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하시 유타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하시 유타카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코치로, 유격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아시아 대학을 졸업하고 1968년 드래프트 1순위로 도에이 플라이어스에 입단하여, 한큐 브레이브스에서 선수 생활의 황금기를 보냈다. 5년 연속 베스트 나인과 7년 연속 다이아몬드 글러브상을 수상하며 일본 야구를 대표하는 유격수로 이름을 알렸다. 1982년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변신하여 여러 프로 야구팀과 대만, 한국 프로팀에서 코치 및 감독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에이 플라이어스 선수 - 장훈
    장훈은 일본 히로시마 출신의 재일 한국인 야구 선수이자 해설가로, 일본 프로야구에서 최다 안타 기록과 3,000안타-500홈런-300도루라는 이례적인 기록을 보유했으며, 은퇴 후에는 해설가로 활동하며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대한민국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상했다.
  • 도에이 플라이어스 선수 - 백인천
    백인천은 중화민국 출신의 대한민국 야구 선수 및 감독으로, 일본과 한국에서 선수와 지도자로 활동하며, KBO 리그에서 1982년 최고 타율을 기록하고, LG 트윈스를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해설위원으로도 활동했다.
  • 한큐 브레이브스 선수 - 후쿠하라 미네오
    후쿠하라 미네오는 닛폰 통운 우라와 사회인 야구 선수에서 한큐 브레이브스 프로 야구 선수로 활동하며 1984년 퍼시픽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은퇴 후에는 일본과 한국 프로야구 구단에서 20년 이상 코치,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 활동했다.
  • 한큐 브레이브스 선수 - 모리 고타로
    모리 고타로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한큐군, 도큐 플라이어스, 니시닛폰 파이레츠 등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1941년 다승왕과 최고 승률을 석권하고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으며, 은퇴 후에는 사회인 야구팀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활동했다.
  • 일본 프로 야구 유격수 - 세이케 마사카즈
    세이케 마사카즈는 한신, 세이부, 야쿠르트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세이부 시절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으며 은퇴 후 여러 팀에서 코치 및 감독을 거쳐 현재 하나마우이 야구부 코치로 활동 중인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이다.
  • 일본 프로 야구 유격수 - 요시다 요시오
    요시다 요시오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한신 타이거스의 주전 유격수로 활약하며 뛰어난 수비와 공격 능력을 인정받아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고, 은퇴 후에는 한신 타이거스 감독을 맡아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으며 프랑스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도 활동했다.
오하시 유타카 - [인물]에 관한 문서
선수 정보
선수 이름오하시 유타카
한자 표기大橋 穣
로마자 표기Ohashi Yutaka
출생지東京都新宿区 (도쿄도 신주쿠구)
생년월일1946년 5월 29일 ()
신장176cm
체중78kg
수비 위치유격수
투구
타석
프로 입단 연도1968년
드래프트 순위1순위
첫 출장1969년 4월 12일
마지막 경기1982년 10월 5일
선수 경력
선수도에이 플라이어스(1969 ~ 1971)
한큐 브레이브스(1972 ~ 1982)
감독 및 코치 경력
감독 및 코치한큐 브레이브스·오릭스 브레이브스 (1983 ~ 1990)
주니치 드래건스 (1991 ~ 1992)
야쿠르트 스왈로스 (1993 ~ 2000)
주니치 드래건스 (2001 ~ 2003)
통이 라이언스 (2005 ~ 2007)
SK 와이번스 (2008)

2. 선수 시절

니혼 대학 제3 고등학교 시절 1학년 때 백업 내야수로서 여름 고시엔에 출전하여 8강에 진출했고,[4] 2학년 때는 추계 도쿄 대회에서 우승했다. 3학년 때 봄의 선발에 출전했지만 2회전에서 패했다.[5]

아시아 대학 진학 후 도토 대학 야구 리그 통산 83경기에 출전하여 274타수 69안타, 타율 0.252, 20홈런, 47타점을 기록했다. 베스트 나인에 4차례 선정되었고, 2학년 추계 리그전에서 팀의 첫 우승에 기여하여 최고 수훈 선수로 선정되었다. 3학년 추계 리그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제7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일본 대표로 선출되었다. 통산 20홈런은 당시 도토 대학 리그 신기록[1]이었지만, 1996년 이구치 타다히토에 의해 갱신(24홈런)되었다.

1968년 드래프트 1순위로 도에이 플라이어스에 입단했다.[1] 구마가이조에 내정되어 있었고, 재경 세 리그를 희망했기 때문에 당초에는 입단을 망설였다. 일본인을 능가하는 강한 어깨와 수비력을 인정받아 1969년부터 유격수 레귤러로 기용되었고, 전년도까지의 정규 유격수였던 오시타 다케시는 2루수로 컨버트되었다. 오시타와의 2루-유격 콤비는 완성도가 높았고, 오시타가 땅볼을 역싱글로 잡아 그대로 오하시에게 글러브 토스, 오하시가 1루로 송구해 아웃시키는 '스위치 토스'라고 불리는 플레이를 일본에서 처음으로 보여준 것은 도에이 시대의 오시타 - 오하시라고 전해진다.[7] 기대했던 타격은 부진하여 매년 홈런 7~8개, 타율 2할 전후를 기록했다.

1972년 한큐 브레이브스로 트레이드되었고(↔ 사카모토 도시조, 다네모 마사유키[2]), 1975년부터 1977년까지 3년 연속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끄는 등 한큐 황금 시대의 주전 유격수로 활약했다. 1972년부터 1976년까지 5년 연속 베스트 나인, 1972년부터 1978년까지 7년 연속 다이아몬드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1982년 시즌 후 은퇴했다.

2. 1. 니혼 대학 제3 고등학교와 아시아 대학 시절

니혼 대학 제3 고등학교 시절, 1학년 때 백업 내야수로서 여름 고시엔에 출전하여 8강에 진출했다.[4] 2학년 때는 추계 도쿄 대회에서 우승했고, 3학년 때 봄의 선발에 출전했지만 2회전에서 패했다.[5]

아시아 대학 진학 후, 도토 대학 야구 리그 통산 83경기에 출전하여 274타수 69안타, 타율 0.252, 20홈런, 47타점을 기록했다. 베스트 나인에 4차례 선정되었고, 2학년 때인 추계 리그전에서 팀의 첫 우승에 기여하여 최고 수훈 선수로 선정되었다. 3학년 때 추계 리그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같은 해 제7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일본 대표로 선출되었다. 통산 20홈런은 당시 도토 대학 리그 신기록[1]이었지만, 1996년 이구치 타다히토에 의해 갱신(24홈런)되었다.

2. 2. 도에이 플라이어스 시절 (1969년 ~ 1971년)

1968년 드래프트 1순위로 도에이 플라이어스에 입단했다.[1] 이 해 드래프트는 후에 프로에서 활약하는 선수가 많은 대풍작이었지만, 첫 번째 지명이었다. 구마가이조에 내정되어 있었고, 재경 세 리그를 희망했기 때문에 당초에는 입단을 망설였다. 일본인을 능가하는 강한 어깨와 수비력을 인정받아, 1년 차인 1969년부터 유격수 레귤러로 기용되었고, 전년도까지의 정규 유격수였던 오시타 다케시는 2루수로 컨버트되었다. 오시타와의 2루-유격 콤비의 완성도는 높았고, 오시타가 땅볼을 역싱글로 잡아, 그대로 오하시에게 글러브 토스, 그리고 오하시가 1루로 송구해 아웃시키는 '''''스위치 토스'''''라고 불리는 플레이를 일본에서 처음으로 보여준 것은, 도에이 시대의 오시타 - 오하시라고 전해진다.[7] 기대했던 타격은 부진하여, 홈런은 매년 7~8개를 기록했지만, 2할 전후의 낮은 타율에 시달렸다. 동료였던 장훈은 "특히 오하시는 발이 빠르고 어깨도 좋고 장타력도 있다. 그걸 다미야 겐지로 감독은 배트를 짧게 잡고 치게 했다. 길게 잡고 치게 했다면 홈런왕을 했을지도 모른다. 엄청난 소질이 있었는데 한큐로 트레이드해버렸다. 오하시의 가입으로 한큐는 더욱 강해졌다."[8]라고 말했다.

2. 3. 한큐 브레이브스 시절 (1972년 ~ 1982년)

1968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1순위로 도에이 플라이어스에 입단하여, 오시타 쓰요시를 2루수로 보내고 1년차부터 주전 유격수로 활약했다. 1972년 한큐 브레이브스니시모토 유키오 감독에 의해 다네모 마사유키와 함께 한큐로 트레이드되었다.(↔ 사카모토 도시조)[2]

1975년부터 1977년까지 3년 연속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끄는 등 한큐 황금 시대의 주전 유격수로 활약하며, 1972년부터 1976년까지 5년 연속 베스트 나인, 1972년부터 1978년까지 7년 연속 다이아몬드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1982년 시즌 후, 우에다 도시하루 감독의 젊은 선수 중심의 팀 재건 방침에 따라 은퇴했다.

3. 지도자 경력

오하시 유타카는 선수 은퇴 후 일본 프로 야구, 대만 프로 야구, 한국 프로 야구 팀에서 코치와 감독을 역임하며 지도자 경력을 쌓았다.

3. 1. 일본 프로 야구 코치 시절

1983년부터 1990년까지 한큐·오릭스에서, 1991년부터 1992년까지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1993년부터 2000년까지 야쿠르트 스왈로스에서, 2001년부터 2003년까지 다시 주니치에서 각각 수비·주루 코치와 2군 감독 등을 역임했다.[1]

연도소속팀직책
1983년 ~ 1990년한큐 브레이브스·오릭스 브레이브스2군 수비·주루 코치
1991년 ~ 1992년주니치 드래건스2군 수비·주루 코치
1993년 ~ 2000년야쿠르트 스왈로스2군 수비·주루 코치
2001년주니치 드래건스2군 코치
2002년 ~ 2003년주니치 드래건스2군 감독



한큐, 오릭스 코치 시절에 지도했던 부머 웰즈는 "수비에 관해서는 오하시 씨에게 배웠어요. 그분에게 배우면 누구든지 수비가 점점 더 좋아져요"라고 말했다.[11] 야쿠르트에서는 1군 코치 시절 우에다 한큐의 주특기였던 주루 전술 "'''갬블 스타트'''"를 전수했다. 야쿠르트는 1993년 일본 시리즈 7차전에서 오하시의 지도를 받은 후루타 아츠야가 3루에서 과감한 주루 플레이를 펼쳐 득점에 성공, 팀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이후 다시 호시노 센이치 감독의 요청으로 주니치에 복귀하여 2군 헤드 코치(2001년) 및 2군 감독(2002년 ~ 2003년)을 역임했다.[1]

3. 2. 해외 리그 감독 및 코치 시절

2005년부터 대만 프로 야구 팀인 통이 라이언스에서 감독을 맡았지만, 2007년 4월 성적 부진으로 인해 감독직에서 물러났다.[1] 2008년에는 KBO 리그 팀인 SK 와이번스에서 2군 수비 코치를 맡았고,[1] 2009년과 2010년에는 스프링 캠프부터 5월까지 SK의 임시 코치를 맡았다.[1]

4. 수상 및 타이틀 경력

5. 개인 기록

; 첫 기록


  • 첫 출장·첫 선발 출장: 1969년 4월 12일, 한큐 브레이브스 1차전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8번·유격수로 선발 출장[1]
  • 첫 안타: 1969년 4월 13일, 한큐 브레이브스 2차전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1회 초에 아다치 미츠히로로부터[1]
  • 첫 타점: 1969년 4월 19일, 니시테츠 라이온스 2차전 (고라쿠엔 구장), 1회 말에 카와하라 아키라로부터 적시타[1]
  • 첫 홈런: 1969년 5월 1일, 난카이 호크스 4차전 (고라쿠엔 구장), 5회 말에 하야시 토시히로로부터 좌월 2점 홈런[1]


; 기록 달성 경력

  • 1000경기 출장: 1977년 8월 5일, 긴테츠 버팔로스 후기 4차전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9번·유격수로 선발 출장 ※역대 193번째 (후쿠모토 유타카와 동시 달성)[17]


; 기타

  • 올스타전 출장: 3회 (1970년, 1973년, 1975년)[1]

5. 1. 첫 기록

5. 2. 기록 달성 경력

통산 1000경기 출장: 1977년 8월 5일, 대 긴테쓰 버펄로스 후기 4차전(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9번·유격수로 선발 출장(역대 193번째)[17]

5. 3. 기타

올스타전에 3회(1970년, 1973년, 1975년) 출장했다.[1]

6. 출신 학교

니혼 대학 제3 고등학교 1학년 때 백업 내야수로서 여름 고시엔에 출전했지만, 8강전에서 무라카미 키미야스가 있던 사이조 고등학교에 패했다.[4] 2학년 때는 동기 에이스 와카미야 히데오를 앞세워 추계 도쿄 대회에서 우승했고, 3학년 때 열린 봄의 선발 출전을 결정지었다. 선발에서는 2회전(첫 경기)에서 나미쇼에 패했다.[5] 고등학교 동기로는 외야수 고마츠 도키오, 1년 후배로 포수 이시즈카 마사지, 백업 투수 사토 미치로가 있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와세다 대학을 희망했지만[6], 아시아 대학에 진학하여, 도토 대학 야구 리그에서는 히가시야마 치카오・우치다 토시오 등과 함께 중심 타자로서 활약했다. 동기 에이스 모리나가 에츠히로를 앞세워, 2학년 때인 추계 리그에서 첫 우승에 기여, 최고 수훈 선수로 선정되었다. 3학년 때인 추계 리그에서는, 같은 동기인 니시오 토시유키(덴덴 주고쿠)의 호투도 있어서 2번째 우승을 장식했으며, 같은 해의 제7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일본 대표로 선출되었다. 리그 통산 83경기 출장, 274타수 69안타, 타율 0.252, 20홈런, 47타점. 베스트 나인 4회. 통산 20홈런은 당시 도토 대학 야구 리그 신기록[1]이었지만, 1996년, 아오야마가쿠인 대학 이구치 타다히토에 의해 갱신(24홈런)되었다. 이후 니치다이 무라타 슈이치가 20홈런을 기록하여 오하시와 함께 공동 2위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プロ野球人名事典 2003 日外アソシエーツ 2003
[2] 웹사이트 上田利治さんをしのぶ、“上田野球の申し子” 大橋穣さんが思い出語った https://hochi.news/a[...] 2017-12-26
[3] 웹사이트 三井ゴールデングラブ賞 歴代受賞選手 https://mgg.mitsuipr[...] 2021-02-17
[4] 서적 全国高等学校野球選手権大会70年史 朝日新聞社編 1989
[5] 서적 選抜高等学校野球大会60年史 毎日新聞社編 1989
[6] 서적 プロ野球「ドラフト読本」2001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1
[7] 간행물 週刊プロ野球データファイル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1
[8] 뉴스 暴れん坊たちが次々と 落日と移籍騒動 大杉の「次は兄貴の番」に「わかっとるわい」話の肖像画 元プロ野球選手・張本勲<17>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4-12-18
[9] 웹사이트 ファンを一目ぼれさせた昭和の名手たち https://sports.yahoo[...] 2014-07-12
[10] 웹사이트 落合博満氏 守備がうまいと思った選手一人だけ即答「超一流だったよ」球場“改造”の逸話も https://www.sponichi[...] 2022-05-18
[11] 간행물 山田久志と阪急ブレーブス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23
[12] 서적 走らんかい!
[13] 서적 阪急ブレーブス 光を超えた影法師
[14] 서적 監督たちの戦い 決定版 下
[15] 웹사이트 スターでなくとも名将になれる/上田氏編5 https://www.nikkansp[...] 2021-03-06
[16] 웹사이트 西本監督に通ずる「頑固もん」野球/上田氏編9 https://www.nikkansp[...] 2021-03-12
[17] 문서 후쿠모토 유타카와 같은 날에 달성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