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성역은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한국철도공사 충북선 철도역이다. 1928년 12월 25일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1980년 3월 12일에 현재 위치로 역사를 이전했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으로 운영되며,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주변에는 음성여자중학교, 평곡우체국, 평곡초등학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성군의 건축물 - 생극터미널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에 위치한 생극터미널은 수도권 및 충청권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시외버스와 충주시 시내버스, 음성군 농어촌버스 노선을 제공하며 동서울, 부천, 성남, 안성, 평택, 청주, 충주 등으로 운행한다. - 음성군의 건축물 - 감곡시외버스터미널
감곡시외버스터미널은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위치하며, 청주, 충주, 제천, 대전 등 충청권 주요 도시와 점촌 방면으로 운행하는 시외버스터미널이다. - 충북선 - 충주역
충주역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경부선과 중부내륙선이 교차하는 철도역으로, 1928년 개업 후 한국 전쟁으로 소실되어 이전, 2005년 전철화와 2021년, 2024년 중부내륙선 개통을 거치며 교통 요충지로 발전할 예정이며, 무궁화호와 KTX-이음이 정차하고 주변에 터미널, 축구장, 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 충북선 - 주덕역
주덕역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충북선 철도역으로, 1928년 대소원역으로 개업하여 1947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고,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으로 운영된다. - 충청북도의 철도역 - 충주역
충주역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경부선과 중부내륙선이 교차하는 철도역으로, 1928년 개업 후 한국 전쟁으로 소실되어 이전, 2005년 전철화와 2021년, 2024년 중부내륙선 개통을 거치며 교통 요충지로 발전할 예정이며, 무궁화호와 KTX-이음이 정차하고 주변에 터미널, 축구장, 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 충청북도의 철도역 - 추풍령역
추풍령역은 1905년 영업을 시작한 경부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급수탑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충북종단열차 운행과 무궁화호 정차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 사무관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음성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명 | 음성역 |
모국어 표기 | 음성 |
로마자 표기 | Eumseong |
한자 표기 | 陰城驛 |
소속 노선 | 충북선 |
이전 역 | 보천 |
다음 역 | 소이 |
역간 거리 (이전) | 8.1 |
역간 거리 (다음) | 4.5 |
소재지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한불로 60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역 등급 | 3급 |
역 종류 | 보통역 |
기점 역 | 조치원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4선 (쌍섬식) |
개업일 | 1928년 12월 25일 |
한국 철도 정보 | |
관할 | 한국철도공사 충북본부 오송관리역 |
영업 거리 | 조치원 기점 59.6km |
2. 연혁
날짜 | 내용 |
---|---|
1928년 12월 25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
1980년 3월 12일 | 신 역사 이전(음성읍 오성동→음성읍 평곡리) 영업 |
1991년 1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2010년 3월 31일 | 충북선 누리로 운행 개시 |
2012년 9월 17일 | 누리로 운행 종료 |
2014년 5월 1일 | 충북종단열차 운행 개시 |
2015년 12월 31일 | 충북선 누리로 재운행 |
2016년 12월 9일 | 누리로 운행 종료 |
2018년 7월 1일 | 충북선 1281, 1282열차 누리로 운행 개시 |
3. 역 구조
3. 1. 승강장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이다.
4. 역 주변
5. 인접한 역
주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