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승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승석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41년 진사가 되고 1447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산현감으로 치적을 쌓았으며, 사간원 대사간을 거쳐 강원도 관찰사, 전라도 관찰사, 한성부 우윤 등을 역임했다. 세조에게 간언하다가 체직되기도 했으며, 《세조실록》과 《예종실록》 편찬에 참여했고,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다. 저서로는 《수몽헌문집》이 있었으나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06년 출생 - 프라 필리포 리피
프라 필리포 리피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로, 마사초의 영향을 받아 종교화를 현실적으로 묘사했으며, 프라토 대성당의 프레스코화를 비롯한 여러 작품을 남겼다. - 1406년 출생 - 이순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천문학자, 역법학자인 이순지는 세종의 신임을 받아 《칠정산내편》과 《칠정산외편》을 완성하여 조선의 독자적인 역법 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으며, 다양한 관직을 역임하고 천문학 관련 저술을 남겼다. - 의흥 예씨 - 정애란
정애란은 1943년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영화 《진리의 밤》으로 영화계에 데뷔 후 신상옥 감독 사단 소속으로 인기를 얻고 TV 드라마 《전원일기》에 오랜 기간 출연하며 '전원일기 할머니'로 알려졌으며, KBS, SBS, MBC 연기대상에서 공로상을 수상하는 등 연기 활동을 인정받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의흥 예씨 - 예춘호
예춘호는 민주공화당 발기인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3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3선 개헌 반대와 항명 파동으로 제명, 이후 야당 정치인으로 변신하여 민주화 운동에 헌신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조선의 강원도관찰사 - 정순붕
정순붕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신진사류로 개혁을 시도했으나,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권력을 추구하며 변절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조선의 강원도관찰사 - 심액
심액은 조선시대 문신으로, 이조판서와 판의금부사를 지내고 청송군에 봉해졌으며, 효종에게 십무자의 소를 올려 왕의 덕치를 강조하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예승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예승석 |
한자 표기 | 芮承錫 |
출생일 | 1406년 |
출생지 | 조선 충청도 면천군 (現 대한민국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
사망일 | 1476년 6월 8일 |
사망지 | 한성부 |
본관 | 의흥 예씨(缶溪) |
자 | 주경(周卿) |
호 | 수몽헌(守夢軒) |
학력 및 경력 | |
학력 | 1447년 식년 문과 급제 |
주요 경력 | 대사간 공조참판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 |
직업 | 문관, 정치인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순흥 안씨(順興安氏) 안복(安福)의 딸 |
자녀 | 2남 2녀 |
부 | 예사문(芮思文) |
모 | 송전(宋腆)의 딸 |
2. 생애
예승석은 1441년(세종 23년) 진사시에 급제하고, 1447년(세종 29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 이산현감(尼山縣監)을 지냈다. 이치(吏治)에 능하여 이산현의 현감으로 선임되었는데, 부임 후 폐허가 된 곳을 복구하여 명성과 공적을 얻었다.[1] 1458년(세조 4) 사간원 좌헌납,[2] 사헌부 지평(行司憲持平)을 거쳐[3] 평양 소윤(平壤少尹)에 제수되었다.[4] 1463년 사헌 집의(司憲執義),[5] 1464년 판승문원사(判承文院事)를 역임하였다.[6] 1466년 변정원 판결사(辯定院判決事)를 거쳐[7] 이조 참의(吏曹參議)가 되었다.[8] 1468년 사간원(司諫院) 대사간(大司諫)에 올라[9] 인사, 국방, 교육, 조세 제도 개선을 건의하다가 세조의 노여움을 사서 물러났다. 1469년(예종 1년) 대호군(大護軍)으로 춘추관 수찬관(兼春秋館修撰官)을 겸임하였다.[10] 1470년(성종 1년) 통정대부(通政大夫)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가 되었고,[11] 병마 수군 절도사(兵馬水軍節度使)를 겸임하여 역승(驛丞) 우대책을 마련하였다.[12] 1471년(성종 2) 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로서 《세조실록》과 《예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13][14][15] 1473년 공조참판으로 하정사(賀正使)가 되어 명나라 북경에 다녀왔다.[16] 1474년 가선대부(嘉善大夫)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가 되었고,[17] 1475년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에 이르렀다.[18]
2. 1. 관직 생활
1441년(세종 23년) 진사(進士)시에 급제하고, 1447년(세종 29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 이산현감(尼山縣監)을 지냈다. 예승석은 이치(吏治)에 능하여, 조정에서 낙후된 이산현의 현감으로 선임하였는데, 부임 후 폐허가 된 곳을 복구하여 명성과 공적을 얻었다.[1]1458년(세조 4) 사간원 좌헌납,[2] 사헌부 지평(行司憲持平)을 거쳐[3] 평양 소윤(平壤少尹)에 제수되었다.[4]
1463년 사헌 집의(司憲執義),[5] 1464년 판승문원사(判承文院事)를 역임하였다.[6]
1466년 변정원 판결사(辯定院判決事)를 거쳐[7] 이조 참의(吏曹參議)가 되었다.[8]
1468년 사간원(司諫院) 대사간(大司諫)에 올라[9] 인사, 국방, 교육, 조세 제도 개선을 건의하다가 세조의 노여움을 사서 물러났다.
1469년(예종 1년) 대호군(大護軍)으로 춘추관 수찬관(兼春秋館修撰官)을 겸임하였다.[10]
1470년(성종 1년) 통정대부(通政大夫)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가 되었고,[11] 병마 수군 절도사(兵馬水軍節度使)를 겸임하여 역승(驛丞) 우대책을 마련하였다.[12]
1471년(성종 2) 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로서 《세조실록》과 《예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13][14][15]
1473년 공조참판으로 하정사(賀正使)가 되어 명나라 북경에 다녀왔다.[16]
1474년 가선대부(嘉善大夫)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가 되었고,[17] 1475년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에 이르렀다.[18]
2. 2. 세조와의 관계
1468년(세조 14년) 사간원 대사간(大司諫)에 올라 인사, 국방, 교육, 조세 등 국가 운영 전반에 대한 개혁적인 정책을 건의하였다.[9] 그러나 예승석의 건의는 세조의 정책 방향과 다른 의견이었기에 세조의 비위에 거슬려 체직되었다. 예승석은 세조의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2. 3. 예종, 성종 시대의 활동
1469년(예종 1년) 대호군으로 춘추관 수찬관을 겸임하였다.[10]1470년(성종 1년) 통정대부 강원도 관찰사가 되었고,[11] 병마 수군 절도사를 겸임하여 역승(驛丞)의 우대책을 마련하였다.[12]
1471년(성종 2년) 동지성균관사로서 《세조실록》과 《예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13][14][15]
2. 4. 외교 활동
1473년(성종 4년) 공조참판(工曹參判)으로 하정사(賀正使)가 되어 명나라 북경(北京)에 다녀왔다.[16]2. 5. 말년
1474년(성종 5년) 가선대부 전라도 관찰사를 거쳐,[17] 1475년(성종 6년) 한성부 우윤(右尹)에 이르렀다.[18]3. 저서
《수몽헌문집》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예사문(芮思文) | |
외조부 | 송전(宋腆) | |
처부 | 안복(安福) | 군기감정(軍器監正) |
부인 | 순흥 안씨(順興安氏) | |
장남 | 예충년(芮忠年) | 경주부윤(慶州府尹) 겸 병마수군절도사(兵馬水軍節度使) |
차남 | 예충장(芮忠長) | 동부승지(同副承旨) |
장녀 사위 | 진주 강씨 강거충(姜居忠) | 훈련원판관(訓練院判官) |
차녀 사위 | 경주 정씨 정효본(鄭孝本) | 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 문정공(文正公) 정진후(珍厚)의 9대손 |
참조
[1]
실록
《성종실록》 68권, 7년(1476 병신 / 명 성화(成化) 12년) 6월 8일(기묘)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
실록
《세조실록》 11권, 4년(1458 무인 / 명 천순(天順) 2년) 2월 18일(정미)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3]
실록
《세조실록》 11권, 4년(1458 무인 / 명 천순(天順) 2년) 윤2월 16일(갑술)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4]
실록
《세조실록》 14권, 4년(1458 무인 / 명 천순(天順) 2년) 9월 7일(신묘)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5]
실록
《세조실록》 30권, 9년(1463 계미 / 명 천순(天順) 7년) 7월 6일(계사)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6]
실록
《세조실록》 33권, 10년(1464 갑신 / 명 천순(天順) 8년) 7월 27일(무인)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7]
실록
《세조실록》 38권, 12년(1466 병술 / 명 성화(成化) 2년) 1월 15일(무오)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8]
실록
《세조실록》 40권, 12년(1466 병술 / 명 성화(成化) 2년) 10월 19일(정사)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9]
실록
《세조실록》 45권, 14년(1468 무자 / 명 성화(成化) 4년) 3월 20일(경진)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0]
실록
《예종실록》 5권, 1년(1469 기축 / 명 성화(成化) 5년) 4월 6일(기미) 5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1]
실록
《성종실록》 1권, 즉위년(1469 기축 / 명 성화(成化) 5년) 12월 29일(무인)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2]
실록
《성종실록》 4권, 1년(1470 경인 / 명 성화(成化) 6년) 3월 5일(갑신) 7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3]
실록
《예종실록》 5권, 1년(1469 기축 / 명 성화(成化) 5년) 4월 24일(정축)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
실록
《예종실록》 편수관 명단
http://sillok.histor[...]
[15]
실록
《성종실록》 13권, 2년(1471 신묘 / 명 성화(成化) 7년) 12월 18일(을유) 5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6]
실록
《성종실록》 35권, 4년(1473 계사 / 명 성화(成化) 9년) 10월 17일(을해)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7]
실록
《성종실록》 47권, 5년(1474 갑오 / 명 성화(成化) 10년) 9월 21일(계유) 6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8]
실록
《성종실록》 61권, 6년(1475 을미 / 명 성화(成化) 11년) 11월 10일(을묘) 7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