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7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복음 7장은 예수와 유대인들 사이의 갈등을 다루며, 초막절을 배경으로 예수가 예루살렘 성전에서 가르침을 펼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예수는 자신의 가르침이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이라고 주장하며, 율법에 대한 해석과 안식일에 병자를 고친 사건을 예로 들어 자신의 행동을 변호한다. 이에 대해 유대인들은 예수가 메시아인지에 대한 논쟁을 벌이고, 그의 출신과 가르침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인다. 특히, 예수의 가르침에 대한 군중들의 의견이 분열되고, 바리새인과 대제사장들이 예수를 체포하려 하지만 실패하는 과정이 묘사된다. 또한, 예수는 성령에 대한 비유를 통해 믿는 자들이 영적인 생명력을 얻을 것임을 예언하며, 이로 인해 더욱 심각한 분열이 발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요한복음 7장 | |
---|---|
성경 정보 | |
책 | 요한복음 |
장 | 7 |
이전 장 | 6장 |
다음 장 | 8장 |
성경 구분 | 신약성경 |
책 순서 | 4 |
분류 | 복음서 |
2. 배경: 초막절과 예수
예수는 유대의 유대인들이 그를 해치려고 하므로, 신변의 안전을 느끼는 갈릴래아의 카파르나움에 머무르고자 했다. 요한복음 6장 4절에 언급된 유월절에 예수가 예루살렘을 방문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존 길은 예수가 이때 예루살렘을 방문한 후 갈릴래아 호수에서 물 위를 걷는 기적을 보였다고 말한다.[49]
예수의 형제들은 예수가 초막절을 지키러 예루살렘에 올라가야 한다고 말했지만, 예수는 자신은 갈릴래아에 머무를 것이며, 형제들만 올라가라고 말한다. 예수는 형제들은 지금 가도 좋으나, 자신의 때는 아직 오지 않았다고 말한다.
2. 1. 초막절의 의미와 중요성
초막절은 유대교의 3대 절기 중 하나로,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 탈출 후 광야에서 장막 생활을 했던 것을 기념하는 종교적 행사이다. 신명기 16장 16절에 따라 모든 유대인 남성은 초막절을 지키기 위해 예루살렘에 올라가야 했다.[6] 초막절은 레위기에 따르면 일곱째 달(티슈리)의 15번째 날부터 시작되며, 이는 9월에 해당한다. 유월절에서 초막절까지의 기간은 약 5개월이다.[6]2. 2. 예수의 예루살렘 방문
예수는 유대의 유대인들이 그를 해치려고 하므로, 신변의 안전을 느끼는 갈릴래아의 카파르나움에 머무르고자 하였다. 예수가 요한복음 6장 4절에 언급된 유월절에 예루살렘을 방문하였는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존 길은 예수가 이때 예루살렘을 들린 후 갈릴래아 호수에서 물 위를 걷는 기적을 보였다고 말한다.[49]예수는 이 이야기를 한 후 일단은 갈릴래아에 남아있다가 비밀스럽게 (ως εν κρυπτω|오스 엔 크륍토grc) 예루살렘으로 가서 명절 중간쯤에는 성전에서 가르치기 시작한다. 예수는 사마리아를 들러야 할 이유가 4장에서 충족되었으니 다른 경로로 예루살렘으로 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51] 성공회 신부인 Charles Ellicott은 유대인들이 일반적으로 가는 길인 요단강 동편의 길로 갔을 것이라고 말한다.[50]
복음서 저자는 예수의 형제들이 예수를 믿지 않았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들은 다가오는 초막절을 위해 예루살렘에 가자고 제안하는데, 이는 신명기에서 모든 유대인 남자가 참석해야 한다고 규정한 3대 절기 중 하나이다. 그들은 예수가 자신의 행적을 공개하고 싶어 하며, 갈릴리에서 그의 활동이 유대인 제자들의 시야에서 숨겨져 있다고 암시한다. 그러나 예수는 형제들에게 절기에 참석하라고 제안하지만 자신은 갈릴리에 머물 것이라고 말한다. 초막절은 '일곱째 달 열닷샛날'에 시작되었다. 즉, 티슈리의 15일로, 이는 9월에 해당하며, 유월절에서 초막절까지의 기간은 약 5개월이다.[6] 예수는 예루살렘에 가는 것은 항상 "그들의 때"이지만, "자신의 때"는 아직 오지 않았다고 말한다.
:"그의 형제들이 그에게 말했습니다. "여기에서 떠나 유대 지방으로 가십시오. 그러면 당신의 제자들도 당신이 행하는 일들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11]
"형제들"은 "제자들"과는 달리 아직 믿지 않는 자들이다.[32]
3. 예루살렘 성전에서의 가르침
예수는 이 이야기를 한 후 일단은 갈릴리에 남아있다가 비밀스럽게(ως εν κρυπτωgrc) 예루살렘으로 가서 명절 중간쯤에는 성전에서 가르치기 시작한다.[51] 예수는 사마리아를 들려야 할 이유가 4장에서 충족되었으니 다른 경로로 예루살렘으로 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성공회 신부인 Charles Ellicott영어은 유대인들이 일반적으로 가는 길인 요단강 동편의 길로 갔을 것이라고 말한다.[50]
예수가 강론을 시작할 때, 사람들은 예수를 랍비나 제사장으로서, 혹은 사두개인으로서의 교육을 받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그 가르치는 내용이나 방식 역시 기존 유대인들의 교육기관에서 가르치는 것과는 크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52] 예수의 가르침은 주관을 거의 배제한 것으로, 구약성경에 대한 막대한 지식과 깊은 이해로 당대의 다른 유대인 학자들을 자극시켰다는 견해도 있다.[54] 그러나 예수는 자신의 가르침이 자기로부터 나온 것이 아니며, 자기를 보낸 아버지에게서 나온 것이라 말한다. 또한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려는 사람이면 이 가르침이 하나님으로부터 나온 것임을 알 것이라고도 말하여 또 다른 증언으로 삼는다.
3. 1. 예수의 가르침과 유대인들의 반응
예수는 예루살렘 성전에서 공개적으로 가르침을 시작했다. 사람들은 예수가 랍비, 제사장, 사두개인 등으로부터 정식 교육을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가르침이 기존 유대교 교육 기관의 가르침과는 내용과 방식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 주목했다.[52] 특히 예수의 가르침은 주관을 거의 배제하고, 구약성경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당대 유대인 학자들을 놀라게 했다.[53][54] 그러나 예수는 자신의 가르침이 스스로에게서 나온 것이 아니라, 자신을 보낸 아버지, 즉 하나님에게서 비롯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려는 사람은 이 가르침이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임을 알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17]예수의 가르침에 대한 군중들의 반응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 어떤 이들은 예수를 "좋은 분"이라고 칭송했지만(12절 상), 다른 이들은 "군중을 속이고 있다"고 비난했다(12절 하). 그러나 이러한 논의는 "유대인들이 두려워서" 공개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13절).
- 어떤 이들은 예수가 정규 교육을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보이는 해박한 지식에 놀라움을 표했고(15절), 일부는 예수를 죽이려 했다(19절).
- 어떤 이들은 예수가 미쳤거나 편집증 환자라고 생각했고(20절),[56] 또 다른 이들은 분노를 표출했다(23절).
- 예수를 메시아로 믿는 사람들이 나타났지만(26, 31절), 이를 거부하는 사람들도 있었다(27절).
- 이 과정에서 예수에게 손을 대는 사람은 없었다(30절).
군중들 사이에서 예수가 메시아인지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자, 바리새인과 제사장들은 예수를 체포하기 위해 경비병들을 보냈다. 이들은 9장과 12장에서도 예수 체포에 대한 논의를 이어간다.[57]
3. 2. 율법 논쟁과 예수의 변호
예수는 모세의 율법과 선조들의 율법과 전통을 들어 자신의 행동을 변호한다. 모세가 율법화한 할례는 아브라함의 언약에서 비롯한 것으로, 안식일을 거룩히 지켜야 한다는 출애굽기의 율법보다 상위의 것임은 당시 유대인들도 널리 인지하고 있던 사실이다.[55]예수는 안식일에 38년 동안 병을 앓았던 사람을 성전에서 치유한 사건을 언급하며, 이 일로 인해 유대인들이 자신을 죽이려 했다고 말한다.[56] 그는 "안식일에 내가 한 사람을 온전하게 만들었다고 나에게 화를 내는 것이냐?"라고 반문하며, 율법의 형식적인 준수보다 생명을 살리는 일이 더 중요함을 강조했다.[56]
이러한 예수의 주장은 유대교 지도자들과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군중들의 반응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반응 | 내용 |
---|---|
긍정적 반응 | "그는 좋은 분" (12절 상) |
부정적 반응 | "그는 군중을 속이고 있다" (12절 하) |
중립적 반응 | "유다인들이 두려워서"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 (13절) |
놀람 | "저 사람은 배우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저렇듯 아는 것이 많을까?" (15절) |
적대적 반응 | 일부는 죽이려 함 (19절), 일부는 그가 미쳤거나 편집증 환자라고 이야기함 (20절),[56] 일부는 화를 냄 (23절) |
메시아 인정 | 그를 메시아로 받아들임 (26, 31절) |
메시아 부인 | 일부는 이를 거부함 (27절) |
무반응 | 예수에게 손을 대는 사람은 없었음 (30절) |
군중들이 예수가 정말 메시아인지 수군대자 바리새인과 제사장들은 예수를 잡아오라고 경비병들을 보냈다.
4. 메시아 논쟁과 분열
예수의 가르침과 행적을 두고 메시아 논쟁이 벌어졌다. 바리새인과 대제사장은 예수를 체포하려 했으나, 니고데모는 율법에 따른 공정한 재판을 주장했다. 그러나 산헤드린은 갈릴리 출신 예언자는 없다는 이유로 반박했다.
4. 1. 예수를 둘러싼 다양한 의견
예수의 가르침과 행적을 본 사람들 사이에서는 그가 정말 메시아인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나타났다. 어떤 이들은 예수를 "좋은 분"이라고 칭찬했지만, "군중을 속이고 있다"며 비난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러나 사람들은 유대인들이 두려워 이러한 논의를 공개적으로 이어가지 못했다.[55]예수의 가르침에 대한 놀라움과 의문도 제기되었다. "저 사람은 배우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저렇게 아는 것이 많을까?"라며 감탄하는 이들이 있었는가 하면,[56] 예수를 죽이려는 사람들도 있었다. 또한 예수가 미쳤거나 편집증 환자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었고,[56] 그의 행동에 분노하는 사람들도 있었다.[56]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예수를 메시아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나타났지만,( 7:26, 31) 다른 사람들은 이를 거부했다.(27절) 예수를 메시아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이는 참으로 그 선지자라" (18:15)라고 말하기도 했다. 여기서 언급된 선지자는 모세가 예언한 선지자로, 메시아가 오기 전에 나타날 것으로 사람들은 기대했다.[23]
하지만, 요한복음 7:42에서는, "그리스도가 다윗의 씨에서, 다윗이 있던 베들레헴 읍에서 나오지 않겠느냐"는 성경 구절을 근거로, 갈릴리 출신인 예수가 메시아일 수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5:2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베들레헴 에브라다야, 너는 유다 족속 중에서 작을지라도 이스라엘을 다스릴 자가 네게서 나올 것이라. 그의 근본은 옛적, 영원부터이니라''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는 나사렛 출신인 예수가 베들레헴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베들레헴 출신일 수 있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지만, 요한복음에는 이와 유사한 내용이 없다.
예수가 메시아인지에 대한 논쟁[27]은 바리새인들과 대제사장들의 귀에 들어갔고, 그들은 예수를 체포하기 위해 경비병들을 보냈다.[29]
4. 2. 니고데모의 변호와 바리새인들의 반박
바리새인들과 대제사장들은 예수를 체포하기 위해 하인들을 보냈으나, 예수의 말씀에 감명받은 하인들은 체포하지 않고 돌아왔다.[29] 바리새인들은 하인들이 미혹되었다고 비난하며, 산헤드린 구성원 중 누구도 예수를 믿지 않는다고 주장했다.[23]이때, 이전에 예수와 비밀리에 만났던 니고데모가 동료들에게 신명기 1장 16절을 상기시키며 반박했다.[41]
우리 율법은 그 사람의 말을 듣고 그가 무슨 일을 하는지 알기도 전에 그를 심판하느냐?한국어[41]
이는 재판에서 편견 없이 모든 사람의 말을 들어야 한다는 율법 조항을 따른 것이었다.[41]
그러나 산헤드린은 니고데모에게 성경을 더 연구하라고 조언하며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당신도 갈릴리에서 왔소? 찾아보시오. 갈릴리에서는 예언자가 나지 않소.한국어[42]
5. 성령에 대한 예언
예수는 초막절 마지막 날, "목마른 사람은 다 나에게 와서 마셔라. 나를 믿는 사람은 성서의 말씀대로 그 속에서 샘솟는 물이 강물처럼 흘러 나올 것이다."라고 말했으며, 이는 성령에 대한 비유라고 요한복음은 직접적으로 밝히고 있다.[63]
5. 1. 생수의 강에 대한 비유
예수는 초막절 마지막 날, 목마른 자는 누구든 자신에게 와서 마시라고 말한다. 이는 이사야서 55장 1절을 다시 표현한 것이다.[62] 레위기에 따르면 초막절에는 첫 7일간 금식 후 8일째 번제를 드리게 되어 있는데, 예수는 이 시기에 성전에 서서 다음과 같이 외쳤다.[62]"목마른 사람은 다 나에게 와서 마셔라. 나를 믿는 사람은 성서의 말씀대로 그 속에서 샘솟는 물이 강물처럼 흘러 나올 것이다."
이 말씀에는 이사야서 44장 3절, 55장 1절, 58장 11절이 조화롭게 녹아있다.[62] 요한복음은 이 이야기가 성령에 대한 비유임을 직접적으로 밝히고 있다.[63] 공동번역성서와 새번역 성경에서는 성령이 아직 오지 않았다고 번역하는데, 이는 불가타역과 시리아어 성경을 따른 것이다.[63] 다른 사본에서는 개역개정판처럼 성령이 아직 있지 않았다고 번역한다.[63]
5. 2. 성령 강림의 시기
요한복음 7장 39절은 πνεῦμα|프뉴마|Spiritgrc, 즉 성령에 대한 비유를 명확하게 제시한다.[63] 공동번역성서와 새번역 성경에서는 "성령이 아직 오지 않았다"라고 번역하는데, 이는 불가타역과 시리아어 성경을 따른 것이다. 다른 사본에서는 개역개정판처럼 "성령이 아직 있지 않았다"라고 번역한다.[63]이는 "예수께서 아직 영광을 받지 않으셨으므로 성령이 아직 계시지 않았다"라는 의미이다. 여기서 '성령이 아직 없었다'는 표현은 성령이 아직 주어지지 않았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좋다. '주어지다'라는 단어는 원문에 없지만, 불가타 라틴어, 시리아어 및 페르시아어 번역본에 추가되어 있다. 아랍어 번역본은 "이는 성령이 아직 오시지 않았기 때문이라"라고 번역한다.[10]
참조
[1]
서적
Holman Illustrated Bible Handbook
Holman Bible Publishers
[2]
간행물
Cambridge Bible for Schools and Colleges
http://biblehub.com/[...]
1902
[3]
논문
Wisdom's Rescue: A New Reading of the Tabernacles Discourse (John 7:1-8:59)
1997-Spring
[4]
서적
Gospel according to John I-XII
Doubleday
[5]
웹사이트
Biblical concordances of John 7 in the 1611 King James Bible
https://www.kingjame[...]
[6]
간행물
Ellicott's Commentary for English Readers on John 7
http://biblehub.com/[...]
[7]
성경
John 7:1
[8]
문서
Footnote in New King James Version
[9]
성경
John 5:16, 18
[10]
간행물
Exposition of the Entire Bible on John 7
http://biblehub.com/[...]
[11]
성경
John 7:3
[12]
간행물
Cambridge Bible for Schools and Colleges on John 2
https://biblehub.com[...]
1902
[13]
성경
John 7:4
[14]
간행물
Bengel's Gnomon of the New Testament on John 7
http://biblehub.com/[...]
[15]
간행물
An Exposition of the Gospel of St. John consisting of an analysis of each chapter and of a Commentary critical, exegetical, doctrinal and moral
https://www.ecatholi[...]
Gill & Son
1879
[16]
성경
John 7:6
[17]
성경
John 7:6
[18]
문서
Jerusalem Bible (1966), Footnote d at John 7:6
[19]
문서
Jerusalem Bible (1966), Footnote e at John 2:4
[20]
성경
John 7:8
[21]
간행물
Jamieson-Fausset-Brown Bible Commentary on John 7
http://biblehub.com/[...]
[22]
논문
Aesthetic and Imaginative Elements in the Words of Jesus
https://www.jstor.or[...]
1907-11
[23]
간행물
Notes on the Bible on John 7
http://biblehub.com/[...]
[24]
간행물
On John 7 In: The Pulpit Commentary
http://biblehub.com/[...]
[25]
웹사이트
Can a circumcision be conducted on Shabbat?
http://www.chabad.or[...]
2016-04-23
[26]
웹사이트
David Guzik Commentary on the Bible on John 7
http://www.studyligh[...]
2016-04-24
[27]
문서
English Standard Version translation
[28]
문서
King James Version translation
[29]
간행물
John
http://www.islamicwe[...]
2001
[30]
간행물
Ellicott's Commentary for English Readers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4-26
[31]
웹사이트
Englishman's Concordance
http://biblehub.com/[...]
2016-04-26
[32]
간행물
Meyer's NT Commentary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4-28
[33]
간행물
Benson Commentary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4-29
[34]
성경
John 7:35
[35]
성경
John 7:36
[36]
성경
John 7:37-38
[37]
성경
John 7:37-38
[38]
문서
Easy-to-Read and New International versions
[39]
웹사이트
Expositor's Greek Testament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5-03
[40]
성경
John 7:42
[41]
성경
John 7:51
[42]
성경
John 7:52
[43]
성경
John 7:53
[44]
문서
New King James Version, reference at John 7:53
[45]
문서
Jerusalem Bible, reference at John 7:53
[46]
웹사이트
Cambridge Bible for Schools and Colleges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4-25
[47]
논문
Wisdom's Rescue: A New Reading of the Tabernacles Discourse (John 7:1-8:59)
1997
[48]
서적
Gospel according to John I-XII
Doubleday, Garden City, NY
[49]
웹사이트
Exposition of the Entire Bible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4-17
[50]
웹사이트
Ellicott's Commentary for English Readers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4-18
[51]
웹사이트
Jamieson-Fausset-Brown Bible Commentary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4-20
[52]
논문
Aesthetic and Imaginative Elements in the Words of Jesus
https://www.jstor.or[...]
1907-11
[53]
웹사이트
Jamieson-Fausset-Brown Bible Commentary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4-20
[54]
웹사이트
Notes on the Bible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4-21
[55]
웹사이트
Can a circumcision be conducted on Shabbat?
http://www.chabad.or[...]
2016-04-23
[56]
웹사이트
David Guzik Commentary on the Bible on John 7
http://www.studyligh[...]
2016-04-24
[57]
웹사이트
John in The Oxford Bible Commentary
http://www.islamicwe[...]
2019-05-02
[58]
웹사이트
Englishman's Concordance
http://biblehub.com/[...]
2016-04-26
[59]
웹사이트
On John 7 In: The Pulpit Commentary
http://biblehub.com/[...]
2016-04-22
[60]
웹사이트
Benson Commentary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4-29
[61]
웹사이트
ISV version of John 7:35
https://www.biblegat[...]
[62]
웹사이트
Meyer's NT Commentary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4-28
[63]
웹사이트
Exposition of the Entire Bible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4-17
[64]
웹사이트
Notes on the Bible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4-21
[65]
웹사이트
Expositor's Greek Testament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5-03
[66]
웹사이트
On John 7 In: The Pulpit Commentary
http://biblehub.com/[...]
2016-04-22
[67]
웹사이트
Bengel's Gnomon of the New Testament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5-04
[68]
웹사이트
Cambridge Bible for Schools and Colleges on John 7
http://biblehub.com/[...]
2016-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