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탄은 1945년 패전 직전의 일본을 배경으로, 대전차 특공대원으로 차출된 한 젊은 사관 후보생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이다. 그는 마지막 외출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토끼'라는 소녀와 사랑에 빠지지만, 소녀는 공습으로 사망한다. 이후 그는 인간 어뢰를 조종하는 임무를 받게 되고, 종전 후 그의 유해가 발견된다. 이 영화는 오카모토 키하치 감독이 자택을 담보로 제작했으며, 1968년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에서 여러 상을 수상하며 전쟁의 비극성과 인간의 존재 의미를 탐구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카모토 기하치 감독 영화 - 자토이치와 요짐보
1960년대 일본 영화인 자토이치와 요짐보는 맹인 검객 자토이치와 요짐보가 야쿠자 갱단에 맞서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오카모토 기하치가 감독을 맡고 가츠 신타로와 미후네 도시로가 주연을 맡아 화제를 모았다. - 오카모토 기하치 감독 영화 - 대보살 고개
대보살 고개는 1860년부터 1863년까지 부도덕한 사무라이 츠쿠에 류노스케의 삶을 그린 영화로, 죽음, 암살, 검술 등을 다루며, 나카자토 가이잔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 일본의 전쟁 영화 - 아르키메데스의 대전
미타 노리후사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아르키메데스의 대전》은 태평양 전쟁 직전 일본 해군 내부의 야마토 건조 계획을 둘러싼 갈등을 그리고 있으며, 항공주병론자와 거대 전함 옹호론자의 대립, 그리고 천재 수학자의 회계 감사를 통해 해군의 내부 갈등과 기술 전략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만화, 영화, 무대 작품이다. - 일본의 전쟁 영화 - 킹덤4: 대장군의 귀환
하라 야스히사의 만화 《킹덤》을 원작으로 사토 신스케 감독, 야마자키 켄토 주연의 일본 영화 《킹덤4: 대장군의 귀환》은 ONE OK ROCK이 주제가를 불렀고 도호와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재팬이 배급을 맡았다. - 태평양 전쟁 영화 - 콰이강의 다리
데이비드 린 감독의 영화 《콰이강의 다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콰이강에 다리를 건설하는 영국군 포로들과 다리 폭파를 시도하는 특공대의 이야기를 통해 전쟁의 잔혹함과 인간의 존엄성을 다룬다. - 태평양 전쟁 영화 - 미드웨이 (2019년 영화)
롤랜드 에머리히 감독의 2019년 미국 전쟁 영화 《미드웨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드웨이 해전을 배경으로 미국과 일본 해군의 치열한 전투와 그 이면에 숨겨진 인간적인 이야기를 그리며, 에드 스크레인, 패트릭 윌슨, 우디 해럴슨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하고 스캔라인 VFX와 픽소몬도가 시각 효과를 담당했다.
육탄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한국어) | 육탄 |
원제 | 肉彈 (Nikudan) |
영어 제목 | The Human Bullet |
영화 정보 | |
감독 | 기하치 오카모토 |
제작자 | 가즈오 바바 |
각본가 | 기하치 오카모토 |
내레이터 | 다쓰야 나카다이 |
출연 | 미노리 테라다 나오코 오타니 히데요 아마모토 지슈 류 |
음악 | 마사루 사토 |
촬영 감독 | 히로시 무라이 |
편집자 | 요시히로 아라키 |
제작사 | 아트 시어터 길드 육탄 제작 협회 |
배급사 | 아트 시어터 길드 |
개봉일 | 1968년 10월 12일 (일본) |
상영 시간 | 116분 |
국가 | 일본 |
언어 | 일본어 |
2. 줄거리
1945년 여름,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일본. 패색이 짙어지던 시기, 이름 없는 21세의 사관 후보생 '그'는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투하되는 등 위태로운 전황 속에서 자살 임무를 수행할 대전차 특공대원으로 차출된다. 그의 초기 임무는 폭탄 상자를 들고 적 전차에 돌진하는 것이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말기를 배경으로, 자살 특공 임무를 맡은 이름 없는 젊은 사관 후보생 '그'(테라다 미노리)가 주인공이다. 그는 임무를 기다리던 중 사창가에서 일하는 젊은 고아 여성 '소녀'(오타니 나오코)와 만나 짧은 사랑을 나눈다. 이 외에도 헌책방 주인 부부(류 치슈, 키타바야시 타니에), 하사관(오자와 쇼이치) 등 전쟁의 비극 속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시대상을 반영한다.
출격 전 마지막으로 하루 동안의 외출을 허락받은 '그'는 활자(活字)를 그리워하며 헌책방에 들러 전쟁으로 양팔을 잃은 노인과 관음보살 같은 인자한 노부인을 만난다.[2] 이후 기생집을 찾아가 댕기머리를 한 토끼띠 소녀를 만나려 하지만, 대신 앞치마를 두른 중년 여성을 마주한다.[2] 실망하여 빗속으로 뛰쳐나간 '그'는 우연히 그 소녀를 다시 만나게 되고, 소녀에게 '토끼'라는 별명을 붙여준다.[1] 두 사람은 방공호 안에서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고 관계를 맺는다.[1][2]
다음 날, '그'는 대전차 지뢰를 들고 해변에서 적의 상륙을 기다린다. 그곳에서 어린 형제와 미군이 상륙하기 전에 죽으려던 몸뻬 차림의 여성을 만난다.[2] 그러나 곧 공습으로 인해 '토끼'와 어린 형제의 형이 사망했다는 비극적인 소식을 듣게 된다.[1][2] '그'는 죽은 이들을 위한 복수를 다짐한다.[1]
이후 작전이 변경되어, '그'는 쇠퇴해가는 지휘부로부터 새로운 명령을 받는다. 이번 임무는 어뢰를 직접 조종하여 적 전함에 돌진하는 것이었다.[1][2] 그는 어뢰가 장착된 기름통을 타고 바다로 나가 적을 기다린다.[2] 그러나 일본은 패전했고, '그'는 이 사실을 알지 못한 채 바다 위에서 헌책방 노부부, 앞치마 아줌마, 어린 형제 등 자신이 만났던 사람들을 지키겠다고 다짐한다.[2] 얼마 후 원양 어선에 의해 구조되어 패전 소식을 듣게 되지만, 항구로 예인되던 중 밧줄이 끊어져 다시 바다에 홀로 남겨진다.[2]
전쟁이 끝난 지 20여 년 후, 해수욕객으로 붐비는 바닷가.[2] 해변에서 떨어진 기름통 안에서 백골이 된 '그'의 유해가 발견된다.[1][2] 그의 화면 밖 목소리는 여전히 "토끼!"라고 외치고, 또 "바보 자식!"이라고 절규하며 영화는 끝난다.[1][2]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배역 | 배우 |
---|---|
그 녀석 | 테라다 미노리 |
소녀 | 오타니 나오코 |
아버지 | 아마모토 히데요 |
학교장 각하 | 이마후쿠 쇼오 |
고서점 할아버지 | 류 치슈 |
고서점 할머니 | 키타바야시 타니에 |
앞치마 아줌마 | 하루카와 마스미 |
교사 | 소노다 히로히사 |
하사관 (군조) | 오자와 쇼이치 |
하사관의 아내 | 스가이 킨 |
몽페 아줌마 | 미토베 스에 |
소년 (형) | 토시 요시타카 |
소년 (동생) | 라이몬 켄보 |
구대장 (대위) | 다나카 쿠니에 |
헌병 | 나카타니 이치로 |
콧수염 하사관 | 다카하시 에츠시 |
오와이 배 선장 | 이토 유노스케 |
내레이터 | 나카다이 타츠야 |
3. 2. 조연
wikitext배역 | 배우 |
---|---|
아버지 | 아마모토 에이세이 |
학교장 각하 | 이마후쿠 마사오 |
고서점의 할아버지 | 카사 츠슈 |
고서점의 할머니 | 키타바야시 타츠에 |
앞치마 아줌마 | 하루카와 마스미 |
교사 | 소노다 히로히사 |
군조 | 오자와 쇼이치 |
군조의 아내 | 스기이 킨 |
몽페 아줌마 | 미토베 스에 |
소년・형 | 토시 요시타카 |
소년・동생 | 라이몬 켄보 |
구대장 | 다나카 쿠니에 |
헌병 | 나카타니 이치로 |
콧수염 하사관 | 다카하시 에츠시 |
오와이 배의 선장 | 이토 유노스케 |
내레이터 | 나카다이 타츠야 |
4. 제작
도호 스튜디오와의 협상이 결렬된 후, 감독 오카모토 키하치는 직접 《육탄》의 제작 자금을 조달해야 했다.[4] 기획 초기 영화사로부터 제작비 지원을 받지 못하자, 오카모토 감독의 부인 오카모토 미네코가 프로듀서를 맡아 부부가 함께 제작비를 모았다. 오카모토 감독은 자택을 담보로 제작비를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7] 독립 배급 및 제작사인 아트 시어터 길드(Art Theatre Guild)가 공동 제작사로 참여했다.[1][2]
영화는 16mm 필름으로 촬영되었으며, 이후 35mm 영화 필름 형식으로 극장에 개봉되었다.[5]
음악은 사토 마사루에게 의뢰했지만, 녹음 스튜디오 등을 마련할 예산이 부족하여 사토 마사루는 다른 작품의 배경 음악(BGM)을 녹음하는 틈틈이 《육탄》의 음악을 몰래 녹음했다고 전해진다.[7]
역할 | 이름 |
---|---|
감독·각본 | 오카모토 키하치 |
제작 | 바바 카즈오 |
촬영·조명 | 무라이 히로시 |
미술·스틸 | 아쿠네 이와오 |
음악 | 사토 마사루 |
녹음 | 와타라이 신 |
조감독 | 나카니시 겐시로, 이케다 마코토, 마스다 슈호 |
촬영 보조 | 타바타 케이호, 아카마츠 타케요시 |
미술 보조 | 오가타 카즈오, 야스기 요시노부 |
기록 | 츠치야 테루코 |
편집 | 아라키 요시히로 |
현상 | 코에이 신샤 |
만화 | 츠지 마코토 |
제작 담당 | 츠츠미 히로야스 |
협력 | 마루키 이리 「원폭의 그림」(덴엔쇼보) |
5. 평가 및 수상
''육탄''은 1968년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에서 감독상, 남우주연상(테라다 미노리), 음악상, 미술상(아쿠네 이사오)을 수상했다.[3][6] 영화는 오카모토 기하치 감독의 전쟁 체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전쟁의 비극성과 인간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6. 한국과의 관계
영화 '육탄'은 1945년 여름, 일본 제국주의의 패망 직전을 배경으로 한다.[1] 이는 일제 강점기의 마지막 해에 해당하며, 당시 식민지였던 한국의 역사적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영화는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투하되고 전황이 극도로 불리해진 시점, 21세의 주인공 '그 녀석'이 대전차 특공대원으로 차출되는 과정을 그린다.[1]
주인공이 수행해야 하는 자살 특공 임무는 당시 일본 군국주의가 개인의 생명을 경시하고 전쟁에 광적으로 몰두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예시다. 비록 영화가 직접적으로 한국인을 등장시키거나 일제 강점기 조선의 현실을 묘사하지는 않지만, 전쟁 말기 일본 사회의 혼란과 개인의 비극을 통해 당시 수많은 한국인 청년들이 강제로 전쟁에 동원되어 겪었을 고통과 희생을 간접적으로 떠올리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영화 '육탄'은 한국 관객들에게 단순한 반전 영화를 넘어, 식민 지배와 전쟁의 아픔이라는 역사적 상처를 되새기게 하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일본 군국주의의 폭력성과 비인간성을 드러냄으로써, 일본의 과거사 문제에 대한 성찰과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하는 메시지로 해석될 여지를 남긴다.
참조
[1]
웹사이트
肉弾
http://www.kinenote.[...]
2021-08-07
[2]
웹사이트
肉弾
http://www.jmdb.ne.j[...]
2021-08-07
[3]
웹사이트
肉弾
https://kotobank.jp/[...]
2021-08-07
[4]
웹사이트
Nikudan: Menschliche Bombe (Interview with Kihachi Okamoto by Peter B. High)
https://www.viennale[...]
2022-03-23
[5]
웹사이트
Nikudan a.k.a. Human Bullet
https://www.arsenal-[...]
2022-03-23
[6]
웹사이트
23rd Mainichi Film Awards (1968)
http://mainichi.jp/m[...]
2022-02-13
[7]
웹사이트
『シン・ゴジラ』に岡本喜八監督が登場するワケ『日本のいちばん長い日』(1967年)
https://www.cinemato[...]
シネマトゥデイ
2016-10-07
[8]
웹인용
肉弾
http://www.kinenote.[...]
2021-08-07
[9]
웹인용
肉弾
http://www.jmdb.ne.j[...]
2021-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