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연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연호는 934년 후당 말제 이종가가 즉위한 후 궁원사, 선휘남원사, 형부상서 겸 추밀사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932년 이종가가 봉상절도사로 부임했을 때 원종도교가 되었으며, 온후한 명성을 얻었다. 천웅군 절도사로 발령된 후에는 탐욕스러운 행태를 보였고, 936년 석경당의 반란에 연루되어 관직을 잃었다. 후당이 멸망한 후 석경당의 유죄 규탄 조서에 자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당의 천웅군절도사 - 석경당
    석경당은 사타족 출신으로 후당 시대에 활약하며 이종가의 견제를 받다가 거란과의 동맹을 통해 후진을 건국했지만, 요나라에 연운 16주를 할양하고 조공을 바치는 외교 정책을 펼치다 매국노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후당의 천웅군절도사 - 이종후
    이종후는 후당 명종 이사원의 아들로, 933년 황제에 즉위했으나 이종가의 반란으로 폐위되어 살해당했으며, 후진의 석경당에 의해 추존되었다.
  • 후당의 추밀사 - 안중회
    안중회는 후당에서 이사원의 신임을 얻어 권력을 장악했으나, 국정 농단과 오만하고 폭력적인 성격으로 정치적 혼란을 야기하여 해임 후 살해당하고 사후에도 죄를 뒤집어쓴 비참한 최후를 맞은 인물이다.
  • 후당의 추밀사 - 조경이 (후당)
    조경이는 오대 십국 시대 후당의 관료로, 우위상장군 겸 판흥당부사, 추밀사, 권지변주군주사를 역임했으며 태부로 추증되었다.
  • 후진 (오대) 사람 - 곽위
    오대십국시대 후주의 초대 황제 곽위는 후한의 군인이었으나 반란을 일으켜 스스로 황제가 되어 후주를 건국하고 재위 기간 동안 내정에 힘썼으며, 923년 이후 북중국을 통치한 최초의 한족 출신 황제이다.
  • 후진 (오대) 사람 - 의덕황후
    의덕황후 부씨는 북송 태종의 황후로, 태종 즉위 전에 사망하여 사후에 황후로 추존되었으며, 생전에 여러 작위를 받았으나 태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유연호
기본 정보
류옌하오
류옌하오
한자劉延皓
로마자 표기Liú Yánhào
개인 정보
출생1996년 9월 28일 (27세)
출생지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국적중화인민공화국
직업배우
활동 기간2017년 - 현재
학력
학력중국전매대학

2. 생애

유연호는 응주(應州, 지금의 산시성 숴저우시 잉현) 혼원(渾元, 지금의 산시성 다퉁시 훈위안현) 출신으로, 출생년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의 조부 유건립(劉建立)과 아버지 유무성(劉茂成)은 군 장교로서 공적이 있었다.[12]신오대사》에 따르면, 이종가와 결혼한 유연호의 누나 유황후의 전기에는 이들 남매의 아버지 이름이 유무위(劉茂威)로 기록되어 있다.[13]

932년, 후당 명종 이사원이 자신의 양아들 이종가를 봉상절도사(鳳翔節度使, 본부는 지금의 산시성 바오지시)로 발령하자,[14] 유연호는 봉상군 원종도교(元從都校)로 임명되었다. 그는 봉상에서 이종가 휘하에서 관직 생활을 하면서 온후하다는 평판을 얻었다.[12]

934년, 후당 민제 이종후가 폐위되고 후당 말제 이종가가 즉위하면서 유연호의 누나 유부인이 황후로 책봉되었다.[15] 이종가는 유연호를 궁원사(宮苑使)로 삼았고, 이어 선휘남원사(宣徽南院使)라는 요직에 앉혔다. 이는 황후의 남동생이라는 지위와 그의 온후한 명성 때문이었다.[12] 935년, 형부상서(刑部尙書) 겸 추밀사(樞密使)에 임명된 후, 천웅군 절도사(天雄軍節度使, 본부는 지금의 허베이성 한단 시)로 발령받았다.[15]

그러나 천웅군을 다스리면서 유연호의 성격은 변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백성들의 재산을 빼앗고 잔치를 즐겼으며, 장병들에게 급료를 제때 주지 않아 큰 원성을 샀다.[12] 936년, 석경당(진국공주의 남편)이 후당 말제에 맞서 반란을 일으키자, 유연호 휘하의 장령(將領) 봉성도우후(捧聖都虞候) 장령소(張令昭)가 장병들의 분노를 이용하여 천웅군을 탈취, 하동 반란군에 가담하고자 반란을 일으켰다. 유연호는 수도 낙양으로 도망쳤고, 이종가는 그를 귀양 보내려 했으나 유황후의 탄원으로 삭탈관직하고 자택에 머무르게 하는 데 그쳤다. (장령소의 반란은 범연광에게 진압되었다.) 그 해 연말, 장경달이 요 태종 야율덕광의 연합군에게 패하자, 유연호는 유연랑, 장연랑과 함께 이종가에게 직접 군대를 이끌고 석경당과 맞서 싸울 것을 제안했다.[16]

하지만, 조덕균마저 거란·하동 연합군에게 패하면서 이종가 군대의 사기는 떨어졌다. 가망이 없음을 깨달은 이종가는 낙양으로 돌아가 유황후를 비롯한 가족들과 함께 분신자살하였다. 유연호는 처음에는 성문 안에 몸을 숨겼으나, 후진의 황제 석경당이 낙양에 들어온 후 장연랑·유연랑·유연호에게 유죄를 선고하는 조서를 내렸다. 며칠 뒤, 유연호는 목을 매어 자살하였다.[8][1]

2. 1. 배경

유연호는 응주(應州, 지금의 산시성 숴저우시 잉현) 혼원(渾元, 지금의 산시성 다퉁시 훈위안현) 출신으로, 언제 태어났는지는 알려진 바 없다. 그의 조부 유건립(劉建立)과 아버지 유무성(劉茂成)은 장교로서 공적이 있었다.[12]신오대사》에서, 언젠가 이종가와 결혼한 유연호의 누나 유황후의 전기에는 이들 남매의 아버지 이름이 유무위(劉茂威)로 나와 있다.[13] 932년, 이종가가 그의 양아버지이자 당시의 황제였던 후당 명종 이사원에 의하여 봉상절도사(鳳翔節度使, 본부는 지금의 산시성 바오지시)로 발령되자,[14] 유연호를 봉상군 원종도교(元從都校)로 삼았다. 유연호는 봉상에서 이종가 휘하에서 사관하는 동안, 온후하다는 명성이 발달하였다.[12]

2. 2. 후당 말제 연간

934년, 명종의 친아들이자 당시 황제였던 민제 이종후이종가에 의해 폐위되고, 이종가가 황제가 되었다. (후당 말제) 이종가는 유연호의 누나 유부인을 황후로 책봉하였다.[15] 이종가는 유연호를 궁원사(宮苑使)로 삼았고, 이어 선휘남원사(宣徽南院使)의 중직에 앉혔다. 이는 황후의 남동생이라는 지위와 그의 온후한 명성 때문이었다.[12] 935년, 이종가는 유연호를 형부상서(刑部尙書) 겸 추밀사(樞密使)에 임명하였다. 그 직후, 유연호는 천웅군 절도사(天雄軍節度使, 본부는 지금의 허베이성 한단 시)로 발령받았다.[15]

유연호가 천웅군의 지휘권을 장악한 후, 그의 성격이 변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사람들의 재산을 탈취하고 잔치를 즐겼으며, 장병들에게 급료를 제때 주지 않아 큰 분노를 샀다.[12] 936년, 이종가의 매부이자 하동절도사(河東節度使, 본부는 지금의 산시성 타이위안시)인 석경당(명종의 딸 진국공주의 남편)이 이종가에 맞서 반란을 일으켰다. 유연호 휘하의 장령(將領) 봉성도우후(捧聖都虞候) 장령소(張令昭)는 장병들의 분노를 이용하여 천웅군을 탈취, 하동 반란군에 가담하고자 반란을 일으켰다. 유연호는 수도 낙양으로 달아났고, 이종가는 그를 귀양 보내려 했다. 그러나 유황후의 탄원으로 이종가는 그를 삭탈관직하고 자택에 머무르게 하는 데 그쳤다. (장령소의 반란은 범연광에게 진압되었다.) 그 해 연말, 이종가가 석경당과 맞서 싸우기 위해 보낸 대장 장경달이 석경당과 거란 요 태종 야율덕광의 연합군에게 패하자, 유연호는 유연랑, 장연랑과 함께 이종가에게 직접 군대를 이끌고 석경당과 맞서 싸울 것을 제의했다.[16]

2. 3. 죽음

하지만, 이종가가 보낸 다른 대장 조덕균도 거란·하동 연합군에게 패하자, 이종가 자신의 군대 안의 사기마저 떨어졌다. 가망없는 상황임을 깨달은 이종가는 낙양으로 돌아가서, 유연호의 누나 유황후를 비롯한 자신의 가족들과 함께 분신자살하였다. 유연호는 처음에는 성문 안에 몸을 숨겼다. 하지만, 새로운 나라 후진의 황제를 자칭한 석경당이 낙양으로 들어온 후, 석경당은 이종가의 부하들은 대거 사면했지만 장연랑·유연랑·유연호에게는 유죄를 선고한다는 조서를 내렸다. 유연호는 자신의 은신을 계속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은 것 같고, 며칠 뒤에 목을 매어 자살하였다.[8][1]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2] 웹사이트 Chinese-Western Calendar Converter http://sinocal.sinic[...]
[3] 문서
[4] 서적 Old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5] 서적 New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6] 서적 Zizhi Tongjian
[7] 서적 Zizhi Tongjian
[8] 서적 자치통감
[9] 웹사이트 대만 중앙연구원 중국력(中國曆) ↔ 서력(西曆) 변환기 http://sinocal.sinic[...]
[10] 문서
[11] 문서
[12] 서적 구오대사
[13] 서적 신오대사
[14] 서적 자치통감
[15] 서적 자치통감
[16] 서적 자치통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