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주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주시의 시내버스는 요금 체계, 버스 노선, 교통카드, 통학버스, 마을버스(누리버스), 부름버스로 구성되어 있다. 요금은 연령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현금과 교통카드 사용 시 요금이 다르다. 도시형버스는 동신운수, 대도여객, 태창운수 등이 운행하며, 다양한 노선과 운행 정보를 제공한다. 2019년부터 원주시에서 공영제로 도입한 누리버스는 원주시시설관리공단에서 위탁 운영하며, 시내버스가 운행되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주시의 교통 - 경강선
    경강선은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으로, 경기도 시흥시 월곶역부터 강원도 강릉시 강릉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구간과 강릉선 KTX 구간으로 나뉘어 운행되며, 수도권 동서 연결 및 평창 동계올림픽 교통 지원에 기여했고 향후 인천에서 원주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 원주시의 교통 - 혁신로 (원주시)
    혁신로는 2013년 도로명으로 고시되어 원주시 반곡동에 위치하며 동부순환로, 배울로 등과 접촉하고 원주혁신도시를 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는 형태의 도로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간성시외버스터미널
    간성시외버스터미널은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다양한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특히 강원도 내 접근성이 낮은 지역까지 연결하는 교통망을 형성하여 관광객 편의 증진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대화버스터미널
    대화버스터미널은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에 위치하며, 과거 고양시에서 운영했으나 현재는 고양도시관리공사에서 운영하며 동서울, 강릉, 원주, 춘천, 제천 방면 시외버스와 평창군 농어촌버스를 운행하지만, 경영난으로 매표가 중단되고 시설 노후화와 이용객 감소 문제를 겪고 있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원주시의 시내버스
원주시 시내버스
원주 시내버스 2번
원주 시내버스 2번
관리 기관원주시청 대중교통과
서비스 지역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기타 지역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경기도 양평군, 충청북도 제천시, 충주시
노선 수58
인가 대수166
지불 수단교통카드, 현금
선불 카드마이비, 캐시비, 티머니, 하나로, 레일플러스, 한페이
후불 카드국민, 농협, 롯데M형과 MT형만 사용가능, T형은 사용불가., BC, 삼성, 신한, 하나, 현대M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웹사이트원주 버스정보 시스템

2. 요금 체계

원주시의 시내버스 요금은 연령에 따라 구분되며, 현금과 교통카드 사용 시 요금이 다르다. 2023년 4월 28일 기준 요금표는 다음과 같다.[3]

원주시의 시내버스 요금표 (2023년 4월 28일 기준)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관설동 ~ 횡성관설동 ~ 양동장양리 ~ 운학장양리~ 주천부름버스
일반어른 (만 19세 이상)1,7001,6002,6202,9303,0302,440900
청소년 (만 13세 ~ 18세)1,3601,2602,1002,3402,4201,950700
어린이 (만 7세 ~ 12세)8508501,3101,4601,5201,220500



시계외로 나갈 경우, 원주시 경계부터 1km당 107.84원이 추가된다. 하차 후 1시간 이내에 다른 노선 버스를 탈 경우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요금은 원주, 횡성 모두 동일하다.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는 티머니, 캐시비, 레일플러스, 한페이이며, 후불교통카드는 국민카드, 비씨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삼성카드, 농협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사용가능하다.

2. 1. 요금표 (2023년 4월 28일 기준)

wikitable

원주시의 시내버스 요금표 (2023년 4월 28일 기준)[3]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관설동 ~관설동 ~장양리 ~장양리~부름버스
일반어른 (만 19세 이상)1,7001,6002,6202,9303,0302,440900
청소년 (만 13세 ~ 18세)1,3601,2602,1002,3402,4201,950700
어린이 (만 7세 ~ 12세)8508501,3101,4601,5201,220500



시계외로 나갈 경우, 원주시 경계부터 1km당 107.84원이 추가된다. 하차 후 1시간 이내에 다른 노선 버스를 탈 경우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요금은 원주, 횡성 모두 동일하다.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는 티머니, 캐시비, 레일플러스, 한페이 이며, 후불교통카드는 국민카드, 비씨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삼성카드, 농협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사용가능하다.

2. 2. 교통카드

3. 버스 노선

3. 1. 도시형버스

원주시의 도시형버스는 동신운수, 대도여객, 태창운수 등의 운행사가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각 노선은 번호, 운행사, 운행 구간, 주요 경유지, 배차 간격, 비고(특이사항) 등의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2번 버스는 동신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횡성군 삼일광장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학마을, 영서고등학교, 단구초등학교, 원주중학교, 원주고등학교, 중앙시장, 옛 원주역, 단계사거리, 북원중학교, 장양초등학교, 둔둔리, 원주공항, 횡성여자고등학교, 횡성시외버스터미널이다. 배차 간격은 15~35분(주말 35~85분)이다. 또한, 미래고등학교영서고등학교 사이를 운행하는 하교 노선이 학기 중 평일 1회 운행된다.

2-1번 버스는 동신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횡성군 삼일광장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KT남원주지사, 종합운동장, 원주치악체육관, 원주시외버스터미널, 봉학로사거리, 단계사거리, 북원중학교, 장양초등학교, 둔둔리, 원주공항, 횡성여자고등학교, 횡성시외버스터미널이다. 배차 간격은 25~27분(주말 36~50분)이다.

3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장양리 차고지 사이를 순환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상지대학교, 우산철교(한국폴리텍III대학 원주캠퍼스), 시외.고속버스터미널, 옛 원주역, 중앙시장, KBS 원주방송국, 국립공원연구원입구, 현충탑이다. 배차 간격은 25~60분(주말 40~75분)이다.

3-1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3번 버스와 유사하나 태장초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0~160분이다.

4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장양리 차고지 사이를 순환 운행한다. 현충탑, 강원감영, 금불사거리를 경유하며, 3번 버스의 역순으로 운행된다. 배차 간격은 25~50분(주말 40~85분)이다.

4-1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상지여중, 중앙시장, 태장삼거리를 경유하며, 3-1번 버스의 역순으로 운행된다. 배차 간격은 160분이다.

5-2번 버스는 동신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한라대학교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원주여자고등학교, 남부시장, 시외.고속버스터미널, 원주역, 육민관고등학교이다. 배차 간격은 150~170분이며, 노선 개편 연구용역이 진행 중이다.

6번 버스는 동신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태장주공1단지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단구초등학교, 원주여자중학교, 남부시장, 원주시청, 시외.고속버스터미널, 중앙시장이다. 배차 간격은 20~130분(주말 90~240분)이다. 또한, 미래고등학교영서고등학교 사이를 운행하는 하교 노선이 학기 중 평일 1회 운행된다.

7번 버스는 동신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태장주공1단지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장애인.노인종합복지관, 원주시청, 강원감영, 진광중학교, 진광고등학교이다. 배차 간격은 120~130분(주말 120~240분)이다. 또한, 미래고등학교와 태장주공1단지 사이를 운행하는 하교 노선이 학기 중 평일 1회 운행되며, 제일풍경채 봉바위를 경유한다.

8번 버스는 태창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성문사입구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청솔5차아파트, 원주시시설관리공단, 베스파타운, 무실주공아파트, 무실초교, 원주시청, 서원주유소, 국제아파트, 동신아파트 너르네사거리, 반곡중학교, 배울마을, 행구수변공원, 덕현길입구이다. 배차 간격은 50~210분(주말 90~110분)이다.

10번 버스는 태창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한라비발디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근린공원, 청솔4차아파트. 남원주초교, 청구아파트2단지, 명륜2동주민센터, 행운아파트앞, 도영쇼핑, 원주의료원, 젊음의광장사거리, 개운현대아파트, 서원주유소, 금불사거리, 단계삼익아파트, 단계현진아파트, 단계현대아파트, 단계이안아파트이다. 배차 간격은 140~160분이다.

13번 버스는 대도여객이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성문사입구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강원정비기술학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미리내사거리, 원주여자고등학교, 미래고등학교이다. 배차 간격은 22~30분이다.

16번 버스는 대도여객이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장양리 차고지 사이를 순환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소초농협, 박경리 문학공원, 유만동, 미래삼거리, 원주여자고등학교, 중앙시장이다. 배차 간격은 12-85분이다.

16-1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장양리 차고지 사이를 순환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소초농협, 강원정비기술학원, 원주역사박물관, 태장삼거리이다. 배차 간격은 20분이다.

18번 버스는 태창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한라대학교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봉대초등학교, 통일사거리, 대성고, 합포원이다. 배차 간격은 15~135분(주말 140~160분)이며, 한라대학교 교내에 진입한다.

19번 버스는 태창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한라대학교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판부농협, 원주중학교, 지하상가사거리, 원주역이다. 배차 간격은 25~85분(주말 130~170분)이며, 한라대학교 교내에 진입한다.

21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봉양읍 학산리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소초농협, 중앙시장, 옛 원주역, 영서고등학교, 치악산휴양림, 신림면사무소이다. 매일 12회 운행한다.

22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석동종점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소초농협, 현대자동차(상공회의소), 원주고등학교, 금대리, 신림삼거리이다. 배차 간격은 105-205분이다.

23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성남종점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소초농협, 현대자동차(상공회의소), 원주고등학교, 금대리, 신림삼거리, 윗버등이다. 배차 간격은 130-230분이다.

24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무릉도원면 운학3리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소초농협, 옛 원주역, 노인종합복지관, 금대1리, 신림삼거리이다. 배차 간격은 245분(주말 275분)이다.

25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주천터미널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소초농협, 단구동주민센터, 관설동종점, 치악산휴양림, 신림삼거리, 주천약국이다. 배차 간격은 300분이다.

30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소초농협, 우산초, 원주역, 흥업사거리이다. 배차 간격은 35~70분(주말 70분)이며, 상지대학교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교내에 진입한다.

31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외촌, 용암2리, 화당삼거리, 단강리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소초농협,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원주캠퍼스,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귀래면사무소, 단강, 다리골, 능유마을, 외촌이다. 매일 22회 운행한다.

32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용수골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소초농협, 태장2동, KBS 원주방송국, 외동막이다. 매일 7회 운행한다.

34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소초농협, 북원교,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원주캠퍼스, 육민관중학교, 육민관고등학교이다. 배차 간격은 10~65분(주말 10~70분)이며,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교내에 진입한다.

34-1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회촌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현대자동차(상공회의소), 시외.고속버스터미널, 남부시장,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원주캠퍼스,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이다. 배차 간격은 25분(주말 30분)이며,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교내에 진입한다.

41번 버스는 동신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구룡사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당둔지승강장, 중앙동주민센터, 돌모루, 골말, 원고개, 국립공원사무소이다. 배차 간격은 50~65분(주말 60~180분)이다.

41-2번 버스는 동신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구룡사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당둔지승강장, 원증거리, 대동, 치악산드림랜드이다. 주말에만 175~18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공휴일에 한정하여 운행한다.

50번 버스는 대도여객이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문막공단(관리사무소)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장양리, 상지대학교, 단계은행아파트, 원주시청, 만종교차로, 만종역, 문막주공아파트, 문막공단이다. 배차 간격은 20~115분이다.

51번 버스는 동신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문막읍 문막2리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당둔지승강장, 풍물시장, 시외.고속버스터미널, 보통동, 영서고등학교이다. 매일 2회 운행한다. 또한, 미래고등학교문막읍 문막2리 사이를 운행하는 하교 노선이 학기 중 평일 1회 운행된다.

51-1번 버스는 동신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경동대학교, 문막읍 문막2리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당둔지승강장, 중앙동주민센터, 만종역, 문막소방서이다. 경동대학교 교내에 진입하며, 평일 18회(주말 8~13회) 운행한다.

52번 버스는 태창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레일파크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당둔지승강장, 중앙동주민센터, 요동, 서원주역, 지정면사무소, 영서고등학교이다. 매일 11회 운행한다.

52-1번 버스는 태창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기업사거리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당둔지승강장, 단구중학교, 학성중, 상무곡, 영서고등학교이다. 매일 15~25회 운행한다.

55번 버스는 태창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부론면사무소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당둔지승강장, 법웅사, 만종초등학교, 동화골, 문막읍사무소, 경동대학교, 포진2리, 영서고등학교이다. 매일 8~12회 운행한다.

55-1번 버스는 태창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부론면사무소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당둔지승강장, 남부시장, 원주세무서, 영서고등학교이다. 매일 3회 운행한다.

56번 버스는 태창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윌송3리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당둔지승강장, 법웅사, 만종초등학교, 포진2리, 오리올, 도시랭이 월송기도원이다. 매일 2~3회 운행한다.

57번 버스는 태창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상구현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당둔지승강장, 원주의료원, 법웅사, 만종초등학교, 오크벨리자갑동, 정감, 늑동골, 서원주역, 영서고등학교이다. 매일 2~3회 운행한다.

58번 버스는 태창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양동역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당둔지승강장, 남부시장, 역전삼거리, 지정면사무소, 서원주역, 영서고등학교이다. 배차 간격은 515분이다.

59번 버스는 동신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경동대학교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당둔지승강장, 단구중학교, 시외.고속버스터미널이다. 배차 간격은 30~65분이며, 경동대학교 교내에 진입한다.

81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미래고등학교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소초농협, 북원중학교, 현대자동차(대한상공회의소), 지하상가, 진등, 신월랑이다. 매일 1회 운행한다.

82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하초구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소초농협, 한국인삼공사 원주공장, 장양초등학교, 북원중학교, 옛 원주역, 원주초등학교, 봉산천주교, 너르네사거리, 진동, 행구현대건영아파트, 행구수변공원, 행구교차로, 거름터, 청솔골, 석경사입구, 명성레미콘, 황골삼거리, 아렛마을, 아렛황골, 흥양교, 흥양2리, 흥양초등학교후문, 직산교, 하초구이다. 매일 7회 운행한다.

90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장양리 차고지와 한라대학교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소초농협, 옛 원주역, 로아노크사거리, 행가리, 원주시청, 원주역, 자감교(한라대입구), 흥업사거리이다. 배차 간격은 40~45분이며, 한라대학교 교내에 진입한다.

100번 버스는 동신운수가 운행하며, 관설동 종점과 기업사거리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원주여자고등학교, 치악예술관, 만종역, 영서고등학교이다. 매일 5회 운행한다.

100-2번 버스는 동신운수대도여객이 공동 운행하며, 중흥2단지와 기업사거리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풍물시장, 시외.고속버스터미널, 대한적십자사이다. 배차 간격은 30~135분(주말 30~180분)이다.

111번 버스는 동신운수가 운행하며, 중흥2단지와 롯데캐슬2차 사이를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원주여자고등학교, 원주역이다. 배차 간격은 30~80분이다.

3. 2. 통학버스

통학 노선은 특정 학교 학생들의 통학을 위해 운행된다. 각 노선은 번호, 운행사, 운행 구간, 주요 경유지, 비고 등의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노선운행사운행 구간경유지비고
통학1태창태장주공1단지치악고등학교행복한마트, 태장현대아파트입구, 반곡아이파크정문매일 1회
통학3태창단계은행아파트미래고등학교박건호공원, 평원중, 남부시장, 상지여중, 원주여고매일 1회
통학6동신개인택시조합육민관고등학교태봉초, 현대자동차(상공회의소), 박건호공원, 대성고매일 1회
통학8태창건영아파트육민관고등학교반곡아이파크정문, 근린공원, 오성마을, 대성고매일 1회
통학11태창무실e편한세상원주보훈요양원한지테마공원, 평원중, 치악체육관, 원주고, 치악고, 원주여고매일 1회
통학12동신중흥2단지우산초등학교미래삼거리, 봉대초, 원주여고, 원주고매일 1회


3. 3. 마을버스 (누리버스)

누리버스는 2019년부터 원주시에서 공영제로 도입한 마을버스 노선이다.[4] 원주시시설관리공단에서 위탁 운영하며, 주로 시내버스가 운행되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운행된다.

노선운행사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누리버스1원주시문막읍행정복지센터대둔리마을회관문막중.문막고, 문막소방서매일 4~5회
누리버스2문막읍행정복지센터밤산골정류장문막중.문막고, 문막소방서, 취병리, 문막노인복지센터115
누리버스3문막소방서문막소방서문막성당, 등안리, 문막읍행정복지센터, 원평마을120~295
누리버스5대둔리마을회관레일파크벌무내기, 문막공단, 문막소방서, 문막읍행정복지센터, 동화골삼거리, 노루고개, 서원주역매일 3회
누리버스6문막읍행정복지센터귀래3리문막시장, 문막중.문막고, 문막소방서, 포진2리, 비두초, 비두2리, 굴바위매일 11회
누리버스7문막읍행정복지센터문막성당문막시장, 대둔리, 벌무내기, 밤산골정류장매일 6회
누리버스8흥업면사무소사제리육민관중.육민관고, 한라대학교, 복거부락, 덕고개, 흥업사거리매일 6회
누리버스8흥업면사무소대안리한라대학교, 해삼터, 술산리, 흥업사거리매일 7회
누리버스13평원로중앙시장섭재마을회관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삼보골마을회관, 풍물시장130~200
누리버스14평원로중앙시장안국선원삼광택지, 웃화실, 풍물시장1일 5회
누리버스15태장2동태장2동하촌, 상촌, 태장농공단지, 뉴스테이아파트1일 4회
누리버스16안흥한의원하초구송문안, 직산교, 태장2동1일 2회
누리버스17태장2동동막종점가현종점, 문화마을, 대덕리입구, 광격리입구, 송이골앞1일 8회
누리버스19태장2동기업사거리가현종점, 문화마을, 장포, 무장1리1일 2회
누리버스20부론사기막산수동, 서작, 정산교, 거돈사지, 정산2리, 작실마을회관, 조귀농, 동막골1일 3회
누리버스21부론귀래면산수동, 재넘이, 중간말, 정산2리, 웃작실, 부딴골, 하부론동, 은포마을1일 1회
누리버스28평원로중앙시장상용곡종점가현종점, 웃골, 호매곡종점, 문화마을, 장포, 매호마을, 용곡리마을회관1일 2회
누리버스29평원로중앙시장기업사거리가현종점, 문화마을, 장포, 무장1리1일 1회
누리버스(조조)태장주공4단지태장농공단지상록아파트, 태장현대아파트, 시외.고속버스터미널, 우산119안전센터, 태장삼거리1일 1회
아침 시간대 한정


3. 4. 부름버스

참조

[1] 문서 M형과 MT형만 사용가능, T형은 사용불가
[2] 문서 M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3] 웹인용 요금정보 http://its.wonju.go.[...] 2023-04-28
[4] 뉴스 원주시, 시내버스 노선 신설 등 단계적 개선 추진 https://www.weeklyto[...] 위클리오늘 2023-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