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키나와현 위령의 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키나와현 위령의 날은 1945년 오키나와 전투에서 사망한 이들을 기리는 날로, 매년 6월 23일이다. 1961년 류큐 정부에 의해 공휴일로 지정되었고, 1972년 일본 반환 후 공휴일 지위를 잃었으나, 1991년 현 정부에 의해 다시 부활했다. 오키나와 전투 최고 지휘관의 자결 날짜 논란으로 인해 날짜가 변경되기도 했다. 오키나와 전몰자 추도식이 열리며, NHK에서 중계한다. 위령의 날 휴일 폐지 논쟁이 있었지만, 현민들의 반대로 휴일로 유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키나와현의 정치 - 류큐 독립운동
    류큐 독립운동은 류큐 민족이 일본으로부터 독립을 추구하는 운동으로, 역사적 배경과 미군 기지 문제, 경제적 불평등, 민족 정체성 문제 등이 작용하고 있으며, 독립 지지율은 높지 않지만 자치권 확대 요구가 있고 중국의 개입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 오키나와현의 정치 - 가리유시 클럽
    가리유시 클럽은 류큐 독립을 주장하는 일본의 정치 단체로, 류큐 독립당으로 창당 후 재건되어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류큐 독립 관련 활동과 센카쿠 열도 영유권 주장, 동아시아 독립 운동 지지 등의 입장을 표명한다.
  • 오키나와 전투 - 오에 겐자부로
    일본의 소설가이자 에세이스트인 오에 겐자부로는 장애를 가진 아들의 탄생을 계기로 개인적 고뇌와 사회적·정치적 문제를 결합한 작품들을 발표하며 세계적인 작가로 성장, 199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고 평화주의 및 반핵 운동에도 참여했다.
  • 오키나와 전투 - 야하라 히로미치
    야하라 히로미치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오키나와 전투에서 일본군 참모로서 지구전을 지휘하여 미군의 진격을 늦추는 데 기여했지만, 오키나와 주민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초래했다는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6월의 기념일 - 포르투갈의 날
    포르투갈의 날은 포르투갈 국민 시인 루이스 드 카몽이스의 사망일인 6월 10일을 기념하는 국경일이며, 《루지아다스》를 저술한 카몽이스를 기리고 전 세계 포르투갈 이민자들을 포함하여 기념한다.
  • 6월의 기념일 - 현충일
    현충일은 대한민국에서 매년 6월 6일에 국가를 위해 희생한 군인과 민간인을 추모하는 국가기념일로, 한국 전쟁 전사자 추모를 위해 제정된 '현충 기념일'에서 유래되었으며 독립운동 희생자 등 국가 유공자까지 추모 대상을 확대하여 전국적으로 묵념과 추모식을 거행한다.
오키나와현 위령의 날
개요
이름오키나와 위령의 날
로마자 표기Irei no Hi
일본어 표기慰霊の日
의미전몰자들을 위로하고 추모하는 날
종류지역 공휴일
기념
중요성오키나와 전투에서 희생된 사람들을 기림
날짜6월 23일
빈도매년
시행
대상오키나와현
기타
관련 행사추모식
묵념

2. 역사

오키나와 전투에서 일본군과 주민들이 오키나와 남부로 밀려난 끝에, 1945년 6월 22일 또는 6월 23일에 최고 지휘관인 우시지마 미쓰루조 이사무가 자결하면서 조직적인 전투가 종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16년 후인 1961년, 당시 미국 점령 하에 있던 류큐 정부는 '위령의 날'을 제정하여 공휴일로 삼았다. 이는 오키나와 전투에서 사망한 이들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처음에는 날짜가 6월 22일로 정해졌으나[4][5], 이후 1965년에 현재와 같이 6월 23일로 변경되었다[7].

1972년 오키나와 반환으로 오키나와현이 일본에 복귀하면서 '위령의 날'은 일본의 공휴일로서의 법적 지위를 잃었다. 그러나 1974년, 오키나와현은 "오키나와현 위령의 날을 정하는 조례"를 제정하여 6월 23일을 다시 '위령의 날'로 공식 지정했다. 이 조례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오키나와의 참혹한 피해를 기억하고 항구적인 평화를 추구하며 전몰자를 위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7]. 이후 1991년에는 현 조례에 의해 다시 일본의 공휴일과 같이 취급되는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아키히토 상황은 1981년 8월, "일본에서는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이 4가지 있다고 생각합니다. 종전 기념일, 히로시마 원폭의 날, 나가사키 원폭의 날, 그리고 6월 23일 오키나와 전투 종결일입니다"라고 언급하며 오키나와 위령의 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9]. 이 '잊어서는 안 되는 4일'은 나루히토 천황 시대에도 궁내청 웹사이트에 게재되어 있다[10].

2. 1. 제정 배경

오키나와 전투에서 일본군과 주민들은 오키나와 남부로 밀려났으며, 1945년 6월 22일 또는 23일에 최고 지휘관인 우시지마 미쓰루 중장조 이사무 참모장이 자결하면서 조직적인 전투가 종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16년 후인 1961년, 당시 미국 점령 하에 있던 류큐 정부는 오키나와 전몰자 위령 봉찬회의 진정을 받아들여 '위령의 날' 제정을 추진했다. 봉찬회는 제32군 사령관 우시지마 미쓰루와 조 이사무 참모장이 자결하여 조직적 전투가 끝난 6월 23일을 기념일로 지정할 것을 요청했다[3]. 그러나 류큐 정부 입법원은 '주민의 축제일에 관한 입법' 심의 과정에서 논의 끝에 6월 '''22일'''을 '위령의 날'로 제정[4][5]했고, 이는 1961년 7월 24일에 공포 및 시행되어 공휴일로 지정되었다[6].

하지만 사령관 자결 날짜에 대한 논란(22일설과 23일설)이 계속되었고, 1965년 3월, 류큐 정부 입법원은 행정법무위원회의 재조사를 거쳐 대장성 관방 조사과 발행 자료 등을 근거로 '위령의 날'을 현재의 6월 23일로 변경하는 개정안을 통과시켰다[7].

1972년 오키나와 반환으로 오키나와현이 일본에 복귀하면서, '위령의 날'은 일본 국내법상 공휴일로서의 법적 지위를 상실했다. 그러나 1974년, 오키나와현은 '오키나와현 위령의 날을 정하는 조례'를 제정하여 6월 23일을 다시 '위령의 날'로 공식 지정했다. 조례 제1조는 "우리 현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많은 고귀한 생명, 재산 및 문화적 유산을 잃었던 냉엄한 역사적 사실을 깊이 받아들여 이를 엄숙히 받아들이고, 전쟁으로 인한 참화가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인류 보편의 소망인 항구적 평화를 희구함과 동시에 전몰자의 영을 위로하기 위해 (조례 제1조)"라고 제정 이유를 밝히고 있다[7]. 이후 1991년, 오키나와현 및 시정촌 조례에 의해 '위령의 날'은 다시 일본의 공휴일과 동일하게 취급되는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전몰자 추도식'의 전야제와 추도식 당일 오전에 열리는 평화 기원 위령 대행진도 마찬가지로 열린다[8].

아키히토 상황은 생전 쇼와 천황이 방문하지 못했던 오키나와에 대한 강한 애착을 보였으며, 1981년 8월에는 "일본에서는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이 4가지 있다고 생각합니다. 종전 기념일, 히로시마 원폭의 날, 나가사키 원폭의 날, 그리고 6월 23일 오키나와 전투 종결일입니다"라고 언급하며 '위령의 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9]. 이 '잊어서는 안 되는 4일'은 나루히토 천황 시대에도 궁내청 웹사이트에 게재되어 있다[10].

한편, 사령부가 괴멸되어도 이를 통보받지 못한 병사들이 저항을 계속했기 때문에, 산발적인 전투는 사령부 자결일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이 때문에, 위령의 날을 사령관 자결의 날로 정하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입장도 있다. 예를 들어 오키나와시에서는, 위령의 날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한편, 같은 해 9월 7일에 항복 문서에 조인한 것을 계기로, 이날을 "오키나와 시민 평화의 날"(시민 평화의 날)로 정하고 있다. 이쪽은 기념일 취급이며, 공휴일 취급은 아니다.

2. 2. 날짜 변경 논란

오키나와 전투에서 일본군 최고 지휘관인 우시지마 미쓰루조 이사무가 자결한 날을 기준으로 위령의 날이 정해졌다. 이들의 자결 시점에 대해서는 1945년 6월 22일이라는 설과 6월 23일이라는 설이 대립하며, 어느 쪽이 실제 날짜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류큐 정부는 당초 위령의 날을 6월 22일로 제정했으나, 이러한 논란 속에서 이후 6월 23일로 변경하였다. 현재 오키나와현은 조례를 통해 위령의 날을 6월 23일로 공식 지정하고 있다.

그러나 사령부가 괴멸된 이후에도 이를 통보받지 못한 병사들의 산발적인 저항은 계속되었기 때문에, 사령관의 자결일을 조직적 전투 종결일이자 위령의 날로 삼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오키나와시에서는 위령의 날과는 별도로, 1945년 9월 7일에 항복 문서 조인이 이루어진 것을 기념하여 이날을 "오키나와 시민 평화의 날"(시민 평화의 날)로 지정하고 있다. 이 날은 기념일일 뿐 공휴일은 아니다.

3. 오키나와 전몰자 추도식

'''오키나와 전몰자 추도식'''(오키나와 젠센보쓰샤 추이토시키)은 매년 6월 23일 이토만시 마부니의 오키나와 평화기념공원에서 열리는 오키나와 전투 등의 전몰자를 위령하는 식전이다.

3. 1. 개요

오키나와 전투 막바지에 일본군과 주민들은 오키나와 남부로 밀려났고, 1945년 6월 22일 또는 23일에 최고 지휘관인 우시지마 미쓰루조 이사무가 자결하며 조직적인 전투가 끝났다.

일본 점령 기간인 1961년, 당시 류큐 정부는 오키나와 전투에서 희생된 이들을 추모하고 평화를 기원하기 위해 '오키나와 위령의 날'을 공휴일로 지정했다. 1972년 오키나와가 일본에 반환되면서 공휴일로서의 지위를 잃었지만, 1991년 오키나와현 조례에 의해 다시 현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현재 오키나와에서는 일본의 공휴일과 같이 취급된다.

오키나와 전몰자 추도식의 모습 (2023년)


매년 6월 23일에는 '''오키나와 전몰자 추도식'''(ja)이 이토만시 마부니에 위치한 오키나와 평화기념공원에서 열린다. 이 추도식은 '오키나와 위령의 날'이 공휴일로 지정된 이듬해인 1962년부터 류큐 정부 주최로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공원 내 마부니 언덕에서 열렸다. 현재는 오키나와현이 주최하며, 각 시정촌, 오키나와 유족 연합회, 오키나와 전몰자 위령 봉찬회, 오키나와 외지 귀환자 협회, 오키나와 상병군인회 등이 후원하고, 오키나와 지역 신문사와 방송국들이 협찬한다.

1978년 10월 1일 같은 공원 부지 내에 오키나와 평화기념당이 건립된 이후로는 이곳에서 추도식이 거행되고 있다. 추도식 당일에는 평화기념공원 내에 있는 오키나와현 평화기념자료관과 히메유리 평화기념자료관을 무료로 개방한다.

3. 2. 식순

식전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 개회

# 식사

# 묵념

# 추도사

# 헌화

# 평화 선언

# 평화의 시 낭독

# 내빈 인사

# 폐회

3. 3. 중계



오키나와 전몰자 추도식은 NHK를 중심으로 중계된다. NHK 오키나와 방송국은 지역 편성으로 추도식을 생중계해왔으며, 2008년부터는 정오 NHK 뉴스에 이어 전국으로 방송하고 있다. 오키나와현 내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들은 정규 방송을 중단하고 생중계하는 대신, 저녁 지역 뉴스에서 특집으로 추도식 소식을 다룬다.
방송사별 중계 현황

방송사매체중계 방식 및 시간
NHK종합 텔레비전11시 50분경부터 오키나와 및 규슈 지역 생중계 시작 후, 정오 뉴스 이후 전국 생중계로 전환 (시작 시간은 요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예: 평일 12:25, 주말 12:15)[9]
NHK라디오 제1방송12:20부터 13:00까지 전국 생중계
류큐 방송 (RBC)텔레비전『JNN 뉴스』 지역 뉴스 시간대에 중계
류큐 방송 (RBC)RBCi 라디오보도 특별 프로그램 "오키나와 전몰자 추도식 위령의 날에 평화를 염원하다" (11:55~)
오키나와 텔레비전 (OTV)텔레비전『FNN Live News days』 스트레이트 뉴스 시간대에 중계
오키나와 텔레비전 (OTV)유튜브오나가 타케시 현지사 재임 이후부터 자체 채널에서 생중계 실시
류큐 아사히 방송 (QAB)텔레비전ANN 뉴스 지역 뉴스 시간대에 중계
니혼 TV NEWS24텔레비전 (CS)NNN 계열국을 통해 생방송 (오키나와현에는 NNN 계열 방송국 없음)


인터넷 중계

3. 4. 연표


  • 1967년: 여야 국회의원들이 추도식에 참석하기 시작했다. 중의원에서 5명[19], 참의원에서 4명[20]이 참석했다.
  • 1990년: 당시 내각총리대신 가이후 도시키가 현직 총리로는 처음으로 추도식에 참석했다[1]. 이후 현직 총리가 참석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 2003년: 당시 내각총리대신 고이즈미 준이치로는 임기 중 오키나와를 방문했음에도 추도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 2020년: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추도식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다. 다마키 데니 오키나와현 지사는 참석자를 예년의 5,000명 규모에서 현내 거주자 160명으로 줄이고, 식전 시간도 단축한다고 밝혔다[21]. 또한, 아베 신조 당시 내각총리대신의 참석을 요청하지 않아[22], 2003년 고이즈미 총리 이후 17년 만에 현직 총리가 불참했다.

3. 5. 논란

오키나와 전몰자 추도식은 매년 열리는 행사이지만, 몇 차례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2015년 추도식에서는 내빈으로 참석한 당시 총리였던 아베 신조야유를 받았다. 당시 일본 국회에서는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일부 허용하는 내용의 안전 보장 관련법이 심의 중이었는데, 이에 반대하는 일반 참례자들이 아베 총리의 연설 도중 야유를 보낸 것이다. 이러한 야유는 이후 히로시마 평화 기념식나가사키 평화 기원식에서도 이어졌으며, 2019년까지 여러 추도식에서 반복되는 일이 되었다.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식전 규모가 축소되면서 잦아들었다.

2016년에는 당시 오키나와현 지사였던 오나가 타케시 역시 야유를 받았다. 이는 후텐마 비행장의 헤노코 이전과 관련하여 오나가 지사가 캠프 슈워브 인근 해역의 매립 승인을 취소한 것에 대한 반발로 추정된다.

2020년에는 추도식 장소 변경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오키나와현은 추도식 장소를 기존의 오키나와 평화기념공원 내 '평화의 초석' 앞 광장에서 같은 공원 내에 있는 국립 오키나와 전몰자 묘원으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유족회는 특별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일부 대학 교수, 평화 운동가, 전직 교원 조합 관계자 등이 강하게 반발했다. 이들은 '평화의 초석'이 군인과 민간인을 구별하지 않고 희생자 개개인을 추모하는 의미를 지니는 반면, 국립 오키나와 전몰자 묘원은 태평양 전쟁에서 국가를 위해 싸우다 숨진 군인을 미화하고 '순국'을 인정하는 성격이 짙다고 일제히 비판했다. 특히 오키나와 국제대학 명예교수이자 반미군기지 활동가인 이시하라 마사이에 등은 "오키나와 전몰자 추도식의 방식을 생각하는 현민의 모임"을 결성하여 반대 운동을 벌였고, 결국 오키나와현은 장소 변경 계획을 철회하고 원래대로 '평화의 초석' 앞에서 추도식을 거행했다.

4. 평화의 초석

평화의 초석(Cornerstone of Peaceeng)은 오키나와 전투제2차 세계 대전 중 오키나와의 역할을 기념하기 위해 이토만시에 세워진 기념비이다. 이 기념비에는 24만 명이 넘는 사망자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기념비는 오키나와 전투 50주년과 제2차 세계 대전 종전을 기념하여 1995년 6월 23일 오키나와 마부니에서 공개되었다. 건립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전쟁에서 사망한 사람들을 기억하고 평화를 기원
  • 전쟁의 교훈을 전달
  • 명상과 배움의 장소로 기능


평화의 초석이 위치한 곳은 오키나와 평화기념공원(Okinawa Peace Park)이라고도 불린다. 매년 6월 23일 오키나와현 위령의 날에는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추도식이 열린다.

5. 휴일

오키나와현 위령의 날(6월 23일)은 일본의 국민의 축일에 관한 법률에 따른 법정 공휴일은 아니다. 하지만 오키나와현이 '오키나와현 위령의 날을 정하는 조례'[35]를 통해 지정한 날로, 오키나와 전투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조례에 따라 오키나와현과 현 내 시정촌 및 그 산하 기관(현청, 시청, 정촌 사무소, 공립 학교 등)은 원칙적으로 이날 휴무한다.[35] 비록 법정 공휴일은 아니지만, 오키나와 내에서는 공휴일과 유사하게 인식되고 있다.

5. 1. 경위

오키나와 전투에서 일본군과 주민들은 오키나와 남부로 밀려났고, 1945년 6월 22일 또는 23일에 최고 지휘관인 우시지마 미쓰루조 이사무가 자결하며 전투가 사실상 종결되었다. 일본 점령 기간 중인 1961년, 류큐 정부는 '주민의 축제일에 관한 입법'(1961년 입법 제85호)에 따라 오키나와 전투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위령의 날을 공휴일로 지정했다.[1]

그러나 1972년 오키나와가 일본 본토에 복귀하면서 일본 본토의 법률인 국민의 축일에 관한 법률이 적용되었고, 이에 따라 류큐 정부 시대의 '주민의 축제일에 관한 입법'은 폐지되었다. 이로 인해 위령의 날은 법정 공휴일로서의 지위를 잃게 되었다.[1]

이후 오키나와현은 1974년 '오키나와현 위령의 날을 정하는 조례'(쇼와 49년 10월 21일 조례 제42호)를 공포하여 6월 23일을 다시 '위령의 날'로 정했다. 더 나아가 1991년에는 지방자치법 개정(4조의 2 제2항 3호)에 따라 오키나와현 및 현 내 시정촌들이 각각 휴일 조례를 통해 위령의 날을 공공기관의 휴일로 지정했다.[35] 현재 오키나와현 내에서는 위령의 날을 일본의 공휴일과 같이 취급하고 있다.

5. 2. 적용

1972년 본토 복귀 이전, 류큐 정부는 '주민의 축제일에 관한 입법' (1961년 입법 제85호)에 따라 위령의 날을 공휴일로 지정했다.[1]

그러나 1972년 본토 복귀 이후 일본 본토의 국민의 축일에 관한 법률이 적용되면서, 이 입법은 폐지되었다. 이에 따라 위령의 날을 포함한 류큐 정부 시대의 독자적인 '주민의 축제일'은 법령상 휴일에서 제외되었다.[1]

이후 1974년, 오키나와현은 '오키나와현 위령의 날을 정하는 조례' (1974년 10월 21일 조례 제42호)를 공포하여 6월 23일을 위령의 날로 다시 정했고, 그 후 1991년에 오키나와현 및 오키나와현 내의 시정촌이 지방자치법 4조의 2 제2항 3호에 근거한 각 휴일 조례[35]에 의해 위령의 날을 각 기관의 휴일로 정했다.

현재, 오키나와현과 그 기관(현청, 현립 학교·병원 등), 오키나와현 내의 시정촌과 그 기관(시청, 정촌(町村)사무소, 시정촌립 학교·병원 등)은 원칙적으로 휴일로 취급된다.

법령상으로는 어디까지나 지방공공단체에 속하는 기관의 휴일이며, 근거가 되는 조례에 대체 휴일에 대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해당일(6월 23일)의 달력이 일요일에 해당해도 다음 날은 대체 휴일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과거에는 교육 기관에 의해 그 다음 날도 휴일로 하는 사례도 존재했다.

더욱이, 도로 표지의 "휴일"은 국민의 축일에 관한 법률에 규정하는 휴일을 말한다. 따라서, 위령의 날은 이 "휴일"에 포함되지 않는다.

오키나와현에 소재하는 국가 기관(재판소 포함), 일반 민간 기업, 사립 학교나 보육원, 민간 병원 등에서는 휴업일로 할지 여부는 각 기업이나 기관의 개별 대응으로 결정된다.

국립대학법인인 류큐 대학이나 사립 오키나와 대학과 오키나와 국제 대학은 휴일 조례의 적용을 받지 않지만, 학년력에 따라 당일 수업에 대해 휴강으로 하고 있다. 금융 기관은 전국 규모로 기업 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이 평일로 취급된다. 대중교통기관에 대해서도 평일 운행, 토요 운행, 휴일 운행 중 어느 것으로 할지는 제각각이다. 자치체나 학교 등이 휴업하기 때문에 경유 루트를 변경하는 곳도 있다.

5. 3. 휴일 폐지 논쟁

1980년대 일본 본토에서 민간 기업을 중심으로 주 5일제 도입이 확산되면서, 1988년 개정된 노동기준법에 따라 완전 주 5일제 도입이 추진되었다. 이에 발맞춰 지방 자치법이 개정되어 지방 공공 단체의 휴일도 국가 기관과 맞추도록 의무화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1989년 6월 22일, 오키나와현 의회는 '위령의 날'을 휴일에서 제외하는 내용을 포함한 '오키나와현의 휴일을 정하는 조례'안을 제출했다.

이 조례안 심의는 현지 신문인 오키나와 타임스류큐 신보에서 연일 비중 있게 다루어졌고, 현 내에서는 거센 반발 여론이 일어났다. 주민들은 "법정 휴일이 없어지면 자녀, 손자들과 함께 '위령제'나 '평화 행진'에 참가할 수 없게 된다", "지방의 독자성을 부정하고 문화를 짓밟는 처사다"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혁신 정당을 비롯해 오키나와현 직원 노동 조합, 오키나와현 교직원 조합 등 노동 조합, 유족 연합회, 평화 운동가, 학자, 변호사 등 법조계 인사들도 반대 목소리를 높였으며, 현 내 각지에서 심포지엄과 집회가 열리는 등 반대 운동이 확산되었다.

당시 오키나와현 지사였던 니시메 쥰지는 이러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폐지 입장을 완강하게 고수했다. 반면, 현 의회 의원들은 여야를 막론하고 현민의 정서를 고려하여 '휴일 존속'으로 의견을 모았으나, 조례안은 의결되지 못한 채 계류되었다. 결국 1990년, 현 의회는 사상 처음으로 현 지사가 제출한 조례안을 '폐안' 처리하는 상황에 이르렀지만, 니시메 지사는 "철회할 생각이 없다"며 맞서 논의는 평행선을 달렸다.

그러나 1990년, 당시 총리였던 가이후 도시키가 역대 총리 중 처음으로 현 주최 '오키나와 전몰자 추도식'에 참석하여, 식후 기자회견에서 '특별 조치'로서 위령의 날을 종전대로 현 직원의 휴일로 존속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 발언을 계기로 니시메 지사는 기존의 입장을 바꿔 '휴일 존속'으로 방침을 전환하고, 도쿄로 가 오쿠다 노리카즈 당시 자치대신에게 협조를 요청했다.

같은 해 11월 치러진 오키나와현 지사 선거에서는 다른 정치적 쟁점들이 부각되었으나, 혁신계 후보이자 류큐 대학 명예교수인 오타 마사히데가 당선되었다. 이듬해인 1991년, 일본 국회 본회의에서 지방 자치법 제4조의 2 제1항 및 제4조 3항이 개정되었고, 이에 따라 오키나와현청도 관련 조례를 개정하여 위령의 날은 다시 오키나와현 및 현 내 시정촌 공공기관(현청, 현립 학교, 병원, 시청, 정촌사무소, 시정촌립 학교, 병원 등)의 공식적인 휴일로 지정되었다.[35]

현재 민간 기업의 경우, 현 내 지역 기업들은 관공서에 맞춰 휴일로 운영하는 곳이 많지만, 일본 본토에 본사를 둔 기업이나 외국계 기업들은 통상 근무일로 운영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6. 기타

아키히토 상황은 1981년 8월의 '어언'에서 "일본에서는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이 4가지 있다고 생각합니다. 종전 기념일, 히로시마 원폭의 날, 나가사키 원폭의 날, 그리고 6월 23일 오키나와 전투 종결일입니다"라고 언급했다[9]. 이 4일은 '잊어서는 안 되는 4일'로서 나루히토 천황으로 교체된 후에도 궁내청 웹사이트에 게재되어 있다[10].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 공고일이 위령의 날과 겹칠 경우, 혼란을 피하기 위해 공고일을 하루 앞당긴다. 예를 들어,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는 2016년 6월 23일에 공고될 예정이었으나, 위령의 날과 겹쳐 하루 앞당겨 6월 22일에 공고되었다. 마찬가지로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 또한 하루 앞당겨 2022년 6월 22일에 공고되었다.

참조

[1] 문서 1974年制定「沖縄県慰霊の日を定める条例」第1条
[2] 웹사이트 草むす慰霊碑、進む劣化 沖縄戦終結から77年 管理の難しさ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22-06-21
[3] 뉴스 慰霊の日ってどんな日? 沖縄県民なら誰もが知っているメモリアルデーには紆余曲折の歴史があった https://ryukyushimpo[...] 2018-06-23
[4] 문서 牛島と長の自決日で22日説を採用したため
[5] 문서 '{{see also|牛島満#最期|長勇#最期について}}'
[6] 문서 '[[#休日]]参照'
[7] 웹사이트 沖縄戦と慰霊の日 「慰霊の日」のはじまり https://www.archives[...] 沖縄県公文書館 2014-06-17
[8] 간행물 令和元年沖縄全戦没者追悼式の開催について https://www.pref.oki[...] 沖縄県庁 2019-06-07
[9] 웹사이트 沖縄慰霊の日を忘れてはならない。天皇陛下は、平和への願いを歌に込めた《沖縄戦73年》 https://www.huffingt[...] HuffPost 2018-06-23
[10] 웹사이트 皇室 ご公務など 行幸啓など(国内のお出まし) 戦没者慰霊 https://www.kunaicho[...] 宮内庁 2018-06-23
[11] 문서 沖縄県副知事
[12] 문서 沖縄県議会議長
[13] 문서 沖縄県遺族連合会会長
[14] 문서 沖縄県知事、[[沖縄県議会#正副議長|県議会議長]]、沖縄県遺族連合会会長、沖縄県平和記念財団会長、内閣総理大臣、衆参両院議長、[[沖縄及び北方対策担当大臣]]、[[厚生労働大臣]]、[[厚生労働副大臣]]、[[外務大臣]]、[[防衛大臣]]、[[沖縄及び北方問題に関する特別委員会#衆議院の歴代委員長|沖縄及び北方問題に関する特別委員会 衆議院委員長]]、[[日本遺族会|日本遺族会会長]]、沖縄協会会長、沖縄県選挙区選出衆参両院議員、[[沖縄総合事務局|沖縄総合事務局 局長]]、[[那覇地方裁判所|那覇地方裁判所所長]]、[[航空自衛隊]][[南西航空方面隊#主要幹部|南西航空混成団 司令]]、沖縄市長会会長、沖縄県市議会議長会会長、沖縄県町村会会長、沖縄県町村議会議長会会長、[[糸満市#行政・議会|糸満市長]]、沖縄県傷痍軍人家族の会会長、県内公立小・中・高校生代表、「平和の詩」朗読者、[[駐日米国大使]]、[[在沖米国総領事館#総領事(1972年 - )|在沖米国総領事館 総領事]]、在日米軍沖縄地域調整官
[15] 문서 沖縄県知事
[16] 문서 1990年(平成2年)から平和記念資料館が県内公立学校向けに平和に関する「図画・作文・詩」の創作意欲を掻き立てるため、募っており、「詩の部門」の各世代最優秀作品から選出した作品を読み上げる
[17] 문서 内閣総理大臣、衆参両院議長
[18] 문서 沖縄県副知事
[19] 문서 '[[木村武雄]]、[[勝沢芳雄]]、[[折小野良一]]、[[中野明]]、安井敬止(秘書課長補佐)'
[20] 문서 '[[徳永正利]]、[[大和与一]]、[[北条雋八]]、藤本茂夫(参事)'
[21] 뉴스 沖縄追悼式、規模縮小表明 知事「それぞれの場所で」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05-15
[22] 뉴스 「慰霊の日」の沖縄全戦没者追悼式 安倍首相の出席求めず 新型コロナ対応で沖縄県 https://www.okinawat[...] 2020-05-15
[23] 뉴스 「戦争屋 帰れ」安倍首相に罵声 沖縄全戦没者追悼式 https://ryukyushimpo[...] 2020-06-24
[24] 뉴스 式典中、首相にやじ https://www.chugoku-[...] 2015-08-07
[25] 뉴스 沖縄「慰霊の日」続く政治利用 「祈りの場なのに…」 https://www.sankei.c[...] 2019-06-23
[26] 뉴스 【沖縄戦没者追悼式】「帰れ!」「本当にそう思っているのか」 今年も首相に罵声やヤジ https://www.sankei.c[...] 2016-06-23
[27] 뉴스 沖縄慰霊の日式典 ことしは縮小開催 新型コロナ対策で 玉城知事「それぞれの場所で平和を誓って」 https://www.okinawat[...] 2020-05-15
[28] 뉴스 国立墓苑開催に賛否/有識者「殉国死を追認」■遺族会「違和感ない」/慰霊の日式典 再考求める動きも https://www.okinawat[...] 2020-05-23
[29] 뉴스 慰霊の日追悼式 なぜ場所変更 戦没者墓苑開催に賛否 https://ryukyushimpo[...] 2020-05-23
[30] 뉴스 沖縄戦体験「県職員に共有されず」 追悼式のあり方「県民の会」が勉強会 https://ryukyushimpo[...] 2020-06-15
[31] 뉴스 「殉国死の追認につながる」国立墓苑での開催を批判 慰霊の日、追悼式のあり方を考える会が発足 https://www.okinawat[...] 2020-05-27
[32] 뉴스 式典広場で開催を 沖縄戦没者追悼式 識者ら30人、知事に要請へ 琉球新報 2020年5月27日付 社会面 22頁
[33] 뉴스 「慰霊の日」の追悼式会場、例年通り沖縄平和祈念公園内で 200人以下での開催に見直し https://www.okinawat[...] 2020-05-29
[34] 뉴스 国立墓苑での慰霊祭「駄目との認識ない」 沖縄県が研究者らの異論に説明 https://ryukyushimpo[...] 2020-05-23
[35] 문서 例として沖縄市の休日を定める条例(平成3年8月6日条例第24号)
[36] 문서 さらに、国の法令上、12月29日 - 1月3日も含まれない(全国)
[37] 문서 国(訴訟を含む)に係る行政手続きの期限は、国(訴訟を含む)に係るものは慰霊の日は休日には含まれず、沖縄県と県内市町村に係るものは休日に含む場合がある。このように「当該休日の翌日」をもって、その期限の最終日とする扱いが異なる場合がある。
[38] 문서 土曜・日曜・[[国民の祝日に関する法律]]に規定する休日に当たる場合を除く
[39] 웹사이트 沖縄戦と慰霊の日 「慰霊の日」休日廃止問題 https://www.archives[...] 沖縄県公文書館 2014-06-17
[40] 뉴스 沖縄の休日「慰霊の日」がなくなる? 読売新聞 1989-06-30
[41] 뉴스 慰霊の日 「休日」存続に努力 那覇市議会 親泊市長が表明 戦争体験の語り継ぎに必要 琉球新報 1989-03-11
[42] 뉴스 消費税を見直して 那覇市議会が意見書可決 沖縄タイムス 1989-06-19
[43] 문서 [[西銘恒三郎]]([[衆議院議員]]、当時は[[沖縄自由民主党#沖縄自由民主党(第2次)|沖縄・自民党]]会派の県議会議員であった)の父。
[44] 문서 1974年制定「沖縄県慰霊の日を定める条例」第1条
[45] 웹인용 草むす慰霊碑、進む劣化 沖縄戦終結から77年 管理の難しさ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22-06-21
[46] 문서 沖縄市の休日を定める条例(平成3年8月6日条例第24号)
[47] 뉴스 慰霊の日ってどんな日? 沖縄県民なら誰もが知っているメモリアルデーには紆余曲折の歴史があった https://ryukyushimpo[...] 2018-06-23
[48] 웹인용 沖縄戦と慰霊の日 「慰霊の日」のはじまり https://www.archives[...] 沖縄県公文書館 2014-06-17
[49] 웹인용 沖縄慰霊の日を忘れてはならない。天皇陛下は、平和への願いを歌に込めた《沖縄戦73年》 https://www.huffingt[...] HuffPost 2018-06-23
[50] 웹인용 皇室 ご公務など 行幸啓など(国内のお出まし) 戦没者慰霊 https://www.kunaicho[...] 宮内庁 2018-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