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9년은 후한 시대의 해로, 여러 사건과 인물이 등장한다.
후한 영제가 사망하고 소제가 즉위했으나, 동탁이 소제를 폐위하고 헌제를 옹립하면서 정권이 교체되었다. 이 과정에서 환관 숙청이 발생하고 동탁이 실권을 장악했다. 한국에서는 백제에서 일식이 발생하고 신라가 백제와 전투를 벌였다. 로마에서는 역병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고 식량 부족으로 폭동이 일어났다.
문화적으로는 갈레노스가 저서를 출판하고, 비크토르 1세가 교황으로 즉위했다. 주요 사망 인물로는 허황옥, 영제, 하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89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연대 | 2세기 |
세기 | 2세기 |
10년 단위 | 180년대 |
연대기 | |
이전 연도 | 188년 |
다음 연도 | 190년 |
기타 | |
로마 숫자 표기 | CLXXXIX |
간지 | 기사년 |
2. 연호
3. 기년
기년 | 후한 영제 22년 / 후소제 원년 / 헌제 원년 |
---|---|
간지 | 기사 |
중국 후한 | 중평 6년, 광희 원년, 소녕 원년, 영한 원년, 최종적으로 중평 6년으로 돌아감 |
일본 | 성무 천황 59년 / 황기 849년 |
조선 | 고구려 고국천왕 11년 / 신라 벌휴왕 6년 / 백제 초고왕 24년 / 단기 2522년 |
불멸기원 | 732년 |
유대력 | 3949년 - 3950년 |
4. 사건
- 5월 3일(음력 4월 1일) - 백제에서 일식이 발생했다.
- 음력 7월, 신라의 구도가 백제와 구양(狗壤)에서 싸워 이를 물리치고, 500여 급(級)을 죽이거나 붙잡았다.
- 후한 영제가 붕어(崩御)했다. 뒤를 이은 소제의 외척인 대장군 하진과 환관(십상시)의 항쟁으로 양측 모두 몰락하고, 혼란 속에서 동탁이 실권을 장악했다.
- 동탁이 소제를 폐하고 헌제(유협)를 옹립했다.
4. 1. 중국
- 후한 중평 6년 / 광희 원년 / 소녕 원년 / 영한 원년
- 유변(劉辯)이 한령제의 뒤를 이어 한나라의 황제가 되었다.
- 동탁이 유변을 폐위시키고 한헌제를 황제로 세웠다.
- 수도 낙양에서 2,000명의 환관이 격렬한 숙청으로 학살당했다.
4. 2. 로마 제국
천연두로 추정되는 역병으로 로마에서 매일 2,000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사망했다. 농부들이 농작물을 수확할 수 없어 식량 부족으로 도시에서 폭동이 발생했다.5. 문화
갈레노스가 저서 《다양한 기질에 관하여》(또는 《히포크라테스에 따른 원소들에 관하여》)를 출판하였다.[1]
5. 1. 기독교
- 비크토르 1세가 14번째 교황으로, 아프리카 출신 최초로 엘레우테루스의 뒤를 이었다.
- 데메트리우스 1세가 알렉산드리아의 총대주교가 되었다.
- 알렉산드리아 주교가 기독교를 전파하기 위해 인도로 파견한 판테누스는 거의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6. 탄생
6. 1. 한국
6. 2. 중국
7. 사망
- 금관가야의 왕후 허황옥
- 5월 13일 - 한 한령제(劉宏|유굉중국어, 156년생)
- 5월 24일 - 엘레우테리우스[1], 로마 주교
- 9월 22일 - 허진, 중국 대장군이자 섭정
- 정원(Ding Yuan, 丁原|정원중국어), 중국 관리이자 군벌
- 견삭, 중국 환관 지도자 (십상시)
- 영사황후(靈思皇后|영사황후중국어 하씨), 중국 한나라 황후
- 효인황태후(孝仁皇太后|효인황태후중국어 동씨), 중국 한나라 황태후
- 동중, 후한의 표기장군
- 하묘, 후한의 거기장군
- 조충, 영제 측근의 환관, 십상시의 한 명
- 장양, 영제 측근의 환관, 십상시의 한 명
7. 1. 한국
금관가야의 왕후 허황옥7. 2. 중국
- 5월 13일 - 한 한령제(劉宏|유굉중국어, 156년생)
- 9월 22일 - 허진, 중국 대장군이자 섭정
- 정원(Ding Yuan, 丁原|정원중국어), 중국 관리이자 군벌
- 견삭, 중국 환관 지도자 (십상시)
- 영사황후(靈思皇后|영사황후중국어 하씨), 중국 한나라 황후
- 효인황태후(孝仁皇太后|효인황태후중국어 동씨), 중국 한나라 황태후
7. 3. 로마
5월 24일 - 엘레우테리우스[1], 로마 주교8. 다른 기년법
- 간지: 기사
- 일본
- * 성무 천황 59년
- * 황기 849년
- 중국
- * 후한 : 중평 6년, 광희 원년, 소녕 원년, 영한 원년, 최종적으로 중평 6년으로 돌아감
- 조선
- * 고구려 : 고국천왕 11년
- * 신라 : 벌휴왕 6년
- * 백제 : 초고왕 24년
- * 단기 2522년
- 불멸기원 : 732년
- 유대력 : 3949년 - 3950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