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아니아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세아니아어군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내에서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확립된 대규모 분기군으로, 1896년 시드니 허버트 레이에 의해 처음으로 어족을 이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어군은 문법적으로 파푸아 제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다양한 분류 체계가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서대양주어군, 중부멜라네시아어군, 애드미럴티제도어군, 야프어, 테모투어군, 남대양주어군, 미크로네시아어군, 중앙태평양어군 등으로 나뉜다.
Lynch, Ross, & Crowley (2002)는 오세아니아어군 언어들을 애드미럴티 연결체, 서오세아니아 연결체, 중동오세아니아 연결체로 구분했으며, Ross & Næss (2007)는 테모투어군을 새로운 주요 분기군으로 제시했다. 한편, Blench (2014)는 우투푸아어군과 바니코로어군을 비롯한 일부 언어들이 비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한다고 주장하며, 오세아니아어군 분류에 대한 논쟁을 제기했다. 오세아니아어군 언어들은 SVO, SOV, VSO, VOS, TVX 등 다양한 어순을 보이며 지역별로 다른 분포를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세아니아어군 | |
---|---|
지도 | |
언어 정보 | |
이름 | 오세아니아어군 |
다른 이름 | 대양주 제어 |
지역 | 오세아니아 |
하위 분류 | 애드미럴티 제도–야프어 성 마티아스 제도 서오세아니아 테모투 중동오세아니아 |
계통 분류 |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군 | 중앙동말레이폴리네시아 |
하위 어군 | 동말레이폴리네시아 |
조어 | 원시 오세아니아어 |
세부 분류 | |
주요 어군 | 서오세아니아 애드미럴티 제도 야프어 미크로네시아어군 피지-폴리네시아 제어 |
기타 | |
글롯토로그 | ocea1241 |
글롯토로그 명칭 | 오세아니아 |
2. 분류
오세아니아어군은 1896년 시드니 허버트 레이가 처음으로 하나의 어족을 이룬다는 사실을 밝혔으며,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를 제외하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내에서 유일하게 확립된 대규모 분기군이다. 문법적으로는 뉴기니섬 북부의 파푸아 제어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았으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어휘를 상당히 많이 보존하고 있다.[9][1]
분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되며[6], 어휘 통계학 연구[7]도 거의 이를 지지한다.
- 서대양주어군(Western Oceanic) - 뉴기니아섬 북쪽 해안에서 뉴브리튼섬 서부까지
- *
- **아누스어 - 인도네시아 파푸아주, 아누스섬
- ** - 인도네시아 파푸아주
- **시사노어 - 파푸아뉴기니 산다운주
- ** - 파푸아뉴기니 마남섬
- ** - 파푸아뉴기니 마단주
- ** - 파푸아뉴기니 모로베주
- ** - 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 ** - 파푸아뉴기니 모로베주
- ** - 파푸아뉴기니 모로베주
- * Papuan Tip어군(영문판)[8]
- **핵심 Papuan Tip어군
- 파푸아뉴기니 수아우섬
- 파푸아뉴기니 도부섬
- 파푸아뉴기니 다운트로카스트로제도
- 파푸아뉴기니 밀른만주
- 파푸아뉴기니 밀른만주
- 파푸아뉴기니 밀른만주
- **중앙 Papuan Tip어군
- 모투어를 기반으로 한 피진은 히리모투어(파푸아뉴기니의 공용어)
- 파푸아뉴기니 중앙주
- 파푸아뉴기니 중앙주
- ** 킬리빌라어 - 파푸아뉴기니 트로브리안드제도
- ** - 파푸아뉴기니 미시마섬
- (Meso-Melanesian) - 비스마르크 제도, 솔로몬 제도 ※서대양주어군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 * 쿠아누아어(트라이어) - 파푸아뉴기니 동뉴브리튼주
- * - 파푸아뉴기니 세인트마티아스제도
- **
- *
- ** - 파푸아뉴기니 부겐빌섬
- ** - 파푸아뉴기니 부겐빌섬
- **바바타나어 - 솔로몬 제도초이슬
- ** 로비아나어 - 솔로몬 제도뉴조지아섬
- * ※중부멜라네시아어군에 포함시키지 않는 경우도 있다.
- ** - 솔로몬 제도산타이사벨섬
- ** - 솔로몬 제도플로리다제도
- ** - 솔로몬 제도가달카날섬
- ** - 솔로몬 제도 가달카날섬
- ** - 솔로몬 제도마키라섬
- ** - 솔로몬 제도 마키라섬
- ** - 솔로몬 제도말라이타섬
- ** - 솔로몬 제도 말라이타섬
- ** - 솔로몬 제도 말라이타섬
- ** - 솔로몬 제도 말라이타섬
- 애드미럴티제도어군(Admiralty Islands) - 파푸아뉴기니애드미럴티제도(야프어는 이와 가깝다는 설도 있지만 명확하지 않다.)
- * - 마누스섬
- 야프어 - 미크로네시아 연방야프섬
- - 솔로몬 제도테모투주
- * 그니보어 - 솔로몬 제도
- * - 솔로몬 제도우투푸아섬
- * - 솔로몬 제도바니콜로섬
- (Southern Oceanic) -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바누아투
- * - 바누아투 모타섬(슈거로프섬)
- * - 바누아투 에파테섬
- * - 바누아투 탄나섬
- * -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 * -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 * -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 * -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 * -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 * -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 * -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 * -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로열티제도
- * -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로열티제도
- * -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로열티제도
- 미크로네시아어군 - 미크로네시아
- *나우루어 - 나우루
- *키리바티어 - 키리바시
- *마셜어 - 마셜 제도
- *코스라에어 - 미크로네시아 연방 코스라에주
- *추크·포나페어군 - 추크어, 카롤린어, 폰페이어
- 중앙태평양어군(피지·폴리네시아어군) - 피지, 폴리네시아
- * 피지어
- * 로투마어 - 피지 로투마섬
- * 폴리네시아어군
- ** - 통가어, 니우에어
- **
- 사모아어, 토켈라우어, 투발루어
동폴리네시아어군 - 타히티어, 라로통가어, 마오리어, 하와이어, 라파누이어
2. 1. Lynch, Ross, & Crowley (2002)
Lynch, Ross, & Crowley (2002)에 따르면, 오세아니아어군 언어들은 종종 서로 연결체를 이룬다. 연결체는 역사적으로 방언연속체였던 것이 개별 언어로 발달하는 경우 형성된다. 인접한 언어들이 공유하는 언어 혁신을 기준으로, 별도의 조상 언어를 재구할 수 없는, 서로 조금씩 겹치는 하위 분류들의 연쇄('연결체')를 정의할 수 있다.[10][2]Lynch, Ross, & Crowley (2002)에서는 오세아니아어군을 크게 세 어군으로 나눈다.
- 애드미럴티 연결체: 마누스섬 및 그 연안 섬들과 서쪽의 작은 섬들에서 사용되는 언어들.
- 서오세아니아(WOc) 연결체: 서뉴기니 북안, (애드미럴티 제도를 제외한) 파푸아뉴기니, 솔로몬 제도 서부의 언어들. 서오세아니아어군은 다시 서너 개의 하위 연결체와 어군으로 나뉜다.
- 북뉴기니 연결체: 자야푸라 동쪽, 뉴기니섬 북안의 언어들.
- 아누스어
- 소베이어/Sobei language영어
- 시사노어
- 마남어/Manam language영어
- 게다게드어/Gedaged language영어
- 시오어/Sio language영어
- 바리아이어/Bariai language영어
- 야베무어/Yabem language영어
- 아제라어/Adzera language영어
- 메소멜라네시아 연결체: 비스마르크 제도와 솔로몬 제도의 언어들.
- 쿠아누아어
- 세인트마티아스어군/St Matthias languages영어
- 무사우-에미라어/Mussau-Emira language영어
- 북서솔로몬어군/Northwest Solomonic languages영어
- 할리아어/Halia language영어
- 테오프어/Teop language영어
- 바바타나어
- 로비아나어
- 파푸아말단 연결체: 파푸아 반도 끝자락의 언어들.
- 핵심 Papuan Tip어군
- 수아우어
- 도부어
- 두아우어
- 아레어/Are language영어
- 타우포타어/Taupota language영어
- 부아이도카어/Bwaidoka language영어
- 중앙 Papuan Tip어군
- 모투어
- 케아파라어/Keapara language영어
- 시나고로어/Sinaugoro language영어
- 킬리빌라어
- 미시마어/Misima language영어
- 중동오세아니아(CEOc) 연결체: 애드미럴티제도어군과 서오세아니아어군에 속하지 않는 오세아니아의 거의 모든 언어들. 중동오세아니아어군은 너댓 개의 하위 어군으로 나뉜다.
- 남동솔로몬 연결체: 솔로몬 제도 남동부에 분포.
- 부고투어/Bughotu language영어
- 응겔라어/Gela language영어
- 렌고어/Lengo language영어
- 무비라오어/Birao language영어
- 아로시어/Arosi language영어
- 바우로어/Bauro language영어
- 크와라에어/Kwara'ae language영어
- 라우어/Lau language (Malaita)영어
- 아레아레어/'Are'are language영어
- 사아어/Sa'a language영어
- 남오세아니아 연결체: 누벨칼레도니와 바누아투의 언어들.
- 모타어/Mota language영어
- 구나어/North Efate language영어
- 레나켈어/Lenakel language영어
- 응두베아어/Ndrumbea language영어
- 쿠녜어/Numèè language영어
- 체무힌어/Cèmuhî language영어
- 파이치어/Paicî language영어
- 무아베케어/Hmwaveke language영어
- 앙지에어/Ajië language영어
- 넨고네어/Nengone language영어
- 데후어/Drehu language영어
- 이아이어/Iaai language영어
- 중앙오세아니아 연결체: 폴리네시아어군과 피지의 언어들.
- 피지어
- 로투마어
- 폴리네시아어군
- 통가어군/Tongic languages영어
- 통가어
- 니우에어
- 핵심폴리네시아어군/Nuclear Polynesian languages영어
- 사모아어군/Samoic languages영어
- 사모아어
- 토켈라우어
- 투발루어
- 동폴리네시아어군
- 타히티어
- 라로통가어
- 마오리어
- 하와이어
- 라파누이어
- 미크로네시아 연결체.
- 나우루어
- 키리바티어
- 마셜어
- 코스라에어
- 추크·포나페어군
- 추크어
- 카롤린어
- 폰페이어
위의 세 어군에 들어가지 않지만 오세아니아어군으로 분류되는 (Lynch, Ross, & Crowley의 표현을 빌리자면) "나머지" 언어들은 다음과 같다.
Ross & Næss (2007)에서는 중동오세아니아어군의 우투푸아바니코로어군을 오세아니아어군의 새 주요 분기군으로 재설정했다.[11][3]
- 테모투 연결체: 솔로몬 제도의 테모투 주에서 이름을 따옴.
- 그니보어
- 암바어/Amba language (Solomon Islands)영어
- 바노어/Lovono language영어
Blench (2014)[12][5]에서는 우투푸아어군과 바니코로어군을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지 않는 별개의 분기군으로 분류한다.
2. 2. Ross & Næss (2007)
서대양주어군(Western Oceanic)은 뉴기니아섬 북쪽 해안에서 뉴브리튼섬 서부까지, 은 비스마르크 제도, 솔로몬 제도에 걸쳐 분포한다.[6] 애드미럴티제도어군(Admiralty Islands)은 파푸아뉴기니애드미럴티제도에 분포하며, 야프어는 이와 가깝다는 설도 있지만 명확하지 않다.[6] 은 솔로몬 제도테모투주에 분포한다.[6] 은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바누아투에 분포하며,[6] 미크로네시아어군은 미크로네시아에 분포한다.[6] 중앙태평양어군(피지·폴리네시아어군)은 피지, 폴리네시아에 분포한다.[6]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되며[6], 어휘 통계학 연구[7]도 거의 이를 지지한다.
- **중앙 Papuan Tip어군
- ** 킬리빌라어
- **
- * 쿠아누아어(트라이어)
- *
- **
- *
- **
- **
- **바바타나어
- ** 로비아나어
- *
- **
- **
- **
- **
- **
- **
- **
- **
- **
- **
- 애드미럴티제도어군(Admiralty Islands)
- *
- 야프어
- * 그니보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크로네시아어군
- *나우루어
- *키리바티어
- *마셜어
- *코스라에어
- *추크·포나페어군
- 중앙태평양어군(피지·폴리네시아어군)
- * 피지어
- * 로투마어
- * 폴리네시아어군
- **
- **
동폴리네시아어군
2. 3. Ross, Pawley, & Osmond (2016)
Ross, Pawley, & Osmond (2016)는 오세아니아어군의 9개 주요 가지(primary branches)를 포함하는 개정된 계통 분류(rake-like classification)를 제안했다.[4]- '''오세아니아어군'''
- *야페스어
- *애드미럴티 제도 언어군
- *세인트 마티아스 제도 언어군 (무사우어와 텐치어)
- *서오세아니아어군
- **중멜라네시아어군
- **뉴기니 오세아니아어군
북뉴기니어군
파푸아 팁 언어군
중바누아투어군
남바누아투어군
로열티 제도-뉴칼레도니아어군
- *미크로네시아어군
- *중태평양어군
- **서중태평양어군
로투마어
서피지어군
- **동중태평양어군
동피지어군
폴리네시아어군
분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서대양주어군(뉴기니아섬 북쪽 해안에서 뉴브리튼섬 서부까지), 애드미럴티제도어군(파푸아뉴기니애드미럴티제도) (야프어는 이와 가깝다는 설도 있지만 명확하지 않다), 야프어, 테모투어군, 남대양주어군(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바누아투), 미크로네시아어군, 중앙태평양어군(피지·폴리네시아어군) 등으로 분류되며,[6] 어휘 통계학 연구도 거의 이를 지지한다.[7]
3. 비오스트로네시아어족설
Roger Blench (2014)는[12][5] 우투푸아어군과 바니코로어군을 비롯해 많은 오세아니아어군 언어들이 실제로는 비오스트로네시아어족 (혹은 계통적 분류가 아닌 지리적 분류로서 파푸아 제어) 제어에 속한다고 주장했다. Blench는 우투푸아어군과 바니코로어군이 가까운 친연 관계가 있다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고, 두 어군이 함께 묶여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우투푸아어군의 세 언어와 바니코로어군의 세 언어가 각각 서로 크게 다르기 때문에, Blench는 이 언어들이 우투푸아섬과 바니코로섬에서 다양하게 분화된 것이 아니라, 다른 곳에서 이 두 섬으로 이주해 왔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Blench에 따르면, 이는 역사적으로 오스트로네시아계 및 비오스트로네시아계 이주민들이 비스마르크 제도의 라피타 문화 원주지에서부터 동쪽으로 뻗은 여러 섬들로 이주해 간 라피타 인구 확장에서 기인했다고 한다.
Blench (2014)에서 전통적으로 오세아니아어군으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비오스트로네시아어족일 것으로 의심하는 다른 언어들로는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어휘 보존율이 단 5%인 서뉴브리튼 주의 카울롱어와, 누벨칼레도니 북쪽에서 쓰이는 루아요테 제도의 언어들이 있다.
Blench (2014)에서는 다음과 같이 전통적 오세아니아어군 언어를 유형화했다.
4. 어순
오세아니아어군 언어들의 어순은 매우 다양하며, 다음과 같은 지리적 분포를 보인다
- '''SVO''': 애드미럴티 제도, 마컴 계곡 대부분, 시아시 제도, 뉴브리튼섬 대부분, 뉴아일랜드섬, 부건빌섬 일부, 솔로몬 제도 남동부의 대부분, 바누아투 대부분, 누벨칼레도니 일부, 미크로네시아 대부분
- '''SOV''': 파푸아뉴기니 중부 및 남동부, 마컴 계곡 일부, 마당 해안, 웨와크 해안, 사르미 해안, 부건빌섬의 몇몇 지역들, 뉴브리튼섬 일부
- '''VSO''': 뉴조지아섬, 산타이사벨섬 일부, 폴리네시아의 많은 지역들, 야프섬
- '''VOS''': 피지어, 아네좀어, 루아요테 제도, 키리바시, 누벨칼레도니의 많은 지역들, 응겔라 제도
- '''TVX''' (T = 주제어, V = 동사, X = 주제가 아닌 논항): 부건빌섬의 많은 지역들, 슈아절섬, 산타이사벨섬 일부
- 목적어 선행: 단 두 개 언어, 아이우어(목적어-동사-주어)와 토바티어(목적어-주어-동사)
참조
[1]
논문
Farming and Language in Island Southeast Asia: Reframing Austronesian History
[2]
서적
Trees, Waves and Linkages: Models of Language Diversification
http://alex.francois[...]
Routledge
[3]
저널
An Oceanic Origin for Äiwoo, the Language of the Reef Islands?
[4]
서적
The lexicon of Proto Oceanic: The culture and environment of ancestral Oceanic society
https://openresearch[...]
[5]
간행물
Lapita Canoes and Their Multi-Ethnic Crews: Might Marginal Austronesian Languages Be Non-Austronesian?
https://www.academia[...]
[6]
서적
講座言語 第6巻 世界の言語
大修館書店
[7]
저널
Language Phylogenies Reveal Expansion Pulses and Pauses in Pacific Settlement
http://www.sciencema[...]
[8]
문서
파푸아 제어와는 전혀 계통이 다르다.
[9]
논문
Farming and Language in Island Southeast Asia: Reframing Austronesian History
[10]
서적
Trees, Waves and Linkages: Models of Language Diversification
http://alex.francois[...]
Routledge
[11]
저널
An Oceanic Origin for Äiwoo, the Language of the Reef Islands?
[12]
간행물
Lapita Canoes and Their Multi-Ethnic Crews: Might Marginal Austronesian Languages Be Non-Austronesian?
https://www.academ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