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키타 나오이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키타 나오이에는 1529년에 태어나 1581년 사망한 인물로,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자 다이묘이다. 그는 우키타 씨족의 수장이 되어 세력을 확장했으며, 책략에 능하여 주변 세력과의 갈등 속에서 자신의 입지를 다졌다. 나오이에는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과 협력하며 세력을 키웠지만, 모리 가문과의 대립과 내부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말년에 병사하였으며, 그의 아들 우키타 히데이에가 가문을 계승했다. 나오이에는 권모술수에 능한 인물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젠국 사람 - 우가키 가즈시게
    우가키 가즈시게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대신과 조선총독을 역임했으며, 군사 개혁을 단행하고 황국신민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수상 취임에 실패하고 외무대신으로서 중일 전쟁 종식을 시도했으나 실패한 후 참의원 의원을 지냈다.
  • 비젠국 사람 - 우키타 히데이에
    우키타 히데이에(1572-1655)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활동한 무장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신임을 얻어 고다이로에 임명되었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하여 유배된 인물이다.
  • 우키타씨 - 오카야마성
    오카야마성은 일본 오카야마현에 위치하며, 남북조 시대에 축성되어 센고쿠 시대를 거쳐 에도 시대에 이케다 씨의 거성으로 사용되었고, 메이지 시대에 폐성령으로 대부분의 건물이 파괴되었으나 1960년대에 재건되어 현재는 사적으로 지정되어 천수각은 박물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 우키타씨 - 우키타 히데이에
    우키타 히데이에(1572-1655)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활동한 무장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신임을 얻어 고다이로에 임명되었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하여 유배된 인물이다.
  • 1529년 출생 - 야마가타 마사카게
    야마가타 마사카게는 센고쿠 시대 다케다 신겐의 측근이자 다케다 사천왕 중 한 명으로, 붉은 갑옷을 입은 정예 부대 아카조나에를 이끌고 용맹을 떨쳤으나 나가시노 전투에서 전사했다.
  • 1529년 출생 - 류조지 다카노부
    류조지 다카노부는 센고쿠 시대 히젠국의 슈고 다이묘로, 몰락했던 류조지 가문을 재흥시키고 히젠 대부분을 정복했으나, 오키타나와테 전투에서 시마즈 씨에게 패배하여 전사했다.
우키타 나오이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우키타 나오이에의 목상 (광친사가 소장하고 있었지만 전재로 소실됨)
이름우키타 나오이에
본명우키타 나오이에
일본 3대 효웅일본삼대효웅
별명하치로, 사부로 우에몬노조, 이즈미노카미, 모략의 달인
계명료운세이유
묘소헤이후쿠인 (폐사), 고친사
생애
출생1529년
출생지비젠국
사망1582년 2월 1일
사망지오카야마성, 비젠국
가문 정보
씨족우키타 씨
아버지우키타 오키이에 (후세의 군기 이야기에서 우키타 오키이에라고 기록되었지만, 그 이전의 군기 이야기에서는 "아버지 아무개"라고 기록되었음. 또한 1차 자료는 존재하지 않음), 어머니: 아베 젠테이의 딸?
형제자매우키타 나오이에, 하루이에, 다다이에, 여동생 (이가 히사타카의 부인), 여동생 (마키 구니노부의 부인)
배우자정실: 불명 ('태합기'에 따르면 나카야마 가쓰마사의 딸이라고 하지만 1차 사료는 존재하지 않음), 계실: 엔융인 (다카토리 씨 또는 미우라 씨)
자녀히데이에, 에하라 치카쓰구의 부인, 우라가미 무네타쓰의 부인, 마쓰다 모토타카의 부인, 깃카와 히로이에의 부인 (요코인), 고토 가쓰모토의 부인, 사이무라 마사히로의 부인, 아카시 다케노리의 부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양녀, 양자: 모토이에
경력
소속우키타 씨, 우라가미 씨, 오다 씨
주군우라가미 무네카게 → 모리 데루모토 → 오다 노부나가
관직우에몬노조, 이즈미노카미
거점가메야마성
전투 참여
주요 전투묘젠지 전투 (1567년), 다쓰노 공방전 (1569년), 덴진야마 공방전 (1574년), 미마사카 원정 (1581년), 비젠 원정 (1581년)

2. 생애

우키타 나오이에는 1534년 할아버지 요시이에가 시마무라 씨족에게 살해당했을 때,[7] 아버지 우키타 오키이에와 함께 토이시 성에서 간신히 탈출했다.[8] 2년 후 아버지가 사망하자, 7세의 나이로 우키타 씨족의 수장이 되었다.

1543년 우라가미 무네카게의 가신이 되어 군사 활동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8] 1544년에는 오토고 성의 영주로 임명되었고,[7] 이듬해에는 30명의 아시가루를 지휘하며 무네카게에게 배신한 자들과 싸워 보상을 받았다.[9]

이후 나오이에는 우라가미 무네카게에게 반기를 들었다가 다시 복종하는 등 복잡한 행보를 보였다. 1569년 오다 노부나가와 연합하여 무네카게에게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항복했다. 1574년에는 모리 씨족과 동맹을 맺고 무네카게를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

1579년, 오다 노부나가의 명령으로 서쪽으로 진군하는 하시바 히데요시에게 저항했지만, 오다 노부나가가 모리 씨족에게 승리할 것을 예측하고 모리를 돕기 위해 군대를 보냈지만, 자신은 질병을 핑계로 참전하지 않았다.[15][16] 1581년 모리 씨족과의 관계를 끊고 노부나가에게 복종, 미마사카 국과 비젠 국에서 모리 씨족에 대항하여 전투를 벌였다. 그러나 1582년 2월, 오카야마 성에서 사망했다.[8]

오다 노부나가는 나오이에의 전략적 기동이 효과적이었다고 판단, 그의 후계자인 우키타 히데이에가 영지를 상속하도록 확정했고,[9]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히데이에를 양자로 삼았다.[9]

2. 1. 우라가미 가문 가신 시대

교로쿠 2년(1529년), 우키타 오키이에(宇喜多興家)의 아들로 태어났다.[18] 비젠국오쿠 군 도이시 성(砥石城)에서 태어났다고 하나, 사료적 근거는 없다.

덴분 3년(1534년), 조부 우키타 요시이에(宇喜多能家)가 시마무라 모리자네(島村盛実)에게 암살당하자, 나오이에는 겨우 여섯 살의 나이로 부친 오키이에와 함께 방랑 생활을 하였다.[7][8] 2년 후 아버지가 사망한 후, 7세의 나이로 우키타 씨족의 수장이 되었다.

관례를 올린 뒤 덴진 산성(天神山城) 성주 우라가미 무네카게(浦上宗景)의 가신이 되었고(1543년[8]), 군사 활동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544년, 오토고 성의 영주로 임명되었고,[7] 1년 후 30명의 아시가루를 지휘하여 무네카게의 배신자들과 싸운 것에 대한 보상을 받았다.[9]

1551년, 우라가미 무네카게의 명령에 따라 나카야마 비추 영주 카츠마사의 딸과 결혼했다. 그러나 우라가미 씨족은 나카야마 씨족이 우라가미 무네카게를 소홀히 했다는 이유로 굴복시키려 했다. 우라가미 씨족은 나카야마 빗추노카미와 시마무라 모리자네가 반란을 모의하고 있다고 의심하여 나카야마 씨족을 굴복시키기로 결정했다. 이때, 우키타 나오이에는 시마무라 분고노카미의 음모를 증명하는 편지를 꺼내 분고노카미가 그의 할아버지(우키타 요시이에)의 적이며, 명령이 있으면 즉시 그를 죽이겠다고 말했다. 또한 나카야마 빗추노카미는 그의 장인이지만, 그의 영주 (우라가미 무네카게)를 위해 그를 죽일 것이라고 말했다. 나오이에는 누마 성 옆에 다실을 짓고 나카야마 빗추노카미를 그곳에 초대하여 죽였다. 한편, 시마무라는 누마 성을 공격하기 위해 서둘렀지만, 성문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우키타 씨족 군대에 의해 살해되었다. 그 후, 나오이에에게는 누마 성과 나카야마 씨족과 시마무라 씨족의 영토 대부분이 주어졌다. 이어서 무네카게의 많은 가신들이 떠나 우키타 씨족에 합류했다.[10]

1559년, 우라가미 무네카게의 명령에 따라 장인 나카야마 노부마사를 살해하고 그들의 옛 영토를 회복했다.[7] 1567년, 묘젠지 전투에서 비젠 서부에 진입한 빗추의 거의 모든 세력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

1569년, 오다 노부나가와 서부 하리마 국의 아카마츠 마사히데와 합류하여 우라가미 무네카게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무네카게는 타츠노 성에서 마사히데를 공격하여 항복시켰다. 무네카게는 나오이에에게 그를 섬기도록 특별히 허락했다.

1570년, 오카야마 성 영주 카네미츠 무네타카를 살해하고 성을 개조하기 시작했으며,[11] 1573년 우키타 씨족의 주요 거점을 누마 성에서 옮겼다.[7][12][13]

1574년 3월, 나오이에는 무네카게와의 관계를 끊었다. 전투는 무네카게에게 불리하게 진행되었고, 이듬해 10월 무네카게의 텐진야마 성이 함락되었다.[10] 나오이에의 영향력이 커지자 우라가미 무네카게는 나오이에를 몰아내려 했다.[8] 나오이에는 모리 씨족과 동맹을 맺고 무네카게에 반란을 일으켰으며,[14] 텐진야마 성을 함락시켜 우라가미 무네카게의 통치를 종식시켰다.[8]

2. 2. 하극상과 세력 확대

에이로쿠 9년(1566년) 2월, 우키타 나오이에는 미마사카국으로 진출한 빗추국의 미무라 이에치카를 암살하기 위해 아와 호소카와 가문 출신의 낭인 엔도 형제(엔도 마타지로, 엔도 기자부로)를 기용했다. 엔도 형제는 철포를 사용하여 이에치카를 암살하는 데 성공했다.[7]

에이로쿠 10년(1567년) 7월, 묘젠지 전투에서 나오이에는 비젠 국 서부에 진출해 있던 빗추 세력을 몰아내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 후, 나오이에는 인척 관계였던 가나가와 성 성주 마쓰다 모토테루·모토카타 부자와 오카야마성 성주 가나미쓰 무네타카 등을 몰락시키고 그들의 영지를 차지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이를 통해 나오이에는 우라가미 가문 내에서 가장 강력한 실력자가 되었다.

에이로쿠 12년(1569년), 나오이에는 오다 노부나가 및 서하리마국의 아카마쓰 마사히데와 손을 잡고 주군 우라가미 무네카게에게 반기를 들었다. 그러나 구로다 모토타카·요시타카 부자가 아카마쓰 마사히데를 격파하고, 노부나가가 파견한 원군도 에치젠국 침공으로 인해 회군하면서 상황이 불리해졌다. 결국 나오이에는 무네카게에게 항복했지만, 특별히 용서받고 목숨을 보전한 채 귀순을 허락받았다.

덴쇼 2년(1574년), 나오이에는 다시 무네카게에게서 독립을 꾀했다. 그는 고데라 씨가 양육하던 무네카게의 형 우라가미 마사무네의 손자 히사마쓰마루(久松丸)를 옹립하여 반기를 들었다.[21] 이번에는 히사마쓰마루 옹립과 나오이에의 사전 공작으로 미마사카와 비젠 국내에서 무네카게 휘하 장수들의 배신이 이어졌다. 또한, 무네카게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아키국의 모리 가문과 손을 잡아 군사적인 열세를 극복했다.

덴쇼 3년(1575년)에는 모리 가문의 미무라 씨 공격에 가담하여 협력 관계를 굳건히 했다. 같은 해 9월, 무네카게의 심복이었던 아카시 가게치카 등 중신들마저 나오이에에게 내응하면서, 무네카게는 하리마국으로 도망쳤다. 나오이에는 비젠뿐만 아니라 빗추 국 일부와 미마사카 국 일부까지 지배 영역을 확대했다.(덴진야마성 전투)

그러나 무네카게를 몰아낸 후에도 비젠에는 여전히 옛 우라가미 가문 세력이 남아 있었고, 이들은 하리마로 도망친 무네카게 및 우라가미 히데무네 등과 비밀리에 연락을 취하며 소규모 봉기를 일으켰다.[22] 덴쇼 6년(1578년) 12월, 우라가미 잔당은 일제히 봉기하여 고지마(幸島)를 점령하고, 한때 덴진야마성까지 점령하는 등 기세를 올렸다. 나오이에는 수개월에 걸쳐 이 봉기를 진압하고, 비젠과 하리마에 숨어 있던 옛 우라가미 세력을 몰아내며 영내 지배권을 확립했다.

2. 3. 오다 가문과의 관계와 만년

하시바 히데요시가 오다 노부나가의 명을 받아 주고쿠 지방으로 진군하자, 우키타 나오이에는 이에 맞섰다. 덴쇼 7년(1579년) 5월에는 노부나가와 내통했다는 혐의로 미마사카의 고토 가쓰모토 등을 제거했다.[7]

같은 해 10월, 나오이에는 모리 가문과의 관계를 끊고 노부나가에게 복종했다. 이후 미마사카와 비젠 각지를 오가며 모리 가문과 계속 싸웠으나, 덴쇼 9년(1581년) 말 경 오카야마 성에서 병으로 사망했다. 사인은 출혈을 동반한 엉덩이의 악성 종양이었다고 한다.[23] 나오이에의 죽음은 잠시 비밀에 부쳐졌다가, 다음 해인 덴쇼 10년(1582년) 1월 9일을 공식적인 기일로 삼았다. 아들 우키타 히데이에가 뒤를 이었다.[24]

1580년(덴쇼 8년)에는 모리 씨의 공격을 막아냈지만, 1581년(덴쇼 9년)에는 이와야 성과 미야마 성을 빼앗기는 등 곤경에 처했다. 같은 해 4월에 급사한 이가 히사타카의 뒤를 이은 이가 이에히사가 배신하고, 11월까지 비젠 국과 미마사카 국의 교통 요충지인 시노바야마 성을 모리 측에 빼앗기자 오다 노부나가는 분노를 표출했다. 그러나 그 다음 달에는 태도를 바꿔 모리 씨에게 승리했을 때 비추 국을 추가로 주겠다고 약속하며 우키타 가문의 분발을 촉구했다.

전황이 악화되면서 나오이에의 건강도 나빠졌고, 모리 씨와의 싸움이 계속되는 가운데 오카야마 성에서 사망했다. 나오이에가 사망한 연월일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1581년(덴쇼 9년) 11월부터 1582년(덴쇼 10년) 1월 사이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나오이에의 죽음은 한동안 숨겨졌으며, 1582년(덴쇼 10년) 1월 9일이 공식적인 기일로 되었다.

3. 평가 및 논란

에도 시대 초기에 저술된 《다이코키》에는 사이토 도산마쓰나가 히사히데에 버금가는 악인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아마고 쓰네히사모리 모토나리와 함께 '주고쿠 삼대 모장'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1] 한편, 제2차 세계 대전 전에는 황실 소유였던 비젠 돗토리 장원備前鳥取庄일본어을 회복한 점에서 근황가적인 측면이 평가받기도 하였다.[1]

최근에는 가네미쓰 무네타카를 비롯하여 마쓰다 모토카타, 고토 가쓰모토 등 상대하기 벅찬 상대에게는 자신의 딸이나 누이, 혹은 친척의 딸을 자신의 양녀로 삼아 혼인을 성립시키고 친의의 정을 내보여 방심하게 만든 뒤, 때를 보아 독살하거나 암살하는 등의 행위가 많았다는 사실 때문에 그다지 인기가 없다.[1]

사료로는 불분명하거나 허구, 창작된 이야기가 많은 것으로 여겨지지만, 에도 시대의 군기물 《비젠 군기》나 지지 《와케 견》에서는 자신의 딸이나 자매, 혹은 친척의 딸을 양녀로 삼아 인척 관계를 맺은 인물들조차 할복에 몰아넣거나 멸망시키는 모살을 다용했다고 전해지며, 이러한 행위로 인해 이복 동생에게조차 두려움을 받았다고 전해진다.[1]

다만, 나카야마 비젠노카미(가쓰마사 혹은 하루마사)나 시마무라 모리누키의 암살은 우라가미 무네카게가 우라가미 마사무네에게 귀순할 때 그 장애가 되었기 때문에 살해된 것이며, 완전한 창작이다.[1] 고토 가쓰모토 역시 오다 노부나가에게 귀순(배신)했기 때문에 패사한 것이며, 이 역시 창작이다.[1] 우가키 요에몬(히데오키, 소주)는 묘젠지 전투 때 나오이에가 암살했다고 여겨지지만, 나오이에가 사망했을 때 유력 가신 5명 중 1명으로 서신에 나타나기 때문에 창작이다.[1]

이가 히사타카와 미무라 이에치카는 실제로 나오이에가 암살했다고 여겨진다.[1]

창작 속에서 암살했다고 여겨지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1]


  • 나카야마 가쓰마사(장인)
  • 시마무라 모리누키(주군인 우라가미 무네카게의 명에 의한)
  • 우가키 요에몬(마쓰다 모토카타 가신. 총살)



우라가미 무네타쓰처럼 실존하지 않는 인물의 암살을 날조한 사례나, 사소 쇼쿠케이처럼 다른 세력에 의한 암살을 오인한 사례, 시마무라 모리자네처럼 일족의 갈등을 후세에 창작한 설화 등도 다수 보인다.[1] 한편, 나오이에를 섬겼던 오카 요자에몬의 손자 다헤이가 간에이 21년(1644)에 제출한 봉공서에서 사소 시나노노카미(쓰네사토)를 암살했다고 기록하고 있는 것처럼 관계자의 증언도 존재한다.[1]

신앙심 또한 깊어, 가네가와 성의 영주 마쓰다 씨가 영내의 주요 사찰에 닛렌종으로의 개종을 강요했을 때, 이에 응하지 않아 소실된 가네야마 사나 기비쓰히코 신사의 재건을 지원했다.[1] 그 때문에, 이들 사찰은 나오이에를 숭경하고 있다.[1]

오카야마 성을 거성으로 삼은 이후, 성 아래에 상인을 불러 모아 성 아래 마을 정비에 힘썼다.[1] 이전까지 비젠 국의 상업 중심지는 사이다이지나 비젠 후쿠오카 등 동부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나오이에와 히데이에 두 대에 걸친 성 아래 마을 정비로 인해, 오카야마 성을 중심으로 하는 시가지가 발전했다.[1]

4. 가신

우키타 나오이에를 섬긴 가신은 다음과 같다.


  • 아카시 유키오
  • 아카시 테루즈미
  • 하나후사 마사유키
  • 하나후사 모토히데
  • 노베하라 카게요시
  • 오사후네 사다치카
  • 토가와 히데야스
  • 오카 이에토시
  • 오카 고스케


이 중 오사후네, 토가와, 오카 3명은 '우키타 삼로'로 칭해진다.

5. 우키타 나오이에를 소재로 한 작품


  • 소니시 겐지의 고양이 고양이 일본사에서는 오쓰카 아키오가 성우를 맡았다.
  • 시게노 나오키는 군사 구로다 간베에 전과 해치워버려!! 우키타 씨를 통해 우키타 나오이에를 다루었다.

5. 1. 소설


  • 히로세 요시키 「권모술수」 『별책 역사 독본 특별 증간 90' (헤이세이 2년) 여름호 난세 반역전』 (신인물왕래사, 1990년 ※ 단행본 미수록)
  • 모리모토 시게루 『검 괭이밥의 난무 비젠 우키타 나오이에의 생애』 (산요 신문사, 1995년)
  • 다카하시 나오키 『검은 풍운아』 (신인물왕래사, 1996년 발매, 절판. 가쿠요 서방에서 2008년, 2009년에 『우키타 나오이에』로 개제되어 출판)
  • 쓰모토 요 『우키타 히데이에 - 비젠 이야기』 (분게이슌주, 1997년)
  • 구로베 도루 『우키타 나오이에 - 히데요시가 두려워한 희대의 모략가』 (PHP 연구소, 2002년)
  • 도고 다카시 『나쁜 놈들 - 모략가 우키타 나오이에』 (주오코론신샤, 2003년)
  • 난조 노리오 『무장 간모』 (후타바 문고 『무참야 지로 노부야스』 수록)
  • 가이온지 조고로 『우키타 나오이에』 (분슌 문고 『악인 열전·근세 편』 수록)
  • 난조 노리오 『간악 무한의 무장 - 우키타 이즈미노카미 나오이에』 (분슌 문고 『네 이놈, 지쿠젠, 내가 졌다』 수록)
  • 나카무라 아키히코 『소매의 불씨』 (가도카와 문고 『창 탄정의 역습』 수록)
  • 기노시타 마사키 『우키타의 버려진 며느리』 (분게이슌주)
  • 가키네 료스케 『열반』 상·하 (아사히 신문 출판, 2021년)
  • 이마무라 쇼고 『우키타의 쌍탄』 (PHP 연구소 『전국 무장전 서일본 편』 수록, 2023년)

5. 2. 만화·애니메이션


  • 소니시 겐지의 고양이 고양이 일본사 (성우: 오쓰카 아키오)
  • 시게노 나오키의 군사 구로다 간베에 전
  • 시게노 나오키의 해치워버려!! 우키타 씨

5. 3. 드라마

참조

[1] 서적 備前藩宇喜多小早川池田史談 https://books.google[...] 日本文教出版 2024-06-18
[2] 서적 打開天窗說亮話: 吳錦發論政治 前衛出版社 1991
[3] 서적 岡山戦国物語 https://books.google[...] 吉備人出版 2024-06-18
[4] 서적 豊臣期の宇喜多氏と宇喜多秀家 https://books.google[...] 岩田書院 2024-06-18
[5] 서적 ビジュアルワイド 図解 日本の城・城合戦 https://books.google[...] 西東社 2024-06-18
[6] 서적 戦国武将の家訓 https://books.google[...] 新人物往来社 2024-06-18
[7] 웹사이트 Ukita Naoie https://www.city.oka[...] Okayama city 2021-10-22
[8] 웹사이트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宇喜多直家」の解説 https://kotobank.jp/[...] kotobank 2021-10-22
[9] 서적 Samurai Armies 1467–1649 Bloomsbury Publishing
[10] 웹사이트 宇喜多氏・陶氏「下剋上」の軌跡 https://www.rekishij[...] ABC Arc, inc. 2022
[11] 웹사이트 宇喜多直家 https://www.city.oka[...] Okayama city official 2021-10-23
[12] 웹사이트 沼城(亀山城) https://www.city.oka[...] Okayama city 2021-10-22
[13] 웹사이트 天神山〈てんじんやま〉城跡 (県指定文化財) 和気郡和気町岩戸・田土 https://www.pref.oka[...] Okayama pref official 2021-10-26
[14] 웹사이트 宇喜多直家と城 https://www.pref.oka[...] Okayama pref official 2021-10-26
[15] 서적 Toyotomi Hideyoshi Bloomsbury Publishing
[16] 서적 The Life of Toyotomi Hideyoshi The Hakubunsha
[17] 간행물 戦国史研究 71 吉川弘文館 2016
[18] 문서 浦上宇喜多両家記
[19] 문서 湯浅常山
[20] 서적 戦国期浦上氏・宇喜多氏と地域権力 岩田書院 2011
[21] 문서 小寺家文書
[22] 문서 坪井文書など
[23] 문서 宇喜多直家
[24] 문서 蜂須賀文書写、「両家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