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시코 내친왕 (177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시코 내친왕은 1779년 고모모조노 천황의 외동딸로 태어났다. 그녀는 고카쿠 천황과 결혼하여 중궁이 되었으며, 마스히토 친왕과 노부히토 친왕을 낳았다. 고카쿠 천황이 닌코 천황에게 양위한 후 황태후가 되었고, 남편 사후 출가하여 신세이와인이라 불렸다. 1846년 사망하여 노치노쓰키노와 능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카쿠 천황 - 하무로 요리코
하무로 요리코는 고카쿠 천황의 텐지로서 2남 1녀를 낳았으나 모두 요절했고, 민부쿄 텐지로 불리며 쇼신 법친왕과 손보 법친왕의 양모가 되었으며, 1846년에 사망했다. - 고카쿠 천황 - 가주지 다다코
고카쿠 천황의 후궁이자 닌코 천황의 생모인 가주지 다다코는 간슈지 츠네미치의 딸로, 덴지로 입궁하여 천황을 낳고 사후 준삼후로 추증되었으며, 묘소는 센뉴지 별원에 있다. - 1779년 출생 - 우타가와 히로시게
우타가와 히로시게는 에도 시대 후기 우키요에 화가로, 풍경화 스타일을 확립하여 『도카이도 오십삼차』, 『에도 명소 백경』 등의 대표작을 남겼고 서양 인상파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779년 출생 -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는 스웨덴의 화학자로, 세륨과 셀레늄을 발견하고 규소 등을 분리했으며, 화학 용어 도입 및 근대적 원소 표기법 확립, 원자량 개념 발전에 기여하여 '근대 화학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불린다. - 일본의 황태후 - 진구 황후
진구 황후는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일본의 전설적인 인물로, 섭정 기간 동안 구마소 정벌과 삼한 정벌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며,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과 왜곡된 측면이 비판적으로 검토되고, 문화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황태후 - 쇼켄 황태후
쇼켄 황태후는 메이지 천황의 황후로서 사회 사업과 여성 교육에 헌신했으며, 일본 적십자사 설립에 기여하고 국제 적십자 기금 조성에 힘썼다.
요시코 내친왕 (1779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요시코 |
전체 이름 | 欣子 (요시코) |
직위 | 황후 |
재위 기간 | 1780년–1817년 |
황태후 기간 | 1820년–1841년 |
배우자 | 고카쿠 천황 (1794년 결혼, 1840년 사별) |
자녀 | 마스히토 친왕, 도시히토 친왕 |
출생일 | 1779년 3월 11일 |
사망일 | 1846년 8월 11일 (67세) |
매장지 | 센유지 |
종교 | 신토 (1816년 이전), 불교 (1816년 이후) |
가문 | |
왕가 | 일본 황실 |
아버지 | 고모모조노 천황 |
어머니 | 고노에 고레코 |
생애 | |
유년 시절 이름 | 온나이치노미야 (女一宮) |
입궁 | 간세이 6년 음력 3월 1일 (1794년 3월 31일) |
중궁 책봉 | 간세이 6년 음력 3월 7일 (1794년 4월 6일) |
황태후 책봉 | 분세이 3년 음력 3월 14일 (1820년 4월 26일) |
여원 호 | 신세이와인 (新清和院) |
여원 책봉 | 덴포 12년 윤1월 22일 (1841년 3월 14일) |
기타 | |
내친왕 선하 | 안에이 9년 음력 12월 13일 (1781년 1월 7일) |
2. 계보
欣子内親王|요시코 내친왕일본어는 어렸을 때 女一宮|온나이치노미야일본어라고도 불렸다. 고모모조노 천황의 외동딸로, 고카쿠 천황은 그녀의 남편이자 양오빠였다. 요시코 내친왕의 자녀들은 모두 유아기에 사망했지만, 훗날 닌코 천황이 되는 황태자의 공식적인 어머니 역할을 했다.[1]
2. 1. 가계
고모모조노 천황의 외동딸이다. 어머니는 섭정 태정대신 고노에 우치사키의 딸인 뇨고 고노에 코레코(세이카몬인)이다. 어머니 코레코 사후, 친할머니뻘인 이치죠 토미코(쿄레이몬인)를 양어머니로 삼아 그녀의 손에서 자랐다. 고카쿠 천황은 남편이자 재종조부(할아버지 모모조노 천황의 육촌 동생)이다. 나카미카도 천황의 유일한 현손이며, 요시코 내친왕과 마스히토 친왕을 포함한 그 자손들의 죽음으로 나카미카도 천황통(나카미카도 천황의 직계 후손)은 끊겼다.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버지 | 고모모조노 천황 | 1758년 8월 5일 | 1779년 12월 16일 | 일본 제118대 천황 |
어머니 | 고노에 코레코 | 1760년 1월 26일 | 1783년 11월 6일 | 고노에 우치사키의 딸 |
남편이자 양오빠 | 고카쿠 천황 | 1771년 9월 23일 | 1840년 12월 11일 | 일본 제119대 천황, 요시코의 생물학적 남성 계통의 5촌 당숙 |
장남 | 마스히토 친왕 | 1800년 2월 15일 | 1800년 4월 27일 | |
차남 | 토시히토 친왕 | 1816년 2월 25일 | 1898년 3월 14일 |
요시코 내친왕은 1779년 아버지 후모모조노 천황이 붕어했지만, 다른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황위는 방계인 칸인노미야스케히토 친왕의 여섯째 아들 스케노미야 사토히토(후의 고카쿠 천황)가 이었다. 나카미카도 천황 직계 혈통을 이은 유일한 황녀였던 요시코 내친왕은 고카쿠 천황에게 입내할 계획이 세워졌고, 미혼이었던 사토히토가 선택되었다.
3. 생애
1781년 1월 7일 내친왕 선하를 받고, 1794년 1월 25일 준산고 선하를 거쳐 1794년 3월 31일 입내했다. 4월 6일 중궁으로 책립되었는데, 이는 고다이고 천황의 중궁 준시 내친왕 이후 460년 만이었다.
1800년 2월 15일 셋째 황자 온닌 친왕을 출산했으나 4월 27일 요절했다. 1807년 8월 21일 전시칸슈지 조시 소생의 넷째 황자 히로노미야 아야히토(후의 닌코 천황)를 친아들로 공칭했다.
1816년 2월 25일 일곱째 황자 에츠닌 친왕을 출산했지만, 1821년 3월 14일 6세로 요절하여 나카미카도 천황의 황통은 단절되었다. 『오모이노마마노기』에는 요시코 내친왕이 마음의 병으로 어소를 헤매다 고사쿠라마치인의 노여움을 샀다는 기록이 있다.
1817년 5월 7일 남편 고카쿠 천황이 닌코 천황에게 양위했고, 1820년 4월 26일 황태후가 되었다. 1840년 12월 11일 고카쿠 상황이 붕어했고, 1841년 3월 14일 출가하여 여원호 선하를 받아 신세이와인으로 칭해졌다.
1846년 8월 11일 68세로 붕어하여 교토부교토시히가시야마구센뉴지 고게츠린릉에 매장되었다.
3. 1. 어린 시절
요시코 내친왕은 1779년 3월 11일 고모모조노 천황과 고노에 고레코 사이에서 외동딸로 태어났다.[1] 어릴 적 이름은 온나이치노미야(女一宮)였다.[1]
고모모조노 천황은 요시코 내친왕이 태어난 해, 생후 10개월이 되었을 때 아들 없이 사망하였다.[1] 황통이 끊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고사쿠라마치 상황과 관백은 임종을 앞둔 천황에게 간인노미야 스케히토 친왕의 아들 모로히토 친왕(고카쿠 천황)을 양자로 삼을 것을 권했다. 나카미카도 천황의 직계 혈통을 이은 요시코 내친왕은 고카쿠 천황과의 혼인이 계획되었고, 이 때문에 미혼이었던 모로히토 친왕이 고카쿠 천황으로 즉위하게 되었다.
3. 2. 황후 시절
1781년 1월 7일(안에이 9년 음력 12월 13일) 내친왕 선하를 받았다.[1] 1794년 1월 25일(간세이 5년 음력 12월 24일) 준삼후 선하를 받았다. 1794년 3월 31일(간세이 6년 음력 3월 1일) 고카쿠 천황에게 입내(入內, 황후가 됨)하였고, 1794년 4월 6일(간세이 6년 음력 3월 7일) 중궁(中宮)에 책봉되었다. 이는 고다이고 천황의 중궁 슌시 내친왕 이후 460년 만의 내친왕 중궁 책봉이었다.
1800년 2월 15일(간세이 12년 음력 1월 22일) 장남 마스히토 친왕을 출산하였으나, 같은 해 4월 27일(음력 4월 4일)에 요절하였다. 1807년 8월 21일(분카 4년 음력 7월 18일) 간주지 다다코 소생의 닌코 천황을 자신의 친아들로 공칭하였다.
1816년 2월 25일(분카 13년 음력 1월 28일) 차남 노부히토 친왕을 출산하였으나, 1821년 3월 14일(분세이 4년 음력 2월 11일)에 6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이로써 나카미카도 천황의 황통은 완전히 단절되었다.
3. 3. 황태후 시절과 출가
분카 14년 3월 22일(1817년 5월 7일) 남편 고카쿠 천황이 닌코 천황에게 양위했고, 3년 뒤인 분세이 3년 3월 14일(1820년 4월 26일)에 황태후가 되었다.[2] 덴포 11년 11월 18일(1840년 12월 11일) 고카쿠 상황이 사망하였고, 이듬해인 덴포 12년 윤1월 22일(1841년 3월 14일) 출가하여 여원호를 받아 신세이와인(新清和院)이라 불렸다.
3. 4. 사망
고카 3년 6월 20일 (1846년 8월 11일) 68세로 사망했다.[3]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센뉴지 내 노치노쓰키노와 능(後月輪陵)에 묻혔다. 쓰키노와노 미사사기에 남편과 함께 배향되었다.[3]
참조
[1]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859
[2]
서적
[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