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봉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봉역은 서울특별시 성동구 응봉동에 있는 경의중앙선의 전철역이다. 1978년 12월 9일 경원선 용산-성북 간 운행 계통으로 성수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1980년 7월 10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역과의 혼선 방지 차원에서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1번 출구가 있다. 주변에는 응봉산, 응봉동주민센터, 서울응봉초등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동구의 전철역 - 성수역
성수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에 있는 역으로, 1980년 개통하여 섬식 승강장과 풀스크린 타입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을지로순환선과 성수지선이 지나고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성동구의 전철역 - 상왕십리역
상왕십리역은 1983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지하역으로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2014년 열차 추돌 사고가 발생했고 신당역과 왕십리역 사이에 위치한다. - 을종위탁발매소 - 도고온천역
도고온천역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선장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 및 이전을 거쳐 2007년 현재의 고가역으로 이전했으며,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된다. - 을종위탁발매소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응봉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응봉역 |
로마자 표기 | Eungbong-yeok |
한자 표기 | 鷹峰驛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동구 응봉동 246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역 번호 | K115 |
승강장 | 2면 2선 |
선로 | 2 |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1978년 12월 9일 |
개업 노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역 업무 위탁 | 코레일네트웍스 |
관리역 | 청량리관리역 |
무배치간이역 | 무배치간이역 |
승차 인원 (2018년) | 1,905 |
승하차 인원 (2018년) | 3,585 |
![]() | |
![]() | |
![]() | |
![]() | |
노선 정보 | |
노선 | 경원선 (실질적으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영업 거리 | 용산역 기점 8.9 km |
이전 역 | 옥수 (K114) |
이전 역 간 거리 | 1.8 km |
다음 역 | 왕십리 (K116) |
다음 역 간 거리 | 1.4 km |
기점역 | 임진강역 |
2. 역사
1978년 12월 9일 : 경원선 용산 - 성북 간 운행 계통으로 '''성수역'''(聖水驛)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80년 7월 10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역과의 혼선 방지 차원에서 '''응봉역'''(鷹峰駅)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2005년 12월 1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수도권 전철 중앙선으로 분리됨과 동시에 역번호를 K127에서 K115로 변경하였다.
2005년 1월 1일 : 한국철도공사(KORAIL)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2. 1. 개요
2. 2. 연혁
1978년 12월 9일: '''성수역'''(聖水驛)으로 영업 개시세이스이에키/聖水駅일본어으로 개업(용산~성북간 계통)1980년 7월 10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역과의 혼선 방지 차원에서 '''응봉역'''으로 역명 변경
2005년 1월 1일: 한국철도공사(KORAIL)로 사명 변경
2005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수도권 전철 중앙선으로 분리와 함께 역번호를 K127에서 K115로 변경 중앙선 전철 운행 개시 및 용산~성북간 계통 폐지
3. 역 구조
응봉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1번 출구 하나만 있다.
3. 1. 개요
3. 2. 승강장
응봉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교상역사를 갖추고 있다. 출구는 1번 출구 하나만 있다. 승강장은 경의중앙선 열차가 취급한다.
4. 역 주변
응봉산, 응봉동주민센터, 서울응봉초등학교, 광희중학교, 서울숲, 성수대교 등이 있다. 응봉교가 근처에 있으며, 역 바로 남쪽으로 중랑천이 흐른다. 1번 출구는 응봉초등학교, 광희중학교 방면이다. KEB하나은행 응봉삼거리지점도 근처에 있다.
4. 1. 개요
4. 2. 주요 시설
응봉역 주변에는 응봉산이 있으며, 응봉동주민센터, 서울응봉초등학교, 광희중학교가 근처에 있다. 또한 서울숲과 성수대교가 인접해 있고, 역 바로 남쪽으로는 중랑천이 흐른다. 응봉교도 근처에 있다. 1번 출구는 응봉초등학교, 광희중학교 방면이다. KEB하나은행 응봉삼거리지점도 근처에 위치해 있다.5. 이용객 변동
wikitable
5. 1. 개요
5. 2. 연도별 이용객 수
wikitable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중앙선) | 승차 | 1,442 | 1,827 | 2,481 | 2,688 | 2,154 | 2,001 | 1,894 | 1,878 | 1,854 | 1,902 | [5] | |||
하차 | 1,036 | 1,322 | 1,798 | 5,050 | 1,836 | 1,666 | 1,613 | 1,610 | 1,609 | 1,653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경의·중앙선 | 승차 | 1,930 | 1,884 | 1,908 | 1,974 | 1,973 | 1,957 | 2,054 | 2,008 | 1,905 | 1,958 | 1,478 | 1,561 | 1,769 | [5] |
하차 | 1,694 | 1,647 | 1,633 | 1,695 | 1,712 | 1,704 | 1,768 | 1,733 | 1,680 | 1,715 | 1,276 | 1,361 | 1,526 |
6. 인접한 역
{{인접정차역
|노선 = 경의중앙선
|종별 =
본선 완행
|전역 = K114 옥수
|전방면 = 문산 방면
문산 방면
|전색 =
|후역 = K116 왕십리
|후방면 = 지평 방면
용문 방면
|후색 =
}}
}|-
colspan="3" }}}
|}
경의·중앙선
옥수역 (K114) - '''응봉역 (K115)''' - 왕십리역 (K116)
참조
[1]
웹사이트
코레일네트웍스
(추출 불가)
[2]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3]
웹사이트
코레일네트웍스 역무 위탁
(추출 불가)
[4]
기타
도라산 기점 66.2 km
[5]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