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종 (전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종은 전한 무제 시기의 인물로, 엄격한 법 집행과 가혹한 통치로 악명이 높았다. 젊은 시절에는 불량한 행실을 보였으나, 누이의 도움으로 관직에 진출하여 여러 지역의 현령과 태수를 역임했다. 하내 도위 재직 시 호족을 몰살하고, 남양 태수 시절에는 다른 관리들을 탄압하는 등 강압적인 정치를 펼쳤다. 흉노 정벌을 위한 정양 태수 재임 시 죄인을 대거 처형하여 공포 정치를 시행했다. 말년에는 경제 정책과 관련하여 무제의 미움을 사, 조서를 방해한 죄로 사형에 처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17년 사망 - 곽거병
    곽거병은 전한 무제 시대 흉노 정벌에 큰 공을 세운 명장으로, 젊은 나이에 표기장군과 대사마에 오르며 군사적 재능을 인정받았으나 24세에 병사했으며, 그의 묘는 흉노를 짓밟는 말의 석상으로 유명하다.
  • 기원전 117년 사망 - 사마상여
    전한 시대의 문인 사마상여는 부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양효왕의 객경으로 활동하며 이름을 알렸고, 탁문군과의 사랑 이야기와 무제의 총애를 받아 조정에 복귀하여 문학적 업적을 남겼다.
  • 전한의 정치인 - 구독
    구기(緱起)는 전한 시대에 기후(騎虎)에 봉해지고 태상(太常)을 역임한 인물로, 기원전 32년 사망 후 그의 아들 구숭(求崇)이 기후 자리를 계승했다.
  • 전한의 정치인 - 장량
    장량은 전국시대 말기부터 초한쟁패기를 거쳐 전한 초기에 활약한 한나라 귀족 출신 인물로, 유방을 도와 한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 유후에 봉해진 뛰어난 지략가이자 책사이다.
  • 한나라의 정치인 - 구독
    구기(緱起)는 전한 시대에 기후(騎虎)에 봉해지고 태상(太常)을 역임한 인물로, 기원전 32년 사망 후 그의 아들 구숭(求崇)이 기후 자리를 계승했다.
  • 한나라의 정치인 - 석편
    석편은 전한 시대의 관료로, 기원전 138년에 내사에 임명되어 석경의 뒤를 이어 내사를 지냈으며, 정당시가 그의 후임자이다.
의종 (전한)
기본 정보
이름의종
본관미상
생몰년기원전 2세기 ~ 기원전 119년
시대전한
관직
주요 관직중대부(中大夫)
장작(將作)
하남태수(河南太守)
정위(廷尉)
가족 관계
아버지의갈
생애
주요 활동하남 태수 재임 중 엄격한 법 집행
정위 재임 중 가혹한 판결
죄수 석방 건의 후 번복
사형 선고 후 자살
평가
긍정적 평가탐관오리 척결
부정적 평가가혹한 법 집행, 지나친 형벌 남용

2. 생애

의종은 젊은 시절 무법자였다. 누이 의후(義姁)가 왕태후시의(侍醫)가 되면서 왕태후의 친족 등용으로 중랑(中郞)에 임명되어 상당군현령이 되었다.[1] 불법을 용납하지 않고 관대함이 부족한 통치를 펼쳐 검거 실적이 최고였다. 이후 장릉현령, 장안현령으로 옮겨가서도 귀인이나 외척을 가리지 않고 통치했으며, 왕태후의 외손자를 체포하여 심문한 일로 무제의 신임을 얻었다.[1]

하내 도위로 영전한 의종은 호족 양씨 일족을 몰살하여 군내에 물건을 줍는 자조차 없을 정도로 기강을 확립했다.[1] 남양 태수 시절에는 혹독한 관리 녕성을 견제하고 일족을 몰수했으며, 정양 태수로 부임해서는 옥중의 중죄인과 그들을 돕는 자들 400여 명을 모두 사형에 처하는 등 강경책을 펼쳤다.[1]

원수 4년 (기원전 119년), 조정에서 오수전 개주와 백금화 발행을 실시했지만 백성들의 악행이 끊이지 않자, 의종은 우내사에 임명되어 왕온서와 함께 가혹한 통치를 펼쳤다. 그러나 왕온서와 갈등을 빚었고, 무제의 심기를 건드린 사건으로 인해 결국 사형에 처해져 기시되었다.[1]

2. 1. 초기 생애와 불량한 행실

의종은 장차공과 함께 도적질을 하며 지냈다. 누이 의후(義姁)가 왕태후시의(侍醫)가 되었는데, 왕태후는 의후에게 형제 중에 관리가 될 만한 자가 있는지 물었다. 의후는 동생이 하나 있지만 행실이 좋지 않아 관리가 될 만한 인물은 못 된다고 답했다. 그러나 왕태후는 무제에게 말하여 의종을 중랑(中郞)에 임명하고, 상당군현령을 맡도록 하였다.

의종은 젊은 시절 무법자였다. 누이 의후는 왕태후(경제의 황후이자 무제의 어머니)의 의사가 되었는데, 왕태후가 친족 등용을 하려 하자 품행이 좋지 않다고 반대했다. 그럼에도 의종은 중랑에 임명되어 상당군의 현령이 되었다.[1] 그곳에서 의종의 통치는 불법을 용납하지 않고 관대함이 부족했으며, 검거 실적은 최고였다. 이후 장릉현령, 장안현령으로 옮겨갔다. 그곳에서도 귀인이나 외척이라도 꺼리지 않고 통치했으며, 왕태후의 외손자인 수정자중(무제의 동모 이부 누이의 수정군 금속의 아들)을 체포하여 심문한 일로 무제는 그를 유능하다고 생각하였다.[1]

2. 2. 혹독한 정치와 법 집행

의종은 과단성 있게 다스리고 온정을 적게 베풀어, 현에서 일처리에 소홀하거나 해결하지 못한 일이 없었으므로 치적이 으뜸으로 꼽혀 장릉(長陵)과 장안의 현령을 역임하였다. 또한 법을 곧이곧대로 집행하여, 아무리 고귀한 자라도 두려워하지 않았다.[1]

어느 날 왕태후의 외손인 수성군(修成君) 김속(金俗)의 아들 김중(金仲)을 잡아들여 문초하였는데, 황제는 이 일로 의종을 유능하다고 여겨 하내도위로 승진시켰다. 의종은 부임하자마자 하내의 호족 양(穰)씨의 일족을 모조리 죽이니, 이후 하내 사람들은 의종을 두려워하여 물건이 길에 떨어져도 줍는 일이 없었다.[1]

이후 남양태수로 영전하였다. 이때 영성이 남양에서 한가롭게 지내고 있었는데, 의종이 함곡관(函谷關)에 도착하자 영성은 그를 마중하고 배웅하였다. 그러나 의종은 답례조차 하지 않았고, 영성을 철저히 조사하여 그의 일족을 모조리 파멸시켰다. 관리와 백성은 다리를 겹치고 서 있을 정도로 공포에 질려 꼼짝하지 못하였다. 또 주강(周彊)과 두주를 부하로 부렸는데, 이들은 모두 정위의 사(史)가 되었다.[1]

흉노를 정벌하러 가는 군대가 자주 정양군을 지나가니, 정양의 관리와 백성은 혼란에 빠지고 기강이 무너졌다. 의종은 정양태수로 부임하여 군의 감옥에 갇힌 중죄인과 죄가 가벼운 죄수 2백여 명, 빈객 또는 형제로서 사사로이 감옥에 들어와 면회한 2백여 명을 모두 불시에 붙잡아 심문하고는 "이자들은 죽을죄를 지은 죄인을 탈출시키려 하였다."라고 말하였다.[1] 그러고는 그날 중으로 4백여 명을 한꺼번에 죽이니, 백성들은 춥지도 않은데 떨었고 교활한 자들은 관리에게 빌붙었다.[1]

훗날 오수전백금을 유통시켰을 때, 백성 중에 이를 위조하는 자가 많았는데 특히 수도가 가장 심하였다. 원수 4년(기원전 119년), 조정에서는 의종을 우내사에, 왕온서중위에 임명하여 이를 다스리도록 하였다. 왕온서는 지독히 흉악하여 자신이 하려는 일을 의종에게 알리지 않았는데, 의종은 반드시 왕온서를 꺾어 눌러 그의 공로를 없앴다. 의종은 청렴하였으나 다스리는 법은 질도를 본받았다.[1]

2. 3. 경제 정책과 갈등

경제의 황후이자 무제의 어머니인 왕태후의 의붓 남매였다. 왕태후가 친족을 등용하려 할 때 누이의 품행이 좋지 않다고 반대했지만, 의종은 중랑에 임명되어 상당군의 현령이 되었다. 이후 장릉현령, 장안현령으로 옮겨가서도 가혹한 통치를 이어갔다. 무제는 그를 하내 도위에 임명했고, 여기서도 호족을 일족 몰살하는 등 엄격한 통치를 했다.

이후 남양 태수로 임명된 의종은 혹독한 관리 녕성을 견제하고, 정양 태수로 부임해서는 중죄인과 그들을 돕는 자들을 모두 사형에 처하는 등 강경책을 펼쳤다.

원수 4년(기원전 119년) 조정에서 오수전 개주와 백금화 발행을 실시했지만 백성들의 악행이 끊이지 않자, 의종은 우내사에 임명되어 왕온서와 함께 가혹한 통치를 펼쳤다. 그러나 무제의 심기를 건드린 사건으로 인해, 결국 사형에 처해졌다.[1]

2. 4. 몰락과 죽음

원수 6년(기원전 117년), 무제는 정호궁(鼎湖宮)에 행차했다가 오랫동안 병을 앓았다. 병이 나은 후 감천궁으로 가는 길이 정비되지 않은 것을 보고 크게 노하여, "의종은 내가 다시는 이 길을 지나지 못할 것으로 생각했단 말인가!"라고 말했다. 무제는 이 일로 의종을 괘씸하게 여겼다.

그해 겨울, 의종은 고민령(告緡令) 시행관인 양가(楊可)가 백성을 혼란에 빠뜨린다고 여겨 관리들에게 그를 위해 일한 자들을 잡아들이게 했다. 그러나 무제는 두식에게 명하여 의종의 죄를 다스리게 했다. 두식은 의종이 조서를 어기고 이미 이루어진 제도를 파괴했다고 판결했고, 결국 의종은 기시되었다.[1]

3. 가계

의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