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대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대신은 일본의 고대 율령제 시기 관직으로, 정무를 보좌하는 역할을 했다. 우대신 제도는 율령제 성립 이전과 이후로 나뉘며, 율령제 이전에는 소가가라야마노 이시카와마로 등이, 이후에는 아베노 미쿠사 등이 우대신을 역임했다. 역대 우대신 목록이 존재하며, 사망 후 우대신으로 추증된 인물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우대신 | |
---|---|
직위 정보 | |
직위명 | 우대신 (右大臣) |
소속 | 태정관 |
역할 | 대신 (大臣) |
설명 | 태정관의 대신 중 하나로, 태정대신, 좌대신 다음가는 자리이다. |
일본어 명칭 | |
일본어 표기 | 右大臣 (うだいじん) |
로마자 표기 | Udaijin |
구성 | |
구성원 | 1명 |
역사적 맥락 | |
기원 | 나라 시대, 헤이안 시대 |
주요 역할 | |
역할 | 조정의 중요 정책 결정에 참여 천황을 보좌 좌대신과 함께 국정을 총괄 |
임명 | 천황의 재가를 받아 임명됨 |
권한 | 태정관의 중요 의결에 참여 각 성(省)의 업무를 감독 천황에게 정책을 건의 |
참고 사항 | |
오다 노부나가 | 오다 노부나가는 우대신 직위를 받았음. |
2. 우대신의 역사
우대신은 율령제 이전부터 존재했던 관직으로, 고대 일본의 정치 체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율령제 이전의 우대신으로는 소가가라야마노 이시카와마로, 오토모 나가토코 등이 대표적이다.[4]
701년 다이호 율령(大宝律令)이 반포되면서 우대신은 태정관의 정식 관직으로 제도화되었다. 율령제 하에서 우대신은 좌대신과 함께 태정관의 최고위 관직으로서 정무를 총괄하고 황제를 보좌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아베노 미쿠사(阿倍御主人), 이시카미노 마로(石上麻呂), 후지와라노 후히토(藤原不比等) 등 유력 귀족들이 우대신에 임명되었다.[4] 헤이안 시대(平安時代)에는 후지와라 씨(藤原氏)가 우대신 직을 독점하기도 했다.[4] 가마쿠라 시대(鎌倉時代) 이후 막부(幕府)의 권력이 강화되면서 우대신의 정치적 영향력은 점차 약화되었으나, 에도 시대(江戸時代)를 거쳐 메이지 시대(明治時代)까지 명예로운 관직으로 존속했다.[4]
사후 우대신으로 추증된 인물과 존의(存疑)된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추증/존의 | 생전 관위 | 전거・비고 |
---|---|---|---|
오토모노 미유키 | 몬무 천황 5년 1월 15일 (701년2월 27일) | 대납언・정광참 | 『쇼쿠니혼기』 |
후지와라노 모모카와 | 엔랴쿠 2년 2월 5일 (783년3월 12일) | 참의・종삼위 | 『쇼쿠니혼기』 |
키노 후네모리 | 엔랴쿠 11년 4월 2일 (792년4월 27일) | 대납언・정삼위 | 『니혼키랴쿠』 |
후지와라노 나리토키 | 간코 9년 4월 (1012년) | 대납언・정2위 | 『공경보임』 |
기타바타케 아키이에 | 쇼헤이 7년 (1352년) 이전 | 곤추나곤・종2위 | 『고야산 문서』. 남조에 의한 추증 |
간주지 코레토요 | 게이초 4년 12월 13일 (1600년1월 28일) | 내대신・정2위 | 『조쿠시고쇼』 |
산조 사네토미 | 분큐 2년 8월 9일 (1862년9월 2일) | 내대신・종1위 | 『공경보임』. 시호 충성공 |
오쿠보 도시미치 | 1878년 (메이지 11년) 5월 15일 | 참의・정3위 | |
후미야노 오이치 | 존의 | 대납언・정2위 | 『공경보임』 |
이소노카미노 야츠구 | 존의 | 대납언・정3위 | 『공경보임』 |
2. 1. 율령제 이전
律令制일본어 이전의 우대신은 주로 유력 호족들이 임명되어 황실을 보좌하고 국정을 담당했다. 소가가라야마노 이시카와마로, 오토모 나가토코 등이 대표적인 율령제 이전의 우대신이다.2. 2. 율령제 성립 이후
701년 다이호 율령(大宝律令)이 반포되면서 우대신은 태정관의 정식 관직으로 제도화되었다. 율령제 하에서 우대신은 좌대신과 함께 태정관의 최고위 관직으로서 정무를 총괄하고 황제를 보좌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아베노 미쿠사(阿倍御主人), 이시카미노 마로(石上麻呂), 후지와라노 후히토(藤原不比等) 등 유력 귀족들이 우대신에 임명되었다. 헤이안 시대(平安時代)에는 후지와라 씨(藤原氏)가 우대신 직을 독점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가마쿠라 시대(鎌倉時代) 이후에는 막부(幕府)의 권력이 강화되면서 우대신의 정치적 영향력은 점차 약화되었다. 그러나 우대신은 여전히 명예로운 관직으로 존속했으며, 에도 시대(江戸時代)를 거쳐 메이지 시대(明治時代)까지 이어졌다.3. 역대 우대신 목록
(※ 표시는 사망과 동일한 날)
(환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