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니버설 디자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니버설 디자인은 연령, 능력, 삶의 지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제품, 건축 환경, 서비스 등을 미적 및 사용성 측면에서 최대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개념이다. 1960년대 배리어 프리 디자인에서 시작되어, 로널드 메이스에 의해 유니버설 디자인이라는 용어가 정립되었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7가지 원칙과 8가지 목표를 통해 공평한 사용, 사용의 유연성,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 등을 추구하며, 건축, 제품, 서비스, 정보통신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한국에서는 2000년대 이후 관련 법률 및 정책이 마련되어 공공시설 접근성 확보, 유니버설 디자인 도시 조성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을 통해 개념이 확산되었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고령화, 다문화 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지만, 인식 부족, 전문가 부족, 예산 부족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축설계 - 팔라디오 건축
    팔라디오 건축은 16세기 이탈리아 건축가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로마 건축과 비트루비우스의 저술에서 영감을 받아 대칭과 비례를 중시하며 고전 고대 건물의 웅장함을 모방하고자 한 건축 양식으로, 특히 빌라 설계에서 주변 환경과의 조화, 신전 파사드, 3층 구조, 수학적 비례, 농업 부지의 중심이자 휴양지라는 이중적인 목적을 추구한 점이 특징이다.
  • 건축설계 -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은 건축학에서 유래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로 확장되어 반복되는 문제에 대한 재사용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하며, GoF의 저서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고 특정 분야의 패턴 모음은 패턴 언어라고 불린다.
  • 설계 - 프로토타입
    프로토타입은 새로운 기술이나 기구의 검증, 기능 검증을 위해 제작되며, 대량 생산 전에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양한 유형의 프로토타입이 존재하며, 비용 증가와 같은 단점이 있다.
  • 설계 - 변형력-변형 곡선
    변형력-변형 곡선은 재료의 응력과 변형률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탄성 계수, 항복 강도, 인장 강도, 연성, 인성 등 기계적 특성을 파악하고, 재료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지며 선형 탄성 영역, 소성 변형 영역, 가공 경화 영역, 네킹 영역 등을 포함하는, 구조물 안전성 평가 및 재료 선택에 중요한 도구이다.
  • 건축 이론 - 장식품
    장식품은 다양한 문화권 예술의 중요한 요소로서 시대에 따라 장식 수준이 변동했으며, 알로이스 리글의 연구 이후 다양한 문화유산을 참고한 장식 스타일이 등장했고, 판화 기술 발전은 장식 요소 접근성을 높였으며, 현대 건축에서는 장식 제거 시도와 함께 현대적 장식 어휘 고안 등 다양한 대응이 나타났고, 19세기에는 장식 관련 저서들이 출판되어 당시 장식 예술 경향을 파악하는 데 기여했다.
  • 건축 이론 - 근대 건축
    근대 건축은 산업혁명 이후 새로운 기술과 사회 변화를 반영하여 등장했으며, 19세기 말 새로운 건축 재료의 발명과 20세기 초 다양한 건축 양식의 등장, 그리고 모더니즘의 국제적 확산을 거쳐 현재는 유산으로 보존되기도 한다.
유니버설 디자인
기본 정보
유니버설 디자인 로고
유니버설 디자인 로고
다른 이름포괄적 디자인
모두를 위한 디자인
생활 디자인
개요
정의연령, 능력, 배경 등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제품, 환경, 정보, 서비스에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철학
목표사용성 향상
포용성 증진
사회적 참여 확대
유니버설 디자인의 7가지 원칙
1공평한 사용
2사용상의 유연성
3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
4인지 가능한 정보
5오류에 대한 관용
6최소한의 물리적 노력
7접근과 사용을 위한 충분한 공간
역사
개념 창시자로널드 메이스
발전 배경장애인 차별 해소 및 접근성 향상 운동
초기 목표장애인을 위한 설계에서 모든 사람을 위한 설계로 확장
응용 분야
건축경사로 설치
자동문 설치
넓은 통로 확보
제품 설계인체공학적 디자인
쉬운 조작법
다양한 사용 방법
정보 기술스크린 리더 지원
폰트 크기 조절 기능
대체 텍스트 제공
서비스접근 가능한 웹사이트
다양한 언어 지원
명확한 커뮤니케이션
관련 개념
접근성누구나 제품,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포용적 디자인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고려하는 설계 접근법
배리어프리 디자인물리적, 사회적 장벽을 제거하는 설계
사용자 중심 디자인사용자 경험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디자인
중요성
사회적 영향평등한 기회 제공
사회 통합 증진
차별 감소
경제적 영향더 넓은 시장 접근
혁신적인 제품 개발
사회적 비용 절감
기술 발전새로운 기술 및 솔루션 개발 촉진
미래
주요 과제인식 제고
교육 및 훈련 강화
정책 및 규정 강화
발전 방향개인 맞춤형 설계
인공지능 기술 활용
지속 가능한 디자인

2. 역사

1960년대 미국에서 장애인 인권 운동과 함께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이 시작되었다. 1963년 영국의 셀윈 골드스미스는 "장애인을 위한 디자인"(Designing for the Disabled)이라는 책을 통해 장애인의 자유로운 접근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그는 도로 경계석을 횡단보도와 만나는 지점에서 비스듬하게 낮춘 형태(커브 컷)를 고안했는데, 이는 이후 표준이 되었다.[52]

로널드 메이스는 "모든 나이와 능력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 ages and abilities)이라는 자신의 철학을 표현하기 위해 유니버설 디자인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그는 아홉 살 때 척수성 소아마비를 앓아 휠체어를 이용해야 했고,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교 건물 계단을 오르내릴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했다. 1973년 노스캐롤라이나 주에서 건물 접근성 관련 법률 초안을 작성하는 데 참여했는데, 이는 미국 최초였다. 그는 1988년 공정주택법 개정안과 1990년 미국 장애인법의 건축지침 등을 제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53]

2012년 버팔로 대학교의 에드워드 스타인펠드와 조다나 메이젤은 "유니버설 디자인은 인간의 활동과 보건, 건강, 사회 참여를 증진함으로써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이 더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게 하는 디자인 과정이다"라고 정의했다.[54]

유니버설 디자인은 배리어 프리 개념, 접근성 운동, 적응 기술, 보조 기술에서 출발하여 미학을 융합하려는 시도이다. 평균 수명 증가와 현대 의학의 발전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배리어 프리(バリアフリー|bariafurii일본어)'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되지만, 영어권 국가에서는 '접근성'이라는 용어가 더 일반적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일본에서는 신축 건물에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도입하여 처음부터 접근성을 고려하는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2. 1. 배리어 프리 디자인

1960년대 미국에서는 장애인의 사회 참여를 막는 물리적, 제도적 장벽을 제거하기 위한 배리어 프리(Barrier-Free)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1961년 미국 국가표준 협회(ANSI)는 장애인을 위한 건축물 접근성 표준(ANSI A117.1)을 제정했는데,[54] 이는 배리어 프리 디자인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이 표준은 1984년 미국 총무청에서 연방 접근성 표준(Uniform Federal Accessibility Standards)으로 채택되었고, 1990년에는 미국 장애인법(ADA)에도 채택되었다.[53]

영국에서는 1963년 셀윈 골드스미스가 《장애인을 위한 디자인(Designing for the Disabled)》을 출판하여 배리어 프리 디자인의 개념을 널리 알렸다.[52] 그는 도로 경계석을 낮춘 '드롭 커브(dropped curb)' 디자인을 고안하여 보행자, 휠체어 사용자, 유모차 등 모두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는 데 기여했다.[52]

2. 2.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의 정립

1980년대 미국의 건축가 로널드 메이스(Ronald L. Mace)는 배리어 프리 디자인의 한계를 극복하고,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이라는 개념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제창했다.[40] 그는 "모든 나이와 능력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 ages and abilities)이라는 자신의 철학을 나타내기 위해 유니버설 디자인이란 용어를 만들었다.[53] 그는 "나이, 능력, 상황 등에 관계없이, 디자인 초기 단계부터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콘셉트로 제시했다.[40]

이는 배리어 프리가 다양한 이용자를 고려하지 않고 만들어져 결과적으로 발생한 장벽(배리어)을 "나중에 제거하는" 비합리성을 "처음부터 누구에게나 사용하기 쉬운 디자인으로" 해소한다는 로널드 메이스의 생각이 반영된 것이다.[40]

1990년 미국에서는 장애인 차별을 금지하는 미국 장애인법(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DA)이 제정되면서 유니버설 디자인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53]

2. 3. 한국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한국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 들어 관련 법률과 정책이 마련되기 시작했다. 2002년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면서 공공시설 등에 대한 접근성 확보가 의무화되었다. 2008년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장애인 차별 금지와 함께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이 더욱 확산되었다. 최근에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등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유니버설 디자인 도시 조성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유니버설 디자인 관련 조례 제정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 제도적 기반도 강화되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유니버설 디자인을 사회적 약자를 위한 중요한 정책 수단으로 인식하고, 관련 법률 및 정책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3. 유니버설 디자인의 원칙과 목표

유니버설 디자인은 나이, 능력, 상황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제품, 환경, 서비스를 최대한 공평하고 편리하며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개념은 건축가 로널드 메이스(Ronald Mace)가 처음 제시했다.[3]

유니버설 디자인은 '장벽 없는(Barrier-free)' 디자인, 접근성 운동, 적응 및 보조 기술의 개념을 확장하여 미학적인 요소까지 통합하려는 시도이다. 평균 수명 증가와 현대 의학 발달로 다양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유니버설 디자인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1960년대 초, 티모시 누젠트(Timothy Nugent) 박사의 연구를 바탕으로 미국표준협회(ANSI)에서 장애인을 위한 시설 설계 기준(ANSI A117.1)을 발표했다. 이 표준은 이후 미국 연방 정부와 미국 장애인법(ADA)에 채택되었다.[4] 셀윈 골드스미스(Selwyn Goldsmith)는 저서 "장애인을 위한 디자인(Designing for the Disabled)"(1963)에서 장애인의 자유로운 접근성 개념을 개척했으며, 내리막 보도를 고안하여 건축 환경의 표준으로 만들었다.

2003년 중국, 일본, 대한민국 대표들은 베이징에서 회의를 열고, 폭넓은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공통 디자인 표준을 정의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립했다. 이들은 가정용품, 공공시설 표지판 등에 대한 표준화를 목표로 했다.[5]

'모두를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 DfA)'은 유럽 집행위원회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이 제품, 서비스, 시스템을 별도 조정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 철학을 의미한다.[6][7] 이는 인간의 다양성, 사회적 통합, 평등을 추구하며, 사용자 친화적인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

근대 산업 사회에서는 대량 생산 기술 발달로 '평균적인 사람'을 기준으로 제품이 설계되어 특정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했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기 디자인 단계부터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고려한다. 온수 세정 변좌, 라이터, 레버식 도어 핸들은 소수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더 많은 사람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최근 3D 프린팅, IoT 기술 발전으로 개별 사용자의 요구에 맞춘 디자인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는 중증 장애인 등 기존에 디자인에서 소외되었던 사람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3. 1. 7대 원칙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 유니버설 디자인 센터)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교의 유니버설 디자인 센터는 미국 교육부의 국립장애재활연구소 후원을 받아 다음과 같은 유니버설 디자인의 7대 원칙을 마련했다.[55][56] 이 원칙은 접근성 디자인이나 배리어 프리 디자인보다 더 폭넓다고 평가되고 있다.

원칙설명세부 지침
원칙 1. 공평한 사용 (Equitable Use)다양한 능력의 사람들에게 유용하고 팔릴 수 있도록 디자인한다.
원칙 2. 사용상 유연성 (Flexibility in Use)개인 선호나 장애, 능력과 관련하여 넓은 범위에 맞출 수 있도록 디자인한다.
원칙 3.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 (Simple and Intuitive Use)사용자의 경험이나 지식, 언어, 집중도와 무관하게 이해하기 쉽도록 디자인한다.
원칙 4. 알아챌 만큼 충분한 정보 (Perceptible Information)사용자의 감각 능력이나 환경 조건과 무관하게 사용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디자인한다.
원칙 5. 실수를 감안 (Tolerance for Error)사용자가 잘못 쓰거나 예상하지 못한 행동을 하더라도 위험이나 역효과가 최소가 되도록 디자인한다.
원칙 6. 적은 물리적 노력 (Low Physical Effort)사용하기 편하고 피로가 줄이도록 디자인한다.
원칙 7. 접근하고 사용하기에 적절한 크기와 공간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사용자의 체구, 자세, 이동성과 무관하게 접근하고 사용하기 편하도록 크기와 공간을 디자인한다.


3. 2. 8대 목표 (버팔로 대학교 포괄 디자인과 환경 접근 센터)

2012년 버팔로 대학교의 포괄 디자인과 환경 접근 센터는 사회 참여, 보건, 건강을 포함하여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에 대한 정의를 확대했고, 증거 기반 디자인에 근거를 두고서 유니버설 디자인의 8대 목표를 개발했다.[57]

번호목표설명관련 학문
1몸에 맞게 (Body Fit)사용자의 체구와 장애와 관련하여 넓은 범위에 맞춘다.인체측정학
2편안하게 (Comfort)몸을 움직여 닿거나 잘 알아챌 수 있을 거라고 예상하는 한도 이내를 요구한다.생물역학
3알 수 있게 (Awareness)사용할 때 중요한 정보를 쉽게 알아챌 수 있겠다는 것이 확실하도록 한다.지각심리학
4이해할 수 있게 (Understanding)작동방식이나 사용법을 직관적이고 명확하게 하고, 애매하지 않게 한다.인지심리학
5건강에 도움되게 (Wellness)질병을 피하고, 위험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보건 증진에 기여하게 한다.
6사회 통합에 기여하게 (Social Integration)모든 집단에 대해 존엄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대우한다.
7각자에 맞게 (Personalization)선택 기회를 주고, 개인 선호를 표현할 수 있게 한다.
8문화에 맞게 (Cultural Appropriateness)문화적 가치와 사회적, 환경적 맥락을 존중한다.



1번부터 4번까지는 사람의 활동에 초점을 둔 것이며, 5번은 인간의 활동과 사회 참여를 연결한다. 6번부터 8번까지는 사회 참여의 결과를 보여준다.[57]

4.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 분야

유니버설 디자인은 건축, 제품, 서비스, 정보통신기술(ICT)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모두를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 DfA)은 인간의 다양성, 사회적 통합 및 평등을 위한 디자인으로,[7]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이 별도의 조정 없이 제품, 서비스 및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기술, 교육, 서비스 및 기타 제품과 환경의 설계에도 적용되고 있다.[4] 엔지니어링, 건축, 의학과 같은 여러 분야가 협력하여 다양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포용을 위한 접근 가능한 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성하고 있다.[4]

유럽 집행위원회는 유럽에서 더욱 사용자 친화적인 사회를 추구하면서 모두를 위한 디자인을 강조해 왔으며,[6] 인구 고령화와 다민족화에 따라 모두를 위한 디자인은 주요 문제가 되었다.

다음은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된 다양한 분야의 예시이다.


  • 병원 등 의료 시설을 위해 개발되었지만, 많은 사람이 편안하게 느껴 널리 보급된 비데(샤워 변기).
  • 신체적 부담이 적도록 적절하게 설계된 경사로와 계단의 조합. 상황에 따라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와도 조합한다.
  • 픽토그램(그림 문자)을 이용한 시각적이고 직관적인 정보 전달과 음성, 음향, 촉각을 이용한 정보 전달의 조합.
  •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 및 출력 장치 (키보드, 마우스, 트랙패드, 제스처, 음성 등)와 이들의 연결, 사용이 가능한 플랫폼으로서의 PC나 스마트폰 등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 시인성과 사용자의 감정에 미치는 효과를 고려한 배색 계획.
  • 복잡한 설명서 없이도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 디자인.
  • 가독성과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개발된 글꼴[43].


하지만, 모든 경우에 완벽하게 적용되는 유니버설 디자인은 어렵다. 예를 들어, 일어서기 쉬움을 우선시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을 고려했다"고 선전하는 좌석은 좌석 높이가 높아져 키가 작은 사람에게는 오히려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44] 따라서 좌석의 경우 좌석 높이가 낮은 것과 높은 것을 함께 설치하는 등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44]

2020년 현재 유니버설 디자인 시장 규모는 40조 엔을 넘었다.[45]

4. 1. 건축 및 주거 환경

건물이나 시설을 장애인이나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하는 것을 バリアフリー|bariafurii일본어라고 하며, 주로 일본과 다른 비영어권 국가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영어권 국가에서는 "접근성" 및 "접근 가능한"과 같은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된다. 장애물 없는 설계의 예로는 계단 옆에 경사로를 설치하는 것이 있다.[14]

건물의 장벽을 제거한다는 것은 다음을 의미한다.

  • 어떤 사람들에게 장벽이 될 수 있는 특징을 인식
  • 장애의 전 범위를 포괄적으로 고려
  • 구조물에서 가장 작은 세부 사항까지 모든 것을 검토
  • 사용자의 피드백을 구하고 실수로부터 학습


'''공공건물'''에서는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경사로, 엘리베이터 설치, 넓은 통로 확보, 점자 블록 설치 등이 유니버설 디자인의 예시이다. 1990년대 후반에는 장애인의 환경 이용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모든 요소(예: 열악한 가로등)가 장애물로 간주되었다.[14]

'''주택'''의 경우, 실내 단차 제거, 손잡이 설치, 높낮이 조절 가능한 싱크대 및 세면대 설치 등이 유니버설 디자인에 해당한다. 한국의 장수 사회 대응 주택 설계 지침[46]에서는 실내 단차 없음, 손잡이 설치, 실내 이동 시 폭 확보(복도와 문)를 주택 유니버설 디자인의 기본으로 규정하고 있다.

'''교통 시설'''에서는 저상버스 도입, 지하철역 스크린도어 설치, 음성 안내 시스템 구축 등이 유니버설 디자인의 예시이다.

이집트 아스완에서 수행된 연구는 행정 건물 세 곳의 접근성을 조사했는데, 엘리베이터 부재, 낮춰진 턱 없음, 점자 시스템 부재, 문 손잡이 조작 어려움, 감각적 표시기 부재 등의 문제점을 발견했다.[39]

건축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은 애초에 개조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장벽을 만들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공건축물에 부지 밖에서 접근하여 안으로 들어가 업무를 처리하려면, 상하 이동을 포함하여 경로에 장벽이 없어야 하고, 주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정보 제공에 있어서는 시각, 청각, 촉각 등을 의식할 필요가 있다.

한국에서는 1994년에 제정된 장애인차별금지법(심의규정) 이후 건축물의 배리어프리화가 권장되었고, 2002년 법률 개정으로 건축 확인 대상이 되면서 실질적인 효과를 내기 시작했다.

4. 2. 제품 디자인

Universal design영어 개념은 다양한 제품 디자인 분야에 적용되어 모든 사람이 사용하기 쉽고 편리한 제품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다.

  • 가전제품: 큰 글씨와 그림으로 된 조작 버튼, 음성 안내 기능, 사용하기 쉬운 손잡이 등이 적용되어 고령자나 장애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 일상용품: 레버형 문 손잡이[7], 꺾인 빨대[18],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높낮이 조절 책상 등은 다양한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디자인이다.
  • 의료기기: 사용하기 쉬운 혈당 측정기, 전동 휠체어, 보청기 등은 의료기기 접근성을 높여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이 외에도 전동 칫솔[18], 트롤리 케이스[18], 자동문[18] 등 다양한 제품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특정 사용자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며, 더 나아가 사회 통합에도 기여한다.

4. 3. 서비스 및 정보통신기술(ICT)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은 모든 사람이 정보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6] 유럽 연합은 이를 e포용(eInclusion) 및 e접근성(eAccessibility)이라는 용어로 사용한다.[6]

이를 위해 제조업체와 서비스 제공업체는 다음 세 가지 접근 방식을 활용하여 모든 사람을 위한 새로운 기술, 제품, 서비스 및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한다.[6]

# 거의 모든 잠재적 사용자가 수정 없이 접근할 수 있는 제품

# 다양한 요구 사항에 따라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제품

# 보조 기술을 사용하여 간단히 접근할 수 있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제품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이 적용된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밝고 적절한 조명 (특히 작업 조명)
  • 시각 정보와 중복되는 청각적 출력 제공
  • 청각 정보와 중복되는 시각적 출력 제공
  • 시각 출력의 명암 대비 조절 기능
  • 의미 있는 아이콘에 텍스트 레이블 사용
  • 시야 확보를 통해 소리 의존도 감소
  • 청각 출력의 볼륨 및 속도 조절 기능
  • 음성 출력 언어 선택 기능
  • 밝은 배경에 어두운 색상을 사용한 시각적 대비가 높은 표지판
  • 웹 페이지에서 이미지를 설명하는 대체 텍스트 제공
  • 자료를 구두와 시각적으로 모두 제시하는 설명
  • 장비 제어 버튼에 큰 글씨로 된 라벨 제공
  • 오디오 설명, 자막 제공

5. 한국의 유니버설 디자인 관련 정책 및 현황

한국은 유니버설 디자인 확산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008년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장애인 차별을 금지하고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확산시키고 있다.[27]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등 관련 법률 및 제도를 통해 공공시설 및 교통 분야에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유도하고 있다.

5. 1. 관련 법률 및 제도

대한민국한국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법률 및 제도가 유니버설 디자인과 관련되어 있다.

  •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공공시설 등에 대한 접근성 확보를 의무화하고 있다.
  •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2008): 장애인 차별을 금지하고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확산시키고 있다.[27] 이 법은 특히 공공교통 분야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을 확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저상버스 도입, 특별교통수단 운영 등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러한 법률들은 공공교통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시 지역에서는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저상버스와 UD 택시가 보급되고 있으며, 역에는 엘리베이터와 장애인용 화장실, 승강장 추락 방지 난간 등이 설치되고 있다.[47]

또한, 지방에서는 고령화 및 인구 감소로 인해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워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요응답형 버스나 택시, 자율주행 버스 도입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하여 다양한 이동 수단을 유기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MaaS가 주목받고 있으며, 복잡한 역 구내 안내를 외국인, 시각 장애인, 색각 이상자 등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48] 더불어, 접객 직원들이 다양한 이용자의 요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등 의식 개혁도 진행되고 있다.[49]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등에서는 이용자와 전문가, 공항 관계자 등이 함께 시설 개선에 참여하고, 사후 평가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6. 비판 및 오해

가와사키 카즈오는 1997년 굿 디자인 어워드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상'이 신설된 것을 계기로 일본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그 본질은 잊혀졌다고 비판한다.[51] 그는 유니버설 디자인이 미국 시민권 운동의 흐름 속에서 시행된 미국장애인법(ADA)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로널드 메이스가 제창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부상 군인이나 장애인의 자립과 고용을 촉진하여 저비용 사회를 실현하려는 미국의 의도와도 일치했다고 덧붙인다.

가와사키 카즈오는 로널드 메이스의 7원칙론이 기본으로 여겨지지만, 이는 미국 중심적인 생각이라고 지적한다. 그는 1989년 세계 디자인 회의에서 NASA 디자이너였던 마이클 캐릴이 유니버설 디자인을 처음 제창했으며, 이는 선진국 특유의 소비 경제주의에 치우친 소송 사회 비판의 의미를 담고 있었고, 메이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고 설명한다.[51]

바우하우스 이후 디자인은 사람들의 생활을 특정 "규격"에 맞추는 합리주의적이고 기능주의적인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하지만 이는 인간의 다양성을 용인하지 않고 규격에 얽매이게 하는 결함을 낳았다. 가와사키 카즈오는 이러한 디자인의 이상주의적인 측면이 유니버설 디자인에서 "누구나 사용하기 쉬운"이라는 실현 불가능한 환상으로 이어졌다고 지적한다.

그는 일본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이 고령화 사회를 맞아 상업적, 행정적으로 이용되면서 '누구나 사용하기 쉬운 디자인'이라는 잘못된 정의가 일반화되었다고 비판한다.[51] 그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은 없으며, 유니버설 디자인은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이라는 이상주의적 확신만을 강조한다고 말한다. 가와사키 카즈오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휴먼 센터드 디자인'으로 재정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오해로 인해 일본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이 모든 사람에게 적용 가능한 디자인 또는 장애인용 디자인이라는 잘못된 인식이 퍼져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사람들이 불편함 없이 생활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본래 사상은 널리 퍼지지 못하고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이라는 용어의 오용으로 인해 발생한 오해의 예로, '유니버설 스푼'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제품이 실제로는 고령자의 간호 현장에서 사용되는 것을 고려하여 만들어졌지만, 모든 장애인에게 사용하기 쉽다고 할 수 없는 상황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오용에서 비롯된 오해를 바로잡는 것은 쉽지 않다.

참조

[1] 논문 CONCEPTUAL CHALLENGES BETWEEN UNIVERSAL DESIGN AND DISABILITY IN RELATION TO THE BODY, IMPAIRMENT, AND THE ENVIRONMENT https://jfa.arch.met[...]
[2] 웹사이트 How to deal with competing access needs https://www.independ[...] 2020-08-03
[3] 웹사이트 Ronald L. Mace https://projects.ncs[...] NC State University 2008-00-00
[4] 서적 Advances in design for inclusion: proceedings of the AHFE 2017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sign for Inclusion, July 17-21, 2017, the Westin Bonaventure Hotel, Los Angeles, California, USA Springer 2018
[5] 논문 Sociology and disability: some emerging issues https://www.taylorfr[...] Routledge 1996
[6] 웹사이트 Design for All (DfA)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7] 웹사이트 The UK Council for Museums, Archives and Libraries http://www.accessibl[...]
[8] 웹사이트 None http://www.edean.org[...]
[9] 웹사이트 Design for All Europe http://www.dfaeurope[...]
[10] 웹사이트 European concept for accessibility http://www.eca.lu
[11] 웹사이트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Version 2.0 https://design.ncsu.[...] Design.ncsu.edu 1997-04-01
[12] 웹사이트 The Goals of Universal Design http://www.universal[...] Center for Inclusive Design and Environmental Access 2012-04-10
[13] 서적 Universal Design: Creating Inclusive Environments Wiley 2012-04-10
[14]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15] 웹사이트 Making HDB Towns User Friendly http://mndsingapore.[...] 2012-11-19
[16] 논문 Universal design, inclusive design, accessible design, design for all: different concepts—one goal? On the concept of accessibility—historical, methodological and philosophical aspects http://link.springer[...] 2015-11-00
[17] 서적 Universal design and visitability : from {{as written|acces|sability [sic]}} to zoning https://archive.org/[...] 2007
[18] 서적 Diseños para Todos/Designs for All http://www.optimastu[...] Optimastudio 2008
[19] 웹사이트 Q-Drums http://www.qdrum.co.[...] Qdrum.co.za
[20] 웹사이트 Ley Chile - Ley 20422 - Biblioteca del Congreso Nacional https://www.bcn.cl/l[...]
[21] 웹사이트 Rehabilitation Act of 1973 - United States Access Board http://www.access-bo[...]
[22] 웹사이트 Guide to Disability Rights Laws https://www.ada.gov/[...] 2023-12-01
[23] 웹사이트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1992 http://www.austlii.e[...] Austlii.edu.au
[24] 웹사이트 Disability and the Equality Act 2010 http://www.direct.go[...] Direct.gov.uk 2013-05-30
[25] 웹사이트 DISABILITY ACT 2005 http://www.irishstat[...] Irishstatutebook.ie 2005-07-08
[26] 웹사이트 Loi n°2005-102 du 11 février 2005 pour l'égalité des droits et des chances, la participation et la citoyenneté des personnes handicapées http://www.legifranc[...] Legifrance.gouv.fr
[27] 웹사이트 (Translated)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장애인 차별 금지법)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etc. https://elaw.klri.re[...]
[28] 웹사이트 Act relating to a prohibition against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disability (the Anti-Discrimination and Accessibility Act) https://app.uio.no/u[...]
[29] 웹사이트 THE LAW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http://www.drdvietna[...]
[30] 웹사이트 Accessible Canada Act https://laws-lois.ju[...] laws-lois.justice.gc.ca 2019-07-11
[31] 서적 Advancing urban Rights: Equality and Diversity in the City Black Rose Books
[32] 웹사이트 ISO 21542:2021 https://www.iso.org/[...] 2021-06-16
[33] 웹사이트 ISO 20282-1:2006 https://www.iso.org/[...]
[34] 간행물 Usability of consumer products and products for public use -- Part 2: Summative test method http://www.iso.org/i[...]
[35] 논문 How a diverse research ecosystem has generated new rehabilitation technologies: Review of NIDILRR's Rehabilitation Engineering Research Centers BIoMed Central 2017-12-00
[36] 웹사이트 RERC-UD 2015-2020 http://idea.ap.buffa[...] University at Buffalo 2020
[37] 뉴스 United States: Grant Helps Carnegie Mellon, University at Buffalo Improve Transit Access Al Bawaba 2018-12-11
[38] 웹사이트 Who we are? What is universal design? http://www.ap.buffal[...] University at Buffalo 2013-07-26
[39] 논문 Towards inclusion and diversity in the light of Universal Design: three administrative buildings in Aswan city as case studies 2021-12
[40] 논문 Universal Design: Barrier Free Environments forEveryone
[41] 기관 The Center for Universal Design, NC State University
[42] 웹사이트 The Center for Universal Design - Universal Design Principles https://projects.ncs[...] 2020-07-04
[43] 웹사이트 行方市、全国初 UDフォント一体導入 行政・教育、文書活用に https://ibarakinews.[...] 茨城新聞 2019-03-20
[44] 뉴스 あれ、つま先しか届かない! 地下鉄の新型車両、その座席に異論 「立ち上がりやすさ」と「座りやすさ」の両立を https://www.kobe-np.[...] 神戸新聞NEXT 2021-05-22
[45] 간행물 障がい者制度改革推進会議 ヒアリング項目に対する意見書 第20回(H22.9.27) https://www8.cao.go.[...]
[46] 웹사이트 長寿社会対応住宅設計指針 https://www.mlit.go.[...] 建設省 2020-07-04
[47] 웹사이트 移動等円滑化の促進に関する基本方針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2-07-06
[48] 웹사이트 オリンピック・パラリンピックを見据えたバリアフリー化の推進に関する調査研究(空港から競技会場までのシームレスな移動の実現に向けた検討)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0-07-04
[49] 웹사이트 公共交通機関等における障害者等への対応に係る職員教育の充実に関する調査研究」平成30年3月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総合政策局安心生活政策課 2020-07-04
[50] 간행물 障害者の権利に関する条約の理念を踏まえた特別支援教育の在り方に関する意見書 https://www.mext.go.[...]
[51] 웹사이트 Kazuo KAWASAKI http://www.kazuokawa[...] 2018-08-27
[52] 뉴스 Selwyn Goldsmith obituary https://www.theguard[...] 가디언 2011-05-31
[53] 백과사전 Ronald L. Mace https://www.britanni[...]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018-03-19
[54] 서적 Universal Design: Creating Inclusive Environments Wiley
[55] 웹사이트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https://projects.ncs[...] 1997-04-01
[56] 서적 Medical Instrumentation: Accessibility and Usability Considerations CRC Press
[57] 웹사이트 Goals of Universal Design http://udeworld.com/[...] 2012-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