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옥수역은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ITX-청춘이 운행한다. 1985년 서울 지하철 3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001년 경원선 승강장 이전을 거쳐 2005년 수도권 전철 중앙선으로 분리되었다. 옥수역은 두 노선 모두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3호선은 동호로 중앙분리대에 위치한 고가역이고, 경의·중앙선은 환승 통로를 통해 연결된다. 주변에는 서울옥정초등학교, 말레이시아 대사관 등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동구의 전철역 - 성수역
성수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에 있는 역으로, 1980년 개통하여 섬식 승강장과 풀스크린 타입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을지로순환선과 성수지선이 지나고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성동구의 전철역 - 상왕십리역
상왕십리역은 1983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지하역으로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2014년 열차 추돌 사고가 발생했고 신당역과 왕십리역 사이에 위치한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교대역 (서울)
교대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이며, 1982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인근의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역명이 유래되었고, 법조 타운, 교육 기관, 학원가가 밀집해 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홍제역
홍제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 역으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에 위치하며 1985년 개통 이후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주변에 교육기관과 상업 시설이 위치하고 4개의 출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옥수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옥수역 |
로마자 표기 | Oksu-yeok |
한자 표기 | 玉水驛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동호로 21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승강장 | 4 |
선로 | 4 |
역 구조 | |
구조 | 지상역 |
개업 정보 | |
개업일 | 1985년 10월 18일 |
3호선 개통 | 1985년 10월 18일 |
경의·중앙선 개통 | 1985년 10월 18일 |
승객 정보 (2012년 기준) | |
3호선 일일 승객 수 | 19,062명 |
참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객 수 포함 |
이미지 정보 | |
![]() | |
영화 정보 | |
관련 영화 | 옥수역 귀신 |
2. 역사
1983년 9월 13일 '옥수역'으로 역명이 결정되었다.[10]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 ~ 양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고, 경원선 역사도 동시에 개통되었다.[11]
2001년 7월 1일 경원선 승강장 이전 영업이 개시되었다. 이는 한남~응봉 구간 선로 변경으로 중앙선 전철역이 북쪽으로 이전했기 때문이다. 2005년 1월 1일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개칭되었고, 한국철도공사가 한국철도공사(Korail)로 개칭되었다. 2005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수도권 전철 중앙선으로 분리되면서 역번호가 K128에서 K114로 변경되었고, 중앙선 전철 영업이 개시되면서 용산 - 성북 구간 운행이 중지되었다.
2009년 11월 20일 한강시민공원 방면 출구가 신설되었다. 2010년 중앙선 전철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2012년 11월 1일 ITX-청춘 열차가 옥수역에 추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3호선은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되었다.
2. 1. 개요
2. 2. 연혁
1983년 9월 13일 : '''옥수역'''으로 역명 결정[10]1985년 10월 18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독립문 ~ 양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11], 경원선 역사 동시 개통
2001년 7월 1일 : 경원선 승강장 이전 영업 개시, 한남~응봉 구간 선로 변경으로 중앙선 전철역이 북쪽으로 이전.
2005년 1월 1일 :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가 서울메트로로 개칭. 또한, 한국철도공사가 한국철도공사(Korail)로 개칭.
2005년 12월 1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수도권 전철 중앙선으로 분리와 함께 역번호를 K128에서 K114로 변경. 중앙선 전철 영업 개시. 용산 - 성북 구간 운행 중지.
2009년 11월 20일 : 한강시민공원 출구 완공, 개통
2010년 : 경원선 옥수역 스크린도어 설치
2012년 11월 1일 : ITX-청춘 옥수역 추가정차
2017년 5월 31일 :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3호선은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됨.
3. 역 구조
옥수역은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상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호선의 경우 곡선형 승강장으로 인해 열차와 단차가 있어 승차시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을 조심해야 한다. 출구는 7개가 있다.
3. 1. 개요
3. 2. 3호선 승강장
금호 ↑압구정 ↓
3호선 역은 동호로의 중앙분리대에 위치한 고가역이다. 남쪽에 한강이 있으며, 3호선은 동호대교 위를 지난다.
개찰구는 역 북쪽에 2곳, 남쪽에 1곳 있다. 북쪽 개찰구는 상하행 승강장별로 따로 설치되어 있다. 개찰층 남쪽에 환승 통로가 있다.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2곳, 개찰구 안(남쪽)에 1곳 있다.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풀스크린 타입)이 설치되어 있다. 북쪽 개찰구에만 연결되는 계단은 승강장 1면당 북쪽에 2곳, 남쪽 개찰구와 환승 통로에 연결되는 계단은 승강장 1면당 남쪽에 2곳 있다.
3. 2. 1. 승강장 구조
금호 ↑↓ 압구정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3. 2. 2. 승강장 목록
wikitext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3. 3. 경의·중앙선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고가역으로, 풀스크린 타입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 및 환승 통로로 연결되는 계단은 승강장 1면당 2곳씩 있다.한국철도공사 측 개찰구·출구는 없으며, 개찰구 밖으로 나가려면 환승 통로를 이용하여 3호선 남쪽 개찰구를 이용해야 한다(한강시민공원 방면 출구는 환승 통로 중간에 있지만, 출구는 모두 서울교통공사가 관리한다. 참고로 환승 통로는 한국철도공사가 관리한다).
개업 당시에는 3호선과의 환승을 위해 어쩔 수 없이 급곡선 구간에 승강장을 설치했는데, 열차가 정차했을 때 열차와 승강장 사이가 최대 40cm 차이가 나는 구간이 있었다. 특히 용산-성북 간 운행 계통에서 기관차를 이용한 운행을 하던 시절에는 영향이 컸으며, 주의를 촉구하는 포스터를 승강장 곳곳에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사고 발생 우려로 1999년부터 선로와 승강장을 신설·개량하는 공사를 시작하여 2001년에 완공되어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
3. 3. 1. 승강장 구조
wikitext
3. 3. 2. 승강장 목록
wikitext승강장 번호 | 노선 | 행선지 |
---|---|---|
1 | 18px 경의·중앙선 | 용산 · 홍대입구 · 행신 · 일산 · 문산 방면 |
경춘선 ITX-청춘 | 용산 방면 | |
2 | 18px 경의·중앙선 | 청량리 · 덕정 · 양평 · 용문 방면 |
경춘선 ITX-청춘 | 청량리 · 평내호평 · 가평 · 춘천 방면 |
3. 4. 출구
한국철도공사 관할 출구(개찰구)는 따로 정산하지 않으나 없다. 서울교통공사의 수도권 전철 3호선 개찰구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공유하므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이용 시에도 개찰구 밖으로 나갔다가 15분 이내에 다시 개찰구 안으로 들어온 경우 환승으로 인정된다. 5번 출구로 나가면 옥정초등학교가 있고, 4번 출구에서 도보 15분 거리에 말레이시아 대사관이 있다.4. 경원선 승강장 이전 공사
옥수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과의 환승을 위하여 급커브 구간에 역사를 설치하여 전동차가 정차하였을 경우 승강장과 차량의 간격이 매우 넓었다.[12] 어린이 동반 승객들은 어린이를 안고 타야 하였고, 유모차나 휠체어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주위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야 할 정도였으며, 5분 동안 열차가 대기하기도 하였다.[12] 어린이 뿐만 아니라 성인이라 하더라도 틈으로 발이 빠지는 사례가 잦았다.[12] 이러한 안전 사고 발생 우려로 인하여 1999년부터 경원선 선로 및 옥수역 승강장을 신설, 개량하는 공사를 시작하여 2001년에 완공하였다.
5. 문화
호랑 작가의 '''옥수역 귀신'''이라는 작품으로 옥수역의 괴담을 그려낸 작품이 있다. 멋진 외관 때문에 한때는 방송에서 촬영이나 CF 광고도 촬영했었다. 서울 지하철 3호선의 경우 동호대교, 한강의 풍경을 함께 담을 수 있어, 이 역을 배경으로 한 지하철 관련 자료사진이 언론, 책자 등에 많이 사용되었다. 영화 튜브에서 테러범 강기택 (박상민 분)이 옥수역에 설치한 폭탄이 폭발하여 극중에서 역사가 폭발 화재로 소실된 장면이 있었다.
6. 역 주변
서울옥정초등학교, 옥정중학교, 서울방송고등학교가 근처에 있다.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관, 주한 이집트 대사관, 주한 가나 대사관, 주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사관, 주한 몽골 대사관 등 여러 나라의 대사관들이 옥수역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13] 옥수파출소, 옥수동행정복지센터, 동호대교, 한강시민공원[13], 미타사, 옥수동성당, 옥수삼성아파트도 주변 시설이다.
7. 이용객 변동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3호선 | 승차 | 8,284 | 9,123 | 9,236 | 8,915 | 9,174 | 9,372 | 9,442 | 9,220 | 9,155 | 9,156 | [14] | |||
하차 | 7,803 | 8,410 | 8,625 | 8,456 | 8,834 | 9,102 | 9,199 | 9,003 | 9,307 | 8,955 | |||||
승하차 | 16,086 | 17,533 | 17,862 | 17,372 | 18,009 | 18,474 | 18,641 | 18,224 | 18,462 | 18,111 | |||||
1호선(중앙선) | 승차 | 2,391 | 1,535 | 1,829 | 1,771 | 6 | 2,184 | 2,233 | 2,184 | 2,217 | 2,245 | [15] | |||
하차 | 1,422 | 1,449 | 1,286 | 1,193 | 0 | 2,016 | 2,072 | 2,079 | 2,090 | 2,134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3호선 | 승차 | 9,450 | 9,495 | 9,861 | 10,601 | 10,885 | 10,624 | 10,428 | 10,341 | 10,230 | [14] | ||||
하차 | 9,172 | 9,221 | 9,707 | 10,580 | 11,126 | 10,898 | 10,854 | 10,744 | 10,661 | ||||||
승하차 | 18,622 | 18,716 | 19,568 | 21,181 | 22,011 | 21,523 | 21,282 | 21,085 | 20,891 | ||||||
경의·중앙선 | 승차 | 2,335 | 2,411 | 2,474 | 2,735 | 2,834 | 2,992 | 2,999 | 2,942 | 2,848 | 2,786 | 2,173 | 2,233 | 2,377 | [15] |
하차 | 2,205 | 2,265 | 2,360 | 2,634 | 2,783 | 2,957 | 3,050 | 2,996 | 2,920 | 2,818 | 2,189 | 2,253 | 2,378 | ||
ITX-청춘 | 승차 | 미개통 | 40 | 71 | 65 | 54 | 50 | 52 | 48 | 51 | 39 | 42 | 49 | [15] | |
하차 | 53 | 78 | 76 | 63 | 59 | 60 | 58 | 61 | 44 | 46 | 55 |
ITX-청춘의 2012년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2012년 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308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