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군 (1948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진군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울진군 전 지역을 관할했던 대한민국의 선거구이다. 김광준이 제헌 국회의원 선거와 제2대,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고, 전만중이 제3대,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1963년 울진군이 경상북도로 편입되고,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양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영양군·울진군 선거구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진군의 정치 - 영덕군·청송군·울진군
영덕군·청송군·울진군 선거구는 1973년부터 1988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영덕군, 청송군, 울진군이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나 청송군·영덕군과 울진군으로 분리되어 폐지되었다. - 울진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진군의회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진군의회는 2018년 울진군의회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로, 지역구에서는 무소속 5석, 자유한국당 2석, 비례대표에서는 자유한국당 1석을 얻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춘천시 (2000년 선거구)
춘천시는 인구 증가로 분구되어 폐지되기 전까지 16대부터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승수, 허천, 김진태를 당선시킨 춘천시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된 선거구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태백시·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태백시·정선군 선거구와 영월군·평창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 17대부터 19대 총선까지 존속하다 20대 총선을 앞두고 횡성군 편입으로 태백시·횡성군·영월군·평창군·정선군 선거구로 개편되며 폐지되었으며, 이광재, 최종원, 염동열이 국회의원을 지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울진군 (1948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울진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강원도 |
연도 | 1948년 |
폐지 | 1963년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영양군·울진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울진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1월, 울진군이 경상북도로 편입되었다. 또한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가 개편됨에 따라 영양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영양군·울진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다음은 울진군 선거구에서 실시된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이다.
- 제헌 국회의원 선거: 무소속 김광준 후보가 29.8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무소속 김광준 후보가 41.0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자유당 전만중 후보가 67.5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자유당 전만중 후보가 59.9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당 김광준 후보가 32.0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김광준 | 무소속 | 11,224 | 29.85 |
전영직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0,761 | 28.62 |
김수근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9,491 | 25.24 |
장홍구 | 대동청년단 | 6,120 | 16.27 |
합계 | 37,596 | - |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광준 | 무소속 | 15,697 | 41.01 |
전영직 | 무소속 | 9,331 | 24.38 |
주세중 | 무소속 | 4,699 | 12.27 |
진기배 | 무소속 | 4,113 | 10.74 |
강상술 | 대한청년당 | 2,479 | 6.47 |
김준기 | 무소속 | 1,949 | 5.09 |
합계 | 38,268 | 100 |
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전만중 후보가 67.58%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광준 후보는 23.88%, 무소속 진기배 후보는 8.53%를 득표하였고, 무소속 이종만 후보는 득표하지 못했다.
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전만중 후보가 당선되었다.
4.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광준 | 민주당 | 13,629 | 32.06 |
오춘삼 | 무소속 | 8,034 | 18.90 |
진기배 | 무소속 | 7,892 | 18.56 |
황병석 | 무소속 | 7,104 | 16.71 |
안교명 | 무소속 | 5,843 | 13.74 |
합계 | 42,502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