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드바인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드바인역은 캐나다 토론토의 지하철역으로, 1966년 블루어-댄포스 선의 동쪽 종착역으로 개통했다. 2년 동안 임시 종착역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워든역까지 노선이 연장되면서 일반적인 지하철역으로 운영되었다. 2010년 화재 안전 문제로 두 번째 출입구가 건설되었고, 2017년 재건축 공사를 통해 접근성 개선이 이루어졌다. 역은 모더니즘 양식을 따르며, 버스 연결편을 제공하고, 인접한 역으로 콕스웰역과 메인 스트리트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호선 블루어-댄포스 - 던랜즈역
    던랜즈역은 1904년에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역으로, 그린우드 차량기지 연결 분기점 역할과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주변 시설 및 버스 노선과의 연계,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으로 토론토 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2호선 블루어-댄포스 - 세인트조지역
    세인트조지역은 토론토 지하철 1호선과 2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으로, 토론토 대학교 인근에 위치하여 많은 승객들이 이용하며, 폴 아서가 디자인한 표지판과 접근성 및 승객 흐름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 토론토 교통국의 철도역 - 던랜즈역
    던랜즈역은 1904년에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역으로, 그린우드 차량기지 연결 분기점 역할과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주변 시설 및 버스 노선과의 연계,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으로 토론토 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토론토 교통국의 철도역 - 아이온뷰역
    아이온뷰역은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선의 역으로, 5호선 개통 시 34번 에글린턴 버스와 연결되어 마운트데니스역과 케네디역을 잇고, 동쪽으로는 로렌스 파크 역, 서쪽으로는 데이비스빌 역과 인접해 있다.
  • 1966년 개업한 철도역 - 미조노쿠치역
    미조노쿠치역은 1927년 다마가와 전기철도 미조노쿠치선의 역으로 개업하여 고가화와 역명 변경을 거쳐 덴엔토시선과 오이마치선이 운행되는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역이다.
  • 1966년 개업한 철도역 - 던랜즈역
    던랜즈역은 1904년에 개통된 토론토 지하철역으로, 그린우드 차량기지 연결 분기점 역할과 교통약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주변 시설 및 버스 노선과의 연계, 온타리오 선 건설 계획으로 토론토 교통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드바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우드바인
로마자 표기Udeubaineu
주소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 우드바인 애비뉴 991번지
개업일1966년 2월 26일
접근성
승객 수"}}" ()
웹사이트공식 역 페이지
외부 모습
구조
형태지하역
승강장상대식 승강장
선로 수2
서비스
노선2호선 블루어-댄포스
버스 환승
버스 노선우드바인
우드바인 남쪽
파크뷰 힐스
" 블루어 – 댄포스"

2. 역사

1921년 6월, 존 홀린저가 설립한 홀린저 버스 라인(Hollinger Bus Lines)은 우드바인과 댄포스 지역 대중교통의 시초였다.[10] 당시 터미널 건물은 토론토시 경계에 있던 우드바인 애비뉴 995번지와 이스트요크에 있던 997번지로 나뉘어 있었는데, 이스트요크 건물에는 대합실과 간이 식당이 있었고 나머지는 아파트로 임차하였다.[11]

1954년, 토론토 교통국(TTC)은 통합시 전체에 대중교통을 운행하기 위해 홀린저 버스 라인을 인수하고, 블루어와 댄포스 노면전차로 갈아탈 수 있는 우드바인 버스를 선보였다.[10][11] 이 버스는 우드바인과 스트래스모어 남동쪽에 있는 스트래스모어 회차점에서 회차하였다.[11]

1960년대 초, TTC는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주 정부의 지원을 받아 블루어-댄포스 지하철 노선을 건설했다.[12] 이 과정에서 댄포스 애비뉴 바로 밑을 굴착하는 대신, 스트래스모어 회차점에 역 출입구와 버스 터미널을 지어 공사로 인한 도로 통행 지장을 최소화했다.[11]

스트래스모어 대로의 사용하지 않는 노면 전차 선로 구간


1966년 2월 25일, 블루어-댄포스 선이 개통되면서 우드바인역은 임시 종착역으로 운영을 시작했다.[12] 우드바인역은 2년 동안 종착역이었지만, 임시적일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두 노선 모두에서 출발하는 데 편리했을 단일 중앙 플랫폼이 아닌 측면 플랫폼으로 건설되었다.

블루어-댄포스선 개통으로 러트렐 루프에서 시내까지 운행하던 블루어와 댄포스 노면전차는 대체될 예정이었다.[11] 러트렐 루프는 이 노면전차들과 스카버러로 이어지는 버스의 환승 거점이었는데, 노면전차 운행 중단으로 스카버러 버스 이용객들은 지하철로 환승해야 했다. 그러나 버스를 우드바인까지 연장하면 작은 버스 터미널이 포화 상태가 되고, 2년 뒤 워든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라 TTC는 큰 버스 터미널을 지을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11]

이에 따라 TTC는 우드바인역과 러트렐 루프 사이에 셔틀 노면전차를 운행하고, 버스 터미널 동쪽 주차장에 연결선을 추가했다.[13] 임시 노면전차 승강장은 주차장 남쪽에 설치되었고, 계단을 통해 지하철로 환승할 수 있었다.[11]

우드바인역은 임시 종착역이었으므로 섬식이 아닌 상대식 승강장으로 건설되었다. 승강장에는 다음 열차 및 행선지 안내판이 설치되었는데, 이는 개통 당시 영-유니버시티선과 3년간 직결 운행했기 때문이다.[11]

1968년 5월 10일, 워든역까지 노선이 연장되면서 댄포스 셔틀 전차와 관련 시설은 운행이 중단되었다.[11][13] 임시 승강장에서 역 메자닌 층으로 이어지는 통로는 폐쇄 후 직원 휴게실 및 창고로 쓰이고, 메자닌 층의 안내판은 철거되었다.[11]

노면전차 운행 흔적은 스트래스모어 대로를 따라 시더브래에서 역 출입구까지 남은 선로 일부에서 볼 수 있다.[11] 1966년 최초의 블루어-댄포스 선의 동쪽 종착역으로 개통된 우드바인역은 2년 동안만 임시 종착역이였기에, 단일 중앙 플랫폼이 아닌 측면 플랫폼으로 건설되었다. 블루어-댄포스 지하철 노선은 현재의 제인역과 빅토리아 파크역 근처의 제인 루프에서 루트렐 루프까지 운행하던 블루어 노면 전차 노선을 대체했다. 1966년 에서 우드바인까지 지하철이 개통되면서, 노면 전차 운행은 제인 루프에서 킬역까지의 짧은 블루어 노선과 우드바인역에서 루트렐 루프까지의 댄포스 노선으로 축소되었다. 이 구간들은 1968년 지하철이 이즐링턴에서 워든까지 연장되면서 차례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댄포스 노면 전차를 위한 우드바인역의 임시 루프의 흔적은 여전히 존재한다. 단절된 노면 전차 선로 하나가 시더베일 애비뉴에서 스트래스모어 대로를 따라 서쪽으로 뻗어 나와 역 동쪽 끝을 향해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역 메자닌의 불규칙한 벽은 노면 전차 플랫폼으로 가는 과거 통로를 나타낸다.[4] 이 통로의 벽으로 막힌 부분은 부분적으로 직원 휴게실과 창고로 개조되었다.[5]

지하철 종점이 워든까지 연장된 이후 우드바인역은 동네의 평범한 지하철역으로 운영되었다. 버스는 남쪽으로 호숫가의 비치스 (The Beaches영어)까지, 북쪽으로는 파크뷰힐스 (Parkview Hills영어)의 공업단지를 따라 운행하였다.[14][15] 시간이 지나면서 역 건물은 노후화되었고 교통 약자의 접근성 개선이 필요했다.

2010년 6월, 토론토 교통국(TTC)은 화재 안전 감사 결과에 따라 우드바인역에 두 번째 출입구를 건설할 계획을 발표하였다.[16] 이는 화재 발생 시 지하철 승강장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비상 출구가 한 곳뿐이라는 지적에 따른 것이었다.[6] 그린우드와 던랜즈에도 비슷한 계획이 발표되었지만, 지역 주민들과의 충분한 협의 없이 철거가 진행되어 논란이 되었다.[17]

두 번째 출입구는 우드바인과 스트래스모어 북서쪽에 건설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주택 한 가구를 철거해야 했다.[11] 이는 지역 사회의 반발을 샀으며, TTC는 계획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으나 결국 강행하였다.[8] 새로운 무인 자동 출입구는 프레스토 카드 소지자만 이용할 수 있으며, 2017년 9월에 완공되었다.[2][9]

우드바인역은 엘리베이터 설치 및 외벽 교체 등 재건축 공사도 진행되었다. 2014년 가을에 시작된 공사로 2015년 9월 8일부터 버스 진입로가 폐쇄되었고, 승객들은 도로변 임시 정류장에서 버스를 이용해야 했다. 재건축 공사는 2017년 여름에 완료되었다.[11]

2. 1. 초창기

1921년 6월, 존 홀린저가 설립한 홀린저 버스 라인(Hollinger Bus Lines)은 우드바인과 댄포스 지역 대중교통의 시초였다.[10] 당시 터미널 건물은 토론토시 경계에 있던 우드바인 애비뉴 995번지와 이스트요크에 있던 997번지로 나뉘어 있었는데, 이스트요크 건물에는 대합실과 간이 식당이 있었고 나머지는 아파트로 임차하였다.[11]

1954년, 토론토 교통국(TTC)은 통합시 전체에 대중교통을 운행하기 위해 홀린저 버스 라인을 인수하고, 블루어와 댄포스 노면전차로 갈아탈 수 있는 우드바인 버스를 선보였다.[10][11] 이 버스는 우드바인과 스트래스모어 남동쪽에 있는 스트래스모어 회차점에서 회차하였다.[11]

1960년대 초, TTC는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주 정부의 지원을 받아 블루어-댄포스 지하철 노선을 건설했다.[12] 이 과정에서 댄포스 애비뉴 바로 밑을 굴착하는 대신, 스트래스모어 회차점에 역 출입구와 버스 터미널을 지어 공사로 인한 도로 통행 지장을 최소화했다.[11]

1966년 2월 25일, 블루어-댄포스 선이 개통되면서 우드바인역은 임시 종착역으로 운영을 시작했다.[12] 우드바인역은 2년 동안 종착역이었지만, 임시적일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두 노선 모두에서 출발하는 데 편리했을 단일 중앙 플랫폼이 아닌 측면 플랫폼으로 건설되었다.

2. 2. 댄포스 셔틀 전차

블루어-댄포스선 개통으로 러트렐 루프에서 시내까지 운행하던 블루어와 댄포스 노면전차는 대체될 예정이었다.[11] 러트렐 루프는 이 노면전차들과 스카버러로 이어지는 버스의 환승 거점이었는데, 노면전차 운행 중단으로 스카버러 버스 이용객들은 지하철로 환승해야 했다. 그러나 버스를 우드바인까지 연장하면 작은 버스 터미널이 포화 상태가 되고, 2년 뒤 워든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라 TTC는 큰 버스 터미널을 지을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11]

이에 따라 TTC는 우드바인역과 러트렐 루프 사이에 셔틀 노면전차를 운행하고, 버스 터미널 동쪽 주차장에 연결선을 추가했다.[13] 임시 노면전차 승강장은 주차장 남쪽에 설치되었고, 계단을 통해 지하철로 환승할 수 있었다.[11]

우드바인역은 임시 종착역이었으므로 섬식이 아닌 상대식 승강장으로 건설되었다. 승강장에는 다음 열차 및 행선지 안내판이 설치되었는데, 이는 개통 당시 영-유니버시티선과 3년간 직결 운행했기 때문이다.[11]

1968년 5월 10일, 워든역까지 노선이 연장되면서 댄포스 셔틀 전차와 관련 시설은 운행이 중단되었다.[11][13] 임시 승강장에서 역 메자닌 층으로 이어지는 통로는 폐쇄 후 직원 휴게실 및 창고로 쓰이고, 메자닌 층의 안내판은 철거되었다.[11]

노면전차 운행 흔적은 스트래스모어 대로를 따라 시더브래에서 역 출입구까지 남은 선로 일부에서 볼 수 있다.[11] 1966년 최초의 블루어-댄포스 선의 동쪽 종착역으로 개통된 우드바인역은 2년 동안만 임시 종착역이였기에, 단일 중앙 플랫폼이 아닌 측면 플랫폼으로 건설되었다. 블루어-댄포스 지하철 노선은 현재의 제인역과 빅토리아 파크역 근처의 제인 루프에서 루트렐 루프까지 운행하던 블루어 노면 전차 노선을 대체했다. 1966년 에서 우드바인까지 지하철이 개통되면서, 노면 전차 운행은 제인 루프에서 킬역까지의 짧은 블루어 노선과 우드바인역에서 루트렐 루프까지의 댄포스 노선으로 축소되었다. 이 구간들은 1968년 지하철이 이즐링턴에서 워든까지 연장되면서 차례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댄포스 노면 전차를 위한 우드바인역의 임시 루프의 흔적은 여전히 존재한다. 단절된 노면 전차 선로 하나가 시더베일 애비뉴에서 스트래스모어 대로를 따라 서쪽으로 뻗어 나와 역 동쪽 끝을 향해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역 메자닌의 불규칙한 벽은 노면 전차 플랫폼으로 가는 과거 통로를 나타낸다.[4] 이 통로의 벽으로 막힌 부분은 부분적으로 직원 휴게실과 창고로 개조되었다.[5]

2. 3. 두 번째 출입구

지하철 종점이 워든까지 연장된 이후 우드바인역은 동네의 평범한 지하철역으로 운영되었다. 버스는 남쪽으로 호숫가의 비치스 (The Beaches영어)까지, 북쪽으로는 파크뷰힐스 (Parkview Hills영어)의 공업단지를 따라 운행하였다.[14][15] 시간이 지나면서 역 건물은 노후화되었고 교통 약자의 접근성 개선이 필요했다.

2010년 6월, 토론토 교통국(TTC)은 화재 안전 감사 결과에 따라 우드바인역에 두 번째 출입구를 건설할 계획을 발표하였다.[16] 이는 화재 발생 시 지하철 승강장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비상 출구가 한 곳뿐이라는 지적에 따른 것이었다.[6] 그린우드와 던랜즈에도 비슷한 계획이 발표되었지만, 지역 주민들과의 충분한 협의 없이 철거가 진행되어 논란이 되었다.[17]

두 번째 출입구는 우드바인과 스트래스모어 북서쪽에 건설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주택 한 가구를 철거해야 했다.[11] 이는 지역 사회의 반발을 샀으며, TTC는 계획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으나 결국 강행하였다.[8] 새로운 무인 자동 출입구는 프레스토 카드 소지자만 이용할 수 있으며, 2017년 9월에 완공되었다.[2][9]

우드바인역은 엘리베이터 설치 및 외벽 교체 등 재건축 공사도 진행되었다. 2014년 가을에 시작된 공사로 2015년 9월 8일부터 버스 진입로가 폐쇄되었고, 승객들은 도로변 임시 정류장에서 버스를 이용해야 했다. 재건축 공사는 2017년 여름에 완료되었다.[11]

3. 건축 양식

우드바인역은 1960년대에 지어진 블루어-댄포스선의 다른 역과 같이 모더니즘 양식의 실용주의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으며 벽 타일은 녹색 바탕과 짙은 녹색 테두리로 이루어져있다.[11] 2017년에 완공한 두 번째 출입구도 같은 타일색을 유지했으며 버스 터미널은 전형적인 유리벽 건물로 비교적 좁은 공간에 승강장이 오밀조밀 배치되어있다.[11]

2017년 9월 재건축으로 자동문은 물론 교통 약자의 접근성을 위한 개찰구 및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우드바인과 댄포스 북서쪽에 무인 자동 출입구가 설치되었다.[11][2]

이 역에는 마민 보린스의 작품 "방향 교차 연결 (Directions Intersections Connection)"이 버스 승강장 벽에 걸려있다.[18] 93 제곱미터 규모의 이 작품은 다채로운 금속 철판이 대칭되는 무늬로 놓여있다.[18] 이 대칭은 대중교통의 움직임과 방향성, 지역 공동체와 장소의 교차, 과거와 현재로 이어지는 공간의 연결을 표현하고자 하였다.[18][3]

마민 보린스의 작품 ''Directions Intersections Connections''

4. 버스 연결편

wikitable

노선종점경유지비고
91C우드바인Woodbine영어요크밀스 / 밸리우즈우드바인역우드바인 애비뉴, 레일사이드 로드, 요크 밀스 로드매일 상시 운행
91D
PM

AM
요크밀스 방면 평일 아침, 블루어 방면 평일 오후 러시 아워에만 운행
92우드바인 사우스Woodbine South영어우드바인역애쉬브릿지베이 공원우드바인 애비뉴, 제럴드가매일 상시 운행
93파크뷰힐스Parkview Hills영어파크뷰힐 / 애스펜우드바인역파크뷰힐, 우드바인 하이츠매일 상시 운행
300A블루어-댄포스Bloor-Danforth영어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댄포스 / 워든블루어가, 댄포스 애비뉴매일 심야 시간대에 운행
300B블루어 / 이스트몰케네디역


5. 인접한 역

콕스웰역|콕스웰||2호선 블루어-댄포스||메인 스트리트역|메인 스트리트

|-

키플링 방면||2호선 블루어-댄포스||케네디 방면

|}

참조

[1] 뉴스 OUR STATIONS – TCONNECT.ca http://tconnect.ca/o[...] 2016-12-21
[2] 웹사이트 Woodbine Station: Easier Access and Second Ext Project http://www.ttc.ca/Ab[...] TTC 2017-10-12
[3] 웹사이트 TTC Public Art Program https://www.ttc.ca/A[...]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9-05-20
[4] 웹사이트 Ghosts of Toronto's public transit http://linguafresca.[...] National Post 2002-11-23
[5] 웹사이트 The Abandoned Streetcar Shuttle Connection Passages http://transit.toron[...] 2010-04-11
[6] 웹사이트 Board Meetings http://www.ttc.ca/po[...] 2010-07-18
[7] 웹사이트 Easier Access and Second Exit Design Concept for Woodbine Station http://www3.ttc.ca/A[...]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0-06-02
[8] 웹사이트 Real Estate Acquisitions – TTC Woodbine Station http://www.toronto.c[...] City of Toronto 2010-07-28
[9] 웹사이트 Woodbine Station Upgrades http://www.ttc.ca/PD[...] Toronto Transit Commission 2017-10-12
[10] 웹인용 Toronto's Forgotten Bus Networks (A Brief History of the Non-TTC Bus Operations within the City of Toronto) https://transit.toro[...] 2020-04-03
[11] 웹인용 Woodbine https://transit.toro[...] 2020-04-03
[12] 웹인용 A History of Subways on Bloor and Queen Streets https://transit.toro[...] 2020-04-03
[13] 웹인용 The Bloor Streetcar (Deceased) https://transit.toro[...] 2020-04-03
[14] 웹인용 91 Woodbine https://transit.toro[...] 2020-04-03
[15] 웹인용 92 Woodbine South https://transit.toro[...] 2020-04-03
[16] 웹인용 July 14, 2010: Board Meeting Highlights http://www.ttc.ca/Ab[...] 2020-04-01
[17] 뉴스 Residents protest demolishing homes for subway exits https://www.thestar.[...] 2020-04-01
[18] 웹인용 TTC Public Art Program https://www.ttc.ca/A[...] 2020-0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