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카르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카르 2세는 1872년부터 1907년 사망할 때까지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국왕이었다. 그는 1829년에 스웨덴의 오스카르 1세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1857년 나사우의 조피아 공주와 결혼하여 4명의 아들을 두었다. 오스카르 2세는 뛰어난 연설가이자 예술 후원자였으며, 북극 탐험을 지원하고 노벨상의 설립을 지지했다. 그는 스웨덴의 사회, 문화 발전을 이끌었지만, 노르웨이의 독립을 승인해야 했고, 1905년 노르웨이의 독립 이후 노르웨이 왕위를 포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계 스웨덴인 - 칼 16세 구스타프
칼 16세 구스타프는 1973년 즉위한 스웨덴 국왕으로, 1974년 헌법 개정 이후 의례적인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며 스웨덴 사회의 변화와 안정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보수적인 성향에 대한 비판과 과거 논란 및 사생활 의혹도 존재한다. - 프랑스계 스웨덴인 - 칼 14세 요한
칼 14세 요한은 프랑스 출신 군인으로 스웨덴 왕세자가 되어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동군 연합을 이루고 중립 외교와 근대화를 추진하며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 19세기 유럽의 군주 - 조지 3세
조지 3세는 1738년에 태어나 1760년부터 1820년까지 대영 제국과 아일랜드의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미국 독립 혁명, 프랑스 혁명, 나폴레옹 전쟁 등 격동의 시대를 겪었고 말년에 정신 질환을 앓았다. - 19세기 유럽의 군주 - 알렉산드르 1세
알렉산드르 1세는 1801년 러시아 제국 황제로 즉위하여 초기 자유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나폴레옹 전쟁 승리와 빈 체제 형성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보수적 정책으로 전환하며 자유주의와 반동 사이에서 복잡한 통치를 보였다. - 스웨덴의 루터교도 - 페르 알빈 한손
스웨덴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 페르 알빈 한손은 1936년부터 1946년 사망할 때까지 스웨덴의 총리를 역임하며 "폴크헴메트" 비전을 제시, 스웨덴 복지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스웨덴의 중립 정책을 유지했다. - 스웨덴의 루터교도 - 돌프 룬드그렌
돌프 룬드그렌은 스웨덴 출신의 배우, 영화감독, 무술가로, 영화 《록키 4》에서 이반 드라고 역으로 데뷔하여 액션 영화에 출연하며 인기를 얻었으며, 《디펜더》 등의 영화를 감독하고, 무술 실력과 화학 공학 학위를 갖춘 인물이다.
오스카르 2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오스카르 프레드리크 |
출생일 | 1829년 1월 21일 |
출생 장소 | 스톡홀름, 스톡홀름 궁전, 스웨덴 |
사망일 | 1907년 12월 8일 |
사망 장소 | 스톡홀름, 스톡홀름 궁전, 스웨덴 |
매장일 | 1907년 12월 19일 |
매장 장소 | 리다르홀름 교회 |
종교 | 루터교 |
통치 | |
스웨덴 국왕 | 재위 기간: 1872년 9월 18일 – 1907년 12월 8일 이전 국왕: 칼 15세 다음 국왕: 구스타프 5세 |
대관식 (스웨덴) | 1873년 5월 12일, 스토르키르칸 |
노르웨이 국왕 | 재위 기간: 1872년 9월 18일 – 1905년 6월 7일 이전 국왕: 칼 4세 다음 국왕: 호콘 7세 |
대관식 (노르웨이) | 1873년 7월 18일, 니다로스 대성당 |
가문 | |
왕가 | 베르나도테 왕가 |
아버지 | 오스카르 1세 |
어머니 | 조제피나 드 뢰히텐베르크 |
배우자 및 자녀 | |
배우자 | 조피아 아브 나사우 (1857년 결혼) |
자녀 | 구스타프 5세 오스카르 베르나도테 백작 칼 에우겐 |
교육 | |
교육 기관 | 웁살라 대학교 |
기타 | |
![]() |
2. 초기 생애 및 교육
오스카르 1세와 로이히텐베르크의 조제핀 사이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2] 그는 어린 시절 왕실 가정교사에게 교육을 받았으며,[3] 11세에 스웨덴 왕립 해군에 입대하여 교육을 받기 시작했고, 이후 웁살라 대학교에서 수학하며 학문적 소양을 쌓았다. 특히 수학 분야에 재능을 보였으며, 1848년에는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명예 회원이 되기도 했다.
오스카르 2세는 뛰어난 연설가였으며, 음악과 문학 애호가로도 알려져 역사 관련 저술 활동을 하기도 했다. 1857년에는 나사우의 조피아 공주와 결혼하였다.[2]
본래 왕위를 직접 계승할 가능성은 낮았으나, 둘째 형 구스타프 공작이 1852년 장티푸스로 일찍 사망하고, 아버지 오스카르 1세가 사망한 1859년 이후 왕위에 오른 큰형 칼 15세에게 법적인 남자 후계자가 없었기 때문에(칼 15세의 유일한 아들은 1854년 폐렴으로 사망) 오스카 왕자는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추정 상속인이 되었다.
2. 1. 출생과 가족 배경
오스카 프레드릭은 1829년 1월 21일 스톡홀름 궁전에서 태어났다. 그는 오스카 왕세자와 로이히텐베르크의 조세핀 사이에서 태어난 네 아들 중 셋째였다.[2] 태어나면서 외스테르예틀란드 공작 칭호를 받았다. 아버지와 두 형에 이어 스웨덴 왕위 계승 서열 4위였으나, 왕위를 직접 물려받을 가능성은 낮았다. 어린 시절에는 왕실 가정교사인 크리스티나 울리카 타우베 백작 부인의 보살핌을 받았다.[3]
오스카 왕자는 11세에 스웨덴 왕립 해군에 사관후보생으로 입대했고, 1845년 7월에는 소위로 임관했다. 이후 웁살라 대학교에서 공부하며 수학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1848년 12월 13일에는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명예 회원이 되었다.
1857년 6월 6일, 오스카 왕자는 독일 비브리히 궁전에서 나사우의 조피아 공주와 결혼했다. 조피아 공주는 당시 나사우 공국 공작의 거주지였던 이 궁전에서 나사우 공작 빌헬름과 그의 두 번째 부인 뷔르템베르크의 파울리네 공주 사이에서 태어난 막내딸이었으며, 당시 통치자였던 아돌프의 이복 여동생이었다.[2] 오스카르 2세와 소피아 왕비는 슬하에 네 명의 아들을 두었다.
- 구스타프 5세 (1858~1950)
- 오스카르 왕자, 고틀란드 공 (1859~1953)
- 칼 왕자, 베스테르예틀란드 공 (1861~1951)
- 유셴 왕자, 네르케 공 (1865~1947)

1859년 아버지 오스카 1세가 사망하고 큰형 칼 15세가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왕으로 즉위하면서 오스카 왕자는 왕위 추정 상속인이 되었다. 이는 둘째 형 구스타프 공작이 1852년 장티푸스로 이미 사망했고, 칼 15세의 유일한 아들이었던 쇠데르만란드 공작 칼 오스카 왕자가 1854년 폐렴으로 어린 나이에 사망하여 칼 15세에게 법적인 남자 후계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2. 2. 결혼과 자녀
1857년 6월 6일, 독일 헤센 주의 비스바덴-비에브리히에 있는 비브리히 궁전에서 나사우의 소피아와 결혼했다.[2] 그녀는 나사우 공 빌헬름과 그의 두 번째 부인 뷔르템베르크의 파울리네 사이에서 태어난 막내딸이었으며, 당시 나사우 공작이자 훗날 룩셈부르크 대공이 되는 아돌프의 이복 여동생이었다.[2]두 사람 사이에는 4명의 아들이 태어났다.
# 구스타프 5세 (오스카르 구스타프 아돌프, 1858년–1950년): 베름란드 공작이었으며, 1907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했다. 바덴의 빅토리아와 결혼하여 세 아들을 두었다.
# 오스카르 베르나도트 공자 (오스카르 카를 아우구스트, 1859년–1953년): 처음에는 고틀란드 공작이었으나, 1888년 신분이 다른 여성(에바 문크 아프 풀킬라)과 결혼하면서 왕위 계승권과 왕족 칭호를 잃었다. 이후 룩셈부르크 대공 아돌프로부터 비스보르 백작 작위를 받았다. 폴케 베르나도트 백작의 아버지이다.
# 칼 왕자 (오스카르 칼 빌헬름, 1861년–1951년): 베스테르예틀란드 공작이었으며, 덴마크의 잉보르와 결혼했다.
# 유셴 왕자 (에우쉔 나폴레옹 니콜라우스, 1865년–1947년): 넬케 공작이었으며, 평생 독신으로 지냈고 화가로도 활동했다.
3.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국왕
오스카르 1세와 로이히텐베르크의 조제핀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후계자 없이 사망한 형 칼 15세의 뒤를 이어 1872년 9월 18일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왕위에 올랐다. 그는 뛰어난 연설가이자 문학과 음악의 애호가였으며, 역사 관련 저술 활동도 했다.
국내 정치에서는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스웨덴은 사회·문화적으로 성숙하고 산업 혁명이 진행되는 시기를 맞았다. 외교적으로는 초기 스칸디나비아 국가 간 협력을 중시했으나, 1870년대 이후 러시아 제국을 견제하기 위해 독일 제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친독일 노선을 추구했다. 이러한 경향은 당시 스웨덴의 정치·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쳤으나, 민주주의가 발전하고 중립주의를 지향하던 스웨덴 사회 및 정부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는 스웨덴-노르웨이 연합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1905년 노르웨이가 독립을 선언하며 연합이 해체되자 이를 받아들여야 했다. 연합 해체에 대해 매우 안타까워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국민적으로 높은 명망을 누렸던 오스카르 2세는 1907년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1. 즉위 과정
오스카르 1세와 로이히텐베르크의 조제핀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왕위를 계승할 아들이 없었던 그의 형 칼 15세가 1872년 9월 18일 사망하자, 오스카르 2세가 같은 날 왕위에 올랐다. 즉위하면서 그는 자신의 표어로 "Brödrafolkens väl" / "Broderfolkenes Vel" (형제 민족의 복지)을 채택했다.
그의 스웨덴 군주로서의 대관식은 1873년 5월 12일 스톡홀름의 대성당에서 거행되었고, 노르웨이 군주로서의 대관식은 두 달 뒤인 1873년 7월 18일 트론헤임의 니달로스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다.[2] 국왕과 그의 가족, 그리고 왕실은 대부분 스웨덴에 거주했지만, 오스카르 2세는 노르웨이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처음부터 두 국가 간의 연합을 유지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다.
3. 2. 국내 정책
오스카르 1세와 로이히텐베르크의 조제핀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1872년 아들이 없던 형 칼 15세의 뒤를 이어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왕위에 올랐다. 뛰어난 연설가이자 음악과 문학 애호가였으며, 역사 관련 저술 활동도 하였다.
국내 정치에서는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1876년 스웨덴 총리 직위가 처음 제정되었고, 루이 게르하르드 데 게르가 초대 총리가 되었다. 재위 기간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총리는 보수적인 지주 출신의 에릭 구스타프 보스트룀으로, 1891년부터 1900년, 그리고 1902년부터 1905년까지 총리직을 역임하며 국왕의 깊은 신임을 받았다. 오스카르 2세는 보스트룀에게 내각 구성에 상당한 자율성을 부여했는데, 이는 의도치 않게 스웨덴 의회주의 발전을 촉진하는 결과를 낳았다.
오스카르 2세 시대는 스웨덴의 사회와 문화가 성숙기에 접어들고 산업 혁명이 본격화된 시기였다. 국왕 자신도 스웨덴어를 완벽하게 구사하고 스웨덴어로 저서를 출간하는 등 스웨덴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하려 노력했으나, 미국으로의 대규모 이민은 계속되었다. 이 시기는 또한 스웨덴 민족주의가 고양되던 때로, 스벤 헤딘과 같은 탐험가들이 중앙 아시아 탐험에 나섰고, 아돌프 에릭 노르덴셸드는 1879년 인류 최초로 북극해를 횡단하여 북동 항로를 개척했다. 1901년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노벨상이 제정된 것은 오스카르 2세의 지지 아래 스웨덴 아카데미 주관으로 이루어져 스웨덴의 국제적 명성을 크게 높였다.
외교적으로는 초기 스칸디나비아 국가 간 협력을 중시했으나, 1870년대 이후 러시아 제국 견제를 위해 독일 제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친독일 노선을 추구했다. 이러한 경향은 당시 스웨덴의 정치 및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프로이센 왕국과의 지나친 밀착과 개인적인 범게르만주의 성향은 민주주의가 발전하던 스웨덴 사회와 중립주의를 지향하던 정부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국왕이 외교에 직접 관여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면서 왕권은 점차 형식화, 상징화되었다.

날카로운 지성과 왕조적 이해관계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배경 덕분에 국제 분쟁에서 중재자로서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1889년 영국, 독일, 미국의 요청으로 베를린 조약에 따라 사모아 최고 법원장을 임명했으며, 1899년에도 사모아 문제 중재를 요청받았다. 1897년에는 베네수엘라 분쟁 중재인 임명 권한을 위임받았고, 제2차 보어 전쟁(1899–1902) 당시에는 유럽 대륙의 지배적인 여론과 달리 영국 지지를 표명하기도 했다.
1814년 이래 스웨덴과 동군 연합 관계였던 노르웨이와의 관계는 그의 통치 기간 중 큰 변화를 맞았다. 1890년대부터 노르웨이 내에서 독자적인 외교권과 영사관 설치 요구가 거세지며 스웨덴과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오스카르 2세는 연합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1905년 양국 의회 협상이 결렬되고 노르웨이 의회가 연합 해소를 선언했다. 노르웨이 국민 투표에서 압도적인 찬성으로 독립이 결정되자, 오스카르 2세는 군사 충돌 위기 속에서 스웨덴 의회와 국민을 설득하여 노르웨이의 평화적 분리 독립을 승인했다. 이 결정으로 베르나도테 왕가는 노르웨이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게 되었으며, 연합 해체에 상심한 노왕 부부를 위로하기 위해 스톡홀름 시민 1만여 명이 왕궁 앞에 모여 왕실가를 부르기도 했다. 새로운 노르웨이 국왕으로는 오스카르 2세의 조카손녀 사위인 덴마크 왕자 칼이 호콘 7세로 즉위했다.
평생 해군력 증강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함대를 자주 방문했다. 해안 방어함 오스카르 2세함이 진수되었을 때는 직접 함선의 후미 주포탑에 자신의 이름을 서명하기도 했다.[4] 국민적으로 높은 명망을 누렸던 오스카르 2세는 1907년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3. 외교 정책
오스카르 2세는 외교 정책에서 스칸디나비아 국가 간의 협력을 중시했으며, 1870년대 이후로는 러시아 제국을 견제하기 위해 독일 제국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추구했다. 이러한 친독일적 경향은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전까지 스웨덴의 정치 및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스웨덴-노르웨이 연합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1905년 노르웨이가 독립을 선언하며 스웨덴과의 연합을 해소하자 크게 상심했다고 전해진다.
그의 날카로운 지성과 당시 유럽 군주들과는 다른 배경(그의 아버지와 외할아버지는 나폴레옹 1세 휘하의 프랑스 군 지휘관이었다)은 국제 문제에서 중재자로서 활동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했다. 1889년, 영국, 독일, 미국은 베를린 조약에 따라 그에게 사모아의 최고 법원장 임명을 요청했으며, 1899년에도 사모아 문제 중재를 다시 요청받았다. 1897년에는 베네수엘라 분쟁에서 필요시 다섯 번째 중재인을 임명할 권한을 부여받았고, 미국 상원에 의해 무산되기는 했지만 영미 중재 조약의 심판관 역할을 요청받기도 했다.
제2차 보어 전쟁 (1899–1902) 당시에는 유럽 대륙의 여론이 대체로 영국에 적대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오스카르 2세는 영국에 대한 지지를 공개적으로 표명하여 영국 내에서 많은 우호 세력을 확보했다. 이는 1900년 5월 2일자 ''타임스''에 실린 그의 선언문에서도 잘 드러난다.
외교 정책에서 오스카르 2세는 독일 제국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려 했으며, 이는 러시아 제국에 대한 견제 수단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그의 범게르만주의적 경향과 독일-스칸디나비아 국가 연합 구상은 스웨덴 정부와 국민, 그리고 이웃 국가인 덴마크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당시 스웨덴에서는 민주주의가 발전하면서 국왕이 외교에 직접 관여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고 있었고, 국민들은 과거의 친프랑스 감정에서 친독일 감정으로 일부 변화했지만 기본적인 외교 노선은 중립주의를 지향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왕의 외교적 영향력은 점차 약화되고 상징적인 역할에 머무르게 되었다.
평생 해군을 강력하게 지지했던 그는 함대의 군함을 자주 방문했으며, 해안 방어함 오스카르 2세(HSwMS Oscar II)가 진수될 때는 직접 선박의 후미 주포 포탑에 자신의 이름을 서명하기도 했다.[4]
1876년 스웨덴 총리 직위가 신설되었고, 루이 게르하르드 데 게르가 초대 총리가 되었다. 오스카르 2세 재위 기간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총리는 보수적인 지주 출신의 에릭 구스타프 보스트룀으로, 그는 1891–1900년과 1902–1905년에 총리직을 역임했다. 오스카르 2세는 보스트룀을 깊이 신뢰하여 그에게 장관 선택의 자유를 부여했는데, 이는 의도치 않게 스웨덴의 의회주의 발전을 촉진하는 결과를 낳았다.
오스카르 2세의 외교 정책에서 가장 큰 시련은 노르웨이와의 관계였다. 1814년부터 스웨덴과 동군 연합 상태였던 노르웨이는 1890년대에 이르러 독자적인 외교권, 특히 자국 영사관 설치를 요구하며 스웨덴과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오스카르 2세는 노르웨이 의회의 요구에 반대했고, 스웨덴 의회 역시 국왕의 입장을 지지하며 영사관 설치 법안을 거부했다. 군사적 충돌 위기까지 갔으나 당시에는 노르웨이 측이 양보하며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1905년, 양국 의회 간의 교섭이 최종 결렬되자 노르웨이 의회는 연합 해소를 선언했고, 이후 실시된 국민 투표에서 압도적인 찬성으로 독립이 결정되었다. 스웨덴 정부는 이에 반발하여 군대를 동원하는 등 전쟁 위기가 고조되었지만, 노르웨이의 독립 의지가 확고함을 인지한 오스카르 2세는 스웨덴 의회와 국민을 설득하여 노르웨이의 분리 독립을 승인했다. 그는 내심 노르웨이 독립을 원하지 않았지만, 양국의 평화를 위해 어려운 결정을 내린 것으로 평가된다. 이 과정에서 오스카르 2세는 베르나도테 왕가의 노르웨이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게 되었다. 상심한 국왕 부부를 위로하기 위해 1만 명의 스톡홀름 시민들이 모여 스웨덴 왕실가를 불렀다고 전해진다. 새로운 노르웨이 국왕으로는 오스카르 2세의 조카딸의 아들인 덴마크의 왕자 칼이 호콘 7세로 즉위했다.
3. 4. 노르웨이와의 관계 및 연합 해체
1814년부터 스웨덴과의 동군 연합 하에 있던 노르웨이에서는 1890년대에 이르러 외교와 내정 문제에서 스웨덴과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당시 노르웨이는 세계 3위의 해운국으로 성장하는 등 경제적 자립도가 높아졌고, 이는 민족주의적 움직임과 맞물려 독립 요구로 이어졌다. 오스카르 2세는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연합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시대의 흐름을 막기는 어려웠다.특히 노르웨이가 자국의 영사관 설치를 요구하면서 양국 의회 간의 갈등이 극에 달했다. 오스카르 2세는 노르웨이 의회의 방침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고, 스웨덴 의회는 국왕의 지지를 받아 영사관 설치 법안을 거부했다. 이에 노르웨이 의회는 강하게 반발했으며 한때 군사적 충돌까지 우려되었으나, 노르웨이 측이 양보하면서 위기는 일단 봉합되었다.
그러나 1905년, 영사관 문제를 둘러싼 양국 의회의 교섭은 최종적으로 결렬되었다. 노르웨이 의회는 즉각 연합 해소를 선언했고, 노르웨이에서 실시된 국민 투표에서는 압도적인 찬성으로 독립이 결정되었다. 스웨덴 정부는 이 결정에 반발하여 군대를 동원하는 등 전쟁 직전의 상황까지 갔지만, 오스카르 2세는 노르웨이의 독립이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현실임을 받아들였다. 그는 스웨덴 의회와 국민을 설득하는 어려운 과정을 거쳐 노르웨이의 분리 독립에 합의했다.
오스카르 2세는 연합 해체를 진심으로 원하지 않았고 매우 안타까워했지만, 양국의 평화로운 미래를 위해 어쩔 수 없이 결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그는 베르나도테 왕가의 노르웨이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게 되었다. 연합 해체로 상심한 노왕을 위로하기 위해 1만 명의 스톡홀름 시민들이 왕궁 앞에 모여 스웨덴 왕실가를 부르며 국왕 부부를 위로하기도 했다.
독립한 노르웨이의 새로운 국왕으로는 덴마크 왕 프레데리크 8세의 차남이자, 오스카르 2세의 형인 칼 15세의 외손자(오스카르 2세에게는 증외조카)인 호콘 7세가 추대되었다.
4. 문화, 과학 및 예술 후원
오스카르 2세는 뛰어난 연설가이자 음악과 문학의 애호가로서, 문화와 예술 분야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자신의 통치 하에 있는 모든 영토에서 교육 발전을 장려하는 데 기여했으며, 직접 역사 관련 저술 활동을 하기도 했다. 그의 시대는 스웨덴의 사회 문화가 진흥하고 성숙기에 접어든 시기로 평가받으며, 국왕과 왕가는 이러한 문화적 융성기에 상징적인 역할을 했다.
과학과 탐험 분야에 대한 오스카르 2세의 후원 역시 두드러졌다. 그는 수학 분야에 특별한 관심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북극 탐험을 열정적으로 지원하여 아돌프 에릭 노르덴셸드의 베가 탐험과 같은 중요한 성과에 기여했다. 또한 알프레드 노벨의 노벨상 설립(1901년)을 지지하여 스웨덴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했다. 이러한 그의 후원 활동은 당대 스웨덴의 민족주의 고취와도 연관되었다.
4. 1. 문학과 예술
오스카르 2세는 뛰어난 연설가였으며, 음악과 문학의 애호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자신의 통치 하에 있는 모든 영토에서 교육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문학 분야에서 그는 역사적 주제에 관한 책들을 직접 펴냈다. 1858년에는 그의 서정시와 서사시 모음집인 《스웨덴 함대의 기념비》가 익명으로 출판되어 스웨덴 아카데미에서 2등상을 받기도 했다. 또한 "1711, 1712, 1713년 스웨덴 군사 역사에 대한 기여"라는 글은 원래 아카데미 연보에 실렸으나, 1865년에 별도로 인쇄되었다. 그의 작품집에는 연설문, 헤르더의 《엘 시드》와 괴테의 《토르콰토 타소》 번역본, 그리고 직접 쓴 희곡 《크론베르크 성》 등이 포함되었으며, 1875–76년에 두 권으로, 1885–88년에는 세 권으로 출판되었다. 그의 부활절 찬송가와 다른 몇몇 시들은 스칸디나비아 국가 전체에 널리 알려졌으며, 스웨덴의 칼 12세에 관한 그의 작품은 1879년에 영어로 번역되기도 했다.
음악 분야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1885년에는 《음악 아카데미 연설》을 출판했으며, 음악에 관한 그의 에세이 중 하나는 번역되어 1900년 5월 《문학》지에 실리기도 했다. 그는 인쇄 악보와 필사본 악보를 다수 소장했으며, 이는 음악사 연구자들에게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
1881년에는 오슬로(당시 크리스티아니아) 근처 자신의 별장 옆 뷔그도이에 세계 최초의 야외 박물관을 설립하여 문화 보존에도 힘썼다.
연극에도 큰 애정을 가졌던 오스카르 2세는 악셀 안데르베리에게 새로운 오페라 하우스 건설을 의뢰하여 1898년 9월 19일에 스웨덴 왕립 오페라가 개관하도록 했다. 이 건물은 현재도 스웨덴 왕립 오페라의 본거지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그는 극작가 헨리크 입센에게 그의 희곡 《유령》이 "좋은 작품이 아니다"라고 직접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그는 자신이 죽더라도 극장이 문을 닫지 않기를 바랐으며, 그의 소원은 존중받았다.
오스카르 2세는 문학과 예술 외에도 다양한 지식 분야에 관심을 보였다. 1889년 자신의 6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고등 수학적 분석 분야의 중요한 발견"을 위한 수학 경연 대회를 열었다. 이 대회에서는 천체 역학에서 태양계의 안정성과 관련된 n체 문제가 연구 과제 중 하나로 제시되었고, 파리 대학교 교수였던 앙리 푸앵카레가 3체 문제의 불안정성을 증명하는 논문으로 우승했다. 이 연구는 훗날 혼돈 이론 발전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또한 그는 북극 탐험의 열렬한 후원자이기도 했다. 스웨덴 백만장자 오스카르 딕슨과 러시아의 거물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시비랴코프와 함께 1800년대 여러 선구적인 북극 탐험을 후원했다. 그가 후원한 주요 탐험으로는 아돌프 에릭 노르덴셸드의 러시아 북극 및 그린란드 탐험, 프리드쇼프 난센의 프람 호를 이용한 극지 항해 등이 있다. 오스카르 2세는 과학 분야에도 관대하게 후원했으며, 특히 북극해를 통해 유럽과 아시아 사이의 해상 항로인 북동항로를 탐험하고 유라시아 대륙을 일주한 최초의 탐험인 베가 탐험을 개인적으로 지원했다.
4. 2. 과학과 탐험
오스카르 2세는 과학과 탐험 분야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적극적으로 후원했다. 1881년에는 뷔그도이에 세계 최초의 야외 박물관을 설립했는데, 이곳은 오슬로 (당시 크리스티아니아) 근처 왕실 별장 옆에 자리 잡았다.[1]수학에도 특별한 관심을 가져, 1889년 자신의 6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고등 수학적 분석 분야의 중요한 발견"을 위한 대회를 열었다. 이 대회는 천체 역학에서 태양계의 안정성과 관련된 n체 문제를 포함한 4가지 연구 분야를 제시했다. 프랑스의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는 3체 문제조차 불안정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논문을 제출하여 우승했으며, 이는 훗날 혼돈 이론으로 발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2][3]
오스카르 2세는 북극 탐험의 열렬한 후원자이기도 했다. 스웨덴의 백만장자 오스카르 딕슨, 러시아의 재력가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시비랴코프와 함께 19세기 여러 선구적인 북극 탐험을 지원했다. 그가 후원한 주요 탐험으로는 아돌프 에릭 노르덴셸드의 러시아 북극 및 그린란드 탐험, 프리드쇼프 난센의 프람 호를 이용한 극지 항해가 있다.[1][4] 특히 베가 탐험을 개인적으로 지원하여, 북극해를 통해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북동항로를 최초로 탐험하고 유라시아 대륙을 일주하는 성과를 거두었다.[5] 또한, 스웨덴의 민족주의가 고조되던 시기에는 스벤 헤딘의 중앙 아시아 탐험[6]과 노르덴셸드의 북동 항로 발견(1879년)[6] 등이 이루어졌다.
1890년대 난센의 프람호 원정 당시, 노르웨이의 애국심 고조로 프리초프 난센이 스웨덴인들의 지원을 사양했음에도 불구하고, 오스카르 2세는 개인적으로 2만스웨덴 크로나의 기부금을 전달하며 탐험을 지지했다.[6]
과학 분야 전반에 걸친 후원도 아끼지 않았으며, 알프레드 노벨이 노벨상을 설립(1901년)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오스카르 2세의 지지를 얻어 스웨덴 아카데미가 주관하게 된 노벨상은 스웨덴의 국제적 명예를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6]
4. 3. 박물관 설립
1881년, 오스카르 2세는 뷔그도이에 세계 최초의 야외 박물관을 설립했다. 이곳은 당시 크리스티아니아로 불렸던 오슬로 근처의 왕실 별장 옆에 자리 잡았다.5. 사망과 유산
오스카르 2세의 치세는 스웨덴의 사회와 문화가 발전하고 산업 혁명이 일어나는 등 중요한 시기였으며, 국민적인 명예 속에 1907년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5. 1. 죽음
오스카르 2세는 노르웨이-스웨덴 연합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1905년 노르웨이가 스웨덴으로부터 독립하면서 노르웨이 왕위에서 물러나야 했을 때 매우 슬퍼했다고 전해진다. 1905년 노르웨이-스웨덴 연합의 평화적 해체로 이어진 정치적 사건들은 국왕 자신의 뛰어난 처신과 인내심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평가도 있다. 그는 1905년 6월 7일 노르웨이 국회에 의해 폐위되었고, 같은 해 10월 26일 노르웨이 왕위를 공식적으로 포기했다. 그는 자신의 가문 출신 어떤 왕자도 노르웨이의 왕이 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지만, 그가 사망하기 전에 두 국가 간의 관계는 회복되었다. 오스카르 2세는 1907년 12월 8일 오전 9시 10분 스톡홀름에서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 2. 유산
오스카르 2세의 이름과 초상은 1902년부터 노르웨이에서 킹 오스카 정어리의 상표로 사용되었으며[40] (한때 그의 "왕실 허가"를 받은 유일한 브랜드였다[41]), 스웨덴의 예테보리 켁스에서 만든 생강빵(pepparkakor) 및 기타 제과 제품에도 사용되었다.[42] 또한, 그가 선호했던 재료인 송아지 커틀렛, 게살, 베어네즈 소스, 아스파라거스 등을 사용하여 만든 요리 송아지 오스카는 그를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졌다.[43]오스카르 2세의 치세는 스웨덴의 사회와 문화가 크게 발전하고 성숙기에 접어든 시기였다. 이 시기에는 산업 혁명도 일어났으며, 국왕과 왕가는 시대의 상징으로서 스웨덴 사회에 자연스럽게 통합되었다. 오스카르 2세 자신도 스웨덴어를 완벽하게 구사하는 웅변가였고, 스웨덴어로 저서를 발표하는 등 스웨덴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보였다. 그러나 이 시대는 미국으로의 대규모 이민이 계속되던 시기이기도 했다.
외교적으로는 중립주의 정책을 유지하며 19세기 유럽의 제국주의와는 거리를 두었다. 독일 통일로 부상한 독일 제국의 등장은 러시아 제국에 대한 균형추로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오스카르 2세 개인은 프로이센 왕국과의 유착 및 범게르만주의에 경도되어 러시아에 대항하는 독일-스칸디나비아 국가 연합을 구상하기도 했는데, 이는 스웨덴 정부와 국민, 그리고 이웃 국가 덴마크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스웨덴 내에서 민주주의가 발전하면서 국왕이 외교에 직접 관여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커졌고, 점차 왕권은 형식적이고 상징적인 존재가 되어갔다.
이 시대는 스웨덴의 민족주의가 고양된 시기이기도 했다. 스벤 헤딘과 같은 탐험가들이 중앙 아시아를 탐험했고, 노르덴셸드는 1879년 사상 최초로 북극해를 횡단하여 북동 항로를 발견했다. 특히 1901년 알프레드 노벨에 의해 노벨상이 설립된 것은 이 시대의 중요한 사건이었다. 오스카르 2세의 이해와 지원 아래 노벨상 시상식은 스웨덴 아카데미 주관으로 국왕이 참여하는 의례가 되었고, 이는 스웨덴 왕국의 명예와 국위를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1890년대 프리초프 난센의 프람호 원정 당시, 노르웨이인의 애국심 고조로 스웨덴의 지원을 사양했음에도 오스카르 2세는 개인적으로 2만스웨덴 크로나의 기부금을 전달했다.
오스카르 2세 통치기의 가장 큰 정치적 사건 중 하나는 1814년부터 이어져 온 스웨덴과의 동군 연합 하에 있던 노르웨이의 독립이었다. 1890년대부터 노르웨이에서는 자국의 영사관 설치 문제를 둘러싸고 스웨덴과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1905년 양국 의회 간 교섭이 결렬되자 노르웨이 의회는 연합 해소를 선언했고, 국민 투표를 통해 압도적인 지지로 독립을 결정했다. 스웨덴 정부는 군사적 대응까지 고려했으나, 오스카르 2세는 노르웨이의 독립이 불가피함을 인지하고 스웨덴 의회와 국민을 설득하여 평화적인 분리 독립에 합의했다. 비록 개인적으로는 연합 해체를 매우 안타까워했지만, 양국의 평화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받아들였고, 이 과정에서 베르나도테 왕가의 노르웨이 왕위 계승권을 포기했다. 이후 스톡홀름 시민 1만여 명이 왕궁 앞에 모여 스웨덴 왕실가를 부르며 상심한 국왕 부부를 위로하기도 했다. 새로운 노르웨이 국왕으로는 오스카르 2세의 형 칼 15세의 외손자이자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8세의 차남인 호콘 7세가 추대되었다.
국민적으로 높은 명예를 누렸던 오스카르 2세는 1907년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6. 가족 관계
나사우의 소피아와 1857년 결혼하여 4명의 아들을 두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6. 1. 배우자와 자녀
오스카르 2세는 1857년 6월 6일, 나사우 공국의 비스바덴-비에브리히(현재 독일 헤센 주)에서 나사우의 소피아와 결혼했다. 소피아는 나사우 공작 빌헬름과 뷔르템베르크의 공주 파울리네의 막내딸이었으며, 훗날 룩셈부르크 대공이 되는 아돌프의 이복 여동생이었다.두 사람 사이에는 4명의 아들이 태어났다.
# '''구스타프 5세''' (오스카르 구스타프 아돌프, 1858년–1950년): 베름란드 공작이었으며, 1907년부터 1950년까지 스웨덴의 국왕 구스타프 5세로 재위했다. 바덴의 공주 빅토리아와 결혼하여 세 아들을 두었다.
# '''오스카르 공자''' (오스카르 카를 아우구스트, 1859년–1953년): 고틀란드 공작이었으나, 1888년 전 시녀였던 에바 문크 아프 풀킬라와 귀천상혼을 하면서 왕위 계승권을 상실했다. 이후 스웨덴과 룩셈부르크(1892년부터)에서 베르나도트 공자 칭호를 받았으며, 룩셈부르크에서는 그의 결혼으로 낳은 자손들을 위해 세습 작위인 비스보르 백작으로 봉해졌다. 폴케 베르나도트 백작의 아버지이다.
# '''칼 공자''' (오스카르 카를 빌헬름, 1861년–1951년): 베스테르예틀란드 공작이었으며, 덴마크의 공주 잉보르와 결혼했다.
# '''외겐 공자''' (에우쉔 나폴레옹 니콜라우스, 1865년–1947년): 네르케 공작이었으며, 평생 독신으로 지내며 예술가로 잘 알려져 있다.
6. 2. 사생아 논란
오스카르 2세는 여러 명의 혼외 자녀를 둔 것으로 의심받고 있으며,[11] 그중 최소 다섯 명의 이름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의 아버지와는 달리 오스카르 2세는 자신의 사생아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적은 없다.
7. 훈장
국가 | 훈장 | 수여 날짜 / 정보 |
---|---|---|
안할트 공국 | 알베르트 곰 대십자 훈장 | |
오스트리아 제국 | 헝가리 성 슈테판 훈장 대십자 | 1866년[22] |
바덴 | 충절 기사단 | 1877년[23] |
바덴 | 베르톨트 1세 기사단 | 1877년[23] |
바이에른 왕국 | 성 후베르투스 기사단 | 1862년[24] |
벨기에 | 레오폴드 훈장 대장 | 1856년 5월 17일[25] |
브라질 제국 | 남십자 대십자 훈장 | |
덴마크 | 엘리펀트 기사단 | 1848년 6월 3일[26] |
덴마크 | 단네브로그 훈장 명예 십자 | 1863년 10월 5일[26] |
프랑스 제2제국 | 용기와 헌신 명예 훈장 | 1862년 3월 23일[27] |
프랑스 제2제국 | 레지옹 도뇌르 대십자 | |
프랑스 제2제국 | 금 군사 메달 | |
그리스 왕국 | 구세주 대십자 | |
하노버 왕국 | 왕립 구엘프 훈장 대십자 | 1852년[28] |
하와이 왕국 | 카메하메하 1세 훈장 대십자 | |
헤센 대공국 | 루트비히 훈장 대십자 | 1881년 9월 20일[29] |
이탈리아 왕국 | 수태고지 기사단 | 1862년 1월 10일[30] |
일본 제국 | 국화대수장 대장 | 1881년 7월 27일[31] |
메클렌부르크 | 벤디쉬 왕관 훈장 대십자 (왕관 포함) | |
모나코 | 성 샤를 대십자 | 1862년 1월 16일[32] |
나사우 | 나소 금사자 기사단 | 1858년 7월[33] |
네덜란드 | 네덜란드 사자 대십자 | |
룩셈부르크 | 오크 왕관 대십자 | |
오스만 제국 | 오스마니예 훈장 (1등급) | |
오스만 제국 | 특징 훈장 | |
튀니스 베이국 | 후세이니 가문 훈장 | |
포르투갈 왕국 | 탑과 칼 대십자 | |
포르투갈 왕국 | 세 훈장 띠 대십자 | |
페르시아 | 황실 휘장 훈장 (1등급) | |
프로이센 왕국 | 검은 독수리 기사단 (목걸이 포함) | 1861년 9월 28일[34] |
프로이센 왕국 | 붉은 독수리 대십자 | |
프로이센 왕국 | 호엔촐레른 왕가 훈장 대사령관 십자 | 1875년 6월 12일[34] |
루마니아 왕국 | 루마니아의 별 대십자 | |
루마니아 왕국 | 루마니아 왕관 대십자 | |
러시아 제국 | 성 안드레 기사단 | 1846년 7월 9일 |
러시아 제국 | 성 알렉산더 넵스키 기사단 | |
러시아 제국 | 백색 독수리 기사단 | |
러시아 제국 | 성 안나 기사단 (1등급) | |
러시아 제국 | 성 스타니슬라우스 기사단 (1등급) | |
작센 왕국 | 루 크라운 기사단 | 1875년[35] |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 | 백색 매 대십자 | 1862년 5월 26일[36] |
세르비아 공국 | 타코보 십자 대십자 | |
태국 (샴) | 차크리 왕가 기사단 | 1888년 10월 29일 |
태국 (샴) | 백상 대십자 | |
스페인 | 금양모 기사단 | 1872년 7월 14일[37] |
영국 | 가터 기사단 | 1881년 5월 17일[38] |
베네수엘라 | 해방자 훈장 | |
뷔르템베르크 왕국 | 뷔르템베르크 왕관 대십자 | 1879년[39] |
참조
[1]
기록
Stockholm City Archives, archive of the Court parish, birth and baptism records, volume C I:5
[2]
백과사전
Oscar II
https://sok.riksarki[...]
2024-05-05
[3]
서적
Den introducerade svenska adelns ättartavlor
1925–36
[4]
학술지
Swedish Coastal Defence Ship Oscar II
https://web.archive.[...]
2018-09-18
[5]
서적
The scientific legacy of Poincaré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10
[6]
서적
Gösta Mittag-Leffler
2010
[7]
서적
Chaos: An Introduction to Dynamical Systems
Springer New York
2022-02-02
[8]
웹사이트
The solution of the n-body problem
http://www.math.uvic[...]
2016-03-04
[9]
간행물
Tietolinja News
https://web.archive.[...]
Helsinki
1999-01
[10]
뉴스
Death Of Oscar King Of Sweden. His Son Ascends The Throne And Takes The Title Gustave The Fifth
https://query.nytime[...]
2017-02-11
[11]
서적
Gustaf von Platen in ''Bakom den gyllene fasaden''
Bonniers
[12]
서적
Anna Hofmann – varietéstjärna och filmregissör, catalogue of exhibition by that name at Stockholms Stadsmuséum 1998 with essays by Åke Abrahamsson and Marika Lagercrantz/Lotte Wellton.
[13]
서적
Throne of a Thousand Years
Ristesson Ent
1996
[14]
웹사이트
FamSAC of Stockholm & Blair – Family Tree
https://famsac.triba[...]
2022-07-08
[15]
서적
Familjen Bernadotte: makten, myterna, människorna
Fischer & Co
[16]
웹사이트
Sherlock Holmes and the King of Scandinavia
http://w3.msi.vxu.se[...]
The Swedish Pathological Society
2012-03-16
[17]
뉴스
Jakten på den försvunne sonen
http://www.aftonblad[...]
2016-05-04
[18]
간행물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19]
간행물
Sveriges och Nor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20]
간행물
Sveriges och Nor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21]
웹사이트
"The Order of the Norwegian Lion"
http://www.royalcour[...]
The Royal House of Norway
2018-08-10
[22]
웹사이트
"A Szent István Rend tagjai"
http://tornai.com/re[...]
[23]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https://digital.blb-[...]
[24]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Bayern
https://archive.org/[...]
[25]
서적
Le livre d'or de l'ordre de Léopold et de la croix de fer
https://books.google[...]
lelong
2020-12-17
[26]
서적
Statshaandbog for Kongeriget Danmark for Aaret 1907
https://dis-danmark.[...]
J.H. Schultz A.-S. Universitetsbogtrykkeri
2020-09-07
[27]
웹사이트
oscar-iis-franska-raddningsmedalj
https://phaleristica[...]
2020-05-03
[28]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für das Königreich Hannover: 1865
https://archive.org/[...]
Berenberg
[29]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Hessen
https://babel.hathit[...]
[30]
서적
Notizia storica del nobilissimo ordine supremo della santissima Annunziata. Sunto degli statuti, catalogo dei cavalieri
https://books.google[...]
Eredi Botta
2020-05-09
[31]
서적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2020-08-17
[32]
간행물
Journal de Monaco
https://journaldemon[...]
2022-03-18
[33]
간행물
Staats- und Adreß-Handbuch des Herzogthums Nassau
https://www.digitale[...]
[34]
학술지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https://babel.hathit[...]
2021-08-22
[35]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Freistaat Sachsen: 1876
https://books.google[...]
Heinrich
2020-06-24
[36]
간행물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https://zs.thulb.uni[...]
Großherzogliche Hausorden
1864
[37]
서적
Guía Oficial de España
2019-03-21
[38]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London
1906
[39]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Württemberg
https://archive.org/[...]
1907
[40]
웹사이트
About King Oscar
https://www.kingosca[...]
King Oscar sardines
2019-07-07
[41]
뉴스
King of the sea
https://www.norwegia[...]
2019-07-06
[42]
웹사이트
Kung Oscar
https://www.goteborg[...]
Göteborgs Kex AB
2019-07-07
[43]
뉴스
Try New Wave Veal Oscar for fine spring or Easter dining
https://news.google.[...]
The Bryan Times
2014-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