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터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옥천터널은 구 경부고속도로의 터널로, 옥천군 동이면 우산리와 청성면 묘금리의 경계에 위치하며, 과거에는 당재터널로 불렸다. 이 터널은 1970년 7월 7일 개통되었으며, 건설 당시 조강시멘트 사용과 군인 동원 등 난공사 끝에 완공되었다. 2002년 경부고속도로 옥천간 선형 개량으로 고속도로 구간에서는 제외되었으며, 현재는 서울 방향 터널은 스마트 팜으로, 부산 방향 터널은 왕복 2차로 터널로 사용되고 있다. 옥천터널이 위치한 곳은 옥천 누층군 창리층의 (변성)퇴적암이 분포하는 지역으로, 경부고속도로 건설 당시 13번의 낙반 사고와 11명의 사망자를 내며 공사에 어려움을 겪었다. 창리층은 옥천 누층군 최하위 지층으로 흑색천매암 및 흑색점판암으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북도의 터널 - 죽령터널
- 충청북도의 터널 - 인등터널
인등터널은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과 해운대구 재송동을 잇는 왕복 4차로의 터널로, 만덕에서 센텀시티까지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키고 통영시와 거제시 간의 접근성 개선에 기여했다. - 옥천군의 교통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옥천군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충청북도의 지리 - 영동군
영동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만나는 지점으로 높은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포도, 감 등의 특산물과 영동난계국악축제로 유명하다. - 충청북도의 지리 - 변성암
변성암은 기존 암석이 고온, 고압, 화학적 변화를 겪어 광물 조성과 조직이 변한 암석으로, 재결정 작용에 의한 조직 변화와 엽리 구조를 보이며, 변성 작용 유형과 원암, 광물 조성, 조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지구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되지만, 토목 공사나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옥천터널 | |
---|---|
개요 | |
![]() | |
위치 | 대한민국 경상북도 청도군 ~ 경상북도 경산시 |
좌표 | 35°47′38″N 128°43′42″E |
상세 정보 | |
노선 | 새만금포항고속도로 |
연결 도로 | 청도 나들목 ↔ 금호 분기점 |
총 길이 | 1,870m (상행) |
폭 | 10.5m |
높이 | 8.4m |
공사 기간 | 2004년 12월 9일 ~ 2009년 11월 25일 |
개통일 | 2009년 11월 26일 |
2. 옥천터널 (구 당재터널)
경부고속도로 건설 당시 난공사 구간이었던 옥천터널(구 당재터널)은 정주영 회장이 일반 시멘트보다 20배 이상 빨리 굳지만 가격이 2배 이상 비싼 조강시멘트 사용을 지시하여 공사가 진행되었다. 인력과 장비 부족으로 군인까지 동원되어 어려운 공사가 진행되었고, 결국 1970년 7월 7일 개통일보다 이틀 앞선 1970년 7월 5일에 준공되었다.[3]
2. 1. 난공사와 완공
정주영 회장은 조강시멘트 사용을 지시했다. 조강시멘트는 일반 시멘트보다 20배 이상 빨리 굳지만, 가격이 2배 이상 비쌌다. 인력과 장비가 부족하여 군인까지 동원해 새벽 5시부터 밤 12시까지 철야로 작업하여 1970년 7월 7일 개통일에서 이틀 전인 1970년 7월 5일에 준공하였다.[3]3. 옥천 누층군 창리층
옥천터널은 구 경부고속도로의 터널로, 옥천군 동이면 우산리와 청성면 묘금리의 경계에 위치한다. 이 구간은 경부고속도로 건설 당시 난공사 구간이었는데, 터널이 건설된 곳은 옥천 누층군 창리층의 (변성)퇴적암이 분포하는 곳이었다. 기반암이 약해 터널 천장이 무너지는 낙반 사고가 13번이나 발생해 11명이 사망한 후에야 터널이 완성되었다.[1]
당시 공사한 6개의 터널 중 5개의 터널은 연암에서 강암으로 이어졌는데, 이 구간에서만 잡석층이 나왔다. 즉, 이 구간은 편마암부터 가지각색의 암맥이 형성된 암석의 맥을 가지고 있다.[1]
3. 1. 창리층의 구성과 분포
옥천 지질도폭(1978)에 의하면 창리층은 옥천 누층군 최하위 지층으로 금강석회암에 의해 덮이며 흑색천매암 및 흑색점판암으로 구성된다. 옥천군 군서면 자모리, 군북면 오동리 지역은 흑색천매암이 우세하며 상부에 금강석회암이 있고 두 지역의 경계에 있는 산능선을 따라 함탄대가 발달한다. 그 남부의 옥천군 군서면 상지리~금산군 추부면 상지리 지역에서는 흑색 점판암이 우세하며 1매의 석회암과 3매의 함탄대를 협재한다. 마성산 일대에 분포하는 창리층은 북동 40°~동-서 주향을 가지며 흑색 천매암 및 흑색 점판암으로 구성된다. 상부에 금강석회암이 있으며 1매의 함탄대를 협재한다. 옥천군 안남면 지수리~동이면~금강휴게소 일대~영동군 심천면 일대에 넓게 분포하는 창리층은 대략 남-북 방향으로 분포하나 영동유원지 부근에서 동남동 방향으로 습곡되며 흑색 천매암, 흑색 점판암, 녹색암으로 구성되고 소규모의 석회암이 협재된다.[2]3. 2. 지질학적 특징
옥천터널은 옥천 누층군 창리층의 (변성)퇴적암이 분포하는 곳에 위치한다.[1]1978년 옥천 지질도폭에 따르면, 창리층은 옥천 누층군 최하위 지층으로 금강석회암에 의해 덮이며 흑색천매암 및 흑색점판암으로 구성된다. 지역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옥천군 군서면 자모리, 군북면 오동리 지역: 흑색천매암이 우세하며 상부에 금강석회암이 있고, 두 지역 경계의 산능선을 따라 함탄대가 발달한다.
- 옥천군 군서면 상지리~금산군 추부면 상지리 지역: 흑색 점판암이 우세하며 1매의 석회암과 3매의 함탄대를 협재한다.
- 마성산 일대: 북동 40°~동-서 주향을 가지는 흑색 천매암 및 흑색 점판암으로 구성되며, 상부에 금강석회암과 1매의 함탄대를 협재한다.
- 옥천군 안남면 지수리~동이면~금강휴게소 일대~영동군 심천면 일대: 대략 남-북 방향으로 분포하나 영동유원지 부근에서 동남동 방향으로 습곡되며, 흑색 천매암, 흑색 점판암, 녹색암으로 구성되고 소규모의 석회암이 협재된다.[2]
4. 옥천터널과 창리층의 관계
당재터널(현재의 옥천터널)은 구 경부고속도로의 터널로, 옥천군 동이면 우산리와 청성면 묘금리의 경계에 있다. 이 구간은 경부고속도로 건설 당시 가장 어려운 공사 구간이었다. 당시 토목 기술로는 연장 500m 이상의 터널을 건설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골짜기 쪽 경로를 택했다.[1]
그러나 이 터널이 건설된 곳은 옥천 누층군 창리층의 (변성)퇴적암이 분포하는 지역으로, 기반암이 약해 터널 천장이 무너지는 낙반 사고가 13번이나 발생했고 11명이 사망한 후에야 터널이 완성되었다. 당시 공사한 6개의 터널 중 5개는 연암에서 강암으로 이어졌는데, 이 구간에서만 잡석층이 나왔다. 이는 암석의 맥이 이 구간은 편마암부터 가지각색의 암맥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현재 당재터널은 옥천터널로 이름이 바뀌었고, 대구 방향 터널은 금강로 (옥천군) 도로로 사용되고 있으며, 터널 일부는 민간에 임대되어 스마트팜 시설로 활용되고 있다.[1]
참조
[1]
뉴스
"[국토의 대동맥]② ‘지옥의 구간’ 충북 옥천 당재터널"
https://www.youtube.[...]
KBS
2022-07-05
[2]
웹인용
沃川 地質圖幅說明書 (옥천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8
[3]
웹인용
당재터널 공사
http://blog.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