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즈노쿠릴스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즈노쿠릴스크는 쿠나시르섬의 오호츠크해 연안에 위치한 도시로, 러시아 사할린주에 속한다. 17세기부터 러시아와 일본이 탐험하고 정착했던 쿠릴 열도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1855년 시모다 조약으로 일본 영토가 되었다가, 1945년 쿠릴 상륙 작전 이후 소련에 편입되었다. 현재는 러시아의 통치하에 있으며, 2000년대 이후 인프라 정비 등 러시아 정부의 투자를 통해 인구가 증가했다. 유즈노쿠릴스크는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오로라 항공과 페리 서비스를 통해 유즈노사할린스크 및 코르사코프와 연결된다. 행정적으로는 유즈노쿠릴스키 구의 중심지이며, 유즈노쿠릴스키 도시 자치구를 형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즈노쿠릴스크 - 일본인과 러시아인 우호의 집
일본인과 러시아인 우호의 집은 쿠나시르섬에 위치한 시설로, 양국 관계자들의 무비자 교류를 위해 건설되었으나 현재는 숙소로 사용되며, 한때 이권 의혹이 불거지기도 했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는 영리 목적으로 개조되었다. - 쿠나시르섬 - 쿠나시르 메나시 전투
쿠나시르 메나시 전투는 1789년 쿠나시르 섬에서 아이누족이 상업적 착취에 반발하여 일으킨 봉기로, 마쓰마에 번에 의해 진압되고 에조치에 대한 지배가 강화되는 결과를 낳았다. - 쿠나시르섬 - 골로브닌산
- 지시마국 -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 (1875년)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은 1875년 일본과 러시아 제국 간에 체결되어 일본이 사할린 섬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고 쿠릴 열도 18개 섬을 러시아로부터 양도받았으며, 사할린과 쿠릴 열도의 국경을 확정하고 일본인 거주자 보상, 일본 어선의 오호츠크해 접근 허용 등을 규정했다. - 지시마국 - 샤나촌
샤나촌은 일본이 실효 지배하던 이투루프 섬 중부의 행정 구역으로, 어업이 중심이었으나 1945년 소련군 침공 후 쿠릴스크로 이름이 바뀌어 현재는 러시아 사할린주의 도시이다.
유즈노쿠릴스크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러시아어) | Ю́жно-Кури́льск |
로마자 표기 | Yuzhno-Kurilsk |
일본어 명칭 | 古釜布 (Furukamappu) |
위치 | 쿠릴 열도 |
속한 국가 | 러시아 |
속한 연방 주체 | 사할린 주 |
속한 행정 구역 | 유즈노쿠릴스키 군 |
행정 중심지 | 유즈노쿠릴스키 군 |
도시 종류 | 도시형 정착촌 |
지방 자치체 | 유즈노쿠릴스키 도시 окру그 |
지방 자치체의 행정 중심지 | 유즈노쿠릴스키 도시 окру그 |
인구 | |
2010년 인구 조사 | 5,832명 |
2002년 인구 조사 | 5,751명 |
1989년 인구 조사 | 6,344명 |
2023년 인구 | 7033명 |
인구 밀도 | 5.88명/km² |
일반 정보 | |
전화번호 | 42455 |
지역번호 | +7 42455 |
우편 번호 | 694500 |
OKATO 코드 | 694500 |
기타 | |
웹사이트 | 유즈노쿠릴스크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855년 러일화친조약에 따라 쿠나시르섬을 포함한 남쿠릴 열도는 일본 영토가 되었으나, 1945년 소일전쟁에서 승리한 소련이 점령하여 소련 영토로 편입되었다. 소련 붕괴 이후 2000년대 초까지 인구가 감소하였으나, 2006년 블라디미르 푸틴 정부가 2015년까지의 쿠릴 열도 종합개발계획을 발표하고 이 지역의 생활여건 개선에 의지를 보였다. 2010년 11월 1일, 당시 러시아 대통령 드미트리 메드베데프가 이 곳을 시찰하였다. 다만 4개 섬 중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시코탄섬과 하보마이 군도는 향후 원만한 영토분쟁 해결시 일본에 반환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 개발을 거의 하지 않고 있다.
유즈노쿠릴스크의 역사는 쿠릴 열도의 역사와 전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위 섹션 내용 요약)
- 러시아와 일본의 초기 탐험: 17세기 중반 러시아 탐험가들이 쿠릴 열도를 처음 발견하고, 아이누족에 대해 언급했다. 이후 러시아와 일본 양국이 쿠릴 열도, 사할린, 홋카이도를 탐험하고 정착했다.
- 일본 통치 시기 (1855년 ~ 1945년): 1855년 시모다 조약(러일화친조약)으로 쿠나시르섬은 일본 영토가 되었으며, 유즈노쿠릴스크의 전신인 후루카맙푸(古釜布|후루카맙푸일본어) 마을이 건설되었다.
- 소련/러시아 통치 시기 (1945년 ~ 현재): 1945년 쿠릴 상륙 작전으로 쿠나시르섬은 소련의 통치 하에 들어왔고, 1946년 유즈노쿠릴스크 마을이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 군대와 일본 전쟁 포로들을 동원하여 활발한 건설이 시작되었고, 1947년에는 모든 일본인들이 홋카이도로 송환되었다. 1953년 쓰나미와 1994년 홋카이도 동쪽 해역 지진으로 피해를 입었으나, 쿠릴 열도 개발을 위한 연방 프로그램으로 새로운 공항, 도로 및 기타 시설 건설 등 상당한 투자가 이루어졌다.
인구 추이는 아래 표와 같다.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주민의 80.3%가 러시아인, 8.2%가 우크라이나인, 1.1%가 타타르인, 1.1%가 벨라루스인, 1.0%가 카자흐인, 8.2%가 기타 민족이다.
2. 1. 러시아와 일본의 초기 탐험
17세기 중반, 러시아 탐험가 이반 모스크비틴과 그의 동료들이 쿠릴 열도를 처음 발견했다. 1646년에는 탐험가 콜로보프가 쿠릴 열도의 원주민인 아이누족에 대해 언급했다. 일본 자료에 따르면 쿠나시르는 쿠릴 열도의 다른 섬들보다 늦게 러시아인들에게 알려졌다.이후 쿠릴 열도, 사할린, 홋카이도는 러시아와 일본에 의해 탐험되고 정착되었다. 18세기 말, 쿠릴 열도에는 러시아 유배자들과 자원봉사자들의 정착지가 나타났다. 아이누족 정착지 외에도 일본의 무역 기지와 군사 주둔지를 갖춘 요새화된 정착지도 있었다. 1769년, 러시아의 이반 초르니 중위는 쿠나시르에 일본인들이 요새와 영구적인 수비대를 갖춘 정착지를 건설했다는 정보를 얻었다.[1]
2. 2. 일본 통치 시기 (1855년 ~ 1945년)
1855년 시모다 조약(러일화친조약)으로 쿠나시르섬은 일본 영토가 되었으며, 유즈노쿠릴스크의 전신인 후루카맙푸(古釜布|후루카맙푸일본어) 마을이 동명의 만 북동쪽 모서리에 건설되었다.[1] 후루카맙푸는 오키노코탄, 이소얀베츠 인근 마을과 함께 50채의 가옥을 가지고 있었으며, 전신이 있는 우체국과 상점이 있었다.[1] 일본 통치 기간(1855년~1945년) 동안 섬에는 다른 정착지도 건설되었다.[1]2. 3. 소련/러시아 통치 시기 (1945년 ~ 현재)
1945년 쿠릴 상륙 작전의 결과로 쿠나시르섬은 소련의 통치 하에 들어왔다. 1946년 2월 2일 소련의 유즈노사할린스크(사할린) 주에 포함되었고, 유즈노쿠릴스크 마을이 설립되었다. 최초의 유즈노쿠릴스크 시의회와 모든 행정 서비스는 제113 보병 여단의 구성원들로 구성되었다. 포병 사단 포대 지휘관인 바부하디야 대위가 지역 집행위원회의 첫 번째 의장이 되었다.[1]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 군대를 이용하여 활발한 건설이 시작되었다. 쿠나시르에 별도의 수용소에 수용된 일본 전쟁 포로들 또한 건설에 동원되었다. 일본 전쟁 포로들은 소련 군인들과 동일한 배급량을 받았다. 일본인들은 자신의 휘장이 있는 제복을 입고 소대와 중대로 나뉘어 지휘관의 지휘를 받았다. 그들은 대형을 유지하며 이동했으며, 일본 군대의 규정에 따라 엄격한 규율과 질서를 준수했다(소련 측에 해를 끼치지 않는 경우).[1]
1947년 여름, 소련 정부의 결정에 따라 모든 일본인들은 쿠릴 열도에서 일본 홋카이도로 송환되었다. 당시 쿠나시르에는 소련의 다양한 지역에서 온 많은 이민자들과 계절 노동자들이 정착했다. 쿠나시르와 시코탄을 기반으로 한 어업은 생산량과 수입을 증가시키기 시작했다.[1]
1953년 쓰나미 이후, 많은 유즈노쿠릴스크 공공 시설은 이전보다 30m 높은 곳에 재건해야 했다. 1994년 홋카이도 섬 동쪽의 공해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건물들이 광범위한 피해를 입었고, 새로운 위치에 재건되었다.[1]
1990년대의 불확실성과 쇠퇴는 주로 섬이 일본에 양도될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발생했는데, 유즈노쿠릴스크는 점차적으로 부활하기 시작했다. 쿠릴 열도 개발을 위한 연방 프로그램은 섬에 새로운 공항, 도로 및 기타 시설 건설을 위한 상당한 투자를 포함한다.[1] 2006년 블라디미르 푸틴 정부는 2015년까지의 쿠릴 열도 종합개발계획을 발표하고 이 지역의 생활 여건 개선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2010년 11월 1일 당시 러시아 대통령 드미트리 메드베데프가 이곳을 시찰하였다.
2. 4. 인구 추이
쿠나시르섬의 오호츠크해 연안부에 위치한 항구 도시이다. 지진, 기상, 쓰나미 관측소가 있다. 자연 환경 보호 구역으로 쿠릴스키 보호 구역[9]이 설치되어 있다.
유즈노쿠릴스크는 북태평양과 오호츠크해의 영향을 크게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Dfb'')를 보인다.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강한 육풍의 영향으로 강수량은 대부분의 습윤 대륙성 기후보다 훨씬 많다. 여름에는 차가운 오야시오 해류의 영향으로 안개가 자주 발생하여 습도가 높고 흐린 날씨가 지속된다. 쿠릴 열도 북동부 지역보다는 안개의 영향을 덜 받지만, 여전히 일본의 왓카나이보다는 일조량이 많고 삿포로보다는 약간 적다.[11][12]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주민의 80.3%가 러시아인, 8.2%가 우크라이나인, 1.1%가 타타르인, 1.1%가 벨라루스인, 1.0%가 카자흐인, 8.2%가 기타 민족이다.
3. 지리
4. 기후
강력한 해양의 영향으로 2월에 가장 춥고 8월에 가장 더우며, 9월이 7월보다 따뜻한 특이한 계절 변화를 보인다. 9월은 태풍의 영향으로 강한 바람과 폭우를 동반하여 연중 강수량이 가장 많다. 겨울철에는 시베리아 고기압과 알류샨 저기압의 영향을 번갈아 받으며, 여름에는 오호츠크해와 오야시오 해류의 영향으로 서늘하고 안개가 잦은 날씨가 나타난다.
이러한 기후 특성으로 인해 유즈노쿠릴스크는 북위 44도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예외적으로 추운 기후를 보인다.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 기온은 블라디보스토크보다 5°C 낮고, 하얼빈보다는 9°C 낮다. 겨울은 덜 춥지만, 연평균 기온은 같은 위도의 이탈리아 제노바보다 10°C 낮다. 겨울은 비교적 온화하며, 오호츠크해 쪽에 있는 서해안에 비해 유빙의 영향을 덜 받는다.
4. 1. 상세 기후 정보 (1991–2020년 기준, 극한값 1947년–현재)
다음은 1991년부터 2020년까지 관측된 유즈노쿠릴스크의 기후 정보이며, 극한값은 1947년부터 현재까지의 기록이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C) | 8.5 | 9.3 | 11.9 | 20.9 | 26.1 | 29.0 | 30.4 | 30.5 | 27.3 | 22.4 | 18.2 | 13.3 | 30.5 |
평균 최고 기온 (°C) | -1.5 | -2.2 | 0.7 | 5.1 | 9.0 | 11.6 | 15.5 | 18.3 | 17.8 | 13.6 | 7.6 | 1.4 | 8.1 |
평균 기온 (°C) | -3.9 | -4.9 | -2.0 | 1.9 | 5.5 | 8.9 | 12.9 | 15.9 | 15.4 | 11.1 | 4.9 | -1.0 | 5.4 |
평균 최저 기온 (°C) | -6.0 | -7.3 | -4.3 | -0.4 | 3.2 | 7.1 | 11.2 | 14.2 | 13.4 | 8.5 | 2.2 | -3.2 | 3.2 |
최저 기온 (°C) | -16.5 | -20.3 | -18.0 | -9.4 | -3.1 | 0.3 | 2.8 | 7.0 | 4.3 | -3.5 | -7.6 | -13.6 | -20.3 |
강수량 (mm) | 60mm | 45mm | 69mm | 89mm | 124mm | 117mm | 134mm | 166mm | 179mm | 131mm | 104mm | 83mm | 1301mm |
적설량 (cm) | 12cm | 19cm | 17cm | 3cm | 0cm | 0cm | 0cm | 0cm | 0cm | 0cm | 1cm | 6cm | 19cm |
평균 상대 습도 (%) | 73 | 74 | 77 | 82 | 87 | 93 | 95 | 92 | 84 | 75 | 73 | 72 | 81 |
평균 월간 일조 시간 | 113 | 153 | 172 | 161 | 166 | 123 | 103 | 117 | 160 | 175 | 124 | 113 | 1680 |
비 오는 날 | 4 | 2 | 5 | 15 | 22 | 23 | 25 | 23 | 21 | 21 | 19 | 9 | 189 |
눈 오는 날 | 28 | 25 | 24 | 13 | 3 | 0 | 0 | 0 | 0 | 2 | 14 | 26 | 135 |
[5] [6]
유즈노쿠릴스크는 오호츠크해와 북태평양의 영향으로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여름은 서늘하고 안개가 잦은 반면 겨울은 비교적 온화하고 눈이 많이 내린다. 특히 9월은 태풍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가장 많다.
5. 교통
사할린에서 정기 항로 및 항공로가 개설되어 있다.
종류 | 항공사 | 노선 |
---|---|---|
정기 여객 항공로 | 오로라 항공 | 유즈노사할린스크 공항 - 멘델레예프 공항 |
정기 여객 항공로 | 타이가 항공 | 야스니 공항 - 멘델레예프 공항 |
정기 여객 항공로 | 타이가 항공 | 구리보자보츠크 헬리포트 - 멘델레예프 공항 |
정기 항로 | 코르사코프 - 유즈노쿠릴스크 |
홋카이도에서는 교류 사업을 위한 "교류선" 왕래가 가능하다.
5. 1. 항공
오로라 항공이 유즈노쿠릴스크 멘델레예보 공항(ICAO: UHSM)을 통해 유즈노사할린스크 간 항공편을 주 3회 운항한다.[1] 타이가 항공은 쿠릴스크(야스니 공항)와 구리보자보츠크 헬리포트, 유즈노쿠릴스크(멘델레예보 공항) 간 항공편을 운항한다.[1]5. 2. 해상
여름에는 한 달에 한두 번, 사할린주 코르사코프를 연결하는 페리 서비스가 있다.[1] 홋카이도에서는 교류 사업을 위한 "교류선" 왕래가 가능하다.[1]6. 행정 구역
행정 구역 내에서 유즈노쿠릴스크는 유즈노쿠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이며, 이에 속한다.[3] 지방 자치체로서는 유즈노쿠릴스크 도시형 정착지와 유즈노쿠릴스키 구의 9개 농촌 지역이 '''유즈노쿠릴스키 도시 자치구'''로 통합된다.[4]
7. 영토 분쟁
1855년 러일화친조약에 따라 쿠나시르섬을 포함한 남쿠릴 열도는 일본 영토가 되었으나, 1945년 9월 1일 소일전쟁에서 승리한 소련이 점령하여 소련 영토로 편입되었다.[1] 소련 붕괴 이후 2000년대 초까지 인구가 감소하였으나, 2006년 블라디미르 푸틴 정부가 2015년까지의 쿠릴 열도 종합개발계획을 발표하고 이 지역의 생활 여건 개선에 의지를 보였다.[1] 2010년 11월 1일에는 당시 러시아의 대통령이었던 드미트리 메드베데프가 이곳을 방문하기도 했다.[1] 다만, 4개 섬 중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시코탄섬과 하보마이 군도는 향후 원만한 영토 분쟁 해결 시 일본에 반환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개발을 거의 하지 않고 있다.[1]
참조
[1]
참조
2010Census
[2]
웹사이트
Телефонные коды Сахалина - Dialing codes of Sakhalin
http://www.sakhalin.[...]
[3]
법률
Law #25-ZO
[4]
법률
Law #524
[5]
웹사이트
Weather and Climate - The Climate of Yuzhno-Kurilsk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21-11-08
[6]
웹사이트
Juzno Kurilsk (Yuzhno-Kurilsk)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1-11-03
[7]
웹사이트
http://dvor.jp/subek[...]
[8]
웹사이트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о городам, поселкам городского типа и районам на 1 января 2010 года
http://www.gks.ru/bg[...]
[9]
웹사이트
http://kurilskiy.ru/
[10]
웹사이트
Сахалинская область.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на 1 января 2011-2016 годов
http://www.gks.ru/db[...]
[11]
웹인용
Weather and Climate - The Climate of Yuzhno-Kurilsk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15-12-21
[12]
웹인용
Juzno Kurilsk (Yuzhno-Kurilsk)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s://www.ncei.noa[...]
NOAA
2015-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