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선 (시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선은 박학하고 노자, 장자의 학문에 능통했으며 한나라의 고사에 밝았던 인물이다. 유표를 섬기며 별가를 지냈고, 관도 전투 당시 조조에게 항복할 것을 권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유표 사후 조조에게 등용되어 상서와 상서령을 역임했다. 조조와의 면담에서 조조를 비판하는 등 강직한 면모를 보였고, 무릉군 태수로 임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유선 (시종)
인물 정보
이름유선
로마자 표기Yu Xian
시종(始宗)
출생불명
출신지형주영릉군
사망불명
사인불명
주요 활동상서령
소속후한
주군유표조조

2. 행적

유선은 박학하고 노자·장자의 학문을 익혔으며, 한나라의 고사에 통달하였다. 형주 유표의 밑에서 별가를 지냈으며, 관도 전투 때에는 괴월, 한숭과 함께 조조에게 항복할 것을 권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2]

건안 13년(208년), 유표가 죽고 조조가 형주를 병탄하자 유선은 부름을 받아 황실의 상서(尙書)가 되었고, 이후 위나라의 상서령(尙書令)이 되었다.[2] 유표의 사자로서 조조와 회견할 때, 조조의 질문에 당당하게 대답하며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조조는 오히려 유선을 무릉 태수로 임명했다.[2]

2. 1. 유표의 신하

유표의 신하로 형주 유표 밑에서 별가를 지냈다. 관도 전투 당시 괴월, 한숭과 함께 조조에게 항복할 것을 권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2]

건안 13년(208년), 유표 사후 조조가 형주를 병탄하자, 유선은 황실의 상서(尙書)가 되었고, 이후 위나라의 상서령(尙書令)이 되었다.[2] 유표의 부하 시절, 유표의 사자로 조조를 만났는데, 유표가 황제처럼 교외에서 하늘에 제사지내는 것을 조조가 추궁하자, 유선은 조조가 황실을 겁박하기 때문이라고 에둘러 말했다. 조조는 불쾌했으나, 유선을 무릉 태수에 임명했다.[2]

2. 2. 조조에게 귀순

유표의 밑에서 별가를 지냈고, 관도 전투가 벌어졌을 때에는 괴월, 한숭과 함께 조조에게 항복할 것을 권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2]

건안 13년(208년), 유표가 죽고 조조가 형주를 병탄하였다. 유선은 부름을 받아 황실의 상서(尙書)가 되었고, 이후 위나라[2]의 상서령(尙書令)이 되었다.[2]

유표의 부하였을 때, 유선은 유표의 사자로서 조조와 회견할 기회가 있었다. 조조가 "유표는 (헌제가 있는 허도로 오지 않고) 어째서 교외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가"라고 묻자, 유선은 "흉악한 자들에게 길이 막혀 있기 때문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조조가 "흉악한 자들이란 무엇인가"라고 묻자, 유선은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이 그렇습니다"라고 태연하게 대답했다. 조조가 "나에게는 대군이 있다. 복종하지 않는 자는 없다"라고 다시 묻자, 유선은 "군사력에 의지하여 잔인한 행위를 하는 자는 현대의 치우와 지백에 불과합니다"라고 비난했다.[1]

조조는 불쾌하게 입을 다물었지만, 유선을 무릉군 태수로 임명했다. 그 후 유선의 출세는 오히려 조조의 도량을 보여주는 일화가 되었다.[1]

3. 일화

유선은 유표의 부하 시절, 유표의 사자로 조조를 만났다. 조조가 유표가 황제처럼 교외에서 하늘에 제사 지내는 사실을 추궁하자, 유선은 조조가 황실을 겁박하기 때문이라고 에둘러 말했다. 조조는 불쾌했으나, 유선을 무릉 태수에 임명했다.[1]

조조는 유표에게 "헌제가 있는 허도로 오지 않고) 어째서 교외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가"라고 물었다. 유선은 "흉악한 자들에게 길이 막혀 있기 때문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조조가 "흉악한 자들이란 무엇인가"라고 묻자, 유선은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이 그렇습니다"라고 태연하게 대답했다. 조조가 "나에게는 대군이 있다. 복종하지 않는 자는 없다"라고 하자, 유선은 "군사력에 의지하여 잔인한 행위를 하는 자는 현대의 치우와 지백에 불과합니다"라고 비난했다.[1]

조조는 불쾌하여 입을 다물었지만, 유선을 무릉군 태수로 임명했다. 이후 유선의 출세는 오히려 조조의 도량을 보여주는 일화가 되었다. 이 일화는 삼국지연의에서 유장의 부하 장송과 조조가 대면했을 때 일화의 근원 중 하나이기도 하다.[1]

4. 평가

유선은 박학하고 기억력이 뛰어났으며, 노자장자의 학문을 좋아하고 한나라 시대의 고사에 통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1] 유표로부터 형주별가에 임명되기도 했다.

관도 전투 당시에는 괴월, 한숭과 함께 조조에게 항복할 것을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러한 행적으로 인해 단순한 항복주의자로 보일 수 있으나, 『영릉선현전』에 따르면 그의 진가를 보여주는 일화가 있다.

유표의 부하였을 때, 유선은 조조와의 회견에서 "흉악한 자들에게 길이 막혀 있기 때문입니다"라고 답하거나, 조조의 군사력을 비판하며 "군사력에 의지하여 잔인한 행위를 하는 자는 현대의 치우와 지백에 불과합니다"라고 비난하는 등 당당한 모습을 보였다.[1]

조조는 불쾌해했지만, 오히려 유선을 무릉군 태수로 임명했다. 이 일화는 조조의 도량을 보여주는 일화로 평가되며, 『삼국지연의』에서 장송과 조조의 대면 일화의 모티브 중 하나가 되었다.[1]

5. 출전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도 별가로 등장한다. 채모의 명령으로 치중 등의와 함께 형주를 수비한다. 조조가 형주로 쳐들어오자, 싸울 수 없다고 판단하여 군과 백성을 이끌고 항복했다. 이후로는 등장하지 않는다.

참조

[1] 문서 後漢の諸侯国。曹丕が献帝の禅譲を受けて創建した魏王朝の前身にあたる。
[2] 문서 후한의 제후국 위나라를 말하는 것으로, 조조 사후 조비가 [[후한 헌제|헌제]]의 선양을 받아 창건한 조위의 전신에 해당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