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일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일형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이후 8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3·1 운동 당시 체포되었고, 미국 유학 중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했으며, 해방 후 한국민주당에서 활동했다. 4·19 혁명 이후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나 한일기본조약 체결에 반대하며 사퇴했다. 유신헌법 비판으로 의원직을 상실했고, 아들 정대철에게 선거구를 물려주고 정계에서 은퇴했다. 1982년 고혈압으로 사망하여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으며,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루 대학교 동문 - 아일린 퀸
아일린 퀸은 미국의 배우, 가수, 밴드 리더이며, 영화 《애니》의 주인공으로 이름을 알렸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밴드를 결성하여 앨범을 발매했으며,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 드루 대학교 동문 - 그렉 A. 매스트
그렉 A. 매스트는 정치 이론 및 종교 관련 서적을 저술하고 편집했으며, 가톨릭 사도 교회의 성찬례가 개혁 교회 예배 갱신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사상계 - 신상초
신상초는 일제강점기 항일 운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정치인으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에서 국회의원, 교수, 연구원 대표 등을 역임했다. - 사상계 - 장준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정치인인 장준하는 일본군 학도병으로 징집 후 탈출하여 광복군에서 활동, 해방 후 김구의 비서를 지냈고, 《사상계》를 창간하여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의문사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부분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명동 3·1 민주 구국선언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 명동 3·1 민주 구국선언 - 함석헌
함석헌은 평안북도 출신의 인권운동가, 언론인, 재야운동가, 문필가로서, 일제강점기와 독재 정권에 맞서 민주화 운동을 펼치며 '씨알의 소리'를 통해 '씨알사상'을 알렸고, 비폭력·민주·평화 사상으로 '한국 간디'라 불리며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정일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금연 정일형 |
원래 이름 | 錦淵 鄭一亨 |
한글 | 정일형 |
한자 | 鄭一亨 |
가타카나 | チョン・イリョン |
출생일 | 1904년 2월 23일 |
출생지 | 대한제국 평안남도 용강군 |
사망일 | 1982년 4월 25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 서대문구 봉원동 자택 (고혈압으로 사망)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드루 대학교 대학원 |
종교 | 유교(성리학) → 개신교(감리회) |
배우자 | 이태영 |
친인척 | 정호준(손자) 심상준(사돈) |
자녀 | 1남 3녀 (장녀 정선숙, 차녀 정진숙, 3녀 정미숙, 외동아들 정대철) |
부모 | 정기찬(부), 하은총(모) |
직책 | |
직책 | 대한민국 제6대 외무부 장관 |
임기 | 1960년 8월 23일 ~ 1961년 5월 20일 |
대통령 | 윤보선 대통령 |
총리 | 장면 국무총리 장도영 내각수반 |
의장 | 장도영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
차관 | 우희창 외무차관 김용식 외무차관 김재순 외무차관 김영주 외무차관 직무대행 임시서리 |
부의장 |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부의장 |
경력 | |
경력 | 고려대학교 초빙교수 연희대학교 전임강사 8선 국회의원(前 제2·3·4·5·6·7·8·9대 국회의원(지역구: 종로구·중구) 신민당 고문 |
정당 | |
정당 | 신민당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정일형, 이태영 기념사업회 |
2. 생애
정일형은 평안남도 용강군 또는 서울에서 태어났다.[1] 1919년 3·1 운동 당시 평양에서 경찰에 구금되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발행한 독립신문을 배포한 혐의로 다시 구금되었다.[2] 1927년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1929년 미국으로 건너가 신학을 전공하면서 재미유학생회를 조직하여 외교부장을 역임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자금 모금에 힘썼다. 1935년 뉴저지주 드루 대학교(Drew University)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36년 귀국하였으나, 안창호의 특별 강연회를 개최했다는 이유로 투옥되었다. 1938년에는 흥사단 관련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구금되었고, 1940년에는 창씨개명과 신사참배 거부 운동으로 서대문경찰서에서 고문을 당했다.[2] 1945년 해방 후에는 한국민주당에 참여하여 미군정청(在朝鮮美國陸軍司令部軍政廳)의 인사행정처장과 물자행정처장을 역임하였다.
대한민국 수립 후에는 UN 총회 한국 대표단 고문, UN 한국협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1950년 제2대 총선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같은 해 부산에서 대한통신사를 설립하여 사장을 역임하였다. 1955년 민주당 결성에 참여하였고, 이듬해 민주당 외교부장을 역임하였다.[6]
1960년 4·19 혁명 이후 장면 정권에서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였고, 1965년 한일기본조약에 반대하여 의원직을 사퇴하였다.[6] 1966년 신한당 고문, 1967년 신민당 부총재, 1969년 3선개헌반대범국민투쟁위원회 지도위원, UN 총회 한국 대표, 국토통일원 고문 등을 역임하였다.
1971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신민당 선거대책본부장으로 김대중의 선거사무장을 맡아 지원하였다. 1974년 신민당 고문, 1975년 통일연구협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1976년에는 박정희 정권의 유신 헌법을 비판하는 3·1 민주구국선언에 서명하여 국회의원 자격을 상실하였다. 1978년 제10대 총선에서는 자격 정지로 인해 아들 정대철에게 선거구를 양보하고 정계를 은퇴하였다.
이 외에도 조선감리회 목사[5], 민주당 서울시당 위원장·중앙당 기획위원회 의장·지도위원, 신민당 기획위원·서울 제2지구당 위원장·당수 권한대행, 국회 외무위원장, 연세대학교와 중앙신학교 교수·학장을 역임하였다.[6][1]
1982년 4월 23일 서울 서대문구 자택에서 고혈압으로 사망하였다. 향년 79세.[7]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고, 부인 이태영 여사도 1998년 사망 후 합장되었다. 아들 정대철은 이후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을 역임하였다.[2]
2. 1. 생애 초기
정일형은 평안남도 용강군 또는 서울에서 태어났다.[1] 1919년 3·1 운동 당시 평양에서 경찰에 1주일간 구금되었고,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발행한 독립신문을 배포한 혐의로 다시 구금되었다.[2] 1927년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1929년 미국으로 건너가 신학을 전공하면서 재미유학생회를 조직하여 외교부장을 역임하고, 조선 독립운동을 위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자금을 모금하였다. 1935년 뉴저지주 드루 대학교(Drew University)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936년 귀국하였으나, 안창호의 특별 강연회를 개최했다는 이유로 투옥되었다. 1938년에는 흥사단 관련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구금되었고, 1940년에는 창씨개명과 신사참배 거부 운동으로 서대문경찰서에서 고문을 당했다.[2]
2. 1. 1. 출생과 유년기
정일형은 평안남도 용강군에서 아버지 정기찬과 어머니 하은총의 아들로 출생하였으며 3대 독자였다. 황해도 안악군 장연면 저도리와 한성부 마포 지역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한성부에서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슬하에서 성장했다. 1910년 평안남도 진남포 삼존보통학교에 입학했다. 삼존보통학교 재학 중 기독교 신자가 되었다.이후 1911년 평안남도 진남포 집성보통학교에서 배우다가 1912년 황해도 수안공립보통학교로 전학했다. 1916년 평안남도 진남포 삼숭보통학교를 졸업하고(1914년 전학 및 1916년 졸업) 평안남도 평양 광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가 졸업했다. 그 후 교회에 취직하여 종지기 등으로 생활하면서 1922년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했다. 한편 그의 어머니도 평양 여자 고등성경학교 사범과를 졸업하고 진남포의 덕동 교회에서 시무하였다.
2. 1. 2. 초기 활동
1919년 3·1 운동 당시 평양에서 경찰에 1주일간 구금되었고,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발행 독립신문을 배포한 혐의로 다시 구금되었다.[2] 1927년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감리교 총리원 교육국에서 근무했다. 1929년 미국으로 건너가 신학을 전공하면서 재미유학생회를 조직하여 외교부장을 역임하고, 조선 독립운동을 위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자금을 모금하였다.[2] 1935년 미국 뉴저지주 드루대학교(Drew University)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36년에는 드루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귀국 후 평양지역의 근로자들이 많은 공장지대에 신리교회를 개척하여 사회적인 활동을 펼치고자 하였다. 그러던 중 감리교총리원에서 주최하는 금강산 외금강 수양회 강사로 참가하여 이태영을 만났다. 1936년 외가쪽 인척인 이윤영의 주례로 이태영과 결혼하였다. 이윤영의 처 이마대는 정일형의 어머니와 4촌간이었다. 그러나 해방 후 이윤영은 이승만의 정치 노선을 지지함으로써 거리가 다소 멀어지게 된다. 1936년 귀국하였으나, 안창호의 특별 강연회를 개최했다는 이유로 투옥되었다.[2] 1937년 연희전문학교의 교수로 초빙된 후, 연희전문학교와 숭실전문학교, 감리교 중앙신학교 등에서 교수 및 학장으로 재직했다. 1938년에는 흥사단 관련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구금되었고, 1940년에는 창씨개명과 신사참배 거부 운동으로 서대문경찰서에서 고문을 당했다.[2]
2. 2. 광복 직후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다.[1] 9월 송진우, 김성수, 장덕수, 조병옥, 윤보선 등과 한민당 창당에 참여하였고,[1] 10월 미군정청 주둔 후 미군정청 인사행정처장과 물자행정처장을 역임하였다.[1]1946년 12월 27일부터 미군정청 내 한인 직원 협의회인 미군정청 조선인 위원회 위원장을 겸하였다. 1947년 7월 9일 충청남도지사로 부임하여 4개월간 재직했고, 그해 11월 다시 군정청으로 복귀하여 물자행정처장이 되었다.
이후 이승만의 단독정부 수립론과 중도파의 좌우합작론이 나올 때 이승만을 지지하였다. 1947년 12월부터 나온 남북협상론에 대해서도 이승만 지지를 선언하였다.
군정청이 과도정부로 변하면서 과도정부 물자행정처장이 되고, 1948년 1월 4일부터 남조선과도정부의 과도정부직원조정위원회 위원장을 겸임하였다. 2월 9일에는 군정청 공무원후생행정처장이 되었다. 4월 9일 3.8도선 이북 주민들의 선거 편의를 위해 조직된 이북인중앙선거위원회의 위원이 되었고, 같은 날 명제세가 위원장, 정일형과 한근조는 공동 부위원장으로 위촉되었다. 8월 15일 남조선과도정부의 역할이 종료되고 미군정이 철폐되면서 과도정부 공무원후생행정처장 겸 과도정부직원조정위원회 위원장직에서 해임되었다.
1947년 7월 초 정부수립축하 국민위원회가 조직되자 사무장에 임명되었다.
2. 3. 정치 활동
1948년 8월 15일 정부 수립 후, 1948년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3차 유엔 총회에 대한민국의 유엔 승인을 위한 한국 대표단의 일원으로 장면(단장), 장기영, 김활란, 조병옥 등과 함께 참석하였다.[8] 정일형은 구미지역파견 친선사절로 활약하였으며, 1949년 유엔한국협회 회장에 취임하여 1960년까지 재직하였다.1949년 1월 12일 귀국했다가 그해 2월 다시 미소 양군 철수에 대한 UN회의에 대통령 부특사(副特使)로 임명되어 UN 회의장을 다녀왔다. 같은 해 2월 제3대 대한육상경기연맹 회장에 선출되어 4월까지 재직했다.
1949년 11월 한민당이 대한국민당 탈당파와 연합, 민주국민당을 창당하자 이에 참여하였다.
1950년 5월 서울 중구에서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뒤, 9대 국회까지 8선 의원을 지냈다. 1950년 2대 국회 외무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였고, 임시수도 부산에서 대한통신사를 창립, 사장에 취임하였다. 1956년 이후 민주당에 속하여 중앙당 섭외부장[9]을 거쳐 외교부장을 지냈다. 1954년 12월 뉴델리 밀회 조작사건 직후, 그의 집에 북조선 인민위원회 최고위원회 명의로 된 남북협상을 호소하는 촉구문이 투입되기도 했다.[10]
2. 3. 1. 제2공화국과 야당 정치인
1960년 4·19 혁명 이후 장면 내각에서 외무부 장관으로 기용되었다. 같은 해 12월 10일에는 양유찬의 대북 서울 회담 제의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11] 12월 24일에는 해임 후에도 귀국하지 않고 타국에서 직장을 구해 국가 위신을 추락시키는 해외 공관장들에게 강력한 소환 명령을 내렸다. 여기에는 양유찬(전 주미 대사), 손원일(전 주독 대사), 유태하(전 주일 대사) 등이 포함되었으며, 소환 불응 시 강제 송환을 포함한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임을 밝혔다. 정일형 장관은 "괴뢰들이 통한안(統韓案)으로서 유엔에 제출한 남북문화 경제교류, 유엔 감시하 총선거 반대, 미군철수 등 주장은 매년 상투적으로 되풀이하는 선전술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12]그러나 정일형은 장면의 직계와 관계가 원만하지 못했고, 5.16 군사정변 발생 당시 장면은 그를 박정희의 배후로 의심하기도 했다.[13]
2. 3. 2. 유신 체제와 민주화 운동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에 관한 조약 비준에 반대하여 의원직을 사퇴한 후, 정일형은 계속 야당에 소속되어 활동하였다. 1966년 신한당(新韓黨) 고문, 1967년 신민당 부총재를 역임하였다. 1969년 삼선개헌반대범국민투쟁위원회 지도위원으로 참여하였고, 유엔총회 한국대표, 국토통일원 고문으로 추대되었다.[6][1]1971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신민당 대통령 후보 김대중의 선거사무장을 맡아 선거대책본부장으로 활동했다. 1974년 신민당 고문, 1975년 통일연구협회 회장에 취임하였다.[6]
1976년 3월 유신정치에 반대하는 '3·1명동사건'에 연루되어 구속되면서 국회의원직을 상실하고 공민권까지 박탈당하였다.[6]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선거에는 자격정지로 입후보하지 못하고 아들 정대철에게 선거구를 물려주어 당선시켰다.[6] 1979년 10ㆍ26사태 이후 복권되었다.[1]
2. 4. 사망
1980년 초부터 투병생활을 하였으며, 5·18 광주 민주화 운동과 전두환 신군부가 조작한 내란음모 사건 재판으로 사형선고를 받은 김대중의 구명을 호소하기도 했다. 그는 병석에서도 김대중을 반복했다고 한다. 이후 계속 병석에 누워 있어 정계 활동은 중단되었다.1982년 3월 1일 오래 앓던 고혈압이 악화되어 서울대학교 대학병원에 입원했으나 치료하지 못하고 4월 초 퇴원하였다. 1982년 4월 23일 서울 서대문구 봉원동 자택에서 고혈압으로 사망했다. 장례는 사회장으로 치러졌으며,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유공자 묘역에 안장되었다.[7] 4월 27일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무궁화장에 추서되었다. 1990년 일제 강점기 동안의 독립 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3. 학력
4. 저서
- 《UN과 한국》
- 《국제연합독본》
- 《유엔의 설립과 업적》
- 《오직 한길로》
- 《UN과 한국 문제》(1961년)
- 《정일형 박사 자서전》(1970년)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내 | 이태영 | 1914년 8월 10일 | 1998년 12월 17일 | 변호사 |
아들 | 정대철 | 1944년 1월 4일 | 국회의원 | |
딸 | 정미숙 | 1942년 | 한국가구박물관 관장 | |
사위 | 심철 | 1940년 | 심상준의 아들 | |
사돈 | 심상준 | 1917년 | 1991년 | 기업가, 성락원 장주 |
장인 | 이흥국 | 1896년 | 1915년 | |
장모 | 김흥원 | 1896년 | ? |
6.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50년 | 총선 | 무소속 | 11,982표 (51.53%) | 1위 | 당선 | 초선 |
1954년 | 총선 | 무소속 | 4,090표 (20.55%) | 1위 | 당선 | 재선 |
1958년 | 총선 | 민주당 | 18,344표 (65.92%) | 1위 | 당선 | 3선 |
1960년 | 총선 | 민주당 | 17,222표 (58.09%) | 1위 | 당선 | 4선 |
1963년 | 총선 | 민주당 | 19,278표 (33.37%) | 1위 | 당선 | 5선 |
1967년 | 총선 | 신민당 | 27,361표 (50.80%) | 1위 | 당선 | 6선 |
1971년 | 총선 | 신민당 | 28,685표 (58.65%) | 1위 | 당선 | 7선 |
1973년 | 총선 | 신민당 | 33,183표 (24.94%) | 2위 | 당선 | 8선 |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4-06-26
[2]
웹사이트
[한국의 정치명가⑦]항일·민주화의 동지 정일형-이태영 부부 일가
https://mobile.newsi[...]
2016-12-27
[3]
웹사이트
[한국의 로펌] 김.장.리 (上-1) 법조 명문가 명성
https://m.mk.co.kr/n[...]
2001-11-20
[4]
웹사이트
200년 만에 공개된 성락원…한국가구박물관이 관리하는 이유는
https://www.hankyung[...]
2019-04-27
[5]
웹사이트
布敎屆
https://db.history.g[...]
1936-11-18
[6]
간행물
정일형 (鄭一亨)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7]
뉴스
鄭一亨(정일형)박사 別世(별세)
https://newslibrary.[...]
1982-04-24
[8]
뉴스
歷代유엔總會韓國代表團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2-08-08
[9]
서적
해방후 정치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9
[10]
서적
한국민족주의의 탐구
한길사
2006
[11]
뉴스
평화선해결과 경제협력무관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0-12-11
[12]
뉴스
해임된 공관장 조속귀국명령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0-12-24
[13]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