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종합버스터미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은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위치한 터미널로, 1994년부터 시작된 도심 교통 체증 해소 사업의 일환으로 2001년 9월 20일에 완공되어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통합 운행하고 있다. 과거 부산고속버스터미널과 부산동부시외버스터미널이 있던 자리에는 각각 롯데백화점 동래점과 온천반도보라스카이뷰아파트가 들어섰으며, 현재 터미널은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포역과 연결되어 있다. 터미널 건물은 편의 시설과 함께 고속 및 시외버스 노선을 제공하며, 전국 각지로 운행하는 다양한 고속 및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원 계열사 - 세원 (버스 기업)
    세원은 1980년 양산여객자동차로 설립되어 1990년 주식회사 세원으로 상호 변경된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기업으로, 경상남도 양산시와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와 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양산역 환승센터와 태화강역을 기점으로 여러 지역을 연결한다.
  • 부산 금정구의 건축물 - 범어사
    범어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되어 임진왜란 이후 중건되었고, 조선시대 불교 탄압에도 존속하며 근대 고승들의 수행을 통해 선불교 전통을 계승하고, 현재도 한국 불교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사찰이다.
  • 부산 금정구의 건축물 -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오륜대 수도원 설립을 기념하여 1982년 개관, 한국 천주교회사 관련 유물 및 전시를 제공하고 2009년 박물관으로 정식 등록되었다.
  • 부산광역시의 버스 교통 -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은 부산 해운대구에 위치하여 영남권과 수도권 방면 시외버스를 운행하며, 임시 터미널 형태로 운영되고 시설 부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버스 교통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부산사상터미널)은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위치한 시외버스터미널로, 1985년 이전하여 본관 A, B동 및 별관 A, B동으로 구성된 육각형 외벽과 기둥이 특징이며, 수도권, 호남권, 영남권 방면의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고 애플아울렛, 롯데시네마 등 상업 시설과 함께 있다.
부산종합버스터미널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부산종합버스터미널
종류터미널
국가대한민국
주소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2238 (노포동)
이전2001년 9월 20일
운영 기관고속버스: 부산종합버스터미널(주)
시외버스: (주)부산동부버스터미널
터미널 코드700
표기부산 (노포동)
고속버스 운행 여부운행
시외버스 운행 여부운행
시내버스 운행 여부미운행
웹사이트고속버스: 고속버스 웹사이트
시외버스: 시외버스 웹사이트
영어 안내
영어 명칭Busan Central Bus Terminal
기타
부산종합버스터미널 정면(서편)
부산종합버스터미널 정면(서편)

2. 터미널 역사

부산광역시는 도심 교통 체증 해소를 위한 숙원 사업으로 1994년부터 터미널 이전을 추진하였다.[2]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이전에 터미널 건물 완공을 목표로 2000년 6월에 현재의 터미널 건물 신축 공사를 착공하려 했으나,[2] 실제 기공식은 같은 해 10월 5일에 열렸다.[3] 2001년 9월 20일 터미널 건물을 완공하여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통합 운영하는 형태로 운영을 시작하였다.[4] 과거 부산고속버스터미널 부지는 미남역 인근 온천반도보라스카이뷰아파트로, 부산동부시외버스터미널 부지는 명륜역 인근 롯데백화점 동래점으로 재개발되었으며, 현재 터미널은 노포역과 지하로 연결되어 있다.[4]

2. 1. 이전 배경

과거 부산고속버스터미널은 부산광역시 동래구 아시아드대로 234 (온천동 1412-1) 롯데백화점 동래 옛 동부터미널 일대에, 부산동부시외버스터미널은 중앙대로 1393 (온천동 502-3) 일대에 위치했다. 부산광역시는 도심 교통 체증 해소를 위한 숙원 사업으로 1994년부터 터미널 이전을 추진하였다.[2]

2. 2. 이전 과정

부산광역시는 도심 교통 체증 해소를 위해 1994년부터 터미널 이전을 추진하였다.[2]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이전에 터미널 건물 완공을 목표로 2000년 6월에 현재의 터미널 건물 신축 공사를 착공하려 했으나,[2] 실제 기공식은 같은 해 10월 5일에 열렸다.[3] 2001년 9월 20일 터미널 건물을 완공하여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통합 운영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4]

2. 3. 이전 결과

과거 부산고속버스터미널 부지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4호선 환승역인 미남역 인근 온천반도보라스카이뷰아파트로 재개발되었다.[4] 부산동부시외버스터미널 부지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명륜역 인근 롯데백화점 부산 고속터미널 동래점으로 재개발되었다.[4] 현재 터미널은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포역과 지하로 연결되어 있다.[4]

3. 터미널 건물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은 터미널과 함께 편의점 등 부대 상업시설이 있으며, 고속버스와 시외버스의 운행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진다.

3. 1. 층별 안내


  • '''지상 1층''': 전 노선의 출발 및 도착 '''플랫폼''', 식당가, GS25 편의점 등 각종 편의 시설
  • '''지상 2층''':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매표소''', 패스트푸드점, 약국, GS25 편의점 등 각종 편의 시설
  • '''지상 3층''': 레스토랑, 커피숍, 부산은행, PC방 등 각종 편의 시설, 경남고속 사무실

3. 2. 편의 시설

터미널에는 식당, GS25 편의점, 패스트푸드점, 약국, 부산은행, PC방 등 다양한 편의 시설이 있다.[1] 물품 보관함도 운영하고 있다.[1]

층수시설
지상 1층전 노선 출발 및 도착 플랫폼, 식당가, GS25 편의점 등
지상 2층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매표소, 패스트푸드점, 약국, GS25 편의점 등
지상 3층레스토랑, 커피숍, 부산은행, PC방, 경남고속 사무실 등


4. 운행 노선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는 전국 각지로 향하는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운행 노선운행 업체운행 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시간표
부산 ↔ 서울경부금호고속, 동양고속, 삼화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부산 ↔ 서울경부낙동강휴게소[6]20~40첫차: 06:00
막차: 02:00
부산 ↔ 동서울금호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부산 ↔ 동서울낙동강휴게소[6]80첫차: 06:35
막차: 23:50
부산 ↔ 경주금호고속부산 ↔ 경주무정차60첫차: 08:00
막차: 23:00
부산 ↔ 광주금호고속, 삼화고속부산 ↔ 광주섬진강휴게소, 광주문화예술회관[7]40~50첫차: 06:20
막차: 23:30
부산 ↔ 논산[8]충남고속부산 ↔ 논산연무대4회06:40(화), 07:30(일~월), 11:00, 15:00, 18:00
부산 ↔ 당진[9]천일고속, 충남고속부산 ↔ 당진기지시4회08:00, 11:30, 15:20, 18:20
부산 ↔ 동대구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부산 ↔ 동대구용계40첫차: 06:25
막차: 22:30
부산 ↔ 대전복합금호고속, 한일고속부산 ↔ 대전복합무정차6회08:00, 10:00, 12:30, 15:00, 17:00, 19:00
부산 ↔ 성남천일고속, 속리산고속부산 ↔ 성남낙동강휴게소[6]60~80첫차: 06:30
막차: 22:00
부산 ↔ 세종[10]대원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부산 ↔ 세종무정차6회07:00, 09:00, 11:00, 12:40, 16:30, 18:30
부산 ↔ 순천천일고속부산 ↔ 순천섬진강휴게소, 순천대학교[13]8회07:00, 09:00, 11:00, 13:00, 15:00, 17:00, 19:30, 22:00
부산 ↔ 여수금호고속, 천일고속부산 ↔ 여수섬진강휴게소, 여천50~60첫차: 06:35
막차: 22:40
부산 ↔ 용인경남여객, 대원고속부산 ↔ 용인낙동강휴게소[6], 신갈9회07:00, 08:30, 10:00, 11:30, 13:00, 14:30, 16:00, 17:30, 19:00
부산 ↔ 인천동양고속, 삼화고속, 천일고속부산 ↔ 인천낙동강휴게소[6]70~80첫차: 06:25
막차: 23:20
부산 ↔ 의정부[11]금호고속부산 ↔ 의정부구리6회[12]07:30, 10:00, 12:10, 15:00, 17:00, 18:40
부산 ↔ 전주동양고속부산 ↔ 전주무정차60~90첫차: 07:00
막차: 22:20
부산 ↔ 청주속리산고속, 한일고속부산 ↔ 청주낙동강휴게소[6], 청주 나들목[13]90첫차: 06:30
막차: 19:30



시외버스 노선
방면행선지
수도권 방면고양[14], 경기광주[15], 동두천[15], 부천, 송도, 수원, 안산, 여주, 오산, 이천, 인천국제공항, 하남[15]
강원권 방면간성, 강릉, 거진, 고한사북, 공근, 근덕, 낙산, 동해, 물치, 삼척, 손양, 속초, 양양, 원주, 인구, 임원, 장호, 주문진, 춘천, 태백, 하조대, 호산, 홍천, 횡성
충청권 방면수안보, 연풍, 제천, 천안, 충주
호남권 방면광양, 군산, 동광양(중마), 순천, 여수, 여천, 익산
영남권 방면강구, 경북도청, 경주, 고성, 고현(거제), 구미[16], 구산, 군위, 기성, 나루끝, 다인, 단촌, 대강, 덕계, 도곡, 도리원, 도평, 동래역, 마산, 매포, 매화, 문경, 방어진, 배둔, 병곡, 부구, 부남, 북대구, 불로, 사곡, 사동, 삼창, 상주, 서창, 선산, 송라, 신락, 신령, 신안, 안계, 안덕, 안동, 언양, 연계, 영덕, 영주, 영천, 영해, 예천, 옥포, 옹천, 용당, 우보, 울산, 울진, 웅촌, 원전, 월송, 의성, 의홍, 일직, 임동, 자천, 장사, 장승포, 점촌, 주왕산, 죽변, 지보, 진동, 진보, 진주, 진해, 창원, 청송, 청하, 탑리, 통도사, 통영, 평해, 포항, 풍기, 풍양, 화목, 화산, 화수, 후포(삼율)


4. 1. 고속버스

서울경부, 동서울, 광주, 대전 등 전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을 운행한다. 일부 노선은 낙동강휴게소를 경유한다.[6]

  • 2014년 12월 29일에는 당진행 노선이 신설되었다.[5]
  • 2018년 7월 19일에는 연무대를 경유하는 논산행 노선이 신설되었다.[8]


운행 노선운행 업체운행 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시간표
부산 ↔ 서울경부금호고속, 동양고속, 삼화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부산 ↔ 서울경부낙동강휴게소[6]20~40첫차: 06:00
막차: 02:00
부산 ↔ 동서울금호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부산 ↔ 동서울낙동강휴게소[6]80첫차: 06:35
막차: 23:50
부산 ↔ 경주금호고속부산 ↔ 경주무정차60첫차: 08:00
막차: 23:00
부산 ↔ 광주금호고속, 삼화고속부산 ↔ 광주섬진강휴게소, 광주문화예술회관[7]40~50첫차: 06:20
막차: 23:30
부산 ↔ 논산[8]충남고속부산 ↔ 논산연무대4회06:40(화), 07:30(일~월), 11:00, 15:00, 18:00
부산 ↔ 당진[9]천일고속, 충남고속부산 ↔ 당진기지시4회08:00, 11:30, 15:20, 18:20
부산 ↔ 동대구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부산 ↔ 동대구용계40첫차: 06:25
막차: 22:30
부산 ↔ 대전복합금호고속, 한일고속부산 ↔ 대전복합무정차6회08:00, 10:00, 12:30, 15:00, 17:00, 19:00
부산 ↔ 성남천일고속, 속리산고속부산 ↔ 성남낙동강휴게소[6]60~80첫차: 06:30
막차: 22:00
부산 ↔ 세종[10]대원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부산 ↔ 세종무정차6회07:00, 09:00, 11:00, 12:40, 16:30, 18:30
부산 ↔ 순천천일고속부산 ↔ 순천섬진강휴게소, 순천대학교[13]8회07:00, 09:00, 11:00, 13:00, 15:00, 17:00, 19:30, 22:00
부산 ↔ 여수금호고속, 천일고속부산 ↔ 여수섬진강휴게소, 여천50~60첫차: 06:35
막차: 22:40
부산 ↔ 용인경남여객, 대원고속부산 ↔ 용인낙동강휴게소[6], 신갈9회07:00, 08:30, 10:00, 11:30, 13:00, 14:30, 16:00, 17:30, 19:00
부산 ↔ 인천동양고속, 삼화고속, 천일고속부산 ↔ 인천낙동강휴게소[6]70~80첫차: 06:25
막차: 23:20
부산 ↔ 의정부[11]금호고속부산 ↔ 의정부구리6회[12]07:30, 10:00, 12:10, 15:00, 17:00, 18:40
부산 ↔ 전주동양고속부산 ↔ 전주무정차60~90첫차: 07:00
막차: 22:20
부산 ↔ 청주속리산고속, 한일고속부산 ↔ 청주낙동강휴게소[6], 청주 나들목[13]90첫차: 06:30
막차: 19:30


4. 2. 시외버스

부산종합버스터미널중국어에서는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다양한 지역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경상남도 내 여러 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이 많이 운행되고 있다.

시외버스 노선
방면행선지
수도권 방면고양[14], 경기광주[15], 동두천[15], 부천, 송도, 수원, 안산, 여주, 오산, 이천, 인천국제공항, 하남[15]
강원권 방면간성, 강릉, 거진, 고한사북, 공근, 근덕, 낙산, 동해, 물치, 삼척, 손양, 속초, 양양, 원주, 인구, 임원, 장호, 주문진, 춘천, 태백, 하조대, 호산, 홍천, 횡성
충청권 방면수안보, 연풍, 제천, 천안, 충주
호남권 방면광양, 군산, 동광양(중마), 순천, 여수, 여천, 익산
영남권 방면강구, 경북도청, 경주, 고성, 고현(거제), 구미[16], 구산, 군위, 기성, 나루끝, 다인, 단촌, 대강, 덕계, 도곡, 도리원, 도평, 동래역, 마산, 매포, 매화, 문경, 방어진, 배둔, 병곡, 부구, 부남, 북대구, 불로, 사곡, 사동, 삼창, 상주, 서창, 선산, 송라, 신락, 신령, 신안, 안계, 안덕, 안동, 언양, 연계, 영덕, 영주, 영천, 영해, 예천, 옥포, 옹천, 용당, 우보, 울산, 울진, 웅촌, 원전, 월송, 의성, 의홍, 일직, 임동, 자천, 장사, 장승포, 점촌, 주왕산, 죽변, 지보, 진동, 진보, 진주, 진해, 창원, 청송, 청하, 탑리, 통도사, 통영, 평해, 포항, 풍기, 풍양, 화목, 화산, 화수, 후포(삼율)


5. 교통 연계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포역과 연결되어 있어 철도 교통을 이용하기 편리하다. 부산역과는 20km 떨어져 있다.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의 노포동 버스 정류장에는 부산 시내버스 외에도 울산광역시에서 양산시를 경유하는 일반 광역버스도 진입한다.

5. 1. 철도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포역과 연결되어 있다. 부산역과는 20km 떨어져 있다.

5. 2. 버스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의 노포동 버스 정류장에는 부산 시내버스 외에도 울산광역시에서 양산시를 경유하여 일반 광역버스가 진입한다.

참조

[1] 웹사이트 KOBUS http://www.kobus.co.[...]
[2] 뉴스 [부산] 부산 고속터미널 6월 신축공사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0-05-26
[3] 뉴스 [부산/경남]부산 노포동 종합터미널 착공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0-10-04
[4] 뉴스 부산종합터미널 개장...고속버스 시외버스 모두 처리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1-09-20
[5] 뉴스 당진-부산 간 고속버스 운행 시작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12-29
[6] 기타
[7] 기타
[8] 기타 2018-07-18
[9] 기타 2014-12-29
[10] 기타 2013-12-24
[11] 기타
[12] 기타
[13] 기타
[14] 기타 2013-05-01
[15] 기타 2013-05-01
[16] 기타 2014-05-01
[17] 저널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3-26
[18] 웹사이트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https://policy.nl.go[...]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19] 웹사이트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www.data.go.[...]
[20] 웹사이트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보배터널 관리사무소 http://www.yooshin.c[...]
[21]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지사-웅동 연결도로 http://its.busan.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