''협민황귀비(協敏皇貴妃)'''는 그가 매우 어릴 때 돌아가셨다. 1748년, 건륭제가 남중국 순시 중일 때 그의 첫 황후인 효현황후가 승하하였다. 건륭제의 장남인 영황은 황후의 장례를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다. 영황과 그의 셋째 동생인 영장(永璋); 1735–1760은 황후의 죽음을 예상만큼 크게 슬퍼하지 않았다. 건륭제가 나중에 이 사실을 알게 되자 매우 불쾌해하여 영황과 영장을 꾸짖고 후계자 후보 명단에서 제외시켰다.2. 2. 효현황후의 죽음과 후계 구도
1748년, 건륭제가 남중국을 순시하던 중 그의 첫 황후인 효현황후가 승하하였다. 건륭제의 장남인 영황은 황후의 장례를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다. 영황과 그의 셋째 동생인 영장(永璋); 1735–1760은 황후의 죽음을 크게 슬퍼하지 않았다. 건륭제가 나중에 이 사실을 알고 매우 불쾌해하며 영황과 영장을 꾸짖고 후계자 후보 명단에서 제외시켰다.영황은 1750년에 사망했다. 건륭제는 이전의 결정을 깊이 후회했지만 이미 너무 늦었다. 그는 영황에게 "정안친왕(定安親王)"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2. 3. 죽음과 추봉
건륭제 시대에 친왕 작위에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향년 22세의 젊은 나이로 훙서(薨逝)하였다. 그의 어머니 협민황귀비(協敏皇貴妃)는 그가 매우 어릴 때 돌아가셨다. 1748년, 건륭제가 남중국 순시 중일 때 그의 첫 황후인 효현황후가 승하하였다. 건륭제의 장남인 영황은 황후의 장례를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으나, 영황과 그의 셋째 동생인 영장(永璋); 1735–1760은 황후의 죽음을 예상만큼 크게 슬퍼하지 않았다. 건륭제는 나중에 이 사실을 알고 매우 불쾌해하여 영황과 영장을 꾸짖고 후계자 후보 명단에서 제외시켰다.영황은 1750년에 사망했다. 건륭제는 이전의 결정을 깊이 후회했지만 이미 너무 늦었고, 영황에게 "정안친왕(定安親王)"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3. 가족
영황은 정실 이라리씨에게서 장남 미앤더(綿德)를, 측실 이얼껀줘뤄씨에게서 차남 미앤언(綿恩)을 얻었다.
3. 1. 정실
- 정실, 이라리씨(伊拉里氏)
- *: 미앤더(綿德), 4등작(貝子; 綿德|미앤더중국어, 1747년 8월 11일 – 1786년 11월 17일), 장남
- 측실, 이얼껀줘뤄씨(伊爾根覺羅氏)
- *: 미앤언(綿恩), 1등 정공친왕(定恭親王; 綿恩|미앤언중국어, 1747년 9월 18일 – 1822년 7월 18일), 차남
3. 2. 측실
- 측실, 이얼껀줘뤄씨(伊爾根覺羅氏)
- * 미앤언, 1등 정공친왕(定恭親王, 1747년 9월 18일 ~ 1822년 7월 18일), 차남
4. 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건륭제 |
어머니 | 철민황귀비 |
조부 | 옹정제 |
조모 | 효성헌황후 |
외조부 | 옹고토(翁果图) |
증조부 | 강희제 |
증조모 | 효공인황후 |
증외조부 | 령주(令珠) |
증외조모 | 팽씨(彭氏) |
고조부 | 순치제 |
고조모 | 효강장황후 |
내고조부 | 위무(魏武) |
내고조모 | 사이허리씨(赛赫里氏) |
외고조부 | 우루(乌鲁) |
외고조모 | 조씨(乔氏) |
외내고조부 | 우공(吴公) |
5. 대중문화
2018년 드라마 여의전에서 딩차오(丁 quoique)가 영황을 연기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