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웅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웅상은 1894년 울산도호부 웅촌면에서 분면된 지역으로, 현재는 경상남도 양산시의 4개 행정동(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웅상출장소가 설치되어 행정 업무를 수행하며, 2007년 4개 동으로 분동되었다. 천성산 등 산지에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며, 웅상 지역은 울산, 부산과 인접해 있다. 웅상 지역은 양산시와 지리적, 문화적 이질감으로 인해 행정 구역 개편 논란이 있으며, 웅상출장소의 기능과 관련된 논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산시의 행정 구역 - 물금읍
    물금읍은 양산시에 위치한 읍으로, 신라 시대 황산진, 조선 시대 양산군 서면을 거쳐 1996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2000년대 중반 이후 인구 급증과 함께 물금역과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 지나는 교통 요지이다.
  • 지명 - 지명학
    지명학은 장소 이름인 지명의 기원, 의미, 역사, 분포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지리명과 우주명으로 나뉘며 언어학, 역사학 등과 연관되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 지명 - 가나 지명
    가나 지명은 일본의 지명 표기 방식 중 하나로, 한자로 표기되던 지명을 히라가나, 가타카나, 또는 혼용하여 표기하며, 지역의 역사성 반영 미흡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양산시의 지리 - 수영강
    수영강은 울주군 백운산에서 발원하여 수영구와 해운대구를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과거 영천, 사천 등으로 불리다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 설치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 양산시의 지리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웅상
개요
종류
관할 법정리서창리
소주리
평산리
덕계리
행정 구역
면적41.43km²
인구94,142명 (2023년 12월 기준)
인구 밀도2,272.2명/km²
행정
읍사무소 소재지삼호로 69 (평산동)
하위 행정 구역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
역사
1914년웅상면으로 개칭
1983년 2월 15일양산군에 편입
1996년 3월 1일웅상읍으로 승격
2024년웅상 출장소 설치 예정

2. 역사

1894년 울산도호부 웅촌면이 웅상면과 웅하면으로 분면되었다. 1896년 울산도호부가 울산군으로 승격하여 울산군 웅상면이 되었다. 1906년 웅상면이 양산군에 편입되어 양산군 웅상면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 9개리로 개편하였다. 1991년 11월 20일 웅상면이 읍으로 승격하여 양산군 웅상읍이 되었다. 1996년 3월 1일 양산군이 양산시로 승격하여 양산시 웅상읍이 되었다. 1998년 4월 1일 웅상읍 평산리, 덕계리, 매곡리, 주진리를 관할로 덕계출장소가 설치되었다. 2004년 1월 1일 양산시 웅상민원출장소가 설치되었다. 2007년 4월 1일 웅상읍을 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의 4개 동으로 분동하고, 웅상민원출장소가 웅상출장소로 승격하였다. 2014년 1월 20일 출장소청사를 삼호로 41에서 진등길 40으로 이전하였다.

행정동법정동
서창동용당동, 삼호동, 명동
소주동주남동, 소주동, 주진동
평산동평산동
덕계동덕계동, 매곡동


2. 1. 조선 시대

1894년 울산도호부 웅촌면이 웅상면과 웅하면으로 분면되었다. 1896년 울산도호부가 울산군으로 승격하여 울산군 웅상면이 되었다.

2. 2. 일제 강점기

1906년 웅상면이 양산군에 편입되어 양산군 웅상면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 9개리로 개편하였다.

2. 3. 대한민국

1894년 울산도호부 웅촌면이 웅상면, 웅하면으로 분면되었다. 1896년 울산도호부가 울산군으로 승격하여 울산군 웅상면이 되었다. 1906년 웅상면이 양산군에 편입되어 양산군 웅상면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 9개리로 개편하였다. 1991년 11월 20일 웅상면이 읍으로 승격하여 양산군 웅상읍이 되었다. 1996년 3월 1일 양산군이 양산시로 승격하여 양산시 웅상읍이 되었다. 1998년 4월 1일 웅상읍 평산리, 덕계리, 매곡리, 주진리를 관할로 덕계출장소가 설치되었다. 2004년 1월 1일 양산시 웅상민원출장소가 설치되었다. 2007년 4월 1일 웅상읍을 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의 4개 동으로 분동하고, 웅상민원출장소가 웅상출장소로 승격하였다. 2014년 1월 20일 출장소청사를 삼호로 41에서 진등길 40으로 이전하였다.

3. 지리

천성산, 대운산, 불광산, 용천산 등 비교적 큰 산들에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다. 웅상 지역 서쪽으로는 천성산에서 백양산까지 이르는 낙동정맥이 지나가므로 양산시내와는 지형적으로 막혀 있다. 그러나 울산 울주군 웅촌면이나 부산 기장군 쪽으로는 평탄한 지대로 이어져 있다.

4. 정치·행정

4. 1. 웅상출장소

2004년 웅상 지역에 민원출장소가 설치되었고, 2007년 4월 1일에 양산시 웅상출장소로 승격하였다. 웅상출장소 청사는 경상남도 양산시 삼호로 41(삼호동)에 소재한 KT사옥을 임대하여 사용하다가 2014년 1월 20일에 진등길 40(주진동)의 신청사로 이전하였다.

웅상출장소는 3과(총무과·주민복지과·도시건설과) 17담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창·소주·평산·덕계 4개 행정동을 관할한다. 공무원 정원은 113명(출장소 65명+행정동 49명)이다.

4. 2. 도·시의원

경상남도의회 및 양산시의회 의원 관련 정보는 각각 경상남도의회 및 양산시의회 문서를 참고.

4. 3. 기타

웅상 지역의 치안은 삼호로 158(삼호동)에 위치한 서창파출소와 덕계로 95(덕계동)에 위치한 덕계파출소에서 담당하고 있다.[1] 소방은 웅상대로 1120(명동)에 있는 웅상119안전센터와 내연4길 9(평산동)에 있는 평산119안전센터에서 담당하고 있다.[1] 그러나 지역 주민들과 홍순경 경상남도의원은 웅상지역에 웅상소방서 신설을 요구하고 있다.[1]

웅상의 오·폐수는 울산광역시의 회야하수종말처리장에서 처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웅상지역의 하수도 사용료는 양산시가 아닌 울산광역시에서 징수하고 있다.[2]

5. 행정 구역

2019년 7월 기준으로 웅상출장소는 9개 법정동을 4개 행정동으로 나누어 관할하고 있으며, 39,335세대 93,608명이 거주하고 있다. 웅상출장소의 전체 면적은 64.52㎢이다.

행정동면적(㎢)세대인구(명)주민센터 위치
서창동22.0012,93930,536양산시 서창로 194(삼호동)
소주동18.458,90119,930양산시 소주회야1길 5-26(소주동)
평산동10.7512,71331,668양산시 평산로 71(평산동)
덕계동13.384,78211,474양산시 번영로 35(덕계동)


6. 인구와 가구

웅상의 인구와 가구 변화는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및 양산시청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970년 8,863명, 1,726가구였던 웅상면 인구는 1995년 48,944명, 13,786가구로 크게 증가하였다. 1996년 웅상읍으로 승격된 후에도 인구 증가 추세는 계속되어, 2005년에는 75,714명, 24,724가구를 기록하였다. 2007년 웅상출장소 설치 이후에도 인구는 꾸준히 늘어 2017년에는 98,037명, 39,130가구에 달했다.

연도인구(명)가구(세대)
1970년8,8631,726
1975년9,8991,885
1980년11,5432,473
1985년13,4633,284
1990년20,3385,287
1995년48,94413,786
자료 :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연도인구(명)가구(세대)
2000년62,72018,861
2005년75,71424,724
2006년75,85326,469
자료 :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양산시청



연도인구(명)가구(세대)
2007년82,89727,592
2008년82,37629,020
2009년85,23030,449
2010년90,39533,122
2011년92,69734,243
2012년92,82634,959
2013년94,18935,423
2014년94,64936,282
2015년95,88337,097
2016년98,10738,418
2017년98,03739,130
2018년97,18939,320
자료 : 양산시청


7. 주요 시설

7. 1. 유관기관



웅상 지역의 주요 기관으로는 덕계파출소, 서창파출소, 소주파출소, 웅상119안전센터, 평산119안전센터, 서창우체국, 덕계우체국, 웅상보건지소 등이 있다.

7. 2. 언론기관

http://www.ungsangnews.com/ 웅상뉴스(웅상신문)는 웅상 지역의 소식을 전하는 언론이다.

7. 3. 교육기관

웅상 지역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가 있다. 초등학교로는 웅상초등학교, 덕계초등학교, 서창초등학교, 대운초등학교, 신명초등학교, 백동초등학교, 평산초등학교, 천성초등학교가 있다. 중학교로는 웅상중학교, 웅상여자중학교, 서창중학교, 개운중학교가 있다. 고등학교로는 웅상고등학교, 서창고등학교, 효암고등학교가 있다. 대학교로는 영산대학교 양산캠퍼스가 있다.

8. 교통 시설

8. 1. 도로

7호선이 웅상을 지나며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를 연결한다. 1028호선온양읍과 연결된다. 그러나 양산시내와 직접 연결되는 도로는 없고,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를 경유해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을 이용해야한다.

8. 2. 시외버스

웅상지역 용당동에 용당정류소가, 삼호동에 서창정류소가, 덕계동에 덕계정류소가 있다. 이들 정류소에는 울산~부산, 울산~부산경유~마산·창원·진해·여수 노선, 방어진~부산 노선과 방어진~부산경유~통영 노선이 경유한다. 그러나 울산~부산과 방어진~부산을 제외한 다른 노선들은 운행 횟수가 적으며,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이나 울산 신복시외버스정류소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9. 행정 구역 개편 논란

웅상은 신라시대에는 웅하면(웅촌면)의 일부였으며, 고려시대에 흥례부에 편입된 이래 계속 울산에 속해있다가 1906년에서야 양산에 편입되었다.[3] 그러나 양산시내와는 천성산으로 가로막힌 실질 월경지인데다 교류도 적고, 주민들은 부산광역시 또는 울산광역시로의 편입을 원하고있다.[3][4] 설문조사 결과 현재의 웅상출장소 행정 체제에 대해 43.0%가 '불만'을, 12.2%가 '만족'을 나타냈다.[3] 행정 구역 개편 방향에 대해서는 웅상지역만 부산편입이 28.3%, 웅상지역만 울산편입이 19.4%, 웅상시 승격이 17.8%순으로 나타났다.[3] 양산과 분리되지 않고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질 경우 양산시 전체 부산편입이 55.5%, 양산시 전체가 울산편입이 22.9%, 행정 구역 개편 불필요가 21.6%로 나타났다.[3]

웅상발전협의회가 울산대학교 울산학연구소에 의뢰한 '생활권과 경제권을 고려한 웅상지역 행정구역개편의 필요성 연구'용역에 따르면 웅상지역이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편입될 경우 주민선호도나 생활권 일치 측면에서 우수하나 지리적 격리 때문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고,[3] 기장군 편입은 주민선호도가 낮고 행정 구역 편입의 이점이 별로 없어서 울주군 편입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되었다.[4]

20대 총선을 앞두고 양산시가 갑, 을 선거구로 분구되면서 웅상을 중심으로 한 양산 을 선거구가 신설되었다.[3] 다만 웅상만으로 선거구를 만들기에는 인구가 부족하여 원 양산 지역 일부도 편입되었다. 웅상 지역 전체와 동면과 양주동으로 구성되었다. 원양산 지역인데 졸지에 웅상 선거구로 편입된 양주동 입장에선 억울하겠지만, 오히려 실제 선거 결과에서는 웅상 4개 동과 동면에서 새누리당 후보가 거의 적은 표차로 우세했는데 양주동에서 그것보다 큰 표차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우세하여 양주동이 캐스팅보터 역할을 하게 되었다.

10. 명칭 변경 논란

나동연 양산시장은 2012년 신년인사회에서 생활권과 문화적 이질감을 보이고 있는 양산의 통합을 위해 '웅상'이라는 지명을 '동부 양산'으로, '웅상출장소'를 '동부출장소'로 변경하자고 제안했다.[5] 그러나 웅상지역 상당수 주민들은 미온적인 반응을 보였다.[5]

11. 출장소 폐지 논란

양산시의회에서 웅상출장소 신청사 건립 예산을 삭감했으며, 최영호 양산시의원은 "개소 당시의 취지와는 달리 충분한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없다면 그 존재의 이유가 없는 것이며 이는 행정낭비에 불과하다"고 웅상출장소의 존재 가치에 의문을 제기했다.[6] 그러나 웅상 지역에서는 오히려 웅상출장소의 기능과 권한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6]

참조

[1] 뉴스 “웅상지역 소방서 신설 급하다” http://www.iusm.co.k[...] 울산매일 2013-12-09
[2] 뉴스 웅상지역 10월부터 하수도 사용료 부과 http://www.ksilbo.co[...] 경상일보 2009-08-06
[3] 문서 웅상이 금정구에 편입될 경우, 중간에 기장군 [[정관읍]]과 양산시 [[동면 (양산시)|동면]]이 있어서 월경지가 되는데다 웅상의 남측 일부가 부산권 개발제한구역에 포함되어있어서 시가지 연담화가 불가능하다.
[4] 뉴스 “웅상, 울주군 편입이 현실적 대안” http://www.ksilbo.co[...] 경상일보 2009-12-30
[5] 뉴스 양산시장 웅상 지명 변경 제안에 주민 '글쎄'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2-01-17
[6] 뉴스 양산시 웅상출장소 존립 논란 가열 http://www.ksilbo.co[...] 경상일보 2012-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