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형질연락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형질연락사는 식물 세포 간의 직접적인 연결 통로로, 세포 간 물질 수송을 가능하게 한다. 세포 분열 과정에서 형성되는 1차 원형질연락사와 분열 완료 후 형성되는 2차 원형질연락사로 구분되며, 세포막, 세포질 소매, 데스모튜불로 구성된다. 원형질연락사는 크기에 따라 단백질, RNA, 바이러스 등 다양한 물질의 이동을 매개하며, 바이러스 이동, 개화 조절, 사부의 물질 수송 등 생명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원형질연락사의 기능은 액틴, 미오신, 미세소관과 같은 세포 골격 요소 및 칼로스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조절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포해부학 - 소포 (세포)
    소포는 막으로 둘러싸인 작은 주머니 모양의 구조물로, 세포 내 물질 수송, 소화, 분비, 세포간 신호 전달, 세포 외부 물질 소화 및 배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세포외소포체는 질병과의 연관성으로 주목받고 있고, 클라트린, COPI, COPII, SNARE 단백질 등이 소포 형성 및 수송에 관여한다.
  • 세포해부학 - 세포막
    세포막은 세포질을 둘러싸고 세포 내외부 환경을 구분하는 선택적 투과성 막으로, 인지질 이중층과 단백질,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물질 수송, 세포 형태 유지, 세포 간 신호 전달, 세포 접합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유동 모자이크 모델로 설명된다.
  • 식물해부학 - 체관부
    체관부는 식물의 유기 양분 수송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체관 요소, 체관부 섬유, 체관부 유세포 등으로 구성되며 광합성 산물을 압력 흐름설에 따라 수송한다.
  • 식물해부학 - 꽃자루
  • 세포소기관 - 소포 (세포)
    소포는 막으로 둘러싸인 작은 주머니 모양의 구조물로, 세포 내 물질 수송, 소화, 분비, 세포간 신호 전달, 세포 외부 물질 소화 및 배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세포외소포체는 질병과의 연관성으로 주목받고 있고, 클라트린, COPI, COPII, SNARE 단백질 등이 소포 형성 및 수송에 관여한다.
  • 세포소기관 - 세포막
    세포막은 세포질을 둘러싸고 세포 내외부 환경을 구분하는 선택적 투과성 막으로, 인지질 이중층과 단백질,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물질 수송, 세포 형태 유지, 세포 간 신호 전달, 세포 접합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유동 모자이크 모델로 설명된다.
원형질연락사

2. 형성

원형질연락사는 1차 원형질연락사와 2차 원형질연락사로 구분된다. 1차 원형질연락사는 세포 분열 과정에서 형성되고, 2차 원형질연락사는 세포 분열 이후에 형성되거나, 분열하지 않는 세포 사이의 기존 세포벽에 삽입될 수 있다.[9]

2. 1. 1차 원형질연락사

새로운 세포벽이 두 개의 새로 분열된 식물 세포 사이에서 합성될 때, 내질망 (소포체)의 일부가 중간층을 가로질러 갇히면서 1차 원형질연락사가 형성된다.[9] 이들은 결국 세포 간의 세포질 연결이 된다. 형성 부위에서 벽은 더 두꺼워지지 않으며, 공이라고 알려진 함몰 또는 얇은 영역이 벽에 형성된다. 공은 일반적으로 인접한 세포 사이에 쌍을 이룬다.[9]

세포 분열 과정에서 소포체와 새로운 세포판이 융합되는 동안 1차 원형질연락사가 형성되는데,[10] 이 과정은 세포질 구멍(또는 세포질 소매)의 형성을 초래한다. 데스모튜불(desmotubule)은 압착된 ER이라고도 하며, 피질 ER과 함께 형성된다. 압착된 ER과 피질 ER은 모두 촘촘하게 결합되어 있어 내강 공간이 없다. 압착된 ER은 원형질연락사에서 막 수송 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안된다.[10] 육상 식물에서 원형질연락사 형성은 피질 ER의 필라멘트가 새로운 세포판 형성에 얽혀 있을 때 발생한다. 압착된 ER은 세포벽 성장으로 인한 압력과 ER 및 PM 단백질 간의 상호 작용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10] 1차 원형질연락사는 종종 세포벽이 더 얇아 보이는 영역에 존재한다. 이는 세포벽이 확장됨에 따라 1차 원형질연락사의 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10]

2. 2. 2차 원형질연락사

2차 원형질연락사는 세포벽이 성장하면서 원형질연락사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 형성된다. 2차 원형질연락사의 형성 과정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양한 분해 효소와 소포체 단백질이 이 과정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0]

3. 구조

원형질연락사는 인접한 식물 세포들을 연결하는 통로이다. 전형적인 식물 세포는 1,000개에서 100,000개 사이의 원형질연락사를 가지며, 이는 μm2당 1개에서 10개에 해당한다.[11] 원형질연락사는 중간 지점에서 직경이 약 50–60 nm이며, 두께가 최대 90 nm인 세포벽을 통과할 수 있다.[11]

원형질연락사는 세포막, 세포질 소매, 데스모튜불의 세 가지 주요 층으로 구성된다.[12]

3. 1. 세포막

원형질연락사의 세포막 부분은 세포막(원형질막)의 연속적인 확장이며, 인지질 이중층 구조와 유사하다.[13][43]

3. 2. 세포질 소매

세포질 소매는 원형질막으로 둘러싸인 유체로 채워진 공간이며, 세포질의 연속적인 확장이다.[12] 분자와 이온은 이 공간을 통해 원형질연락사로 이동한다. 아미노산과 같은 더 작은 분자는 추가적인 화학적 에너지 없이 확산에 의해 원형질연락사를 쉽게 통과할 수 있다. 녹색 형광 단백질 및 RNA를 포함한 더 큰 분자도 세포질 소매를 통해 확산 방식으로 통과할 수 있다.[14] 몇몇 더 큰 분자의 원형질연락사 수송은 현재 알려지지 않은 메커니즘에 의해 촉진된다. 원형질연락사의 투과성을 조절하는 한 가지 메커니즘은 깃 부위에 다당류 칼로스를 축적하여 칼라를 형성하여 물질 수송에 사용 가능한 구멍의 직경을 줄이는 것이다.[13] 팽창, 능동적인 게이팅 또는 구조적 리모델링을 통해 원형질연락사의 투과성이 증가한다. 원형질연락사 구멍 투과성의 증가는 신호 분자, 전사 인자 및 RNA-단백질 복합체와 같은 더 큰 분자 또는 고분자가 다양한 세포 구획으로 수송될 수 있도록 한다.[10]

3. 3. 데스모튜불

소포체가 납작하게 눌린 형태의 튜브인 '''데스모튜불'''은 두 개의 인접한 세포를 서로 연결한다.[15] 일부 분자들이 이 채널을 통해 수송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것이 원형질연락사의 주요 수송 경로는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데스모튜불 주변과 세포막 부위에서는 전자 밀도가 높은 물질이 관찰되는데, 이는 종종 원형질연락사를 더 작은 채널들로 나누는 바퀴살 모양 구조물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15] 이 구조물은 세포골격의 일부인 미오신[17][18][19]액틴[18][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그렇다면, 이 단백질들은 두 세포 사이에서 큰 분자들을 선택적으로 수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4. 수송

원형질연락사는 단백질(전사 인자 포함), 단간섭 RNA(siRNA), 전령 RNA(mRNA), 바이로이드, 바이러스 게놈 등 다양한 물질의 세포 간 이동 통로 역할을 한다.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이동 단백질(MP-30)은 바이러스 게놈에 결합하여 원형질연락사를 통해 감염된 세포에서 감염되지 않은 세포로 이동하며, 플로리겐 단백질은 잎에서 싹 끝 분열 조직으로 이동하여 개화를 유도한다.[14][44][21] 사부의 세포에서도 원형질연락사가 사용되며, 심플라스틱 수송은 동반 세포에 의해 사부관 세포를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원형질연락사를 통과할 수 있는 분자의 크기는 크기 배제 한계에 의해 결정되며, 이 한계는 매우 가변적이고 능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5] 예를 들어 MP-30은 크기 배제 한계를 700 달톤에서 9400달톤으로 증가시켜 식물을 통해 이동하는 데 도움을 준다.[22][53] 세포질의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면 주변 원형질연락사의 개구부가 수축되어 수송이 제한된다.[23][54]

원형질연락사를 통한 활성 수송에는 여러 모델이 제안되었다. 데스모튜불에 위치한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이나 샤페론이 단백질을 부분적으로 언폴딩하여 좁은 통로를 통과하도록 돕는 방식이 제시되었다. 바이러스 핵산 수송에도 유사한 메커니즘이 관여할 수 있다.[24][55]

4. 1. 수송 물질

단백질(전사 인자 포함), 단간섭 RNA(siRNA), 전령 RNA(mRNA), 바이로이드, 바이러스 게놈은 원형질연락사를 통해 세포 간에 수송된다.[14]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이동 단백질(MP-30)은 바이러스 게놈에 결합하여 원형질연락사를 통해 감염된 세포에서 감염되지 않은 세포로 이동하는 대표적인 예시이다.[44] 꽃 피는 Locus T 단백질(개화 신호 물질)은 잎에서 싹 끝 분열 조직으로 원형질연락사를 통해 이동하여 개화를 유도한다.[21]

원형질연락사를 통과할 수 있는 분자의 크기는 크기 배제 한계에 의해 결정되며, 이 한계는 매우 가변적이고 능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5] MP-30은 크기 배제 한계를 700 달톤에서 9400달톤으로 증가시켜 바이러스 게놈의 이동을 돕는다.[22] 세포질의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면 주변 원형질연락사의 개구부가 수축되어 수송이 제한된다.[23]

원형질연락사를 통한 활성 수송에는 여러 모델이 제안되었다. 데스모튜불에 위치한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이나 샤페론이 단백질을 부분적으로 언폴딩하여 좁은 통로를 통과하도록 돕는 방식이 제시되었다. 바이러스 핵산 수송에도 유사한 메커니즘이 관여할 수 있다.[24]

4. 2. 수송 조절

원형질연락사의 크기 배제 한계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35] 칼슘 농도 변화, 칼로스 축적, 세포골격 단백질의 작용 등 다양한 기작을 통해 원형질연락사의 개폐 및 투과성이 조절된다. 샤페론 단백질은 단백질의 접힘을 풀어 원형질연락사를 통과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원형질연락은 전사 인자와 같은 단백질, siRNA, mRNA, 바이로이드, 바이러스의 게놈 등을 세포 간에 수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이동 단백질 중 하나인 MP-30은 바이러스 자체의 게놈에 결합하여 원형질연락을 통해 감염된 세포에서 비감염된 세포로 바이러스 게놈을 운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44] 플로리겐 단백질은 잎에서 슈트의 정단 분열 조직까지 원형질연락을 통해 수송되어 개화를 시작한다.[51] 사부 세포에서도 원형질연락이 사용되며, 동반 세포에 의해 수송이 제어된다.[52]

원형질연락을 통과할 수 있는 분자의 크기에는 한계가 있는데, 이를 크기 배제 한계라고 한다. 이 한계는 변화하기 쉽고, 능동적으로 바꿀 수도 있다.[35] MP-30은 크기 배제 한계를 700 Da에서 9400 Da로 확대하여 식물 내에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53] 직접 주입 또는 저온 유도에 의한 세포질의 칼슘 농도 증가에 의해, 원형질연락의 개구부가 협착되어 수송이 제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54]

원형질연락을 통과하는 능동 수송에는 몇 가지 모델이 있으며, 데스모소관에 국재하는 단백질과의 상호 작용, 또는 샤페론에 의한 단백질의 접힘을 부분적으로 푸는 것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사한 기전은 원형질연락을 통해 바이러스 핵산이 통과할 때에도 일어날 수 있다.[55]

5. 세포골격과의 관계

원형질연락사는 식물 내 거의 모든 세포를 연결하여 바이러스 확산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액틴 미세섬유, 미세소관, 미오신 단백질과 같은 세포 골격 구성 요소와 이들이 세포 간 수송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28]

액틴 미세섬유는 바이러스 이동 단백질의 원형질연락사 수송에 관여하며, 미세소관은 바이러스 RNA의 세포 간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오신 단백질은 바이러스 화물을 원형질연락사로 유도하는 데 관여한다.[28] 분류:세포생물학

5. 1. 액틴

액틴 필라멘트는 바이러스 이동 단백질을 원형질연락사로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 담배 잎에서 형광 표지 실험을 통해 액틴 필라멘트가 이러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28] 액틴 중합을 차단하면 담배 내 이동 단백질의 원형질연락사 표적이 감소하고, 126-kDa 대신 10-kDa 구성 요소가 담배 중간엽 세포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28] 이는 담배 식물 내 분자의 세포 간 이동에도 영향을 미친다.[28]

바이러스는 식물 내에서 이동하기 위해 원형질연락사 채널 내의 액틴 필라멘트를 파괴한다. 예를 들어,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MV)는 바이러스 이동 단백질을 사용하여 원형질연락사를 통과하여 거의 모든 세포로 이동할 수 있다. 액틴 필라멘트를 안정화시키는 약물인 Phalloidin|팔로이딘영어으로 담배 잎을 처리하면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이동 단백질은 원형질연락사 크기 배제 한계(SEL)를 증가시킬 수 없다.[28] [56]

5. 2. 미오신

원형질연락사 부위에는 다량의 미오신 단백질이 존재한다. 이 단백질들은 바이러스 화물을 원형질연락사로 유도하는 데 관여한다. 담배 식물에서 미오신의 변이형을 시험했을 때, 바이러스 단백질이 원형질연락사로 표적화되는 것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약물에 의해 유도된 미오신과 액틴의 영구적인 결합은 세포 간 이동 감소를 야기했다. 바이러스는 또한 미오신 단백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28]

5. 3. 미세소관

미세소관은 바이러스 RNA의 세포 간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이러스는 세포 간 이동에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며, 그중 하나는 RNA의 N-말단 도메인을 미세소관을 통해 원형질연락사로 국소화하는 것이다. 고온에서 유지된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가 주입된 담배 식물에서 GFP로 표지된 TMV 이동 단백질과 미세소관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담배를 통한 바이러스 RNA의 확산을 증가시켰다.[28]

감자 모프톱 바이러스의 TGB1 단백질의 N-말단 도메인의 미세 소관 결합은 바이러스 RNA가 원형질 연락으로 국소화되기 위해 필요하다.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가 주입된 담배 잎을 고온으로 유지했을 경우, 이동 단백질의 미세 소관 결합과 바이러스 RNA의 확산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난다.[56]

6. 칼로스와의 관계

칼로스는 β-1,3-글루칸 중합체로, 원형질연락사의 목 부위에 축적되어 세포질 소매의 크기를 조절하고 물질 이동을 제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10] 칼로스는 세포질 분열 과정에서 세포판에 존재하지만, 이 과정이 완료되면 그 수치는 감소한다. 세포에서 칼로스가 풍부한 유일한 영역은 원형질연락사가 존재하는 세포벽 부분이며, 원형질연락사를 통해 무엇이 수송되는지를 조절하기 위해 칼로스가 존재해야 한다. 칼로스는 원형질연락사의 투과성을 조절하는 기작을 제공하며, 서로 다른 조직 간의 수송을 제어하기 위해 원형질연락사에는 몇 가지 특수한 구조 변화가 일어난다.[40]

6. 1. 칼로스 축적

칼로스는 세포 분열 시 세포판 형성에 관여하며, 세포 분열 완료 후에는 분해된다.[10] 칼로스는 β-1,3-글루칸 중합체로, 원형질연락사가 존재하는 세포벽 부분에 풍부하게 존재한다.[10] 원형질연락사 주변의 칼로스 축적은 다양한 생리적, 환경적 신호에 의해 조절되며, 원형질연락사의 개폐 및 투과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작으로 작용한다.[29]

원형질연락사의 활동은 식물 내 생리적 및 발달 과정과 연관되어 있으며, 1차 세포 신호를 전달하는 호르몬 신호 전달 경로가 존재한다. 또한 환경적, 생리적, 발달적 단서 패턴도 원형질연락사 기능과 관련이 있다. 원형질연락사의 중요한 메커니즘은 채널을 여닫는 능력이다. 칼로스 수치는 원형질연락사 구멍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임이 입증되었다.[29] 칼로스 침전물은 새로 형성된 세포벽에서 원형질연락사의 목 부분에서 발견된다. 원형질연락사의 침전물 수준은 변동할 수 있으며, 이는 원형질연락사에 칼로스 축적을 유발하고 원형질연락사가 닫히거나 더 열리도록 하는 신호가 있음을 보여준다. 가수분해효소의 효소 활성은 원형질연락사 셀룰로스 수준의 변화에 관여한다. 일부 세포외 신호는 이 합성효소 및 가수분해효소의 전사 활성을 변경한다. 애기장대는 B-1,3-글루칸의 촉매 하위 단위를 암호화하는 칼로스 합성효소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이 유전자 풀에서 기능 획득 돌연변이는 원형질연락사에서 칼로스 침착 증가, 거대 분자 수송 감소, 발달 중 결함 있는 뿌리계를 보여준다.[28]

6. 2. 칼로스 관련 효소

β-1,3-글루칸 합성효소와 가수분해효소(히드로라아제)의 효소 활성은 원형질연락사의 셀룰로스 수준 변화에 관여한다. 일부 세포 외 신호는 이러한 합성효소와 가수분해효소의 전사 활성을 변화시킨다.[28] ''Arabidopsis thaliana''|애기장대영어는 B-1,3-글루칸의 촉매 하위 단위를 암호화하는 칼로스 합성효소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이 유전자 풀에서 기능 획득 돌연변이는 원형질연락사에서 칼로스 침착 증가, 거대 분자 수송 감소, 발달 중 결함 있는 뿌리계를 보여준다.[56]

참조

[1] 논문 Plasmodesmata: structure, function and biogenesis 2008-12
[2] 서적 Plasmodesmata Blackwell Pub Professional 2005
[3] 논문 Evolution and Diversity of Plant Cell Walls: From Algae to Flowering Plants http://public.wsu.ed[...]
[4]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97, 4535-4540 2000
[5] 논문 The shoot apical meristem: the dynamics of a stable structure 2002-06-29
[6]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Garland Science
[7] 논문 Not just another hole in the wall: understanding intercellular protein trafficking 2005-01-15
[8] 논문 Stromules: mobile protrusions and interconnections between plastids
[9] 논문 Tansley Review No.58 Plasmodesmata and the supracellular nature of plants
[10] 논문 Plasmodesmata at a Glance 2018-06-07
[11] 서적 Molecular Cell Biology https://archive.org/[...] W.H. Freeman
[12] 논문 Plasmodesmata
[13] 서적 Intercellular communications in plants: studies on plasmodesmata Springer-Verlag 1976
[14] 논문 Plasmodesmata and the control of symplastic transport 2003-01-01
[15] 논문 Intercellular communication in Azolla roots: I. Ultrastructure of plasmodesmata
[16] 논문 Cell-to-cell communication via plant endomembranes
[17] 논문 Localization of a myosin-like protein to plasmodesmata
[18] 논문 Immunolocalisation of the cytoskeleton to plasmodesmata of ''Chara corallina''
[19] 논문 Characterization of the unconventional myosin VIII in plant cells and its localization at the post-cytokinetic cell wall
[20] 논문 Actin associated with plasmodesmata
[21] 논문 FT protein movement contributes to long distance signalling in floral induction of ''Arabidopsis'' http://edoc.mpg.de/3[...]
[22] 논문 Movement Protein of Tobacco Mosaic Virus Modifies Plasmodesmatal Size Exclusion Limit
[23] 논문 Plasmodesmata and plant cytoskeleton 2001-07-01
[24] 웹사이트 Plant Physiology lectures, chapter 5 http://jpkc.zju.edu.[...]
[25] 논문 Regulation of Solute Flux through Plasmodesmata in the Root Meristem 2011-04-01
[26] 논문 From plasmodesma geometry to effective symplasmic permeability through biophysical modelling 2019-11-22
[27] 논문 Intercellular communication as a series of narrow escape problems 2021
[28] 논문 Plasmodesmata in integrated cell signalling: insights from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signals and stresses 2014-09-26
[29] 논문 Callose homeostasis at plasmodesmata: molecular regulators and developmental relevance 2014-04-21
[30] 논문 Plasmodesmata: structure, function and biogenesis 2009-07-09
[31] 서적 Plasmodesmata. Blackwell Pub Professional 2005
[32] 웹사이트 Definition of plasmodesmata {{!}}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2020-06-20
[33] 논문 The origin of plants: body plan changes contributing to a major evolutionary radiation https://www.ncbi.nlm[...] 2000-04-25
[34] 논문 Evolution and diversity of plant cell walls: from algae to flowering plants https://www.ncbi.nlm[...] 2011
[35] 논문 The shoot apical meristem: the dynamics of a stable structure
[36]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Garland Science
[37] 논문 Not just another hole in the wall: understanding intercellular protein trafficking http://www.genesdev.[...] 2005-01
[38] 논문 Stromules: mobile protrusions and interconnections between plastids
[39] 간행물 "Plasmodesmata and the supracellular Nature of Plants" http://www.jstor.org[...]
[40] 논문 Plasmodesmata at a glance https://www.ncbi.nlm[...] 2018-06-07
[41] 논문 Plasmodesmata http://www.annualrev[...] 1975-06
[42] 서적 Molecular Cell Biology
[43] 서적 Intercellular Communication in Plants: Studies on Plasmodesmata http://link.springer[...] Springer Berlin Heidelberg 1976
[44] 논문 Plasmodesmata and the control of symplastic transport
[45] 논문 Intercellular communication inAzolla roots: I. Ultrastructure of plasmodesmata http://link.springer[...] 1982-06
[46] 논문 Cell-to-cell communication via plant endomembranes https://www.ncbi.nlm[...] 1999
[47] 논문 Localization of a myosin-like protein to plasmodesmata https://www.ncbi.nlm[...] 1998-06
[48] 논문 Immunolocalisation of the cytoskeleton to plasmodesmata of Chara corallina http://doi.wiley.com[...] 1998-06
[49] 논문 Characterization of the unconventional myosin VIII in plant cells and its localization at the post-cytokinetic cell wall https://www.ncbi.nlm[...] 1999-09
[50] 논문 Actin associated with plasmodesmata http://link.springer[...] 1994-09
[51] 논문 FT protein movement contributes to long distance signalling in floral induction of ''Arabidopsis''
[52] 웹사이트 Phloem https://msu.edu/~wal[...] 2020-06-20
[53] 논문 Movement protein of tobacco mosaic virus modifies plasmodesmatal size exclusion limit
[54] 논문 Plasmodesmata and plant cytoskeleton https://www.ncbi.nlm[...] 2001-07
[55]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jpkc.zju.edu.[...] 2009-07-03
[56] 논문 Plasmodesmata in integrated cell signalling: insights from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signals and stresses https://www.ncbi.nlm[...] 2014-12
[57] 논문 Callose homeostasis at plasmodesmata: molecular regulators and developmental relevance https://www.ncbi.nlm[...] 2014
[58] 서적 Plasmodesmata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 Professional 2005
[59] 저널 Stromules: mobile protrusions and interconnections between plasti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