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웬들 메러디스 스탠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웬들 메러디스 스탠리는 미국의 생화학자이자 바이러스학자로, 1935년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를 결정화하여 분리하는 데 성공한 업적으로 194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록펠러 의학연구소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연구 및 교육 활동을 했다. 스탠리는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핵단백질 발견과 인플루엔자 및 일본 뇌염 백신 연구에도 기여했으며, 여러 학술 단체의 회원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치먼드 (인디애나주) 출신 - 라이트 형제
    라이트 형제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미국의 발명가이자 항공 개척자로서, 최초로 동력 비행기를 제작하고 비행에 성공하여 항공 시대를 열었다.
  • 리치먼드 (인디애나주) 출신 - 댄 미트리오네
    댄 미트리오네는 미국의 경찰관으로 국제 협력청과 미국 국제 개발처의 공공 안전 프로그램에서 외국 경찰 훈련을 담당했으며, 특히 우루과이에서 경찰 고문으로 활동하며 고문 기술을 가르쳤다는 논란 속에 1970년 투파마로스에 의해 납치 및 살해되어 미국-우루과이 관계에 영향을 미쳤고 영화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 바이러스학자 - 뤼크 몽타니에
    뤼크 몽타니에는 HIV를 발견하여 200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프랑스의 바이러스학자이며, 만년에 과학적으로 논란이 되는 주장을 펼치다 2022년에 사망했다.
  • 바이러스학자 - 레나토 둘베코
    레나토 둘베코는 종양 바이러스 연구를 통해 정상 세포의 암세포 변환 과정을 밝혀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바이러스학과 종양학 발전에 기여하고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 참여하다 2012년에 사망했다.
  • 미국의 바이러스학자 - 조너스 소크
    조너스 소크는 불활성화된 소아마비 백신을 개발하여 소아마비 퇴치에 기여한 미국의 의학 연구자이자 바이러스학자이며, 솔크 연구소를 설립하여 의학 과학 연구를 지속했다.
  • 미국의 바이러스학자 - 프랜시스 페이턴 라우스
    미국의 병리학자 프랜시스 페이턴 라우스는 바이러스가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밝혀내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라우스 육종 바이러스 발견과 혈액 보존 기술 개발로 암 연구 및 수혈 의학 발전에 기여했다.
웬들 메러디스 스탠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스탠리 (1946년)
스탠리 (1946년)
이름웬들 메러디스 스탠리
출생일1904년 8월 16일
출생지미국 인디애나주 리지빌
사망일1971년 6월 15일
사망지스페인 살라망카
국적미국
학력
모교얼햄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지도교수알려진 정보 없음
박사 지도 학생알려진 정보 없음
경력
직장록펠러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연구 분야 및 업적
분야화학, 생화학, 바이러스학
주요 업적순수 형태의 효소 및 바이러스 단백질 제조,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결정화
알려진 업적알려진 정보 없음
수상
수상 내역뉴콤 클리블랜드상 (1936년)
노벨 화학상 (1946년)
윌리엄 H. 니콜스 메달 (1946년)
윌러드 기브스상 (1947년)
프랭클린 메달 (1948년)
욱일장 (1966년)

2. 생애

웬들 메러디스 스탠리는 인디애나주 리지빌에서 태어나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을 졸업하고 독일로 유학하여 H.O. 빌란트 교수 밑에서 연구하였다.[2] 1932년 록펠러 의학연구소에 들어가 1948년까지 연구원으로 있었고, 이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교수와 동 대학 바이러스 연구소 소장을 겸임했다. 1935년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TMV)를 결정체로 분리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후 리보핵산과 단백질로 구성된 '핵단백질'을 발견하여 분자생물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인플루엔자·일본 뇌염 백신 연구에 힘썼으며, 존 하워드 노스럽 등과 공동으로 1946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3] 1947년에는 프랭클린 메달과 윌러드 기브스상을 수상했다.[3] 저서로는 《스티렌의 화학》, 《바이러스의 화학적 연구》 등이 있다.[3] 1929년 매리언 스테이플스와 결혼하여 세 딸과 아들을 두었으며,[4] 1971년 스페인 살라망카에서 사망했다.[4],[6]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인디애나주 리지빌에서 태어나 얼럼 칼리지에서 화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1927년에 과학 석사 학위, 1929년에 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결혼했으며, 1931년까지 미국 학술 연구 위원회 회원 자격으로 뮌헨에서 연구했다.[2]

2. 2. 연구 경력

웬들 메러디스 스탠리는 인디애나주 리지빌에서 태어나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을 졸업하고 독일로 유학, H.O. 빌란트 교수 밑에서 연구하였다.[2] 1932년 록펠러 의학연구소에 들어가 1940년부터 1948년까지 연구원으로 있었다. 1948년부터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교수와 동 대학 바이러스 연구소 소장을 겸임했다.

1935년 처음으로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TMV)를 결정체로서 분리하는데 성공하였다. 그는 여러 가지 성질로 추측하여 이 바이러스는 단백질일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며, 효소 정제 때 자주 쓰이는 황산암모늄을 사용한 염석법에 의하여 바이러스에 감염된 잎사귀의 즙에서 이 바이러스의 정제·농축을 시도한 결과 결정을 얻어낼 수 있었다. 이 바이러스는 훗날 리보핵산과 단백질로 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이 '핵단백질'의 발견은 바이러스 학자뿐만 아니라 생화학, 유전학, 생물물리학 등에게도 큰 자극을 주었으며, 분자생물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인플루엔자·일본 뇌염의 백신 연구에 힘썼다. 후에 캘리포니아 대학교 교수 및 바이러스 연구소장이 되었으며, 유기 물질과 세포에 관한 연구로 존 하워드 노스럽 등과 공동으로 1946년에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1947년 프랭클린 메달, 윌러드 기브스상을 받았다.

스탠리의 연구는 나병 치료 화합물, 디페닐 입체화학 및 스테롤의 화학에 기여했다. 담배 식물에서 모자이크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대한 그의 연구는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뉴클레오단백질의 분리에 기여했다.[3][4] 1949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에 선출되었다.[5] 로젠버거 메달, 알더 상, 스콧 상, 미국 업적 아카데미의 골든 플레이트 상[6] 및 AMA 과학 업적상을 수상했다. 또한 하버드, 예일, 프린스턴파리 대학교를 포함하여 미국 및 해외 여러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

인디애나주리지빌 출신으로 얼럼 칼리지영어(Earlham College)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1927년에는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29년에는 화학 분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31년까지 미국 학술 연구 위원회 회원으로 뮌헨에서 지냈다. 귀국 후 록펠러 연구소의 조수가 되었고, 1948년까지 그 직책에 있었다. 이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생화학 교수가 되었고, 1958년에는 생화학부 부장이 되었다. 그의 업적에는 바이페닐의 입체 화학과 스테롤의 화학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분리, 결정화가 꼽힌다. 이 결과로 바이러스단백질핵산만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몇 그램의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를 얻기 위해 사용된 담배 잎은 수 톤에 달했다고 한다.

2. 3. 말년

제2차 세계 대전인플루엔자, 일본 뇌염의 백신 연구에 힘썼다.[3] 이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교수 및 바이러스 연구소장이 되었으며, 유기 물질과 세포에 관한 연구로 존 하워드 노스럽 등과 공동으로 1946년에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3] 1947년 프랭클린 메달과 윌러드 기브스상을 받았다.[3] 저서로는 《스티렌의 화학》, 《바이러스의 화학적 연구》 등이 있다.[3]

스탠리는 1929년 매리언 스테이플스(1905–1984)와 결혼하여 세 딸(마조리, 도로시, 자넷)과 아들(웬들 메러디스 주니어)을 두었다.[4] 그의 딸 마조리는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농구팀과 오클랜드 레이더스 미식축구팀의 주치의인 로버트 알보 박사와 결혼했다.[4]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 Berkeley)의 스탠리 홀(현재 스탠리 생명 과학 및 생명 공학 시설)과 얼햄 칼리지의 스탠리 홀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그는 1971년 6월 15일 스페인 살라망카에서 사망했다.[4],[6]

3. 주요 연구 업적

1935년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TMV)를 결정체로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인플루엔자, 일본 뇌염 백신 연구에 힘썼다.[2] 나병 치료 화합물, 디페닐 입체화학스테롤 화학 연구에도 기여했다.

이러한 연구 업적을 통해 1946년 노벨 화학상존 하워드 노스럽 등과 공동 수상했으며, 1947년에는 프랭클린 메달과 윌러드 기브스상을 받았다.

3. 1.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TMV) 결정화

1935년 스탠리는 처음으로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TMV)를 결정체로 분리하는데 성공하였다. 그는 여러 가지 성질로 추측하여 이 바이러스는 단백질일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며, 효소 정제 때 자주 쓰이는 황산암모늄을 사용한 염석법에 의하여 바이러스에 감염된 잎사귀의 즙에서 이 바이러스의 정제·농축을 시도한 결과 결정을 얻어낼 수 있었다.[2] 이 바이러스는 훗날 리보핵산과 단백질로 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이 '핵단백질'의 발견은 바이러스 학자뿐만 아니라 생화학, 유전학, 생물물리학 등에게도 큰 자극을 주었으며, 분자생물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스탠리의 담배 식물에서 모자이크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는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뉴클레오단백질의 분리에 기여했다. 몇 그램의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를 얻기 위해 사용된 담배 잎은 수 톤에 달했다고 한다.

3. 2. 핵단백질의 발견

1935년 스탠리는 처음으로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TMV)를 결정체로 분리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는 여러 가지 성질을 통해 이 바이러스가 단백질일 것이라고 추측하였으며, 효소 정제에 자주 사용되는 황산암모늄을 이용한 염석법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잎의 즙에서 바이러스를 정제, 농축하여 결정을 얻었다. 이 바이러스는 훗날 리보핵산과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핵단백질'의 발견은 바이러스학자뿐만 아니라 생화학, 유전학, 생물물리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분자생물학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다.[2]

스탠리의 연구는 나병 치료 화합물, 디페닐 입체화학, 스테롤의 화학 등에도 기여하였다. 특히 담배 식물에서 모자이크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는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뉴클레오단백질을 분리하는 성과로 이어졌다.

스탠리가 몇 그램의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를 얻기 위해 사용한 담배 잎은 수 톤에 달했다고 한다.

3. 3. 백신 연구

제2차 세계 대전인플루엔자·일본 뇌염 백신 연구에 힘썼다.[2]

4. 수상 및 영예

연도수상 및 영예
1936년뉴컴 클리블랜드 상
1946년윌리엄 H. 니콜스 상, 노벨 화학상[2]
1947년윌라드 기브스 상[2]
1948년프랭클린 메달[2]
1949년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5]
기타로젠버거 메달, 알더 상, 스콧 상, 미국 업적 아카데미의 골든 플레이트 상[6], AMA 과학 업적상[7], 하버드, 예일, 프린스턴, 파리 대학교 등 국내외 여러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7]


5. 개인사

웬들 메러디스 스탠리는 인디애나주 리지빌에서 태어났으며, 인디애나주 리치먼드에 있는 얼럼 칼리지에서 화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공부하여 1927년에 과학 석사 학위를, 2년 뒤인 1929년에 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29년 매리언 스테이플스(1905–1984)와 결혼하여 세 딸(마조리, 도로시, 자넷)과 아들(웬들 메러디스 주니어)을 두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 Berkeley)의 스탠리 홀(현재 스탠리 생명 과학 및 생명 공학 시설)과 얼햄 칼리지의 스탠리 홀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의 딸 마조리는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농구팀과 오클랜드 레이더스 미식축구팀의 주치의인 로버트 알보 박사와 결혼했다. 스탠리는 1971년 6월 15일 스페인에서 사망했다.

참조

[1] 논문 Wendell M, STANLEY, PhD, (1905-1971) 1972-02
[2] 뉴스 Wendell Meredith Stanley https://www.fi.edu/l[...] 2015-07-27
[3]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5-03
[4] 웹사이트 Wendell M. Stanley http://www.nasonline[...] 2023-05-03
[5] 웹사이트 Wendell Meredith Stanley https://www.amacad.o[...] 2023-02-09
[6]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7] 논문 The discovery of the chemical nature of tobacco mosaic virus
[8] 논문 W. M. Stanley's crystallization of the tobacco mosaic virus, 1930-1940 1986-09
[9] 문서 Wendell M. Stanley https://academictre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