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동군 (중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동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전국 시대 진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었다. 전한 시대에는 삼하(三河)의 하나로 사례교위의 관할을 받았으며, 왕망의 신나라 시기에는 조수로 이름이 바뀌기도 했다. 이후 후한, 조위, 서진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의 변화를 겪었고, 북위 시대에는 진주에 속하기도 했다. 수나라 때 포주에 병합되었다가 다시 하동군으로 개칭되었으나, 당나라 시기에 다시 포주로 바뀌면서 명칭이 사라졌다. 하동군 지역은 주요 지명, 경제, 인물 등 다양한 역사적, 지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의 관점에서도 관련된 기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시성 (산서성)의 군 - 서하군
    서하군은 전한 무제가 상군 북부를 분할하여 설치한 군으로, 삭방자사부에 소속되어 현재의 어얼둬쓰 시, 뤼량 시, 위린 시 일대에 걸쳐 있었으나, 왕망의 신나라 때 잠시 귀신군으로 개칭되었고, 후한 시대, 전조, 북위, 북주, 수나라를 거치며 행정 구역의 변화를 겪다가 당나라 때 호주, 분주로 개칭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산시성 (산서성)의 군 - 태원군
    태원군은 기원전 247년 진나라에 처음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 명칭이 변경, 통폐합, 재설치를 반복했으며, 후한 시대에는 16개 현을, 수나라 때는 15현을 관할했다.
  • 진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조위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조위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하동군 (중국)
개요
위치중국의 산시 성 남서부
중심지안이 현
역사
설치 시기진나라
폐지 시기당나라
행정 구역
속현안이 현 (安邑縣)
해현 (解縣)
문희 현 (聞喜縣)
호읍 현 (濩邑縣)
분음 현 (汾陰縣)
만천 현 (萬泉縣)
영안 현 (永安縣)
피씨 현 (皮氏縣)
산양 현 (山陽縣)
추성 현 (秋成縣)
북경 현 (北景縣)
동향 현 (桐鄉縣)
기타
관련 링크하동 위씨

2. 역사

하동군은 전국 시대 나라에서 처음 설치된 이후 여러 왕조를 거치며 그 영역과 관할 현이 변동되었다.

하동군은 진나라 설치 이후, 전한, 왕망신나라, 후한, 조위, 서진, 북조, 수나라, 당나라를 거치면서 그 이름과 관할 지역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특히 조위 시대에는 린펀시 일대의 12개 현이 분리되어 평양군이 신설되었고, 남북조 시대에는 일부 현이 분리되어 하북군이 형성되기도 했다.

58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하동군은 포주에 병합되었으나, 607년 다시 하동군으로 개칭되었다. 당나라 때인 618년에는 포주로, 742년에는 다시 하동군으로, 758년에는 다시 포주로 바뀌면서 하동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2. 1. 진 (秦)

전국 시대 에서 처음 설치했다. 군 치소는 의 옛 서울 안읍이었다.[11]

2. 2. 전한

고제가 서위왕 위표를 무찌르고 서위를 병합하면서 태원군, 상당군과 함께 전한의 군으로 편입되었다.[11] 하내군, 하남군과 함께 삼하(三河)라 하여, 주에 속하지 않고 사례교위의 관할을 받았다.[12] 원시 2년(2년) 기준, 23만 6896호, 96만 2912명을 관할했다.[15]

다음은 전한 시대 하동군의 현 목록이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안읍현安邑縣윈청시 샤현 북서군의 치소가 있었다.
대양현大陽縣윈청시 핑루현
의씨현猗氏縣윈청시 린이현
해현解縣윈청시 린이 현 남서
포판현蒲反縣윈청시 융지시 남서
하북현河北縣윈청시 루이청현
좌읍현左邑縣윈청시 원시현
분음현汾陰縣윈청시 완룽현


왕망신나라를 세우고서는 군의 이름을 조수(兆隊)로 고쳤다.[17] 다음은 왕망이 신나라를 세운 후 바꾼 현의 이름들이다.

전한
안읍(安邑)하동(河東)
대양(大陽)근전(勤田)
포판(蒲反)포성(蒲城)
좌읍(左邑)조정(兆亭)
피씨(皮氏)연평(延平)
평양(平陽)향평(香平)
양릉(襄陵)간창(幹昌)
체(彘)황성(黃城)
양(楊)연정(年亭)
북굴(北屈)짐북(朕北)


2. 3. 후한

후한이 건국되자 하동군이라는 명칭으로 되돌아갔다. 20개 현, 93,543호, 570,803명을 거느렸다.[6] 호접현, 기후국, 장수현, 좌읍현의 4개 현이 폐지되었다.[6]

하동군은 다음 20개 현을 관할했다.[6]

현명한자
안읍安邑
평양平陽
임분臨汾
분음汾陰
포판蒲板
대양大陽
피씨皮氏
문희聞喜
강읍絳邑
영안永安
하북河北
의씨猗氏
양릉襄陵
북굴北屈
포자蒲子
확택濩澤
단씨端氏


2. 4. 조위, 서진

조위 시대에는 현재 린펀시 일대에 해당하는 12현이 분리되어 평양군이 신설되었다. 호접현이 복원되었다. 서진 초에는 하동군이 안읍, 문희, 원, 번양, 대양, 의씨, 해, 부반, 하북을 포함하여 9개의 현을 관할했다.[1] 305년 (유연 원희 2년), 서하군, 상당군, 태원군 일부 지역을 점령했던 유연은 진양에서 저항하던 유곤을 격파하고 장안에 수도를 둔 다음, 낙양을 점령하기 위해 남진을 실시, 하동을 점거하고 포판과 평양을 함락시켰다. 이후 수도를 평양군 포자현으로 옮겼다.

2. 5. 북조, 수

북위 시대에는 진주(秦州)에 속했으며, 일부 현이 다른 군으로 편입되었다. 안정현, 북해현, 남해현, 포판현, 의씨현의 5개 현을 두었다.[21]

북주 시기에는 포주(浦州)에 속했다.

하동군의 변화
현명북위대의 변화
포판현하동군에 존치. 북위대에 하동군의 치소가 되었다.
해현477년 현 남부에 안정현 설치. 태화 11년(487년)에 현의 북부가 북해현으로 분리.
의씨487년 북의씨현 분리되어 북향군으로 이관. 남은 부분은 하동군에 존치.
안읍현487년 현의 남부가 남안읍현으로 분리되고 남은 부분은 북안읍현으로 개명. 북안읍현과 남안읍현 모두 하북군으로 이관.
하북현하북군으로 이관
대양현
문희현동옹주 정평군(正平郡)으로 이관.
원현
분음현북향군으로 이관.
분양현분주 용문군으로 이관되었다.



583년 (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하동군은 포주(蒲州)에 병합되었다.[3] 이후 하동군은 포주의 다른 이름이 되었다. 607년 (대업 3년)에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포주가 하동군으로 개칭되었다. 하동군은 하동, 상천, 분음, 용문, 예성, 안읍, , 하북, 의씨, 우향의 10개 현을 관할했다.[9] 10현 157,078호를 거느렸다.[22]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하동현河東縣윈청 시 융지 시 포주진본래 포판현으로 개황초에 하동군을 폐했다가 596년(개황 16년)하동현을 세웠다. 대업초에 하동군을 재건하면서 포판현을 흡수했다. 주관(酒官), 수산(首山), 예수(汭水)가 있다.
상천현桑泉縣윈청 시 린이 현 상천진북위대의 옛 북해현을 596년 지금이름으로 개명하였다. 삼응산(三疑山)이 있었다.
분음현汾陰縣윈청 시 완룽 현 분음고성옛 분음군에 있었다가 개황초 분음군을 폐하며 본군에 들어왔다. 용문산(龍門山)이 있다.
용문현龍門縣윈청 시 허진 시피씨현을 북위에서 지금이름으로 바꿨다. 개황초 용문군을 폐하면서 본군으로 들어왔다. 북주대에 영락군에 속했었던
예성현芮城縣윈청 시 루이청 현안융현(安戎)이라고도 했다. 북주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영락군에 두었다. 후에 영락군을 폐하면서 본군에 들어왔다. 관관(關官)이 있다.
안읍현安邑縣윈청 시 옌후 구 안읍가도596년 우주(虞州)를 설치했다 대업초에 폐했다. 소금, 은광석이 나온다.
하현夏縣윈청 시 샤현개황초 안읍군을 폐하면서 본군에 들어왔다. 무함산(巫鹹山), 직산(稷山), 우판(虞阪)이 있다.
하북현河北縣윈청 시 핑루 현 장촌진일대개황초 하북군을 폐하면서 본군에 들어왔다. 관관(關官)이 있다. 지주산(砥柱山)과 부암(傅岩)이 있다.
의씨현猗氏縣윈청 시 린이 현서위에서 상천현(桑泉)으로 개명했다가 북주에서 본명으로 바꿨다.
우향현虞鄕縣윈청 시 융지 시북위에서 안정현이라고 했다가 서위대 남해현으로 개명했다. 수화(綏化)라고도 한다.


2. 6. 당

618년(무덕 원년), 당나라는 하동군을 포주로 고치고 하동, 상천, 의씨, 우향의 4개 현을 관할하게 했다.[10] 742년(천보 원년)에는 포주를 다시 하동군으로 고쳤다.[10] 758년(건원 원년)에 하동군을 다시 포주로 고치면서 하동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10]

3. 지리

하동군은 황하 중류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태행산맥, 서쪽으로는 여량산맥이 뻗어 있다. 군의 중앙에는 넓은 분지가 형성되어 있어 농업에 유리했다. 황하와 분하(汾河)가 관내를 흐르며, 관개와 교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안읍현 인근의 염지(鹽池)는 소금 생산지로 유명하여, 하동군의 주요 재정 수입원이었다.

원현에는 《우공》의 왕옥산(王屋山)이 북동쪽에 있으며, 연수(沇水)가 나와 남동쪽으로 무덕(武德)에 이르러 황하로 들어간다. 일(軼) 강은 형양(滎陽) 북지(北地)에서 나와 동쪽으로 낭괴(琅槐)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는데, 하동, 하내, 하남, 진류, 제음, 동군, 태산, 제남, 제군, 천승 등 10개 군을 지나 1840리를 간다.[15]

3. 1. 주요 지명

전한 고제가 위표를 무찌르고 서위를 병합하면서 태원군, 상당군과 함께 전한의 군으로 편입되었다.[11]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3만 6896호, 96만 2912명을 관할했다.[15] 하내군, 하남군과 함께 삼하(三河)라 하여, 주에 속하지 않고 사례교위의 관할을 받았다.[12] 근창(根倉), 습창(濕倉)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른다. 원연, 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24현(23현 1후국)이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안읍현安邑縣윈청시 샤현 북서군의 치소가 있다. 무함산(巫咸山)이 남쪽에 있고, 염지(鹽池)가 남서쪽에 있다. 위강이 위에서 여기로 옮겼고, 위혜왕에 이르러 대량으로 천도했다. 철관과 염관이 있다.
대양현大陽縣윈청시 핑루현오산(吳山)이 서쪽에 있고 위에 오성(吳城)이 있는데, 주무왕이 태백의 후예에게 봉한 옛 우나라로 후에 진나라에 멸망했다. 천자묘가 있다.
의씨현猗氏縣윈청시 린이현
해현解縣윈청시 린이 현 남서
포판현蒲反縣윈청시 융지시 남서요산(堯山), 수산사(首山祠)가 있다. 뇌수산(雷首山)이 남쪽에 있다. 옛 이름은 포(蒲)인데 진 시황제가 순행 중에 이름을 고쳤다.
하북현河北縣윈청시 루이청현시경에 등장하는 옛 위나라로, 위나라의 시조 필만(畢萬)의 첫 봉읍이다. 증손 위강이 안읍으로 옮겼다.
좌읍현左邑縣윈청시 원시현
분음현汾陰縣윈청시 완룽현본디 분음후국으로 분음도후 주창의 세습 봉지였으나 문제 후원 2년(기원전 162년)에 도후의 손자 주의가 죄로 작위를 상실했다.[13] 개산(介山)이 남쪽에 있다.
문희현聞喜縣윈청시 원시 현 북옛 곡옥(曲沃)으로 진 성후[14]가 진양에서 이곳으로 천도했다. 무제가 원정 6년(기원전 111년)에 이 지방을 지나다가 남월 정복 소식을 듣고 기념하여 개명했다.
확택현濩澤縣진청시 양청현《우공》의 석성(析城)이 남서쪽에 있다.
단씨현端氏縣진청시 친수이현 북동
임분현臨汾縣린펀시 샹펀현
원현垣縣윈청시 위안취현 남동《우공》의 왕옥산(王屋山)이 북동에 있다. 연수(沇水)가 나와서 남동으로 무덕(武德)에 이르러 하수로 들어간다. 일(軼) 강이 형양 북지(北地) 중에서 나와 또 동으로 낭괴(琅槐)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니, 하동·하내·하남·진류·제음·동군·태산·제남·제군·천승 10군을 지나 1840리를 간다.
피씨현皮氏縣윈청시 허진시경향(耿鄕)이 있는데 옛 경나라로, 진 헌공이 멸하고 조숙에게 주었다. 10세를 전해지다 조 헌후 때 중모(中牟)로 옮겼다. 철관이 있다.
장수현長脩縣윈청시 신장현 북서
평양현平陽縣린펀시 남서한무자(韓武子)의 현손 한정자(韓貞子)가 거했다. 철관이 있다.
양릉현襄陵縣린펀시 남동반씨향정(班氏鄕亭)이 있다. 진 양공의 묘가 서북에 있어 현 이름을 거기서 따왔다.
체현彘縣린펀시 훠저우시곽대산(霍大山)이 동쪽에 있는데 기주산(冀州山)으로 서주 여왕이 달아난 곳이다.
양현楊縣린펀시 훙둥현 남동
북굴현北屈縣린펀시 지현《우공》의 호구산(壺口山)이 남동에 있다.
포자현蒲子縣린펀시 시현
강현絳縣린펀시 허우마시진 무공이 곡옥에서 여기로 천도했다. 철관이 있다.
호접현狐讘縣린펀시 융허현 남서
기후국騏侯國린펀시 샹닝 현 남동구기의 후국이다.

[15][16]

왕망신나라를 세우고서는 군의 이름을 조수(兆隊)[17]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안읍(安邑)하동(河東)
대양(大陽)근전(勤田)
포판(蒲反)포성(蒲城)
좌읍(左邑)조정(兆亭)
피씨(皮氏)연평(延平)
평양(平陽)향평(香平)
양릉(襄陵)간창(幹昌)
체(彘)황성(黃城)
양(楊)연정(年亭)
북굴(北屈)짐북(朕北)


4. 경제

하동군은 비옥한 토지와 풍부한 수자원을 바탕으로 농업이 발달했다. 특히 윈청시 샤현 북서쪽에 위치한 안읍현의 염지(鹽池)는 대규모 소금 생산지로서, 하동군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에도 소금을 공급했다.[11] 평양현 등지에서는 철광석이 생산되어 철제 농기구와 무기 제작에 사용되었다.[15]

황하와 분하를 이용한 수운 교통이 발달하여 물자 수송과 상업 활동이 활발했다. 전한 시대에는 근창(根倉), 습창(濕倉)이 있었다.[15]

5. 인물


  • 관우
  • 서황
  • 하동 배씨
  • 왕계 (? ~ 기원전 255년)[23]
  • 계포 (문제 초기)
  • 반계 (? ~ 기원전 124년)
  • 승(勝, 기원전 113년 당시): 임지에서 보정(寶鼎)이 발굴되어 조정에 보고하였다.[24][25]
  • 아무개 (? ~ 기원전 112년): 무제의 순행을 마중하지 않은 죄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26][27]
  • 전연년 (? ~ 기원전 75년)
  • 주감 (기원전 43년 ~ 기원전 40년)
  • 견존 (? ~ 기원전 31년)
  • 소함 (원제 시기? 성제 시기?)
  • 양보(楊寶, ? ~ 25년): 경시 정권 시기에 활동했다.[28]
  • 이문 (25년 ~ ?): 후한의 첫 하동태수이다.[28]
  • 초황 (? ~ 70년): 초왕 유영의 모반에 연루되어 조정에 압송되던 중 죽었다.[29][30]
  • 진(陳) 아무개: 진번의 할아버지이다.[31]
  • 경원 (환제 시기)[32]
  • 유우 (? ~ 161년)[33]
  • 좌칭 (161년 ~ ?)
  • 사필 (영제 시기)
  • 동탁 (? ~ 184년)
  • 왕읍 (195년 당시, ? ~ 205년)[34][35]
  • 두기 (205년 ~ 220년)
  • 조엄 (220년 ~ ?, 겸임)
  • 유백조(劉伯祖)[36]

5. 1. 진

20성 93,543호 570,803명을 거느렸다. 후한서에 따르면 호접현, 기후국, 장수현, 좌읍현의 4현이 폐지되었다.[18]

하동군의 현
현명한자비고
안읍현安邑縣철광석, 소금이 나온다.
양현고량정(高梁亭)이 있다.
평양후국平陽候國철광석이 나온다. 요임금이 도읍을 정한 곳이다.
임분현臨汾縣동정(董亭)이 있다.
분음현汾陰縣개산(介山)이 있다.
포판현蒲板縣뇌수산(雷首山)과 사구정(沙丘亭)이 있다.
대양현大陽縣오산(吳山)이 있는데, 그위에 우성(虞城)이 있다. 하양성(下陽城), 모진(茅津), 전령판(颠軨坂)이 있다.
해현解縣상천성(桑泉城), 구성(臼城), 해성(解城), 하성(瑕城)이 있다.
피씨현皮氏縣경향(耿鄕), 기정(冀亭)이 있고 철광석이 나온다.
문희현聞喜縣본래 곡옥(曲沃)이었다. 동타파(董池陂)가 있는데 옛이름은 동택(董泽)이었다. 속수(涑水), 도수(洮水)가 있다.
강읍絳邑익성(翼城)이 있다.
영안현永安縣본래 체현이었는데 133년(양가 2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했다. 곽대산(霍大山)이 있다.
하북현河北縣한정(韓亭)이 있다.
의씨현猗氏縣
원현왕옥산(王屋山)이 있는데 연수(兗水)가 나온다. 호구정(壺丘亭)과 소정(邵亭)이 있다.
양릉현襄陵
북굴현北屈호구산(壺口山)과 채상진(采桑津)이 있다.
포자현蒲子
확택후국濩泽候國석성문(析城門)이 있다.
단씨현端氏縣


  • 왕계 (? ~ 기원전 255년)[23]

5. 2. 전한

조위에서 현재 린펀시 일대에 해당하는 12현이 분리되어 평양군이 신설되었다. 호접현이 복원되었다.

평양군의 분리
분리 이전분리 이후
하동군안읍현, 문희현, 원현, 분양현, 대양현, 의씨현, 해현, 포판현, 하북현하동군안읍현, 문희현, 원현, 분양현, 대양현, 의씨현, 해현, 포판현, 하북현
평양현, 양현, 단씨현, 영안현, 포자현, 호접현, 양릉현, 강읍, 확택현, 임분현, 북굴현, 피씨현평양군평양현, 양현, 단씨현, 영안현, 포자현, 호접현, 양릉현, 강읍, 확택현, 임분현, 북굴현, 피씨현


  • 계포 (문제 초기)
  • 반계 (? ~ 기원전 124년)
  • 승(勝, 기원전 113년 당시): 임지에서 보정(寶鼎)이 발굴되어 조정에 보고하였다.[24][25]
  • 아무개 (? ~ 기원전 112년): 무제의 순행을 마중하지 않은 죄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26][27]
  • 전연년 (? ~ 기원전 75년)
  • 주감 (기원전 43년 ~ 기원전 40년)
  • 견존 (? ~ 기원전 31년)
  • 소함 (원제 시기? 성제 시기?)

5. 3. 경시 정권

경시 정권 시기에 활동했던 양보(楊寶, ? ~ 25년)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28]

5. 4. 후한

5. 5. 서진

305년 유연 원희 2년, 유연은 장안과 낙양 침공을 위해 하동을 점거하고 포판과 평양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유연은 수도를 평양군 포자현으로 옮겼고, 이에 하동군과 평양군의 모든 속현들이 한나라의 지배권으로 편입되었다. 옛 상군 지역에 살던 4부 선비의 추장 육축연, 기주석륵, 왕미 등이 유연에게 귀부했다.[19][20]

서진 시대에는 9현 42,500호를 거느렸다.

현명한자비고
안읍현安邑縣제순의 도읍이다.
문희현聞喜縣옛 곡옥인데 진무공이 진양으로 수도를 옮기기 전까지 진나라의 도읍이었다.
원현왕옥산(王屋山)이 현 동북에 있는데, 연수(沇水)가 그곳에서 나온다.
분양현汾陽縣공국상을 두었다.
대양현大陽縣오산(吳山)이 현 서쪽에 있다.
의씨현猗氏縣옛 의돈성(猗頓城)이다.
해현解縣소금이 나온다.
포판현蒲阪縣역산(曆山)과 뇌수산이 있다.
하북현河北縣


  • 유백조(劉伯祖)[36]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Wei
[3] 서적 Book of Sui
[4] 서적 New Book of Tang
[5] 서적 漢書
[6] 서적 後漢書
[7] 서적 晋書
[8] 서적 魏書
[9] 서적 隋書
[10] 서적 旧唐書
[11] 서적 한서
[12] 서적 한서
[13] 서적 한서
[14] 문서 한서 주석 원문에서는 진 무공이라 하나 무공은 본디 곡옥백이었므로 잘못이다.
[15] 서적 한서
[16]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7] 문서 안사고는 조양(兆陽)이라고 하였으나, 이는 잘못이다.
[18]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19]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20]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21] 웹인용 위수, 위서 106권 下 진주(秦州)조 https://zh.wikisourc[...]
[22] 웹인용 수서 30권 하동군 https://zh.wikisourc[...]
[23] 서적 수호지진간
[24] 서적 사기
[25] 서적 한서
[26] 서적 사기
[27] 서적 한서
[28] 서적 후한서
[29] 서적 후한서
[30] 서적 후한서
[31] 서적 후한서
[32] 서적 후한서
[33] 서적 후한서
[34] 서적 후한서
[35] 서적 삼국지
[36] 서적 간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