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척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척기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721년 청나라 사신으로 다녀온 후 신임사화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 이후 관직에 복귀하여 여러 요직을 거쳐 호조판서, 우의정을 역임했고, 영의정에까지 올랐다. 그는 사도세자 보호에 앞장섰으며, 이인좌의 난 진압에 기여하여 분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당대의 명필이었으며, 저서로 <지수재집>이 있다.
1721년 사신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후 신임사화가 일어나자 경상남도 동래로 유배되었다. 1725년 노론이 권력을 잡자 풀려나와 양주목사·함경도관찰사·강화유수·부제학·도승지·한성부좌윤·동지의금부사·황해도관찰사·대사간·대사헌을 거쳐 경상도관찰사를 한 뒤에 호조판서·우의정이 되었다. 이때 신임사화로 죽은 김창집과 이이명의 복관을 건의했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자 스스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그 후 1758년 영의정이 되었으나 곧 그만두었다.
증조부는 유성증(兪省曾)이고, 조부는 유철(兪㯙)이다. 아버지는 유명악(兪命岳)이며, 어머니는 이두악의 딸이다. 부인은 평산 신씨이다. 장남은 유언흠(兪彦欽), 차남은 유언현(兪彦鉉)이고, 며느리는 청송 심씨로 이조판서 심택현(沈宅賢)의 딸이다. 삼남은 유언진(兪彦鉁), 사남은 유언수(兪彦銖)이다. 손녀는 기계 유씨이고, 손녀사위는 청송 심씨 심풍지(沈豊之)로 예조판서를 지냈으며, 이조판서 심택현(沈宅賢)의 손자이다.
2. 생애
그는 당론으로 사도세자의 제거를 세운 노론의 당론에 반대하여, 사도세자의 보호에 앞장섰으며 소론의 이종성과 만나 초당적으로 협력하였다. 그는 숙의 문씨가 임신, 출산하자 왕궁에 머무르며 사태 추이를 지켜보았다. 숙의 문씨가 자녀를 낳았을 때 축하인사 한마디 없었다는 이유로 영조에게 조회에서 심한 질책을 당하기도 했다.
1728년(영조 5) 이인좌의 난 진압 직후 분무원종공신 1등(奮武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그는 당대의 명필이었으며 저서로 <지수재집>이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유척기는 1721년 사신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러나 신임사화가 일어나자 경상남도 동래로 유배되었다. 1725년 노론이 권력을 잡자 풀려나와 양주목사, 함경도관찰사, 강화유수, 부제학, 도승지, 한성부좌윤, 동지의금부사, 황해도관찰사, 대사간, 대사헌을 거쳐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했다. 이후 호조판서·우의정이 되었다. 이때 신임사화로 죽은 김창집과 이이명의 복관을 건의했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자 스스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그는 당론으로 사도세자의 제거를 세운 노론의 당론에 반대하여, 사도세자의 보호에 앞장섰으며 소론의 이종성과 만나 초당적으로 협력하였다. 그는 숙의 문씨가 임신, 출산하자 왕궁에 머무르며 사태 추이를 지켜보았다. 숙의 문씨가 자녀를 낳았을 때 축하인사 한마디 없었다는 이유로 영조에게 조회에서 심한 질책을 당하기도 했다.
1728년(영조 5) 이인좌의 난 진압 직후 분무원종공신 1등(奮武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그는 당대의 명필이었으며 저서로 <지수재집>이 있다.
2. 2. 관직 생활과 정치 활동
1721년 사신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후 신임사화가 일어나자 경상남도 동래로 유배되었다. 1725년 노론이 권력을 잡자 풀려나와 양주목사, 함경도관찰사, 강화유수를 역임하였다. 부제학, 도승지, 한성부좌윤, 동지의금부사, 황해도관찰사, 대사간, 대사헌을 거쳐 경상도관찰사를 한 뒤에 호조판서, 우의정이 되었다. 이때 신임사화로 죽은 김창집과 이이명의 복관을 건의했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자 스스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그 후 1758년 영의정이 되었으나 곧 그만두었다.
그는 당론으로 사도세자의 제거를 세운 노론의 당론에 반대하여, 사도세자의 보호에 앞장섰으며 소론의 이종성과 만나 초당적으로 협력하였다. 그는 숙의 문씨가 임신, 출산하자 왕궁에 머무르며 사태 추이를 지켜보았다. 숙의 문씨가 자녀를 낳았을 때 축하인사 한마디 없었다는 이유로 영조에게 조회에서 심한 질책을 당하기도 했다.
1728년(영조 5) 이인좌의 난 진압 직후 분무원종공신 1등(奮武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2. 3. 사도세자 보호 노력과 당론 대립
유척기는 노론의 당론에 반대하여 사도세자 보호에 앞장섰다. 소론의 이종성과 만나 초당적으로 협력하였다. 그는 숙의 문씨가 임신, 출산하자 왕궁에 머무르며 사태 추이를 지켜보았다. 숙의 문씨가 자녀를 낳았을 때 축하인사 한마디 없었다는 이유로 영조에게 조회에서 심한 질책을 당하기도 했다.
2. 4. 이인좌의 난 진압과 공신 책록
1728년(영조 5) 이인좌의 난 진압에 기여하여 분무원종공신 1등(奮武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3. 가계
4. 평가
4. 1. 당대 평가
4. 2. 현대적 평가
5. 저서
6. 기타
6. 1. 관련 작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