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도 제37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시작하여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북도를 거쳐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이다. 1981년 거창 ~ 문산 구간이 신설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노선 연장 및 변경을 거쳤다. 주요 경유지로는 거창군, 무주군, 금산군, 옥천군, 보은군, 괴산군, 음성군, 이천시, 여주시, 양평군, 가평군, 포천시, 연천군, 파주시가 있으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주군의 교통 - 구천동로
    구천동로는 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에서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신풍령과 라제통문삼거리 등의 주요 지점을 지나며 국도 제30호선과 연결되고, 주변에 구천동 휴게소, 보건진료소, 우체국, 초등학교 등의 시설이 있다.
  • 무주군의 교통 - 무주로
    무주로는 전라북도 무주군을 지나는 도로로, 장무로와 연결되어 여러 지방도, 국도, 국가지원지방도와 이어지고 통영대전고속도로와 연결되며, 압차터널을 지나 영동로와 직결된다.
  • 옥천군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옥천군의 교통 - 이원역
    이원역은 1905년 1월 1일 영업을 시작하여 경부선에 위치하며,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에 있는 지상역이다.
  • 금산군의 교통 -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3호선은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충청남도 금산군까지 287.8km에 걸쳐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충청남도를 잇는 국도로, 1971년 지정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쳤으며 완도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 금산군의 교통 -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7호선은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경기도 광주시를 잇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지정 이후 노선 변경과 확장 사업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여러 지역과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도로이다.
국도 제37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노선 정보
도로 종류일반 국도
노선명거창 ~ 파주선
노선 번호국도 제37호선
총연장448.2 km
기점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주요 경유지경상남도 거창군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충청남도 금산군
충청북도 옥천군
충청북도 보은군
경상북도 상주시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북도 음성군
경기도 이천시
경기도 여주시
경기도 양평군
경기도 가평군
경기도 포천시
경기도 연천군
경기도 파주시
종점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주요 교차 도로
주요 교차 도로서산영덕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광주원주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4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75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기타 정보
거창군 마리면의 국도 제37호선
거창군 마리면의 국도 제37호선
제정일1981년 3월 14일
로마자 표기Gukdo Je 37 Hoseon

2. 역사

국도 제37호선은 1981년 3월 14일 거창 ~ 문산선으로 신설되었다.[3] 같은 해 4월 6일에는 이천군 장호원읍 도계에서 파주군 문산읍 당동리까지 186.2km 구간이, 4월 16일에는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현내리에서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까지 152.159km 구간이, 5월 8일에는 상주군 화북면 운흥리에서 중벌리까지 4.7km 구간이, 5월 12일에는 거창군 거창읍 김천동에서 북상면 소정리까지 27.073km 구간이 개통되었다.[4][5][6][7] 1981년 5월 30일에는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총 405km 구간으로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8]

1986년 9월 29일, 기존에 지정되었던 금왕읍 시가지(음성군 금왕읍 금석리 ~ 무극리) 1.5km 구간이 폐지되었고,[9] 1987년 7월 21일에 음성군 금왕읍 금석리 ~ 무극리 1.34km 구간이 개통되었다.[10]

2. 1. 1980년대


  • 1981년 3월 14일: '''국도 제37호선''' 거창 ~ 문산선 신설.[3]
  • 1981년 4월 6일: 이천군 장호원읍 도계 ~ 파주군 문산읍 당동리 186.2km 구간 개통.[4]
  • 1981년 4월 16일: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현내리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 152.159km 구간 개통.[5]
  • 1981년 5월 8일: 상주군 화북면 운흥리 ~ 중벌리 4.7km 구간 개통.[6]
  • 1981년 5월 12일: 거창군 거창읍 김천동 ~ 북상면 소정리 27.073km 구간 개통.[7]
  • 1981년 5월 30일: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신설된 405km 구간으로 도로구역 결정.[8]
  • 1986년 9월 29일: 기존 지정 구간인 금왕읍 시가지(음성군 금왕읍 금석리 ~ 무극리) 1.5km 구간 폐지.[9]

2. 2. 1990년대


  • 1990년 2월 17일: 이천군 장호원읍 풍계리 구간이 폐지되었다.[11]
  • 1991년 3월 9일: 파주군 적성면 율포리 구간이 폐지되었다.[12]
  • 1992년 11월 16일: 옥천군 군북면 소정리 100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150m 구간은 폐지되었다.[13]
  • 1994년 10월 4일: 옥천군 군서면 상지리 510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920m 구간은 폐지되었다.[14]
  • 1995년 2월 21일: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 가평군 설악면 신천리 간 총 11.177km 구간이 개통되었다.[15]
  • 1996년 1월 8일: 신청평대교를 포함한 가평군 설악면 희곡리 ~ 외서면 청평리 간 2.7km 구간이 개통되었다.[16]
  • 1996년 7월 1일: 종점이 '경기도 파주군 문산읍'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으로 변경되었다.[17]
  • 1997년 6월 13일: 여주군 대신면 가산리 ~ 보통리 간 4.9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18]
  • 1997년 7월 4일: 여주IC ~ 여주 간 도로(여주군 여주읍 점봉리 ~ 북내면 천송리) 6.52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여주군 여주읍 상리 ~ 북내면 천송리 간 500m 구간은 폐지되었다.[19]
  • 1998년 1월 5일: 양평군 양평읍 회현리 ~ 개군면 불곡리 간 1.8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1.2km 구간은 폐지되었다.[20]
  • 1998년 3월 25일: 가평군 설악면 선촌리 980m 위험도로 개량 구간이 개통되었다.[21]
  • 1998년 4월 27일: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 ~ 하당리 간 940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1.1km 구간은 폐지되었다.[22]
  • 1998년 5월 1일: 이천 ~ 여주 간 도로 개통으로 기존 여주군 여주읍 홍문리 ~ 상리 간 1.4km 구간이 폐지되었다.[23]
  • 1998년 6월 1일: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 ~ 추부면 추정리 간 10.57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11.73km 구간은 폐지되었다.[24]
  • 1998년 7월 3일: 괴산군 소수면 아성리 880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1.1km 구간은 폐지되었다.[25]
  • 1998년 12월 31일: 청평대교(가평군 외서면 청평리) 745m 구간 및 조종교(가평군 외서면 청평리) 620m 구간이 가설 개통되었다.[26]
  • 1999년 1월: 파주시 파평면 금파리 800m 구간이 폐지되었다.[27]
  • 1999년 5월 29일: 대신우회도로(여주군 대신면 보통리 ~ 가산리) 4.9km 구간이 개통되었다.[28]
  • 1999년 10월 15일: 백의교(연천군 청산면 백의리 ~ 포천시 창수면 주원리) 3.34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29]
  • 1999년 11월 15일: 양평 ~ 용문 간 도로(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 덕평리) 1.02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30]

2. 3. 2000년대


  • 2000년 5월 8일: 가평군 상면 연하리 400m 구간 개통[31]
  • 2000년 12월 4일: 보은군 수한면 소계리 1.13km 구간 개통, 기존 1.23km 구간 폐지[32]
  • 2000년 12월 21일: 문산 ~ 선유간 도로(파주시 문산읍 당동리 ~ 파평면 율곡리) 6.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4.7km 구간 폐지[33]
  • 2001년 12월 26일: 보은군 수한면 묘서리 420m 구간 개통, 기존 440m 구간 폐지[34]
  • 2001년 12월 27일: 괴산군 소수면 아성리 ~ 괴산읍 대덕리 5.3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1km 구간 폐지[35]
  • 2002년 1월 8일: 여주시 능서면 왕대리 ~ 대신면 가산리 6.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6]
  • 2002년 4월 26일: 율길리 위험도로(가평군 상면 율길리) 140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150m 구간 폐지[37]
  • 2002년 10월 1일: 연천군 전곡읍 은대리 ~ 청산면 장탄리 2.2km 구간 확장 개통[38]
  • 2003년 1월 9일: 거창지구 농촌용수개발사업으로 거창군 고제면 농산리 ~ 개명리 3.58km 구간 이설 개통, 기존 1.15km 구간 폐지[39]
  • 2003년 12월 30일: 신팔 ~ 일동간 도로 (포천시 내촌면 신팔리 ~ 일동면 기산리) 12km 구간 확장 개통[40]
  • 2004년 10월 1일: 옥천군 안내면 동대리 ~ 보은군 수한면 거현리 4.02km 구간 확장 개통[41]
  • 2005년 5월 10일: 괴산군 소수면 입암리 ~ 수리 3.24km 구간 확장 개통[42]
  • 2006년 9월 14일: 추부 ~ 대전간 도로(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 요광리) 3.5km 구간과 2006 금산세계인삼엑스포지원도로(금산군 금산읍 중도리 ~ 신대리) 1.42km 구간 임시 개통[43]
  • 2006년 9월 30일: 일동 ~ 영중간 도로(포천시 일동면 기산리 ~ 영중면 금주리) 7.1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9km 구간 폐지[45]
  • 2006년 12월 26일: 추부 ~ 대전간 도로(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 요광리) 3.5km 구간과 2006 금산세계인삼엑스포지원도로(금산군 금산읍 중도리 ~ 신대리) 1.4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금산군 추부면 마전리 ~ 요광리 3.7km 구간과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 ~ 신대리 500m 구간 폐지[46]
  • 2006년 12월 27일: 음성 ~ 생극간 도로(음성군 원남면 하노리 ~ 생극면 신양리) 17.12km 구간 확장 개통[47]
  • 2007년 1월 31일: 파주적성우회도로 및 두포 ~ 천천간 도로(파주시 파평면 두포리 ~ 적성면 객현리) 15.1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4.5km 구간 폐지[48]
  • 2007년 7월 13일: 여주우회도로(여주시 여주읍 홍문리 ~ 대신면 가산리) 9.816km 구간 확장 개통[49]
  • 2007년 12월 16일: 여주우회도로 개통으로 기존 여주시 여주읍 홍문리 ~ 대신면 가산리 9.866km 구간 폐지[50]
  • 2007년 12월 31일: 옥천 ~ 소정간 도로(옥천군 군서면 월전리 ~ 군북면 소정리) 10.99km 구간 확장 개통[51]
  • 2008년 11월 17일: 보은군 보은읍 누청리 ~ 속리산면 중판리 6.9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2.11km 구간 폐지[52]

2. 4. 2010년대


  • 2010년 9월 15일: 은행 ~ 옥천간 도로(옥천군 군서면 사정리 ~ 월전리) 6.072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53]
  • 2010년 11월 23일: 마리 ~ 송정간 도로(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 거창읍 송정리) 3.8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54] 기존 5.2km 구간은 폐지되었다.[55]
  • 2011년 3월 7일: 가평군 상면 항사리 ~ 연하리 1.5km 구간과 청평 ~ 현리 ~ 신팔간 도로(가평군 상면 연하리 ~ 포천시 내촌면 신팔리) 9.2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56]
  • 2011년 10월 20일: 청평 ~ 현리 ~ 신팔간 도로 개통으로 기존 가평군 상면 항사리 ~ 포천시 내촌면 신팔리 12.8km 구간이 폐지되었다.[57]
  • 2011년 12월 29일: 청평 ~ 현리간 도로(가평군 청평면 하천리 ~ 상면 항사리) 8.4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9.8km 구간은 폐지되었다.[58]
  • 2013년 10월 16일: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 ~ 충청북도 옥천군 군서면 사정리 5.5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5km 구간은 폐지되었다.[59]
  • 2013년 10월 31일: 고제 ~ 무풍간 도로(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 개명리 ~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삼거리) 5.4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4.6km 구간(신풍령 구간)은 폐지되었다.[60]
  • 2015년 12월 9일: 여주IC ~ 장호원간 도로(여주시 점동면 덕평리 ~ 점봉동) 8.32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8.34km 구간은 폐지되었다.[61]
  • 2015년 12월 30일: 여주 ~ 양평간 도로(양평군 개군면 불곡리 ~ 양평읍 백안리) 5.2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62]
  • 2016년 1월 27일: 적성 ~ 전곡간 도로 2공구(연천군 군남면 남계리 ~ 미산면 동이리) 1.8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63]
  • 2016년 1월 28일: 여주 ~ 양평간 도로 개통으로 구 국도(양평군 양평읍 회현리 ~ 양근리) 5.8km 구간이 폐지되었다.[64]
  • 2016년 11월 15일: 적성 ~ 전곡간 도로(연천군 군남면 황지리 ~ 남계리 및 연천군 미산면 동이리 ~ 파주시 적성면 어유지리) 총 4.04km 구간이 임시 개통되었다.[65]
  • 2018년 4월 20일: 적성 ~ 전곡간 도로 1공구(연천군 군남면 황지리 ~ 전곡읍 은대리) 3.26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66]
  • 2018년 11월 13일: 적성 ~ 전곡간 도로(파주시 적성면 구읍리 ~ 어유지리) 5.67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파주시 적성면 구읍리 ~ 장현리 4.8km 구간은 폐지되었다.[67]
  • 2018년 12월 4일: 적성 ~ 전곡간 도로(연천군 청산면 장탄리 ~ 전곡읍 은대리) 2.48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연천군 청산면 장탄리 ~ 파주시 적성면 장현리 13.4km 구간은 폐지되었다.[68]
  • 2018년 12월 20일: 옥천 ~ 보은간 도로(옥천군 군북면 소정리 ~ 보은군 보은읍 금굴리) 16.7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옥천군 안내면 장계리 ~ 인포리 1.3km 구간과 옥천군 안내면 정방리 ~ 보은군 수한면 발산리 12.9km 구간은 폐지되었다.[69]
  • 2019년 12월 16일: 전곡 ~ 영중간 도로(포천시 영중면 양문리 ~ 창수면 주원리) 10.4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70]

2. 5. 2020년대


  • 2020년 6월 30일: 연천군 청산면 백의리 ~ 장탄리 3.5km 구간 확장 개통.[71]
  • 2020년 12월 2일: 전곡 ~ 영중간 도로 개통으로 기존 포천시 영중면 성동리 ~ 창수면 주원리 7.5km 구간과 연천군 청산면 백의리 ~ 장탄리 2.6km 구간 폐지.[72]
  • 2021년 8월 31일: 괴산 ~ 음성간 도로 (괴산군 소수면 아성리 ~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 9.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괴산군 소수면 아성리 ~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 6.3km 구간 폐지.[73]

3. 주요 경유지

국도 제37호선은 다음과 같은 지역을 지난다.



가평군의 국도 제37호선 표지판

3. 1. 경상남도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거창읍, 마리면, 위천면, 주상면, 고제면을 지난다.

이름한글 이름연결 도로소재지비고
절부사거리절부사거리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거창군거창읍종점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 중복
송정 교차로송정 교차로국도 제3호선
(온장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 중복
거열터널거열터널국도 제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 중복
약 544m
장백터널rowspan="2"|국도 제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 중복
약 639m
|마리면
말흘 교차로말흘 교차로거안로국도 제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 중복
지동 교차로지동 교차로거안로
마리삼거리마리삼거리거안로
마리면사무소
마리초등학교
마리면사무소
마리초등학교
장풍삼거리장풍삼거리지방도 제1084호선
(송계로)
장풍교장풍교
당산삼거리당산삼거리모동길위천면
모동보건진료소모동보건진료소
완대삼거리완대삼거리지방도 제1089호선
(주곡로)
주상면지방도 제1089호선 중복
금계교 동단금계교 동단지방도 제1089호선
(고제로)
고제면
개명보건진료소개명보건진료소
지방도 제1001호선
(송계로)
빼재터널빼재터널약 1765m


3. 2.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한국어 (무풍면, 설천면, 무주읍, 부남면)을 지난다.

한글 이름영문 이름연결 도로소재지비고
빼재터널Bbaejae Tunnel무주군무풍면약 1765m
토비스콘도Tobiseu Condo
상오정삼거리Sangojeong IS오두재로
삼공삼거리Samgong IS구천동1로설천면
구천초등학교Gucheon Elementary School
리조트삼거리Rijoteu IS만선로
배방 교차로Baebang IS지방도 제49호선
(치마재로)
(치마재1로)
지방도 제49호선 중복
라제통문삼거리Rajetongmun IS국도 제30호선
(라제통문로)
국도 제30호선 중복
지방도 제49호선 중복
설천면사무소
설천초등학교
설천공용터미널
무주반디랜드
Seolcheon-myeon Office
Seolcheon Elementary School
Seolcheon Bus Terminal
Muju BandiLand
무항삼거리Muhang IS지방도 제49호선
지방도 제581호선
(민주지산로)
(이름 없음)No name상장백길무주읍국도 제30호선 중복
장백교Jangbaek Bridge
무주2 교차로Muju 2 IS국도 제19호선
(무주로)
무설로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0호선 중복
칠리1교
칠리2교
Chilri 1 Bridge
Chilri 2 Bridge
무주1 교차로Muju 1 IS국도 제19호선
(무주로)
지방도 제727호선
(고목로)
(한풍누리로)
당산 교차로Dangsan IS한풍누리로
싸리재터널Ssarijae Tunnel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0호선 중복
약 385m
가옥 교차로Gaok IS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0호선
(무주로)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0호선 중복
늘목삼거리Neulmok IS삼방로
용포교
잠두1교
Yongpo Bridge
Jamdu 1 Bridge
잠두2교Jamdu 2 Bridge
부남면
굴암삼거리Gulam IS굴암로
가정삼거리Gajeong IS부남로


3. 3.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남일면, 금산읍, 군북면, 금성면, 추부면)

이름한글 이름연결 도로위치비고
현내삼거리현내삼거리현내로금산군부리면
양곡사거리양곡사거리지방도 제601호선한국어 (적벽강로)
부리파출소앞 교차로부리파출소앞 교차로적벽강로
청풍서원청풍서원
황풍교황풍교남일면
황풍교 교차로황풍교 교차로봉황로
삼풍삼거리삼풍삼거리삼풍로금산읍
엑스포삼거리엑스포삼거리인삼광장로
신금천대교신금천대교
중도오거리중도오거리지방도 제68호선한국어 (인삼로), 인삼광장로
양전삼거리양전삼거리국도 제13호선 (금산로)금성면
지사천교지사천교
군북면
의총삼거리의총삼거리부말길, 의총길
새말사거리새말사거리어필강로, 일회운재로
인삼탑 교차로인삼탑 교차로어필강로
하신리 교차로하신리 교차로어필강로금성면
추정삼거리추정삼거리추풍로추부면
마전 교차로마전 교차로국도 제17호선 (성암로)국도 제17호선 중복 구간
추부 나들목추부 나들목통영대전고속도로
마음 교차로마음 교차로서다산로, 추풍로
요광 교차로요광 교차로국도 제17호선 (금산로)
신평 교차로신평 교차로서다산로
신평터널신평터널약 1010m


3. 4. 충청북도

교차로 명칭한국어 명칭연결 도로위치비고
신평터널신평터널옥천군군서면약 1010m
상복 교차로상복 교차로성왕로
동평사거리동평사거리고룡로
군서 교차로군서 교차로성왕로
오동 교차로오동 교차로오동2길
오동교오동교
오동터널오동터널우측터널: 약 230m
좌측터널: 약 211m
월전교월전교
월전 교차로월전 교차로성왕로
서화교
옥천읍
서정1 교차로서정1 교차로국도 제4호선
(옥천로)
서정대교서정대교
옥각 교차로옥각 교차로옥지로
국원 교차로국원 교차로성왕로군북면
소정 교차로소정 교차로성왕로
장계교장계교안내면
인포삼거리인포삼거리지방도 제575호선
(안남로)
지방도 제575호선 중복
현리삼거리현리삼거리지방도 제502호선
지방도 제575호선
(안내수한로)
지방도 제502호선, 지방도 제575호선 중복
안내공용버스정류장안내공용버스정류장
정방사거리정방사거리지방도 제502호선
(안내삼승로)
혜올리길
동대보건진료소동대보건진료소
동진휴게소
묘서보건진료소
동진휴게소
묘서보건진료소
보은군수한면
소계삼거리소계삼거리장선소계로
수한초등학교수한초등학교
후평사거리후평사거리국도 제25호선
(보청대로)
장신로
국도 제25호선 중복
장신교
보은읍
장신사거리장신사거리삼산제방로
장속중초로
KT 보은지사
보은군 보건소
KT 보은지사
보은군 보건소
교사사거리교사사거리보은로
이평교사거리이평교사거리남부로
이평삼거리이평삼거리배들로
군청사거리군청사거리군청길
마루들길
보은 교차로보은 교차로국도 제19호선
(보은미원로)
누청삼거리누청삼거리국도 제25호선
(보청대로)
성족삼거리성족삼거리종곡길
동학터널동학터널약 204m
송니터널송니터널약 1198m
속리산면
중판삼거리중판삼거리지방도 제505호선
(송니산로)
하판교하판교
백석삼거리백석삼거리내북산외로산외면
장갑삼거리장갑삼거리지방도 제575호선
(산외로)
충북알프스자연휴양림충북알프스자연휴양림



교차로 명칭한국어 명칭연결 도로위치비고
신월보건진료소괴산군청천면
강평교
후평삼거리후평도원로
청천삼거리지방도 제575호선
(금관로)
청천사거리지방도 제32호선
(괴산로)
지방도 제32호선 중복
금평삼거리지방도 제32호선
(화양로)
부흥보건지소청안면
부흥사거리국도 제19호선
(괴산로)
지방도 제592호선
(질마로)
국도 제19호선 중복
지경삼거리지방도 제515호선
(도경로)
청천면국도 제19호선 중복
지방도 제515호선 중복
진경2삼거리지방도 제515호선
(장암로)
문광면
굴티재굴티재국도 제19호선 중복
문광삼거리지방도 제49호선
(송문로)
국도 제19호선 중복
지방도 제49호선 중복
문광초등학교
광덕삼거리광덕길
rowspan=2|문광교
괴산읍
괴산중학교
대사삼거리읍내로
금산삼거리읍내로 2길
괴산군민회관
괴산시외버스공용터미널
시계탑사거리읍내로
읍내로 11길
괴산119안전센터
대덕사거리
동진 교차로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4호선
(중부로)
주월로
국도 제19호선 중복
국도 제34호선 중복
지방도 제49호선 중복
동부 교차로문무로국도 제34호선 중복
지방도 제49호선 중복
괴산 교차로국도 제34호선
(중부로)
아성삼거리임꺽정로소수면지방도 제49호선 중복
고마삼거리원소로
입암 교차로소수로지방도 제49호선 중복
찬샘 교차로지방도 제510호선
(소수로)
길선 2길
지방도 제49호선 중복
지방도 제510호선 중복
길선리지방도 제510호선
(길선길)
지방도 제49호선 중복
지방도 제510호선 중복
구안삼거리지방도 제49호선
(충도로)
음성군원남면지방도 제49호선 중복
하당육교
하당삼거리국도 제36호선
(충청대로)
국도 제36호선 중복
음성 교차로국도 제36호선
(충청대로)
신천 교차로지방도 제516호선
(덕생로)
음성읍
소여 교차로음성로
사정 교차로사정길
음성 나들목평택제천고속도로금왕읍
육령교
무극 교차로지방도 제82호선
(대금로)
정생 교차로국도 제21호선국도 제21호선 중복
도신 교차로생삼로생극면
병암 교차로지방도 제306호선
(일생로)
음성로
국도 제21호선 중복
지방도 제306호선 중복
생극사거리오신로
생극 교차로국도 제3호선
지방도 제306호선
(중원대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21호선 중복
지방도 제306호선 중복
차평 교차로음성로국도 제3호선, 국도 제21호선 중복
원당 교차로지방도 제520호선
(원당길)
감곡면
청미천교


3. 5.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 여주시 (점동면, 삼교동, 점봉동, 교동, 홍문동, 교동, 월송동, 능서면, 하동, 현암동, 대신면) - 양평군 (개군면, 양평읍, 옥천면) - 가평군 (설악면, 청평면, 상면, 조종면, 상면) - 포천시 내촌면 - 가평군 상면 - 포천시 (화현면, 일동면, 신북면, 영중면, 창수면) - 연천군 (청산면, 전곡읍) - 파주시 (적성면, 파평면, 문산읍)

설악면 부근의 국도 37호선


이름한글 이름연결위치참고
청미천교청미천교이천시장호원읍국도 제3호선, 국도 제21호선 중복
진암 나들목진암 나들목국도 제3호선(중원대로)
국도 제38호선(서동대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8호선 중복
장호원읍사무소
부원고등학교
장호원읍사무소
부원고등학교
국도 제38호선 중복
진암 교차로진암 교차로국도 제38호선(서동대로)
경충대로
장호원초등학교장호원초등학교
장호원삼거리장호원삼거리새재로
장호원교 서단장호원교 서단장감로
장터로 83번길
원부사거리원부사거리송삼로
원부로
여주시점동면
정대년신도비정대년신도비
덕평삼거리덕평삼거리내곡교
덕평 교차로덕평 교차로덕실길건설 중
부구 교차로부구 교차로청안로
청안교
금곡교
청안교
금곡교
금곡교 건설 중
점동사거리점동사거리지방도 제84호선한국어(간남로)
점동로
청안 교차로청안 교차로점동로건설 중
점동초등학교
점동면사무소
점동중학교
점동고등학교
점동초등학교
점동면사무소
점동중학교
점동고등학교
선돌 교차로선돌 교차로청안로건설 중
처리 교차로처리 교차로지방도 제345호선한국어(선사길)
논저 교차로논저 교차로삼교 2길
삼교 3길
여흥동건설 중
점동 교차로점동 교차로점곡길
여주 나들목
(여주IC삼거리)
여주 나들목
(여주IC삼거리)
영동고속도로
점봉 교차로점봉 교차로명성로
명품로
점봉초등학교점봉초등학교
여주대학교여주대학교중앙동
세종초등학교 교차로세종초등학교 교차로세종로 214번길
교리 교차로교리 교차로국도 제42호선(여원로)국도 제42호선 중복
월송 교차로월송 교차로지방도 제333호선한국어(우암로)
영릉 교차로영릉 교차로국도 제42호선(중부대로)능서면
세종대교세종대교중앙동
오학동
현암 교차로현암 교차로강변북로
가산 교차로가산 교차로여양로
가산 1길
현남길
대신면
후포교
초현교
후포교
초현교
보통 교차로보통 교차로지방도 제88호선한국어(여양로)
보통 1길
지방도 제88호선한국어 중복
대신 나들목대신 나들목광주원주고속도로
천서사거리천서사거리지방도 제70호선한국어
지방도 제88호선한국어(이여로)
(여양 1로)
이포보이포보
개군중학교개군중학교추음로양평군개군면
공세 교차로공세 교차로개군산로
신내길
신내길 51번길
흑천교
양평읍
(이름 없음)(이름 없음)양근로
샘뜰길
회현 교차로회현 교차로양근로
도곡교
도곡천교
도곡교
도곡천교
백안 교차로백안 교차로중앙로
양근천교
백안교
양근천교
백안교
양평 교차로양평 교차로국도 제6호선
국도 제44호선(경강로)
국도 제6호선, 국도 제44호선 중복
상평 교차로상평 교차로국도 제6호선
국도 제44호선(경강로)
지방도 제98호선한국어(마유산로)
국도 제6호선, 국도 제44호선 중복
지방도 제98호선한국어 중복
신애삼거리신애삼거리애곡길지방도 제98호선한국어 중복
백현사거리백현사거리고음로
용철로
옥천면
동촌삼거리동촌삼거리신복길
복동삼거리복동삼거리실림길
중미산삼거리중미산삼거리지방도 제352호선한국어(중미산로)
지방도 제98호선한국어
서어치
가평군설악면
유명산삼거리유명산삼거리유명산로
아난티클럽서울아난티클럽서울
한우재고개한우재고개
엄소삼거리엄소삼거리무강로
명장삼거리명장삼거리명장길
설악 나들목
(설악IC 교차로)
설악 나들목
(설악IC 교차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신천중앙로
신천삼거리신천삼거리국도 제75호선
지방도 제86호선한국어(신천중앙로)
지방도 제86호선한국어 중복
솔고개솔고개지방도 제86호선한국어(다락재로)
청평댐청평댐
신청평대교삼거리신청평대교삼거리지방도 제391호선한국어(북한강로)지방도 제391호선한국어 중복
신청평대교
청평면
신청평대교앞 교차로신청평대교앞 교차로국도 제45호선
국도 제46호선(경춘로)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46호선 중복
지방도 제391호선한국어 중복
소돌마을앞
신청평1교
소돌마을앞
신청평1교
청평댐입구삼거리청평댐입구삼거리지방도 제391호선한국어(호반로)
청평대교앞 교차로청평대교앞 교차로국도 제46호선 중복
청평삼거리청평삼거리구청평로
청평중앙로
청평윗삼거리청평윗삼거리청평중앙로
조종교
(청평검문소앞)
조종교
(청평검문소앞)
청군로
하천 나들목하천 나들목국도 제46호선(경춘로)
청평1터널청평1터널약 280m
청평2터널우측 터널: 약 495m
좌측 터널: 약 455m
상면
다원 교차로다원 교차로청군로
덕현 교차로덕현 교차로녹수계곡로
상면 교차로상면 교차로청군로
상면터널상면터널우측 터널: 약 270m
좌측 터널: 약 230m
항사 교차로항사 교차로청군로
연하 교차로연하 교차로지방도 제387호선한국어(비룡로)
비두교
조종면
태봉 교차로태봉 교차로청군로
율길 교차로율길 교차로청군로상면
서파 교차로서파 교차로국도 제47호선(금강로)
지방도 제56호선한국어(청군로)
포천시내촌면국도 제47호선 중복
지방도 제56호선한국어 중복
봉수 교차로봉수 교차로봉수로가평군상면
운악 교차로운악 교차로화동로포천시화현면
화현교화현교
화현 교차로화현 교차로화동로
선촌 교차로선촌 교차로
일동 교차로일동 교차로국도 제47호선
지방도 제56호선한국어(금강로)
신령일로
길명사거리길명사거리영일로
일동터널약 1467m
영중면
금주삼거리금주삼거리영일로
만세삼거리만세삼거리국도 제43호선(호국로)국도 제43호선 중복
거사1리입구거사1리입구
양문곰고개삼거리양문곰고개삼거리양문로
곰고개곰고개
양문사거리양문사거리양문로 1길
양문삼거리양문삼거리양문로
양문공단입구양문공단입구양문공단로
신장삼거리
(영중초등학교)
신장삼거리
(영중초등학교)
국도 제43호선
지방도 제372호선한국어(호국로)
국도 제43호선 중복
지방도 제372호선한국어 중복
영송삼거리영송삼거리가영로지방도 제372호선한국어 중복
영평초등학교영평초등학교
오가삼거리오가삼거리국도 제87호선(창동로)창수면국도 제87호선 중복
지방도 제372호선한국어 중복
옥병교옥병교
진군교사거리진군교사거리국도 제87호선(포천로)
지방도 제372호선한국어(청창로)
신진군교신진군교
신백의교
연천군청산면
박석고개사거리
(박석고개지하차도)
박석고개사거리
(박석고개지하차도)
지방도 제372호선한국어(청창로)
양촌삼거리양촌삼거리궁평천길
궁평삼거리궁평삼거리청연로
고탄교
전곡읍
전곡중고등학교 교차로전곡중고등학교 교차로전은길
은제로 103번길
온골지하차도온골지하차도
온골사거리온골사거리전곡로
전곡교전곡교국도 제3호선(평화로)
지방도 제372호선한국어(청정로)
국도 제3호선 중복
지방도 제372호선한국어 중복
영도사거리영도사거리전곡로 161번길
평화로 629번길
구석기사거리구석기사거리전곡경로
(이름 없음)(이름 없음)국도 제3호선(평화로)
지방도 제372호선한국어(청정로)
국도 제3호선 중복
지방도 제372호선한국어 중복
선사유적지 교차로선사유적지 교차로은대성로
한탄강관광지후문한탄강관광지후문선사로
사랑교사랑교
고능사거리고능사거리고능로
노스폴CC노스폴CC
아마니고개삼거리아마니고개삼거리지방도 제375호선한국어(양연로)파주시적성면지방도 제375호선한국어 중복
적암삼거리적암삼거리율곡로 3064번길
적암초등학교적암초등학교
어유지리삼거리어유지리삼거리지방도 제375호선한국어(어삼로)
어유중학교
청안내교
어유중학교
청안내교
구읍 교차로구읍 교차로구읍로
가월 교차로가월 교차로지방도 제371호선한국어(가마산로)
주월 교차로주월 교차로달빛길
설마천교설마천교
두지 교차로두지 교차로지방도 제367호선한국어(솟대위로)
자장사거리자장사거리국사로
답곡 교차로답곡 교차로두릉거리길
장파사거리장파사거리자장로
장마루로
파평면
리비사거리리비사거리진동로
아포삼거리아포삼거리장마루로금파 교차로와 연결
눌로천교눌로천교
두포삼거리두포삼거리청송로
두포 교차로두포 교차로파평산로
율곡 교차로율곡 교차로장승배기로
율곡1교율곡1교지방도 제78호선한국어(화석정로)
(이름 없음)(이름 없음)지방도 제78호선한국어(화석정로)문산읍
여우고개사거리
(통일고가교)
여우고개사거리
(통일고가교)
국도 제1호선(통일로)
당동1교당동1교당동 2로
당동삼거리당동삼거리당동 1로
사목삼거리사목삼거리방우정로
당동 나들목당동 나들목국도 제77호선(자유로)종점


4. 노선


'''IS''': 교차로, '''IC''': 분기점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시작하여 경기도 파주시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이다.
경상남도 구간은 거창군 거창읍 절부사거리를 기점으로 국도 제3호선과 중복되며, 마리면, 위천면, 고제면을 거쳐 빼재터널을 통해 전북특별자치도로 넘어간다. 주요 경유지는 송정 교차로, 거열터널, 장백터널, 마리삼거리, 장풍삼거리, 당산삼거리, 완대삼거리, 금계교 동단(지방도 제1089호선 중복), 개명보건진료소 등이다.
전북특별자치도 구간은 무주군 무풍면 빼재터널에서 시작하여 설천면, 무주읍, 부남면을 지난다. 주요 경유지는 토비스콘도, 상오정삼거리, 삼공삼거리, 구천초등학교, 리조트삼거리, 배방 교차로(지방도 제49호선 중복), 라제통문삼거리(국도 제30호선 중복), 무주반디랜드, 설천면사무소, 무항삼거리, 장백교, 무주2 교차로, 무주1 교차로, 싸리재터널(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0호선 중복), 가옥 교차로, 굴암삼거리, 가정삼거리 등이다.
충청남도 구간금산군 부리면 현내삼거리에서 시작하여 남일면, 금산읍, 군북면, 추부면을 거쳐 신평터널을 통해 충청북도로 이어진다. 주요 경유지는 양곡사거리, 부리파출소앞 교차로, 황풍교 교차로, 삼풍삼거리, 엑스포삼거리, 중도오거리, 양전삼거리(국도 제13호선 합류), 의총삼거리, 새말사거리, 인삼탑 교차로, 추정삼거리, 마전 교차로, 추부 나들목(통영대전고속도로 접속), 요광 교차로, 신평 교차로 등이다.
충청북도 구간 (상주 이남)옥천군 군서면 신평터널에서 시작하여 옥천읍, 군북면, 안내면과 보은군 수한면, 보은읍, 송니산면, 산외면을 지난다. 주요 경유지는 상복 교차로, 동평사거리, 오동 교차로, 오동터널, 월전 교차로, 서정1 교차로, 옥각 교차로, 소정 교차로, 인포삼거리, 현리삼거리, 정방사거리, 후평사거리, 장신사거리, 교사사거리, 이평삼거리, 군청사거리, 보은 교차로, 누청삼거리(국도 제25호선 분기), 동학터널, 송니터널, 중판삼거리, 백석삼거리, 장갑삼거리 등이다.
경상북도 구간상주시 화북면을 지나며, 용화삼거리, 화북초등학교 용화분교장, 용화교를 포함한다.
충청북도 구간 (상주 이북)괴산군 청천면, 청안면, 문광면, 괴산읍, 소수면, 음성군 원남면, 음성읍, 금왕읍, 생극면, 감곡면을 지난다. 주요 경유지는 후평삼거리, 청천사거리, 금평삼거리, 부흥사거리, 지경삼거리, 문광삼거리, 대덕사거리(동진 교차로), 동부 교차로, 괴산 교차로, 아성삼거리, 입암 교차로, 찬샘 교차로, 구안삼거리, 하당삼거리, 음성 교차로, 신천 교차로, 무극 교차로, 정생 교차로, 병암 교차로, 생극 교차로, 원당 교차로 등이다.
경기도 구간이천시 장호원읍에서 시작하여 여주시, 양평군, 가평군, 포천시, 연천군을 거쳐 파주시에서 끝난다. 주요 경유지는 청미천교, 진암 나들목, 장호원읍사무소, 진암 교차로, 장호원초등학교, 장호원삼거리, 원부사거리, 덕평 교차로, 점동사거리, 처리 교차로, 여주 나들목(영동고속도로 접속), 점봉 교차로, 여주대학교, 교리 교차로, 월송 교차로, 영릉 교차로, 세종대교, 현암 교차로, 가산 교차로, 보통 교차로, 대신 나들목(광주원주고속도로 접속), 천서사거리, 이포보, 개군중학교, 공세 교차로, 회현 교차로, 백안 교차로, 양평 교차로(국도 제6호선, 국도 제44호선 중복), 상평 교차로, 백현사거리, 중미산삼거리, 서어치, 유명산삼거리, 설악 나들목(서울양양고속도로 접속), 신천삼거리, 솔고개, 청평댐, 신청평대교삼거리, 신청평대교앞 교차로, 청평댐입구삼거리, 청평삼거리, 하천 나들목, 청평1·2터널, 다원 교차로, 상면 교차로, 연하 교차로, 서파 교차로, 봉수 교차로, 운악 교차로, 일동 교차로, 일동터널, 만세삼거리, 양문삼거리, 신장삼거리, 오가삼거리, 진군교사거리, 박석고개사거리, 전곡교, 구석기사거리, 선사유적지 교차로, 고능사거리, 아마니고개삼거리, 어유지리삼거리, 구읍 교차로, 가월 교차로, 두지 교차로, 자장사거리, 장파사거리, 리비사거리, 두포 교차로, 율곡 교차로, 여우고개사거리(국도 제1호선 교차), 당동삼거리, 당동 나들목(국도 제77호선 종점) 등이다.

4. 1. 경상남도 구간

이름한글 이름연결위치참고
절부사거리절부사거리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거창군거창읍종점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 중복
송정 교차로송정 교차로국도 제3호선
(온장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 중복
거열터널거열터널국도 제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 중복
544m
장백터널국도 제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 중복
639m
마리면
말흘 교차로말흘 교차로거안로국도 제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 중복
지동 교차로지동 교차로거안로
마리삼거리마리삼거리거안로
마리면사무소
마리초등학교
마리면사무소
마리초등학교
장풍삼거리장풍삼거리지방도 제1084호선
(송계로)
장풍교장풍교
당산삼거리당산삼거리모동길위천면
모동보건진료소모동보건진료소
완대삼거리완대삼거리지방도 제1089호선
(주곡로)
줄상면지방도 제1089호선 중복
금계교 동단금계교 동단지방도 제1089호선
(고제로)
고제면
개명보건진료소개명보건진료소
지방도 제1001호선
(송계로)
빼재터널빼재터널1765m


4. 2. 전북특별자치도 구간

무주군 무풍면의 빼재터널부터 시작한다. 빼재터널을 지나면 토비스콘도, 상오정삼거리를 거쳐 설천면으로 진입한다. 삼공삼거리에서는 구천동1로와 연결되며, 구천초등학교를 지나 리조트삼거리에서 만선로와 만난다. 배방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49호선(치마재로, 치마재1로)과 교차하며, 이 구간은 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된다. 라제통문삼거리에서는 국도 제30호선(라제통문로)과 만나고, 이 도로는 국도 제30호선 및 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된다. 무주반디랜드와 설천면사무소, 설천초등학교, 설천공용터미널을 지난다. 무항삼거리에서는 지방도 제49호선(민주지산로)와 지방도 제581호선이 분기된다.

무주읍에서는 국도 제30호선과 중복 구간으로 이어진다. 장백교를 지나 무주2 교차로에서 국도 제19호선(무주로, 무설로)과 교차한다. 칠리1교와 칠리2교를 지나 무주1 교차로에서 다시 국도 제19호선(무주로), 지방도 제727호선(고목로, 한풍누리로)과 만난다. 당산 교차로에서는 한풍누리로가 이어진다. 싸리재터널은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0호선과 중복되며, 약 385m 길이이다. 가옥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0호선(무주로)과 교차한다. 늘목삼거리에서 삼방로가 분기되고, 용포교와 잠두1교를 지난다. 부남면에서는 굴암삼거리에서 굴암로, 가정삼거리에서 부남로와 연결된다.

각 교차로 및 접속 도로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이름한글 이름연결위치참고
Bbaejae Tunnel빼재터널무주군약 1765m
Tobiseu Condo토비스콘도무풍면
Sangojeong IS상오정삼거리오두재로
Samgong IS삼공삼거리구천동1로설천면
Gucheon Elementary School구천초등학교
Rijoteu IS리조트삼거리만선로
Baebang IS배방 교차로지방도 제49호선
(치마재로)
(치마재1로)
지방도 제49호선 중복
Rajetongmun IS라제통문삼거리국도 제30호선
(라제통문로)
국도 제30호선, 지방도 제49호선 중복
Seolcheon-myeon Office
Seolcheon Elementary School
Seolcheon Bus Terminal
Muju BandiLand
설천면사무소
설천초등학교
설천공용터미널
무주반디랜드
Muhang IS무항삼거리지방도 제49호선
지방도 제581호선
(민주지산로)
No name(이름 없음)상장백길무주읍국도 제30호선 중복
Jangbaek Bridge장백교
Muju 2 IS무주2 교차로국도 제19호선
(무주로)
무설로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0호선 중복
Chilri 1 Bridge
Chilri 2 Bridge
칠리1교
칠리2교
Muju 1 IS무주1 교차로국도 제19호선
(무주로)
지방도 제727호선
(고목로)
(한풍누리로)
Dangsan IS당산 교차로한풍누리로
Ssarijae Tunnel싸리재터널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0호선 중복
약 385m
Gaok IS가옥 교차로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0호선
(무주로)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0호선 중복
Neulmok IS늘목삼거리삼방로
Yongpo Bridge
Jamdu 1 Bridge
용포교
잠두1교
Jamdu 2 Bridge잠두2교
부남면
Gulam IS굴암삼거리굴암로
Gajeong IS가정삼거리부남로


4. 3. 충청남도 구간

금산군 부리면 현내삼거리에서 현내로와 연결되며, 양곡사거리에서 지방도 제601호선과 교차한다. 부리파출소앞 교차로에서는 적벽강로, 남일면 황풍교 교차로에서는 봉황로와 연결된다. 금산읍에서는 삼풍삼거리에서 삼풍로, 엑스포삼거리에서 인삼광장로, 중도오거리에서 지방도 제68호선 및 인삼광장로와 연결된다. 군북면 양전삼거리에서 국도 제13호선과 만나고, 의총삼거리, 새말사거리, 인삼탑 교차로, 하신리 교차로에서 각각 부말길, 의총길, 어필강로, 일회운재로, 어필강로와 연결된다. 추부면에서는 추정삼거리에서 추풍로, 마전 교차로와 요광 교차로에서 국도 제17호선과 교차하며, 통영대전고속도로와는 추부 나들목에서 접속된다. 마음 교차로에서는 서다산로 및 추풍로와 연결되며, 신평 교차로에서는 서다산로와 연결된다. 이후 신평터널을 지나 옥천군으로 이어진다.[1]

이름한글 이름연결 도로위치비고
현내삼거리현내삼거리현내로금산군부리면
양곡사거리양곡사거리지방도 제601호선 (적벽강로)
부리파출소앞 교차로부리파출소앞 교차로적벽강로
청풍서원청풍서원
황풍교황풍교남일면
황풍교 교차로황풍교 교차로봉황로
삼풍삼거리삼풍삼거리삼풍로금산읍
엑스포삼거리엑스포삼거리인삼광장로
신금천대교신금천대교
중도오거리중도오거리지방도 제68호선 (인삼로), 인삼광장로
양전삼거리양전삼거리국도 제13호선 (금산로)군북면
지사천교지사천교
군북면
의총삼거리의총삼거리부말길, 의총길
새말사거리새말사거리어필강로, 일회운재로
인삼탑 교차로인삼탑 교차로어필강로
하신리 교차로하신리 교차로어필강로금성면
추정삼거리추정삼거리추풍로추부면
마전 교차로마전 교차로국도 제17호선 (성암로)국도 제17호선 중복 구간
추부 나들목추부 나들목통영대전고속도로
마음 교차로마음 교차로서다산로, 추풍로
요광 교차로요광 교차로국도 제17호선 (금산로)
신평 교차로신평 교차로서다산로
신평터널신평터널약 1010m


4. 4. 충청북도 구간 (상주 이남)

옥천군 군서면, 옥천읍, 군북면, 안내면과 보은군 수한면, 보은읍, 송니산면, 산외면을 지난다.

이름한글 이름연결위치참고
신평터널신평터널옥천군군서면약 1010m
상복 교차로상복 교차로성왕로
동평사거리동평사거리고룡로
군서 교차로군서 교차로성왕로
오동 교차로오동 교차로오동2길
오동교오동교
오동터널오동터널우측터널: 약 230m
좌측터널: 약 211m
월전교월전교
월전 교차로월전 교차로성왕로
서화교
서정1 교차로서정1 교차로국도 제4호선
(옥천로)
옥천읍
서정대교서정대교
옥각 교차로옥각 교차로옥지로
국원 교차로국원 교차로성왕로군북면
소정 교차로소정 교차로성왕로
장계교장계교안내면
인포삼거리인포삼거리지방도 제575호선
(안남로)
지방도 제575호선 중복
현리삼거리현리삼거리지방도 제502호선, 지방도 제575호선
(안내수한로)
지방도 제502호선, 지방도 제575호선 중복
안내공용버스정류장
정방사거리정방사거리지방도 제502호선
(안내삼승로)
혜올리길
동대보건진료소
동진휴게소
묘서보건진료소
보은군수한면
소계삼거리소계삼거리장선소계로
수한초등학교
후평사거리후평사거리국도 제25호선
(보청대로)
장신로
국도 제25호선 중복
장신교보은읍
장신사거리장신사거리삼산제방로
장속중초로
KT 보은지사
보은군 보건소
교사사거리교사사거리보은로
이평교사거리이평교사거리남부로
이평삼거리이평삼거리배들로
군청사거리군청사거리군청길
마루들길
보은 교차로보은 교차로국도 제19호선
(보은미원로)
누청삼거리누청삼거리국도 제25호선
(보청대로)
성족삼거리성족삼거리종곡길
동학터널동학터널약 204m
송니터널송니산면약 1198m
중판삼거리중판삼거리지방도 제505호선
(송니산로)
하판교하판교
백석삼거리백석삼거리내북산외로산외면
장갑삼거리장갑삼거리지방도 제575호선
(산외로)
충북알프스자연휴양림


4. 5. 경상북도 구간

상주시 화북면을 지나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이름한글 이름연결위치참고
용화삼거리용화삼거리지방도 제997호선 (용화로)상주시 화북면
화북초등학교 용화분교장화북초등학교
용화분교장
용화교용화교


4. 6. 충청북도 구간 (상주 이북)

괴산군 청천면 후평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75호선 (금관로)과 교차한다. 청천사거리에서는 지방도 제32호선 (괴산로)와 교차하며, 금평삼거리에서 지방도 제32호선 (화양로)와 다시 교차한다. 청안면 부흥사거리에서는 국도 제19호선 (괴산로)와 지방도 제592호선 (질마로)이 교차하며, 국도 제19호선과 중복된다. 청천면 지경삼거리에서는 지방도 제515호선 (도경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19호선지방도 제515호선과 중복된다. 문광면 진경2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15호선 (장암로)와 다시 교차한다.

문광면 문광삼거리에서는 지방도 제49호선 (송문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19호선 및 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된다. 괴산읍 대덕사거리(동진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4호선 (중부로), 주월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4호선, 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된다. 동부 교차로에서는 문무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34호선 및 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된다. 괴산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34호선 (중부로)와 교차한다.

소수면 아성삼거리에서는 임꺽정로와 교차하며, 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된다. 고마삼거리에서는 원소로와 교차한다. 입암 교차로에서는 소수로와 교차하며, 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된다. 찬샘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510호선 (소수로, 길선2길)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49호선 및 지방도 제510호선과 중복된다. 길선리에서는 지방도 제510호선 (길선길)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49호선 및 지방도 제510호선과 중복된다.

음성군 원남면 구안삼거리에서는 지방도 제49호선 (충도로)와 교차하며, 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된다. 하당삼거리에서는 국도 제36호선 (충청대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36호선과 중복된다. 음성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36호선 (충청대로)와 다시 교차한다. 음성읍 신천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516호선 (덕생로)와 교차한다. 금왕읍에서는 평택제천고속도로 음성 나들목과 연결된다. 무극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82호선 (대금로)와 교차한다. 정생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21호선과 교차하며, 국도 제21호선과 중복된다.

생극면 병암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306호선 (일생로, 음성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21호선지방도 제306호선과 중복된다. 생극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3호선, 지방도 제306호선 (중원대로)와 교차하며, 국도 제3호선, 국도 제21호선, 지방도 제306호선과 중복된다. 감곡면 원당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520호선 (원당길)과 교차한다.

4. 7. 경기도 구간



이름한글 이름연결위치참고
청미천교청미천교이천시장호원읍국도 제3호선, 21호선 중복
진암 나들목진암 나들목국도 3호선(중원대로)
국도 38호선(서동대로)
국도 제3호선, 21호선, 38호선 중복
장호원읍사무소
부원고등학교
38호선 중복
진암 교차로진암 교차로국도 38호선(서동대로)
경충대로
장호원초등학교
장호원삼거리장호원삼거리새재로
장호원교 서단장호원교 서단장감로
장터로 83번길
원부사거리원부사거리송삼로
원부로
여주시점동면
정대년신도비
덕평삼거리덕평삼거리내곡교
덕평 교차로덕평 교차로덕실길건설 중
부구 교차로부구 교차로청안로
청안교
금곡교
금곡교 건설 중
점동사거리점동사거리지방도 제84호선 (간남로)
점동로
청안 교차로청안 교차로점동로건설 중
점동초등학교
점동면사무소
점동중학교
점동고등학교
선돌 교차로선돌 교차로청안로건설 중
처리 교차로처리 교차로지방도 제345호선 (선사길)
논저 교차로논저 교차로삼교 2길
삼교 3길
여흥동건설 중
점동 교차로점동 교차로점곡길
여주 나들목
(여주IC삼거리)
여주 나들목
(여주IC삼거리)
영동고속도로
점봉 교차로점봉 교차로명성로
명품로
점봉초등학교
여주대학교중앙동
세종초등학교 교차로세종초등학교 교차로세종로 214번길
교리 교차로교리 교차로국도 42호선 (여원로)국도 42호선 중복
월송 교차로월송 교차로지방도 제333호선 (우암로)
영릉 교차로영릉 교차로국도 42호선 (중부대로)능서면
colspan="2" | 세종대교중앙동
colspan="2" |오학동
현암 교차로현암 교차로강변북로
가산 교차로가산 교차로여양로
가산 1길
현남길
대신면
후포교
초현교
보통 교차로보통 교차로지방도 제88호선 (여양로)
보통 1길
지방도 제88호선 중복
대신 나들목대신 나들목광주원주고속도로
천서사거리천서사거리지방도 제70호선
지방도 제88호선 (이여로)
(여양 1로)
이포보
개군중학교추음로양평군개군면
공세 교차로공세 교차로개군산로
신내길
신내길 51번길
colspan="2" | 흑천교
colspan="2" |양평읍
(이름 없음)(이름 없음)양근로
샘뜰길
회현 교차로회현 교차로양근로
도곡교
도곡천교
백안 교차로백안 교차로중앙로
양근천교
백안교
양평 교차로양평 교차로국도 6호선
국도 44호선 (경강로)
국도 6호선, 국도 44호선 중복
상평 교차로상평 교차로국도 6호선
국도 44호선 (경강로)
지방도 제98호선 (마유산로)
국도 6호선, 국도 44호선 중복
지방도 제98호선 중복
신애삼거리신애삼거리애곡길지방도 제98호선 중복
백현사거리백현사거리고음로
용철로
옥천면
동촌삼거리동촌삼거리신복길
복동삼거리복동삼거리실림길
중미산삼거리중미산삼거리지방도 제352호선 (중미산로)
지방도 제98호선
colspan="2" | 서어치가평군설악면
유명산삼거리유명산삼거리유명산로
아난티클럽서울
한우재고개
엄소삼거리엄소삼거리무강로
명장삼거리명장삼거리명장길
설악 나들목
(설악IC 교차로)
설악 나들목
(설악IC 교차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신천중앙로
신천삼거리신천삼거리국도 75호선
지방도 제86호선 (신천중앙로)
지방도 제86호선 중복
솔고개지방도 제86호선 (다락재로)
청평댐
신청평대교삼거리신청평대교삼거리지방도 제391호선 (북한강로)지방도 제391호선 중복
colspan="2" | 신청평대교
colspan="2" |청평면
신청평대교앞 교차로신청평대교앞 교차로국도 45호선
국도 46호선 (경춘로)
국도 45호선, 국도 46호선 중복
지방도 제391호선 중복
소돌마을앞
신청평1교
청평댐입구삼거리청평댐입구삼거리지방도 제391호선 (호반로)
청평대교앞 교차로청평대교앞 교차로국도 46호선 중복
청평삼거리청평삼거리구청평로
청평중앙로
청평윗삼거리청평윗삼거리청평중앙로
조종교
(청평검문소앞)
청군로
하천 나들목하천 나들목국도 46호선 (경춘로)
청평1터널약 280m
colspan="2" | 청평2터널상면우측 터널: 약 495m
좌측 터널: 약 455m
다원 교차로다원 교차로청군로
덕현 교차로덕현 교차로녹수계곡로
상면 교차로상면 교차로청군로
상면터널우측 터널: 약 270m
좌측 터널: 약 230m
항사 교차로항사 교차로청군로
연하 교차로연하 교차로지방도 제387호선 (비룡로)
colspan="2" | 비두교조종면
태봉 교차로태봉 교차로청군로
율길 교차로율길 교차로청군로상면
서파 교차로서파 교차로국도 47호선 (금강로)
지방도 제56호선 (청군로)
포천시내촌면국도 47호선 중복
지방도 제56호선 중복
봉수 교차로봉수 교차로봉수로가평군상면
운악 교차로운악 교차로화동로포천시화현면
화현교
화현 교차로화현 교차로화동로
선촌 교차로선촌 교차로
일동 교차로일동 교차로국도 47호선
지방도 제56호선 (금강로)
신령일로
길명사거리길명사거리영일로
colspan="2" | 일동터널약 1467m
colspan="2" |영중면
금주삼거리금주삼거리영일로
만세삼거리만세삼거리국도 43호선 (호국로)국도 43호선 중복
거사1리입구
양문곰고개삼거리양문곰고개삼거리양문로
곰고개
양문사거리양문사거리양문로1길
양문삼거리양문삼거리양문로
양문공단입구양문공단로
신장삼거리
(영중초등학교)
신장삼거리
(영중초등학교)
국도 43호선
지방도 제372호선 (호국로)
국도 43호선 중복
지방도 제372호선 중복
영송삼거리영송삼거리가영로지방도 제372호선 중복
영평초등학교
오가삼거리오가삼거리국도 87호선 (창동로)창수면국도 87호선 중복
지방도 제372호선 중복
옥병교
진군교사거리진군교사거리국도 87호선 (포천로)
지방도 제372호선 (청창로)
신진군교
colspan="2" | 신백의교연천군청산면
박석고개사거리
(박석고개지하차도)
박석고개사거리
(박석고개지하차도)
지방도 제372호선 (청창로)
양촌삼거리양촌삼거리궁평천길
궁평삼거리궁평삼거리청연로
colspan="2" | 고탄교전곡읍
전곡중고등학교 교차로전곡중고등학교 교차로전은길
은제로 103번길
온골지하차도
온골사거리온골사거리전곡로
전곡교전곡교국도 3호선 (평화로)
지방도 제372호선 (청정로)
국도 3호선 중복
지방도 제372호선 중복
영도사거리영도사거리전곡로161번길
평화로 629번길
구석기사거리구석기사거리전곡경로
(이름 없음)(이름 없음)국도 3호선 (평화로)
지방도 제372호선 (청정로)
국도 3호선 중복
지방도 제372호선 중복
선사유적지 교차로은대성로
한탄강관광지후문선사로
사랑교
고능사거리고능사거리고능로
노스폴CC
아마니고개삼거리아마니고개삼거리지방도 제375호선 (양연로)파주시적성면지방도 제375호선 중복
적암삼거리적암삼거리율곡로 3064번길
적암초등학교
어유지리삼거리어유지리삼거리지방도 제375호선 (어삼로)
어유중학교
청안내교
구읍 교차로구읍 교차로구읍로
가월 교차로가월 교차로지방도 제371호선 (가마산로)
주월 교차로주월 교차로달빛길
설마천교
두지 교차로두지 교차로지방도 제367호선 (솟대위로)
자장사거리자장사거리국사로
답곡 교차로답곡 교차로두릉거리길
장파사거리장파사거리자장로
장마루로
파평면
리비사거리리비사거리진동로
아포삼거리아포삼거리장마루로금파 교차로와 연결
눌로천교
두포삼거리두포삼거리청송로
두포 교차로두포 교차로파평산로
율곡 교차로율곡 교차로장승배기로
율곡1교지방도 제78호선 (화석정로)
(이름 없음)(이름 없음)지방도 제78호선 (화석정로)문산읍
여우고개사거리
(통일고가교)
여우고개사거리
(통일고가교)
국도 1호선 (통일로)
당동1교당동2로
당동삼거리당동삼거리당동1로
사목삼거리사목삼거리방우정로
당동 나들목당동 나들목국도 77호선 (자유로)종점


참조

[1] 법령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1-03-14
[2]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법령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1-03-14
[4]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6호 http://theme.archive[...] 1981-04-06
[5]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7호 http://theme.archive[...] 1981-04-16
[6] 공고 대구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7호 http://theme.archive[...] 1981-05-08
[7]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8호 http://theme.archive[...] 1981-05-12
[8] 고시 건설부고시 제191호 http://theme.archive[...] 1981-05-30
[9]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37호 http://theme.archive[...] 1986-09-29
[10]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3호 http://theme.archive[...] 1987-07-21
[11]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7호 http://theme.archive[...] 1990-02-17
[12]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7호 http://theme.archive[...] 1996-03-09
[13]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2-11호 http://theme.archive[...] 1992-11-16
[14]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4-169호 http://theme.archive[...] 1994-10-04
[15]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5-12호 http://theme.archive[...] 1995-02-21
[16]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5-146호 http://theme.archive[...] 1996-01-08
[17] 법령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18] 공고 건설교통부공고 제1997-200호 http://theme.archive[...] 1997-06-13
[19]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104호 http://theme.archive[...] 1997-07-04
[20]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443호 http://theme.archive[...] 1998-01-03
[21]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148호 http://theme.archive[...] 1998-03-25
[22]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212호 http://theme.archive[...] 1998-05-14
[23]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223호 http://theme.archive[...] 1998-05-01
[24]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245호 http://theme.archive[...] 1998-06-11
[25]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281호 http://theme.archive[...] 1998-07-03
[26]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6호 http://theme.archive[...] 1999-01-19
[27]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19호 http://theme.archive[...] 1999-02-05
[28]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150호 http://theme.archive[...] 1999-06-03
[29]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58호 http://theme.archive[...] 1999-10-21
[30]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305호 http://theme.archive[...] 1999-12-04
[31]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143호 http://theme.archive[...] 2000-05-19
[32]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288호 http://theme.archive[...] 2000-12-28
[33]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1호 http://gwanbo.mois.g[...] 2001-01-11
[34]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4호 http://gwanbo.mois.g[...] 2002-01-10
[35]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297호 http://gwanbo.mois.g[...] 2001-12-29
[36]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283호 http://gwanbo.mois.g[...] 2002-01-08
[37]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87호 http://gwanbo.mois.g[...] 2002-04-26
[38]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189호 http://www.gg.go.kr/[...] 2002-09-30
[3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6호 http://gwanbo.mois.g[...] 2003-01-09
[40]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9호 http://www.gg.go.kr/[...] 2004-03-08
[4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212호 http://cblib.cb21.ne[...] 2004-10-01
[4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54호 http://cblib.cb21.ne[...] 2005-05-06
[43]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08호 2006-09-11
[44]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94호 http://gwanbo.mois.g[...] 2006-10-26
[4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04호 http://gwanbo.mois.g[...] 2006-11-21
[46]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72호 2006-12-11
[4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96호 http://cblib.cb21.ne[...] 2006-12-29
[48]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9호 http://gwanbo.mois.g[...] 2007-01-31
[49]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79호 http://gwanbo.mois.g[...] 2007-08-30
[50]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25호 http://gwanbo.mois.g[...] 2008-03-26
[5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163호 http://cblib.cb21.ne[...] 2007-12-21
[5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51호 http://gwanbo.mois.g[...] 2009-02-26
[53]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39호 http://cblib.cb21.ne[...] 2010-09-10
[5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41호 http://gwanbo.mois.g[...] 2010-11-19
[5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42호 http://gwanbo.mois.g[...] 2010-11-19
[56]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10호 http://gwanbo.mois.g[...] 2011-03-07
[57]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69호 http://gwanbo.mois.g[...] 2011-10-25
[58]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86호 http://gwanbo.mois.g[...] 2011-12-29
[5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180호 http://gwanbo.mois.g[...] 2013-10-16
[6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231호 http://gwanbo.mois.g[...] 2013-10-31
[61]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107호 http://gwanbo.mois.g[...] 2015-12-03
[62]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126호 http://gwanbo.mois.g[...] 2015-12-31
[63]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9호 http://gwanbo.mois.g[...] 2016-01-29
[64]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1호 http://gwanbo.mois.g[...] 2016-02-02
[6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76호 http://gwanbo.mois.g[...] 2016-11-18
[66]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2호 http://gwanbo.mois.g[...] 2018-04-18
[67]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15호 http://gwanbo.mois.g[...] 2018-11-14
[68]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29호 http://gwanbo.mois.g[...] 2018-12-07
[6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02호 http://gwanbo.mois.g[...] 2018-12-20
[70]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115호 http://gwanbo.mois.g[...] 2019-12-11
[71]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77호 http://gwanbo.mois.g[...] 2020-06-30
[72]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143호 https://gwanbo.mois.[...] 2020-12-04
[73]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고시 제2021-439호 https://gwanbo.go.kr[...] 2021-09-13
[74]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