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군 (중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동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전국 시대 진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었다. 전한 시대에는 삼하(三河)의 하나로 사례교위의 관할을 받았으며, 왕망의 신나라 시기에는 조수로 이름이 바뀌기도 했다. 이후 후한, 조위, 서진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의 변화를 겪었고, 북위 시대에는 진주에 속하기도 했다. 수나라 때 포주에 병합되었다가 다시 하동군으로 개칭되었으나, 당나라 시기에 다시 포주로 바뀌면서 명칭이 사라졌다. 하동군 지역은 주요 지명, 경제, 인물 등 다양한 역사적, 지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의 관점에서도 관련된 기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시성 (산서성)의 군 - 서하군
서하군은 전한 무제가 상군 북부를 분할하여 설치한 군으로, 삭방자사부에 소속되어 현재의 어얼둬쓰 시, 뤼량 시, 위린 시 일대에 걸쳐 있었으나, 왕망의 신나라 때 잠시 귀신군으로 개칭되었고, 후한 시대, 전조, 북위, 북주, 수나라를 거치며 행정 구역의 변화를 겪다가 당나라 때 호주, 분주로 개칭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산시성 (산서성)의 군 - 태원군
태원군은 기원전 247년 진나라에 처음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 명칭이 변경, 통폐합, 재설치를 반복했으며, 후한 시대에는 16개 현을, 수나라 때는 15현을 관할했다. - 진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조위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조위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하동군 (중국) | |
---|---|
개요 | |
위치 | 중국의 산시 성 남서부 |
중심지 | 안이 현 |
역사 | |
설치 시기 | 진나라 |
폐지 시기 | 당나라 |
행정 구역 | |
속현 | 안이 현 (安邑縣) 해현 (解縣) 문희 현 (聞喜縣) 호읍 현 (濩邑縣) 분음 현 (汾陰縣) 만천 현 (萬泉縣) 영안 현 (永安縣) 피씨 현 (皮氏縣) 산양 현 (山陽縣) 추성 현 (秋成縣) 북경 현 (北景縣) 동향 현 (桐鄉縣) |
기타 | |
관련 링크 | 하동 위씨 |
2. 역사
하동군은 전국 시대 진나라에서 처음 설치된 이후 여러 왕조를 거치며 그 영역과 관할 현이 변동되었다.
하동군은 진나라 설치 이후, 전한, 왕망의 신나라, 후한, 조위, 서진, 북조, 수나라, 당나라를 거치면서 그 이름과 관할 지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특히 조위 시대에는 린펀시 일대의 12개 현이 분리되어 평양군이 신설되었고, 남북조 시대에는 일부 현이 분리되어 하북군이 형성되기도 했다.
58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하동군은 포주에 병합되었으나, 607년 다시 하동군으로 개칭되었다. 당나라 때인 618년에는 포주로, 742년에는 다시 하동군으로, 758년에는 다시 포주로 바뀌면서 하동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2. 1. 진 (秦)
전국 시대 진에서 처음 설치했다. 군 치소는 위의 옛 서울 안읍이었다.[11]2. 2. 전한
고제가 서위왕 위표를 무찌르고 서위를 병합하면서 태원군, 상당군과 함께 전한의 군으로 편입되었다.[11] 하내군, 하남군과 함께 삼하(三河)라 하여, 주에 속하지 않고 사례교위의 관할을 받았다.[12] 원시 2년(2년) 기준, 23만 6896호, 96만 2912명을 관할했다.[15]다음은 전한 시대 하동군의 현 목록이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
안읍현 | 安邑縣 | 윈청시 샤현 북서 | 군의 치소가 있었다. | ||||||||||||||||||||||||||||||||||||||||||||||||||||||||||||||||||||||||||||||||||||||||||||||||||||||||||||||||||||||||||||||||||||||||||||||||||||||||||||||||||||||||||||||||||||||||||||||||||||||||||||||||||||||||||||||||||||||||||||||||||||||||||||||||||||||||||||||||||||||||||||||||||||||||||||||||||||||
대양현 | 大陽縣 | 윈청시 핑루현 서 | |||||||||||||||||||||||||||||||||||||||||||||||||||||||||||||||||||||||||||||||||||||||||||||||||||||||||||||||||||||||||||||||||||||||||||||||||||||||||||||||||||||||||||||||||||||||||||||||||||||||||||||||||||||||||||||||||||||||||||||||||||||||||||||||||||||||||||||||||||||||||||||||||||||||||||||||||||||||
의씨현 | 猗氏縣 | 윈청시 린이현 남 | |||||||||||||||||||||||||||||||||||||||||||||||||||||||||||||||||||||||||||||||||||||||||||||||||||||||||||||||||||||||||||||||||||||||||||||||||||||||||||||||||||||||||||||||||||||||||||||||||||||||||||||||||||||||||||||||||||||||||||||||||||||||||||||||||||||||||||||||||||||||||||||||||||||||||||||||||||||||
해현 | 解縣 | 윈청시 린이 현 남서 | |||||||||||||||||||||||||||||||||||||||||||||||||||||||||||||||||||||||||||||||||||||||||||||||||||||||||||||||||||||||||||||||||||||||||||||||||||||||||||||||||||||||||||||||||||||||||||||||||||||||||||||||||||||||||||||||||||||||||||||||||||||||||||||||||||||||||||||||||||||||||||||||||||||||||||||||||||||||
포판현 | 蒲反縣 | 윈청시 융지시 남서 | |||||||||||||||||||||||||||||||||||||||||||||||||||||||||||||||||||||||||||||||||||||||||||||||||||||||||||||||||||||||||||||||||||||||||||||||||||||||||||||||||||||||||||||||||||||||||||||||||||||||||||||||||||||||||||||||||||||||||||||||||||||||||||||||||||||||||||||||||||||||||||||||||||||||||||||||||||||||
하북현 | 河北縣 | 윈청시 루이청현 서 | |||||||||||||||||||||||||||||||||||||||||||||||||||||||||||||||||||||||||||||||||||||||||||||||||||||||||||||||||||||||||||||||||||||||||||||||||||||||||||||||||||||||||||||||||||||||||||||||||||||||||||||||||||||||||||||||||||||||||||||||||||||||||||||||||||||||||||||||||||||||||||||||||||||||||||||||||||||||
좌읍현 | 左邑縣 | 윈청시 원시현 | |||||||||||||||||||||||||||||||||||||||||||||||||||||||||||||||||||||||||||||||||||||||||||||||||||||||||||||||||||||||||||||||||||||||||||||||||||||||||||||||||||||||||||||||||||||||||||||||||||||||||||||||||||||||||||||||||||||||||||||||||||||||||||||||||||||||||||||||||||||||||||||||||||||||||||||||||||||||
분음현 | 汾陰縣 | 윈청시 완룽현 서 | |||||||||||||||||||||||||||||||||||||||||||||||||||||||||||||||||||||||||||||||||||||||||||||||||||||||||||||||||||||||||||||||||||||||||||||||||||||||||||||||||||||||||||||||||||||||||||||||||||||||||||||||||||||||||||||||||||||||||||||||||||||||||||||||||||||||||||||||||||||||||||||||||||||||||||||||||||||||
왕망이 신나라를 세우고서는 군의 이름을 조수(兆隊)로 고쳤다.[17] 다음은 왕망이 신나라를 세운 후 바꾼 현의 이름들이다.
2. 3. 후한후한이 건국되자 하동군이라는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20개 현, 93,543호, 570,803명을 거느렸다.[6] 호접현, 기후국, 장수현, 좌읍현의 4개 현이 폐지되었다.[6]하동군은 다음 20개 현을 관할했다.[6]
2. 4. 조위, 서진조위 시대에는 현재 린펀시 일대에 해당하는 12현이 분리되어 평양군이 신설되었다. 호접현이 복원되었다. 서진 초에는 하동군이 안읍, 문희, 원, 번양, 대양, 의씨, 해, 부반, 하북을 포함하여 9개의 현을 관할했다.[1] 305년 (유연 원희 2년), 서하군, 상당군, 태원군 일부 지역을 점령했던 유연은 진양에서 저항하던 유곤을 격파하고 장안에 수도를 둔 다음, 낙양을 점령하기 위해 남진을 실시, 하동을 점거하고 포판과 평양을 함락시켰다. 이후 수도를 평양군 포자현으로 옮겼다.2. 5. 북조, 수북위 시대에는 진주(秦州)에 속했으며, 일부 현이 다른 군으로 편입되었다. 안정현, 북해현, 남해현, 포판현, 의씨현의 5개 현을 두었다.[21]북주 시기에는 포주(浦州)에 속했다.
2. 6. 당618년(무덕 원년), 당나라는 하동군을 포주로 고치고 하동, 상천, 의씨, 우향의 4개 현을 관할하게 했다.[10] 742년(천보 원년)에는 포주를 다시 하동군으로 고쳤다.[10] 758년(건원 원년)에 하동군을 다시 포주로 고치면서 하동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10]3. 지리
하동군은 황하 중류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태행산맥, 서쪽으로는 여량산맥이 뻗어 있다. 군의 중앙에는 넓은 분지가 형성되어 있어 농업에 유리했다. 황하와 분하(汾河)가 관내를 흐르며, 관개와 교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안읍현 인근의 염지(鹽池)는 소금 생산지로 유명하여, 하동군의 주요 재정 수입원이었다. 3. 1. 주요 지명전한 고제가 위표를 무찌르고 서위를 병합하면서 태원군, 상당군과 함께 전한의 군으로 편입되었다.[11]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3만 6896호, 96만 2912명을 관할했다.[15] 하내군, 하남군과 함께 삼하(三河)라 하여, 주에 속하지 않고 사례교위의 관할을 받았다.[12] 근창(根倉), 습창(濕倉)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른다. 원연, 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24현(23현 1후국)이다.
[15][16]
4. 경제
하동군은 비옥한 토지와 풍부한 수자원을 바탕으로 농업이 발달했다. 특히 윈청시 샤현 북서쪽에 위치한 안읍현의 염지(鹽池)는 대규모 소금 생산지로서, 하동군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에도 소금을 공급했다.[11] 평양현 등지에서는 철광석이 생산되어 철제 농기구와 무기 제작에 사용되었다.[15] 5. 인물
5. 1. 진20성 93,543호 570,803명을 거느렸다. 후한서에 따르면 호접현, 기후국, 장수현, 좌읍현의 4현이 폐지되었다.[18]
5. 2. 전한조위에서 현재 린펀시 일대에 해당하는 12현이 분리되어 평양군이 신설되었다. 호접현이 복원되었다.
5. 3. 경시 정권경시 정권 시기에 활동했던 양보(楊寶, ? ~ 25년)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28]5. 4. 후한
5. 5. 서진305년 유연 원희 2년, 유연은 장안과 낙양 침공을 위해 하동을 점거하고 포판과 평양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유연은 수도를 평양군 포자현으로 옮겼고, 이에 하동군과 평양군의 모든 속현들이 한나라의 지배권으로 편입되었다. 옛 상군 지역에 살던 4부 선비의 추장 육축연, 기주의 석륵, 왕미 등이 유연에게 귀부했다.[19][20]서진 시대에는 9현 42,500호를 거느렸다.
참조
[1]
서적
Book of H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