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흥군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흥군로는 1041년 섬서로가 분할되면서 설치된 로(路)로, 북송 시기 섬서성 일대에 설치되었다. 5대 10국 시기에는 영흥군으로 불리기도 했다. 경조부, 하중부, 연안부 등을 포함한 여러 부, 주, 군을 관할했으며, 특산물로는 밀랍, 돗자리 등이 있었다. 195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연안군, 배천군, 벽성군 일부를 합쳐 영흥군이 되었다.

2. 연혁

1041년(경력 원년), 섬서성과 감숙성 일대를 통치했던 '''섬서로(陝西路)'''가 진봉로, 경원로(涇原路), 환경로(環慶路), 부연로(鄜延路)의 4개 로로 분할되었다. 1072년(희녕 5년)에는 희주(熙州), 하주(河州), 조주(洮州), 민주(岷州), 통원군(通遠軍)을 포함한 1개 로를 설치하고 마보군도총관(馬步軍都總管)과 경락안무사(經略安撫使)를 두었다. 또한, 상기 5개 주군과 구연로 등을 포함하여 옛 5개 로를 통합하고, 섬서성 일대의 34개 주군에는 영흥군로와 같은 로를 설치했다.

2. 1. 북송 이전

2. 1. 1. 당나라 시기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에 당나라 시기 영흥군로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2. 1. 2. 5대 10국 시기

오대 시기에는 후량이 주의 이름을 고쳐 '''부주(鄜州)'''로 고쳤고, 군을 설치하여 '''소의군(昭義軍)'''이라 하였다. 후당 시기에는 주의 이름을 다시 '''영흥군(永興軍)'''으로 고쳤다. 후진 시기에는 주의 이름을 '''부주(鄜州)'''로 고쳤다. 후한 시기에는 주의 이름을 다시 '''영흥군(永興軍)'''으로 고쳤다. 후주 시기에는 '''영흥군'''을 폐지하고, '''부주'''에 군을 설치하여 '''정란군(定亂軍)'''이라 하였다.

2. 2. 북송 시기

1041년(경력 원년), 섬서성과 감숙성 일대를 통치했던 '''섬서로(陝西路)'''가 진봉로, 경원로(涇原路), 환경로(環慶路), 부연로(鄜延路)의 4개 로로 분열되었다. 1072년(희녕 5년), 희주(熙州), 하주(河州), 조주(洮州), 민주(岷州), 통원군(通遠軍)에 1개 로를 설치하고 마보군도총관(馬步軍都總管)과 경락안무사(經略安撫使)를 두었다. 또한 상기 5개 주군과 구연로 등을 포함한 옛 5개 로를 통합했다. 그리고 34개 주군에서 섬서성 일대에 있던 주군에 영흥군로와 같은 로를 설치했다.

3. 행정 구역

경조군을 군명으로 하는 경조부는 영흥군절도가 있었다. 차부(次府)였으나, 1107년(대관 원년)에 대도독부로 승격되었다. 과거 영흥군로안무사가 있었으나 1120년(선화 2년) 영흥군 수신들의 요청으로 경조부로 칭하게 되었다. 숭녕 연간에는 234,699호, 537,288명이 살았다. 특산물로는 털로 만든 신발(靴氈), 밀랍, 돗자리(席), 산조씨속의 알맹이(酸棗仁), 구기자나무 뿌리껍질(地骨皮)를 공납으로 바쳤다. 1071년(희녕 4년)에 설치한 2개의 감옥과 1075년에 설치한 주동전(鑄銅錢)이 있었다. 경조부에는 13개의 현이 있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장안현長安縣시안시次赤
번천현樊川縣次赤1125년에 만년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호현鄠縣시안 시 후이구次畿
남전현藍田縣시안 시 란톈현次畿
함양현咸陽縣셴양 시 웨이청 구 이가보진일대次畿
경양현涇陽縣셴양 시 징양현次畿
역양현櫟陽縣시안 시 옌량구 무둔진(武屯镇)次畿
고양현高陽縣시안 시 가오링구?次畿
흥평현興平縣셴양 시 싱핑 시次畿
임동현臨潼縣시안 시 린퉁구次畿대중상부 연간에 당나라 소응현(昭應縣)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예천현醴泉縣셴양 시 리취안현次畿
무공현武功縣셴양 시 우궁현 무공진次畿1118년(정화 8년), 예천현과 함께 예주(醴州)로 넘어갔다.
건우현乾祐縣상뤄시 자수이현次畿



하동군이라는 군명을 가진 차부(次府)이다. 호국군절도(護國軍節度)가 있었으며, 해주(解州)와 경성군병마순검사(慶成軍兵馬巡檢事)를 겸했다. 대중상부 연간에 영하(榮河)를 경성군(慶成軍)으로 칭했다. 숭녕 연간에는 79,964호, 227,030명이 살았다. 오미자, 공룡 화석(龍骨)을 공납으로 바쳤다. 7현을 두었다.

현명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하동현河東縣윈청시 융지시 서 포주진次赤1070년(북송 신종 희녕 3년) 하서현을 통폐합했고 1073년(북송 신종 희녕 6년) 영락현(永樂縣)을 진으로 격하해 편입했다.
임진현臨晉縣윈청 시 린이현 임진진次畿
기씨현猗氏縣윈청 시 린이 현次畿
우향현虞鄕縣윈청 시 융지 시 우향진次畿
만천현萬泉縣윈청 시 완룽현 만천향次畿
용문현龍門縣윈청 시 허진시次畿1087년(원우 2년)에 2개의 주전감(鑄錢監)을 두었다.
영하현榮河縣윈청 시 완룽 현 영하진次畿경성군에 속했다가 1068년 경성군이 현으로 격하되자 본부에 내속되었다. 그리고 현의 치소에 경성군사를 두었다.



연안부는 본래 황해도 동남부에 있었으며, 서쪽으로는 옹진군과 해주에 접해 있었다. 동쪽으로는 황해도 금천군과 평산군에 접해 있었고, 남쪽으로는 경기도 장단군개풍군에 접해 있었다. 인구는 1934년 당시 137,794명이었다. 특산물로는 사과, 복숭아가 많이 났다. 일제 강점기에는 연백군으로 불렸으며, 1945년 광복 당시 면적은 838.80km2, 인구는 17만 7475명이었다.

1914년 4월 1일 일제가 조선 부·군·면(府郡面) 통폐합을 실시하여 배천군을 강제 합병하였다. 1938년 10월 1일에 연안면이 연안읍으로 승격하였다. 1945년 광복 당시 연안군은 1읍 14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52년 12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연안군, 배천군, 벽성군 일부를 합쳐 영흥군이 되었다.

해주, 섬주, 상주, 괵주, 동주, 화주, 요주, 청평군, 부주, 방주, 보안군, 수덕군, 영주, 은주, 경양부, 환주등 섬서로를 구성했던 여러 부, 주, 군들의 목록과 정보는 다음과 같다.


  • '''해주(海州)'''는 중급주로 방어를 두었다. 숭녕 연간에는 32,356호, 113,321명이 살았다. 염화(鹽花)를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해현解縣윈청 시 남 해주진
문희현聞喜縣윈청 시 원시현
안읍현安邑縣윈청 시 북 안읍가도


  • '''섬주(陝州)'''의 군명은 섬군(陝郡)으로 대도독부가 있었다. 태평흥국 초에 보평군(保平軍)으로 고쳤다가 옛 상주(商州)병마순검사가 괵주병마순검사를 겸했다. 숭녕 연간에는 47,806호, 135,701명이 살았다. 고(槹), 깁(絁), 하늘타리뿌리(括蔞根), 측백나무열매씨(柏子仁)를 공납으로 바쳤다. 7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섬현陝縣싼먼샤 시1073년에 협석현(硤石縣)을 석호진(石壕鎮)으로 격하해 본현에 내속시켰다.
평륙현平陸縣윈청 시 핑루현
하현夏縣윈청 시 샤현
영보현靈寶縣싼먼샤 시 링바오 시 황하변1072년에 호성현(湖城縣)을 통폐합했다.
예성현芮城縣윈청 시 루이청현中下
호성현湖城縣싼먼샤 시 링바오 시 서북 황하변中下영보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78년(원풍 원년)에 복구되었다.
문향현閿鄉縣싼먼샤 시 링바오 시 서 섬서성과의 경계 지역中下978년(태평흥국 3년), 호성현과 함께 괵주에서 본주로 내속되었다. 1071년에 설치된 주동전(鑄銅錢)과 1076년에 설치된 주철전(鑄鐵錢)이 있다.


  • '''상주(商州)'''는 망급주로 군명은 상락군이며 군사를 두었다. 숭녕연간에는 73,129호 162,534명이 살았다. 사향, 탱자나무열매(枳殼實)를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상락현上洛縣상뤄 시
상락현商洛縣상뤄 시 단펑현中下
낙남현洛南縣상뤄 시 뤄난현中下
풍양현豊陽縣상뤄 시 산양현
상진현上津縣스옌 시 윈시 현 서북中下


  • '''괵주(虢州)'''는 웅급주로 군명은 괵군(虢郡)이고 군사를 두었다. 숭녕연간에는 22,490호 47,563명이 살았다. 사향, 벼루, 구기자나무 뿌리껍질을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노씨현盧氏縣싼먼샤 시 루스 현1069년, 하남부 이양현(伊陽縣) 난천야진(欒川冶鎭)을 본현에 내속시켰다.
괵략현虢略縣싼먼샤 시 링뱌오 시건륭초에 당나라 홍농현을 상농현(常農縣)으로 개명했다. 997년(지도 3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1071년, 옥성현(玉城縣, 싼먼샤 시 링뱌오 시 동남)을 진으로 격하시켜 본현에 내속시켰다.
주양현朱陽縣싼먼샤 시 링뱌오 시 서남 주양진968년(건덕 6년)에 상농현을 통폐합했다가 982년(태평흥국 7년)에 복구했다.
난천현欒川縣뤄양 시 롼촨 현1087년에 난천야진이었다가 1104년(숭녕 3년)에 현으로 격상되었다.


  • '''동주(同州)'''는 풍익군을 참조.

  • '''화주(華州)'''는 망급주로 군명은 화음군(華陰郡)이다. 송나라 건국초에 진국군절도(鎮國軍節度)가 파견되었다. 1053년(황우 5년)에 절도의 이름을 진동군(鎮潼軍)으로 바꿨다. 숭녕연간에는 94,750호 269,380명이 살았다. 복령, 세신(細辛), 복신(茯神)을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다. 1071년과 1075년에 설치된 주동전감(鑄銅錢監) 2개가 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정현鄭縣웨이난 시 화 현
하규현下邽縣웨이난 시 북
포성현蒲城縣웨이난 시 푸청 현971년에 봉선현(奉先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건륭연간에 경조부 동주에 두었다가 1020년(천희 4년)에 본주로 내속되었다.
화음현華陰縣웨이난 시 화인시
위남현渭南縣웨이난 시1073년에 진으로 격하되 정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에 현으로 복구되었다. 과거 경조부에 소속되었다.


  • '''요주(耀州)'''는 긴급주로 군명은 화원군(華原郡)이다. 972년에 감의군절도(感義軍節度)를 두었다. 태평흥국초에 군명을 감덕군(感德軍)으로 바꿨다. 숭녕연간에는 102,667호 347,535명이 살았다. 자기(瓷器)를 공납으로 바쳤다. 6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화원현華原縣퉁촨시 야오저우구
부평현富平縣웨이난 시 푸핑 현
삼원현三原縣셴양 시 싼위안현
운양현雲陽縣셴양 시 싼위안 현 서북
동관현同官縣퉁촨 시 인타이구 서북
미원현美原縣웨이난 시 푸핑 현 동


  • '''청평군(淸平軍)'''은 1107년 진봉로 봉상부 려질현(盭厔縣) 청평진에서 군으로 승격되었고 종남현(終南縣)이 복구되었다. 그리고 경조부로 이관되었다. 1현을 두었다. 청평군사가 종화현의 민정을 겸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
종남현終南縣시안 시 저우즈현 종남진(終南鎭)


  • '''부주(鄜州)'''는 상급주로 군명은 낙교군(洛交郡)이고 보대군절도(保大軍節度)가 있었다. 숭녕연간에는 35,401호 92,415명이 살았다. 사향을 바치다가 지금은 밀랍으로 만든 초를 바치고 있다. 1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의천현宜川縣옌안 시 이촨 현태평흥국연간에 북위에서 설치한 의천현(義川縣)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그리고 부주를 폐하면서 함녕현(咸寧縣)을 통폐합시켰고, 1070년 분천현(汾川縣)을 통폐합, 1074년에는 운암현(雲岩縣)을 진으로 격하해 본현에 내속시켰다. 1075년에는 동주 한성현의 신봉향(新封鄕)을 본현에 내속시켰다.


  • '''보안군(保安軍)'''은 즈단현에 설치되었던 군으로 하급주와 급이 같다. 숭녕연간에는 2,042호 6,931명이 살았다. 모단(毛段)과 종용(蓯蓉)을 공납으로 바쳤다. 2개의 채를 두었다.


주요지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덕정채德靖砦옌안 시 즈단 현 단팔진일대동으로 보안군까지 80리, 서로 경주 여원보(荔原堡)까지 60리, 남으로 경주 평융진까지 50리, 북으로 금탕성까지 60리이다.
순녕채順寧砦옌안 시 즈단 현 순녕진동으로 평융채(平戎砦)까지 70리, 서로 금탕성(金湯城)까지 90리, 남으로 보안군까지 40리, 북으로 만전채까지 40리이다.
원림보園林堡옌안 시 즈단 현 행하진 동동으로 안새보까지 70리, 서로 보안군까지 40리, 남으로 초안역(招安驛)까지 7리, 북으로 평융보까지 51리이다.
금탕성金湯城옌안 시 즈단 현 금정진일대1099년에 금탕채에서 축성되었으며 덕정채의 서남쪽에 있다. 동으로 순녕채까지 90리, 서로 경주 백표성(白豹城)까지 40리, 남(서남)으로 덕정채까지 60리, 북으로 통경성까지 60리이다.
위덕군威德軍보안군북쪽에 있다. 이지역과의 경계지역위에 장저하(藏底河)라고 불리는 강이 돌아 흐른다. 서하가 이곳근처에 성을 쌓았으며 요해필쟁(要害必爭)의 땅이었다.


  • '''수덕군(綏德軍)'''은 위린 시 쑤이더현에 설치된 군이다. 1069년 당말에 버려졌던 옛 수주성(綏州, 송대 수덕군 치소에서 동북쪽 30리에 있다.)에 성을 세우고 연주에 소속시켰다. 1084년 연주의 미지채(米脂)、의합채(義合)、부도채(浮圖)、회령채(懷甯)、순안채(順安)、수평채(綏平)를 수덕성에 내속시켰다. 1099년 군으로 이름을 바꾸고 개광채(開光), 극융채(克戎), 임하채(臨夏), 청간성채(靑澗城), 영녕관채(永寗關), 백화채(白華), 난천채(暖泉)를 추가로 본군에 내속시켰다.


채명한자비고
난천채暖泉砦1099년 축성되었다. 동으로 하동로 오룡채까지 20리, 서로 미지채까지 45리, 남으로 의합채까지 80리, 북으로 청변채까지 70리이다.
미지채米脂砦1081년 서하채를 복구하면서 미지성이란 이름을 받았고 이게 훗날 미지채라는 이름으로 굳어졌다. 연주 연천현에 소속되어있다가 1084년 수덕군에 편입되었다. 1089년 서하의 귀순자들을 이곳에 거주시켰다. 1098년 옛이름이 붙었다. 동으로 난천채까지 45리, 서로 극융성가지 60리, 남으로 개광보가지 30리, 북으로 사무성(嗣武城)까지 20리였다.
개광보開光堡1097년(소성 4년)축성되어 1098년 이름이 붙었다. 1099년, 연안부로 이관되었다. 동으로 난천채까지 60리, 서로 극융채가지 50리, 남으로 수적군가지 30리, 북으로 미지채까지 30리이다.
의합채義合砦1081년 수복한 하인채(夏人砦)를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고 연주 연천현(延川縣)에 소속시켰다. 1084년 수덕성으로 소속을 이관시켰다. 동으로 진령군까지 60리, 서로 소덕군까지 40리, 남으로 순안역까지 60리, 북으로 난천채(暖泉砦)까지 80리이다.
회령채懷寧砦연주 연천현에 소속되었다. 동으로 수덕군까지 40리, 서로 수평채까지 40리, 남으로 청간성채까지 70리, 북으로 극융채까지 60리이다.
극융채克戎砦1081년 서하의 세부도채(細浮圖砦)를 차지해 연주 연천현에 소속시켰다. 1084년 수덕성에 내속시켰다. 1089년 서하에게 할양했다가 1097년 재수복하여 지금의 이름을 붙였다. 동으로 수덕군까지 60리, 서로 임하채까지 30리, 남으로 회령채까지 60리, 북으로 진변채까지 65리이다.
임하채臨夏砦1098년 나암곡령(囉岩穀嶺)에 축성되었다. 동으로 극융채까지 30리, 서로 위융성까지 40리, 남으로 수평채까지 60리, 북으로 국경까지 82리이다.
수평채綏平砦1099년 연주 연천현에서 본군으로 내속되었다. 동으로 회령채까지 40리, 남으로 흑수보까지 40리, 서로 단두역까지 40리, 북으로 임하채까지 60리이다.
청간성靑澗城연주의 옛 성이다. 동으로 영녕현까지 70리, 서로 내평채까지 70리, 남으로 연천현까지 40리, 북으로 회령군까지 70리이다.
청녕관靑寗關연주 연천현에 소속된 옛 관이다.
백초채白草砦연주 연천현의 옛 채로 1099년 폐지되었다가 후에 복구되었다.
순안채順安砦
사무채嗣武砦1081년 나올성(囉兀城)을 폐지했다가 1104년에 수복해 지금의 이름을 붙였다. 동으로 청변채까지 20리, 서로 진변채까지 20리, 남으로 미지채까지 30리, 북으로 용천채까지 20리이다.
용천채龍泉砦1120년 통천채로 바꿨다가 얼마뒤에 원래이름으로 바꿨다. 동으로 청변채까지 20리, 서로 진변채까지 40리, 남으로 사무채까지 20리, 북으로 중산보까지 8리이다.
청변채淸邊砦동으로 황하까지 50리, 서로 용천채까지 20리, 남으로 난천채까지 70리, 북으로 국경까지 13리이다.
진변채鎭邊砦동으로 용천채까지 40리, 서로 대충갱(大蟲坑)까지 25리 남으로 극융채까지 65리, 북으로 국경까지 25리이다.
용안채龍安砦연안부 부시현에 소속되었다가 본군에 내속되었지만 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다. 동으로 안정보까지 80리, 서로 초안역까지 40리, 남으로 금명역까지 35리, 북으로 어안보까지 40리이다.
해말보海末堡백림(柏林)까지 60리이다.


  • '''영주(寧州)'''는 망급주로 군명은 팽원군(彭原郡)이다. 군사를 두었다가 1119년 흥령군(興寧軍)절도가 파견되었다. 숭녕연간에는 37,558호 122,041명이 살았다. 엄려(庵閭), 형개(荊芥), 벼루, 돗자리를 공납으로 바쳤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정안현定安縣칭양 시 닝 현
양락현襄樂縣칭양 시 정닝 현 서남
진녕현眞寧縣칭양 시 정닝 현 서남


  • '''은주(銀州)'''의 군명은 은천군(銀川郡)이다. 유림현 무녕현, 직향현, 개광현의 4현을 통치했으나 오대에 서하가 정복하여 옛 은주에 흥경부(興慶府)를 두었다. 1070년 수복했으나 방위의 어려움으로 버려졌다. 1081년 재수복했고 1082년 영락소천(永樂小川)근처 은주 옛 치소 25리떨어진 곳에 새로운 은주성을 쌓았다. 은주 대천에 근거하여 은천채(銀川砦)라는 이름을 붙였으나 서하에게 복속되었다. 1105년 수복하여 은주로 칭했다가 1106년 은천성으로 고쳤다.

  • '''경양부(慶陽府)'''는 중급부로 군명은 안화군(安化郡) 경양군절도가 있었다. 960년, 경주(慶州)에 단련사를 파견했고 963년에는 군사를 파견했다. 1117년 절도주가 되었고 경양군으로 이름을 고쳤다. 1125년에 경주가 경양부로 승격되었다. 과거 환경로경락안무사(環慶路經略安撫使)의 치소가 있었다. 이 환경로경락안무사는 경주, 환주, 분주, 영주, 건주, 범주의 5주를 통치했다. 이중 건주를 폐하고 그지역에 정변군을 설치하고 예주를 복구하여 3주 1군을 통치하게 했다. 숭녕연간에는 27,853호 96,433명이 살았다. 자용백화전(紫茸白花氈)과 사향, 밀랍을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 class="wikitable"

|+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현급

!비고

|-

|안화현

|安化縣

|칭양 시 칭청 현

|中

|대순일성(大順一城), 부성채(府城砦, 칭양 시 칭청 현 마령진 동남), 동곡채(東穀砦), 유원채(柔遠砦, 칭양 시 화츠 현), 인순채(人順砦)가 있다. 1081년 부성채, 금촌보(金村堡), 평융진을 폐지했다. 1082년 강사채(礓詐砦)를 수복한 뒤 안강채(安疆砦)로 개명했다. 1086년 평융진을 복구했다.

|-

|합수현

|合水縣

|칭양 시 허수이 현 노성진

|望

|1071년 설치되었고 화지진과 낙반현을 진으로 격하해 편입시켰다. 1075년 화지진을 화지채로 바꿨다. 동화지채, 서화지채, 여원보(荔原堡)가 있다.

|-

|팽원현

|彭原縣

|칭양 시

| colspan="2" |1070년 영주에서 본주로 내속되었다.

|-

|안강채

|安疆砦

| colspan="2" |칭양 시 화츠 현 연자구일대

|1082년 강사채를 수복한 뒤 안강채로 개명했다. 1097년 과거이름으로 복구했다. 동으로 보안군 덕정채까지 90리, 서로 동곡채까지 60리, 남으로 대순성까지 40리, 북으로 백표성까지 40리이며 정변군에 속했다.

|-

|횡산채

|橫山砦

| colspan="2" |옌안 시 우치 현 묘구향 서남

|1098년 서찰력이(西攃栎移)라는 땅에 축성되었다. 동으로 동곡채 경계의 찰력이까지 45리, 서로 영강채까지 70리, 남으로 통새보까지 30리, 북으로 정변군까지 30리이다.

|-

|통새보

|通塞堡

| colspan="2" |칭양 시 화츠 현 장남만일대

|1098년 축성되었다. 동으로 동곡채까지 20리, 서로 서곡구채까지 20리, 남으로 회안진까지 40리, 북으로 횡산채까지 30리이다.

|-

|정변성

|定邊城

| colspan="2" |옌안 시 우치 현 철변성진

|1099년 축성되었으며

3. 1. 경조부(京兆府)

경조군을 군명으로 하는 경조부는 영흥군절도가 있었다. 차부(次府)였으나, 1107년(대관 원년)에 대도독부로 승격되었다. 과거 영흥군로안무사가 있었으나 1120년(선화 2년) 영흥군 수신들의 요청으로 경조부로 칭하게 되었다. 숭녕 연간에는 234,699호, 537,288명이 살았다. 특산물로는 털로 만든 신발(靴氈), 밀랍, 돗자리(席), 산조씨속의 알맹이(酸棗仁), 구기자나무 뿌리껍질(地骨皮)를 공납으로 바쳤다. 1071년(희녕 4년)에 설치한 2개의 감옥과 1075년에 설치한 주동전(鑄銅錢)이 있었다. 경조부에는 13개의 현이 있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장안현長安縣시안시次赤
번천현樊川縣次赤1125년에 만년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호현鄠縣시안 시 후이구次畿
남전현藍田縣시안 시 란톈현次畿
함양현咸陽縣셴양 시 웨이청 구 이가보진일대次畿
경양현涇陽縣셴양 시 징양현次畿
역양현櫟陽縣시안 시 옌량구 무둔진(武屯镇)次畿
고양현高陽縣시안 시 가오링구?次畿
흥평현興平縣셴양 시 싱핑 시次畿
임동현臨潼縣시안 시 린퉁구次畿대중상부 연간에 당나라 소응현(昭應縣)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예천현醴泉縣셴양 시 리취안현次畿
무공현武功縣셴양 시 우궁현 무공진次畿1118년(정화 8년), 예천현과 함께 예주(醴州)로 넘어갔다.
건우현乾祐縣상뤄시 자수이현次畿


3. 2. 하중부(河中府)

하동군이라는 군명을 가진 차부(次府)이다. 호국군절도(護國軍節度)가 있었으며, 해주(解州)와 경성군병마순검사(慶成軍兵馬巡檢事)를 겸했다. 대중상부 연간에 영하(榮河)를 경성군(慶成軍)으로 칭했다. 숭녕 연간에는 79,964호, 227,030명이 살았다. 오미자, 공룡 화석(龍骨)을 공납으로 바쳤다. 7현을 두었다.

현명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하동현河東縣윈청시 융지시 서 포주진次赤1070년(북송 신종 희녕 3년) 하서현을 통폐합했고 1073년(북송 신종 희녕 6년) 영락현(永樂縣)을 진으로 격하해 편입했다.
임진현臨晉縣윈청 시 린이현 임진진次畿
기씨현猗氏縣윈청 시 린이 현次畿
우향현虞鄕縣윈청 시 융지 시 우향진次畿
만천현萬泉縣윈청 시 완룽현 만천향次畿
용문현龍門縣윈청 시 허진시次畿1087년(원우 2년)에 2개의 주전감(鑄錢監)을 두었다.
영하현榮河縣윈청 시 완룽 현 영하진次畿경성군에 속했다가 1068년 경성군이 현으로 격하되자 본부에 내속되었다. 그리고 현의 치소에 경성군사를 두었다.


3. 3. 연안부(延安府)

연안부는 황해도 동남부에 있었으며, 서쪽으로는 옹진군과 해주에 접해 있었다. 동쪽으로는 황해도 금천군과 평산군에 접해 있었고, 남쪽으로는 경기도 장단군개풍군에 접해 있었다. 인구는 1934년 당시 137,794명이었다. 특산물로는 사과, 복숭아가 많이 났다. 일제 강점기에는 연백군으로 불렸으며, 1945년 광복 당시 면적은 838.80km2, 인구는 17만 7475명이었다.

1914년 4월 1일 일제가 조선 부·군·면(府郡面) 통폐합을 실시하여 배천군을 강제 합병하였다. 1938년 10월 1일에 연안면이 연안읍으로 승격하였다. 1945년 광복 당시 연안군은 1읍 14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52년 12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연안군, 배천군, 벽성군 일부를 합쳐 영흥군이 되었다.

3. 4. 기타 부, 주, 군

해주, 섬주, 상주, 괵주, 동주, 화주, 요주, 청평군, 부주, 방주, 보안군, 수덕군, 영주, 은주, 경양부, 환주등 섬서로를 구성했던 여러 부, 주, 군들의 목록과 정보는 다음과 같다.

  • '''해주(海州)'''는 중급주로 방어를 두었다. 숭녕 연간에는 32,356호, 113,321명이 살았다. 염화(鹽花)를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해현解縣윈청 시 남 해주진
문희현聞喜縣윈청 시 원시현
안읍현安邑縣윈청 시 북 안읍가도


  • '''섬주(陝州)'''의 군명은 섬군(陝郡)으로 대도독부가 있었다. 태평흥국 초에 보평군(保平軍)으로 고쳤다가 옛 상주(商州)병마순검사가 괵주병마순검사를 겸했다. 숭녕 연간에는 47,806호, 135,701명이 살았다. 고(槹), 깁(絁), 하늘타리뿌리(括蔞根), 측백나무열매씨(柏子仁)를 공납으로 바쳤다. 7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섬현陝縣싼먼샤 시1073년에 협석현(硤石縣)을 석호진(石壕鎮)으로 격하해 본현에 내속시켰다.
평륙현平陸縣윈청 시 핑루현
하현夏縣윈청 시 샤현
영보현靈寶縣싼먼샤 시 링바오 시 황하변1072년에 호성현(湖城縣)을 통폐합했다.
예성현芮城縣윈청 시 루이청현中下
호성현湖城縣싼먼샤 시 링바오 시 서북 황하변中下영보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78년(원풍 원년)에 복구되었다.
문향현閿鄉縣싼먼샤 시 링바오 시 서 섬서성과의 경계 지역中下978년(태평흥국 3년), 호성현과 함께 괵주에서 본주로 내속되었다. 1071년에 설치된 주동전(鑄銅錢)과 1076년에 설치된 주철전(鑄鐵錢)이 있다.


  • '''상주(商州)'''는 망급주로 군명은 상락군이며 군사를 두었다. 숭녕연간에는 73,129호 162,534명이 살았다. 사향, 탱자나무열매(枳殼實)를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상락현上洛縣상뤄 시
상락현商洛縣상뤄 시 단펑현中下
낙남현洛南縣상뤄 시 뤄난현中下
풍양현豊陽縣상뤄 시 산양현
상진현上津縣스옌 시 윈시 현 서북中下


  • '''괵주(虢州)'''는 웅급주로 군명은 괵군(虢郡)이고 군사를 두었다. 숭녕연간에는 22,490호 47,563명이 살았다. 사향, 벼루, 구기자나무 뿌리껍질을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노씨현盧氏縣싼먼샤 시 루스 현1069년, 하남부 이양현(伊陽縣) 난천야진(欒川冶鎭)을 본현에 내속시켰다.
괵략현虢略縣싼먼샤 시 링뱌오 시건륭초에 당나라 홍농현을 상농현(常農縣)으로 개명했다. 997년(지도 3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1071년, 옥성현(玉城縣, 싼먼샤 시 링뱌오 시 동남)을 진으로 격하시켜 본현에 내속시켰다.
주양현朱陽縣싼먼샤 시 링뱌오 시 서남 주양진968년(건덕 6년)에 상농현을 통폐합했다가 982년(태평흥국 7년)에 복구했다.
난천현欒川縣뤄양 시 롼촨 현1087년에 난천야진이었다가 1104년(숭녕 3년)에 현으로 격상되었다.


  • '''동주(同州)'''는 풍익군을 참조.

  • '''화주(華州)'''는 망급주로 군명은 화음군(華陰郡)이다. 송나라 건국초에 진국군절도(鎮國軍節度)가 파견되었다. 1053년(황우 5년)에 절도의 이름을 진동군(鎮潼軍)으로 바꿨다. 숭녕연간에는 94,750호 269,380명이 살았다. 복령, 세신(細辛), 복신(茯神)을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다. 1071년과 1075년에 설치된 주동전감(鑄銅錢監) 2개가 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정현鄭縣웨이난 시 화 현
하규현下邽縣웨이난 시 북
포성현蒲城縣웨이난 시 푸청 현971년에 봉선현(奉先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건륭연간에 경조부 동주에 두었다가 1020년(천희 4년)에 본주로 내속되었다.
화음현華陰縣웨이난 시 화인시
위남현渭南縣웨이난 시1073년에 진으로 격하되 정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에 현으로 복구되었다. 과거 경조부에 소속되었다.


  • '''요주(耀州)'''는 긴급주로 군명은 화원군(華原郡)이다. 972년에 감의군절도(感義軍節度)를 두었다. 태평흥국초에 군명을 감덕군(感德軍)으로 바꿨다. 숭녕연간에는 102,667호 347,535명이 살았다. 자기(瓷器)를 공납으로 바쳤다. 6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화원현華原縣퉁촨시 야오저우구
부평현富平縣웨이난 시 푸핑 현
삼원현三原縣셴양 시 싼위안현
운양현雲陽縣셴양 시 싼위안 현 서북
동관현同官縣퉁촨 시 인타이구 서북
미원현美原縣웨이난 시 푸핑 현 동


  • '''청평군(淸平軍)'''은 1107년 진봉로 봉상부 려질현(盭厔縣) 청평진에서 군으로 승격되었고 종남현(終南縣)이 복구되었다. 그리고 경조부로 이관되었다. 1현을 두었다. 청평군사가 종화현의 민정을 겸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
종남현終南縣시안 시 저우즈현 종남진(終南鎭)


  • '''부주(鄜州)'''는 상급주로 군명은 낙교군(洛交郡)이고 보대군절도(保大軍節度)가 있었다. 숭녕연간에는 35,401호 92,415명이 살았다. 사향을 바치다가 지금은 밀랍으로 만든 초를 바치고 있다. 1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의천현宜川縣옌안 시 이촨 현태평흥국연간에 북위에서 설치한 의천현(義川縣)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그리고 부주를 폐하면서 함녕현(咸寧縣)을 통폐합시켰고, 1070년 분천현(汾川縣)을 통폐합, 1074년에는 운암현(雲岩縣)을 진으로 격하해 본현에 내속시켰다. 1075년에는 동주 한성현의 신봉향(新封鄕)을 본현에 내속시켰다.


  • '''보안군(保安軍)'''은 즈단현에 설치되었던 군으로 하급주와 급이 같다. 숭녕연간에는 2,042호 6,931명이 살았다. 모단(毛段)과 종용(蓯蓉)을 공납으로 바쳤다. 2개의 채를 두었다.


주요지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덕정채德靖砦옌안 시 즈단 현 단팔진일대동으로 보안군까지 80리, 서로 경주 여원보(荔原堡)까지 60리, 남으로 경주 평융진까지 50리, 북으로 금탕성까지 60리이다.
순녕채順寧砦옌안 시 즈단 현 순녕진동으로 평융채(平戎砦)까지 70리, 서로 금탕성(金湯城)까지 90리, 남으로 보안군까지 40리, 북으로 만전채까지 40리이다.
원림보園林堡옌안 시 즈단 현 행하진 동동으로 안새보까지 70리, 서로 보안군까지 40리, 남으로 초안역(招安驛)까지 7리, 북으로 평융보까지 51리이다.
금탕성金湯城옌안 시 즈단 현 금정진일대1099년에 금탕채에서 축성되었으며 덕정채의 서남쪽에 있다. 동으로 순녕채까지 90리, 서로 경주 백표성(白豹城)까지 40리, 남(서남)으로 덕정채까지 60리, 북으로 통경성까지 60리이다.
위덕군威德軍보안군북쪽에 있다. 이지역과의 경계지역위에 장저하(藏底河)라고 불리는 강이 돌아 흐른다. 서하가 이곳근처에 성을 쌓았으며 요해필쟁(要害必爭)의 땅이었다.


  • '''수덕군(綏德軍)'''은 위린 시 쑤이더현에 설치된 군이다. 1069년 당말에 버려졌던 옛 수주성(綏州, 송대 수덕군 치소에서 동북쪽 30리에 있다.)에 성을 세우고 연주에 소속시켰다. 1084년 연주의 미지채(米脂)、의합채(義合)、부도채(浮圖)、회령채(懷甯)、순안채(順安)、수평채(綏平)를 수덕성에 내속시켰다. 1099년 군으로 이름을 바꾸고 개광채(開光), 극융채(克戎), 임하채(臨夏), 청간성채(靑澗城), 영녕관채(永寗關), 백화채(白華), 난천채(暖泉)를 추가로 본군에 내속시켰다.


채명한자비고
난천채暖泉砦1099년 축성되었다. 동으로 하동로 오룡채까지 20리, 서로 미지채까지 45리, 남으로 의합채까지 80리, 북으로 청변채까지 70리이다.
미지채米脂砦1081년 서하채를 복구하면서 미지성이란 이름을 받았고 이게 훗날 미지채라는 이름으로 굳어졌다. 연주 연천현에 소속되어있다가 1084년 수덕군에 편입되었다. 1089년 서하의 귀순자들을 이곳에 거주시켰다. 1098년 옛이름이 붙었다. 동으로 난천채까지 45리, 서로 극융성가지 60리, 남으로 개광보가지 30리, 북으로 사무성(嗣武城)까지 20리였다.
개광보開光堡1097년(소성 4년)축성되어 1098년 이름이 붙었다. 1099년, 연안부로 이관되었다. 동으로 난천채까지 60리, 서로 극융채가지 50리, 남으로 수적군가지 30리, 북으로 미지채까지 30리이다.
의합채義合砦1081년 수복한 하인채(夏人砦)를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고 연주 연천현(延川縣)에 소속시켰다. 1084년 수덕성으로 소속을 이관시켰다. 동으로 진령군까지 60리, 서로 소덕군까지 40리, 남으로 순안역까지 60리, 북으로 난천채(暖泉砦)까지 80리이다.
회령채懷寧砦연주 연천현에 소속되었다. 동으로 수덕군까지 40리, 서로 수평채까지 40리, 남으로 청간성채까지 70리, 북으로 극융채까지 60리이다.
극융채克戎砦1081년 서하의 세부도채(細浮圖砦)를 차지해 연주 연천현에 소속시켰다. 1084년 수덕성에 내속시켰다. 1089년 서하에게 할양했다가 1097년 재수복하여 지금의 이름을 붙였다. 동으로 수덕군까지 60리, 서로 임하채까지 30리, 남으로 회령채까지 60리, 북으로 진변채까지 65리이다.
임하채臨夏砦1098년 나암곡령(囉岩穀嶺)에 축성되었다. 동으로 극융채까지 30리, 서로 위융성까지 40리, 남으로 수평채까지 60리, 북으로 국경까지 82리이다.
수평채綏平砦1099년 연주 연천현에서 본군으로 내속되었다. 동으로 회령채까지 40리, 남으로 흑수보까지 40리, 서로 단두역까지 40리, 북으로 임하채까지 60리이다.
청간성靑澗城연주의 옛 성이다. 동으로 영녕현까지 70리, 서로 내평채까지 70리, 남으로 연천현까지 40리, 북으로 회령군까지 70리이다.
청녕관靑寗關연주 연천현에 소속된 옛 관이다.
백초채白草砦연주 연천현의 옛 채로 1099년 폐지되었다가 후에 복구되었다.
순안채順安砦
사무채嗣武砦1081년 나올성(囉兀城)을 폐지했다가 1104년에 수복해 지금의 이름을 붙였다. 동으로 청변채까지 20리, 서로 진변채까지 20리, 남으로 미지채까지 30리, 북으로 용천채까지 20리이다.
용천채龍泉砦1120년 통천채로 바꿨다가 얼마뒤에 원래이름으로 바꿨다. 동으로 청변채까지 20리, 서로 진변채까지 40리, 남으로 사무채까지 20리, 북으로 중산보까지 8리이다.
청변채淸邊砦동으로 황하까지 50리, 서로 용천채까지 20리, 남으로 난천채까지 70리, 북으로 국경까지 13리이다.
진변채鎭邊砦동으로 용천채까지 40리, 서로 대충갱(大蟲坑)까지 25리 남으로 극융채까지 65리, 북으로 국경까지 25리이다.
용안채龍安砦연안부 부시현에 소속되었다가 본군에 내속되었지만 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다. 동으로 안정보까지 80리, 서로 초안역까지 40리, 남으로 금명역까지 35리, 북으로 어안보까지 40리이다.
해말보海末堡백림(柏林)까지 60리이다.


  • '''영주(寧州)'''는 망급주로 군명은 팽원군(彭原郡)이다. 군사를 두었다가 1119년 흥령군(興寧軍)절도가 파견되었다. 숭녕연간에는 37,558호 122,041명이 살았다. 엄려(庵閭), 형개(荊芥), 벼루, 돗자리를 공납으로 바쳤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
정안현定安縣칭양 시 닝 현
양락현襄樂縣칭양 시 정닝 현 서남
진녕현眞寧縣칭양 시 정닝 현 서남


  • '''은주(銀州)'''의 군명은 은천군(銀川郡)이다. 유림현 무녕현, 직향현, 개광현의 4현을 통치했으나 오대에 서하가 정복하여 옛 은주에 흥경부(興慶府)를 두었다. 1070년 수복했으나 방위의 어려움으로 버려졌다. 1081년 재수복했고 1082년 영락소천(永樂小川)근처 은주 옛 치소 25리떨어진 곳에 새로운 은주성을 쌓았다. 은주 대천에 근거하여 은천채(銀川砦)라는 이름을 붙였으나 서하에게 복속되었다. 1105년 수복하여 은주로 칭했다가 1106년 은천성으로 고쳤다.

  • '''경양부(慶陽府)'''는 중급부로 군명은 안화군(安化郡) 경양군절도가 있었다. 960년, 경주(慶州)에 단련사를 파견했고 963년에는 군사를 파견했다. 1117년 절도주가 되었고 경양군으로 이름을 고쳤다. 1125년에 경주가 경양부로 승격되었다. 과거 환경로경락안무사(環慶路經略安撫使)의 치소가 있었다. 이 환경로경락안무사는 경주, 환주, 분주, 영주, 건주, 범주의 5주를 통치했다. 이중 건주를 폐하고 그지역에 정변군을 설치하고 예주를 복구하여 3주 1군을 통치하게 했다. 숭녕연간에는 27,853호 96,433명이 살았다. 자용백화전(紫茸白花氈)과 사향, 밀랍을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안화현安化縣칭양 시 칭청 현대순일성(大順一城), 부성채(府城砦, 칭양 시 칭청 현 마령진 동남), 동곡채(東穀砦), 유원채(柔遠砦, 칭양 시 화츠 현), 인순채(人順砦)가 있다. 1081년 부성채, 금촌보(金村堡), 평융진을 폐지했다. 1082년 강사채(礓詐砦)를 수복한 뒤 안강채(安疆砦)로 개명했다. 1086년 평융진을 복구했다.
합수현合水縣칭양 시 허수이 현 노성진1071년 설치되었고 화지진과 낙반현을 진으로 격하해 편입시켰다. 1075년 화지진을 화지채로 바꿨다. 동화지채, 서화지채, 여원보(荔原堡)가 있다.
팽원현彭原縣칭양 시1070년 영주에서 본주로 내속되었다.
안강채安疆砦칭양 시 화츠 현 연자구일대1082년 강사채를 수복한 뒤 안강채로 개명했다. 1097년 과거이름으로 복구했다. 동으로 보안군 덕정채까지 90리, 서로 동곡채까지 60리, 남으로 대순성까지 40리, 북으로 백표성까지 40리이며 정변군에 속했다.
횡산채橫山砦옌안 시 우치 현 묘구향 서남1098년 서찰력이(西攃栎移)라는 땅에 축성되었다. 동으로 동곡채 경계의 찰력이까지 45리, 서로 영강채까지 70리, 남으로 통새보까지 30리, 북으로 정변군까지 30리이다.
통새보通塞堡칭양 시 화츠 현 장남만일대1098년 축성되었다. 동으로 동곡채까지 20리, 서로 서곡구채까지 20리, 남으로 회안진까지 40리, 북으로 횡산채까지 30리이다.
정변성定邊城옌안 시 우치 현 철변성진1099년 축성되었으며 이명은 정변군이다.
백표성白豹城옌안 시 우치 현 백표진 서남1099년 수복하여 옛이름으로 바꿨다. 동으로 안강채까지 40리, 서로 동곡채까지 20리, 남으로 유원채까지 50리, 북으로 승강보까지 50리이다. 정변군의 백표성과는 다르게 보인다(別見)
수원채綏遠砦colspan="2" |1099년 낙타항(駱駝巷)에 축성되었다. 동으로 정변군까지 20리, 서로 영강채까지 60리, 남으로 횡산채까지 50리, 북으로 신당채까지 50리이다.
영강채寧羌砦colspan="2" |1098년 맹문삼차(萌門三岔)에 축성되었다. 동으로 완원채(緩遠砦)까지 60리, 서로 안새채까지 50리, 남으로 서곡채까지 30리, 북으로 왕상원경계돈대까지 50리이다.
진안성鎭安城colspan="2" |1116년축성되었다. 동으로 부연로 통경성까지 30리, 서로 구양보까지 20리, 남으로 위변채까지 30리, 북으로 서쪽 국경 창계(蒼雞)까지 20리이다.
맥천보麥川堡colspan="2" |1116년 맥경령(麥經嶺)에서 축성되었다. 동으로 회위채까지 20리, 서로 긍융보까지 20리, 남으로 위변채까지 15리, 북으로 진안성까지 10리이다.
위령보威寧堡colspan="2" |1116년 형가보(衡家堡)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동으로 구양보까지 15리, 서로 정변군까지 15리, 남으로 긍융보까지 10리, 북으로 칠포차이탑(七逋哆移塔)까지 5리이다.
긍융보矜戎堡colspan="2" |동으로 회위보까지 40리, 서로 정변군까지 20리, 남으로 호박천(胡博川)까지 20리, 북으로 통조노문성채(通祖盧門城砦)까지 50리이다.
부성채府城砦colspan="2" |1079년 폐지되었다가 지화연간의 특정해에 복구되었다.
금촌보金村堡colspan="2" |
승강보勝羌堡colspan="2" |동으로 낙하천까지 20리, 서로 통새보까지 50리, 남으로 백표성까지 50리, 복으로 위변채까지 20리이다.
정융보定戎堡colspan="2" |동으로 계조봉(啟祖峰)까지 20리, 서로 나정원(那丁原)까지 5리, 남으로 흥평성까지 20리, 북으로 청평관까지 10리였다.
위변채威邊砦colspan="2" |동으로 낙하천까지 20리, 서로 횡산채까지 35리, 남으로 승강보까지 20리, 북으로 진안성까지 30리이다.
회위보懷威堡colspan="2" |동으로 부연로 통경성까지 15리, 서로 긍유보 40리, 남으로 위령채까지 20리, 북으로 서쪽 경계 나경취(羅輕觜)까지 50리이다.


  • '''환주(環州)'''는 하급주로 군사가 파견되었다. 통원군으로 강등되었다가 994년 환주로 복구되었다. 숭녕연간에는 7,183호 15,532명을 거느렸다. 감초를 공납으로 바쳤고 1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통원현通遠縣칭양 시 환 현오륜채(烏侖砦), 숙원채(肅遠砦), 홍덕채(洪德砦), 영화채(永和砦), 평원채(平遠砦), 정변채(定邊砦), 단보채(團堡砦), 안새채(安塞砦)가 있다.
흥평성興平城칭양 시 환 현 점리촌일대1098년 회가취(灰家觜)에서 축성되었다. 동으로 하자아(賀子兒)까지 10리, 서로 유정보(流井堡)까지 40리, 남으로 홍덕채까지 20리, 북으로 청평관까지 30리이다.
청평관淸平關칭양 시 환 현 산성향1099년 자평(字平)땅에 축성되었다. 동으로 귀통채(鬼通砦)까지 25리, 서로 안변성까지 40리, 남으로 흥평성까지 30리, 북으로 함도구포(陷道口餔)까지 27리이다.
안변성安邊城칭양 시 환 현 남추향 북1106년 서정태(徐丁台)에서 축성되었다. 동으로 청평관까지 40리, 서로 절강화시적채(折薑和市賊砦)까지 80리, 남으로 폐지된 숙원채까지 100여리, 북으로 우권(牛圈)경계의 돈대까지 20리이다.
나구보羅溝堡colspan="2" |


3. 5. 속현(屬縣)

4. 군사

5. 경제

5. 1. 농업

5. 2. 광업

5. 3. 수공업

숭녕연간에는 자기를 공납으로 바쳤다.

5. 4. 상업

6. 사회와 문화

6. 1. 인구

6. 2. 종교

6. 3. 교육

6. 4. 문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