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혜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혜왕후 최씨는 경주 최씨 영흥백 지미파 출신으로, 조선 태조 이성계의 어머니이다. 그녀는 환조 이자춘(이자춘)에게 시집가기 전, 다른 혼처를 거절하고 꿈을 통해 이자춘과의 혼인을 결정했다. 생전에는 삼한국대부인으로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의비, 태종 때 의혜왕후로 추존되었으며, 능은 화릉이다. 슬하에 이성계와 정화공주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흥 최씨 - 정숙왕후
    정숙왕후는 최기열의 딸이자 조선 익조의 계비로, 6남 1녀를 낳았으며, 남편이 익조로 추존되면서 왕후로 추봉되었고, 능은 숙릉이다.
  • 조선 신화의 인물 - 환조 (조선)
    환조 이자춘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로, 원나라 쌍성총관부의 천호를 지내다 고려 공민왕의 반원 정책에 따라 고려에 귀순하여 동북면 영토 수복에 기여했으며, 사후 환왕, 환조 연무성환대왕으로 추존되었다.
  • 조선 신화의 인물 - 도조 (조선)
    도조 이춘은 조선의 추존왕으로, 이행리의 천호 관직을 계승하고 경순왕후 박씨와의 혼인으로 이자흥과 환조 이자춘을 낳았으며, 태조 이성계에 의해 도왕으로 추존, 태종 때 도조로 묘호가 정해졌다.
  • 조선 환조 - 쌍성총관부
    쌍성총관부는 1258년 조휘 등이 철령 이북 땅을 원나라에 바치며 설치된 원나라의 고려 지배 기구로, 조휘의 가문이 대대로 총관직을 세습했으나 1356년 유인우, 이성계 등에 의해 함락되어 고려에 수복되며 고려가 자주성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다.
  • 조선 환조 - 정빈 김씨
    정빈 김씨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서모이며, 환조의 여종 출신으로 의안대군 이화를 낳았고, 태조의 예우를 받았으며 정안옹주로 봉해졌다가 고종 때 정빈으로 추증되었다.
의혜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추존 왕후
별칭의비
배우자환조
자녀태조, 정화공주
부모최한기 / 조선국대부인 이씨
가문영흥 최씨
생애
출생1304년
사망미상
묘소화릉 (동흥리, 함흥시, 함경남도)
정보
미상
아버지최한기
어머니조선국대부인 이씨
배우자환조
자녀정화공주, 태조
가문영흥 최씨
왕후 정보
존호의혜왕후
시호미상
본관영흥 최씨
왕비 정보
봉호삼한국대부인
책봉1411년 (추존)
전임박씨
후임한씨

2. 생애

의혜왕후 최씨는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봉해졌다. 조선 건국 후 태조가 즉위하자 의비(懿妃)로 봉해졌고, 조선 태종이 의혜왕후로 추봉하고 능을 화릉(和陵)이라 하였다. 1471년(성종 2) 영녕전에 이안되었고, 1795년(정조 19) 영흥본궁에 추제(追躋)되었다. 슬하에 1남(조선 태조) 1녀(정화공주)를 두었다.[12]

2. 1. 혼인 전

의혜왕후 최씨는 본관이 경주 최씨 영흥백 지미파로, 선수천호(宣授千戶) 증 영흥부원군 최한기의 딸이다. 최한기는 본래 등주(登州, 지금의 안변군) 사람이었으나 함경도로 이주하여 살면서 돈을 많이 모아 큰 부자가 되었다.[10][11]

훗날 의혜왕후가 된 그녀는 1304년 원나라 한국 천호 최한기(崔閑奇)의 막내딸로 태어났다. 최한기는 뒤에 영흥부원군 정효공(永興府院君 靖孝公)으로 추봉되었다. 그녀의 어머니는 조선국대부인 이씨(朝鮮國大夫人 李氏)였다. 그녀의 아버지 성은 본래 조(趙)씨였으나, 훗날 그녀의 결혼을 위한 완전한 축복을 받기 위해 최(崔)씨로 개명하였다.[1] 그녀의 가족은 고려 시대 등주(登州)라 불렸던 곳, 오늘날의 강원도 안변군에 오랫동안 거주하였다.[2][3] 많은 재산을 모아 부유해진 그녀의 가족은 현지 주민들 사이에서 부유한 집안으로 알려져 있었다.[1][4]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남다른 점이 많았던 그녀는 혼기가 차자 부모가 김린(金麟)의 아들에게 시집보내려 했으나, 그녀가 이를 거절하며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서 큰 인연이 있는데 어찌 뜻밖에 김린의 아들에게 시집갈 수 있겠는가. 배필이 곧 이를 것이다."라고 말하며 슬퍼하였다. 부모는 그녀가 말을 듣지 않자 가재(家財)를 반으로 나누어주겠다고 하였다.

조선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인 환조(이자춘)가 볼일이 있어 조조의 집에 갔는데, 그때 그녀가 용 두 마리가 하늘에서 내려와 한 마리는 뱃속으로 들어가고 한 마리는 뜰에 서 있는 좋은 꿈을 꾸자 이자춘에게 청혼하여 혼인하였다.

2. 2. 이자춘과의 혼인

의혜왕후 최씨는 경주 최씨 영흥백 지미파로, 선수천호(宣授千戶)를 지내고 증 영흥부원군에 추증된 최한기의 딸이다. 최한기는 본래 등주(登州, 지금의 안변군) 사람이었으나 함경도로 이주하여 큰 부자가 되었다.[10][11] 최씨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남다른 데가 많았다. 혼기가 차자 부모는 김린(金麟)의 아들에게 시집보내려 했으나, 최씨는 이를 거부하며 가산을 나누어 달라고 했다.

최씨는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 큰 인연이 있는데, 어찌 김린의 아들에게 시집갈 수 있겠습니까? 저의 배필은 곧 나타날 것입니다."라며 슬피 울었다.

조선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인 이자춘(환조)이 최한기의 집에 볼일이 있어 방문했을 때, 최씨는 용 두 마리가 하늘에서 내려와 한 마리는 뱃속으로, 다른 한 마리는 뜰에 서는 꿈을 꾸었다. 최씨는 이자춘에게 청혼하여 혼인하였다.

최씨는 생전에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봉해졌으며, 슬하에 1남(조선 태조 이성계)과 1녀(정화공주)를 두었다.[12]

2. 3. 사후

조선 태종은 의혜왕후를 추봉하고 그 능을 화릉(和陵)이라 하였다.

1471년(성종 2) 영녕전에 이안하였고, 1795년(정조 19) 영흥본궁에 추제(追躋)하였다. 슬하에 1남(조선 태조 이성계)과 1녀(정화공주)를 두었다.[12]

3. 능침

의혜왕후의 능침은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리(추정)[13][14] 정화릉 내에 있는 화릉으로, 남편 환조의 정릉과 이웃하고 있다.[12]

4. 가족 관계

본가 영흥 최씨[15]
아버지최한기
어머니증 홍원군부인 조선국대부인 완산 이씨(贈 洪原郡夫人 朝鮮國大夫人 完山 李氏)
형제자매
왕가(王家) 전주 이씨
남편이자춘(조선 환조)
장인이춘, 조선 도조
장모경순왕후, 문주 박씨
자녀


4. 1. 왕실과의 관계

본가 영흥 최씨
증조부영흥백 최천보(崔天甫)[15]
증조모조선국대부인 김씨(朝鮮國大夫人 金氏)
조부영흥백 최종대(崔終大)
조모화산군부인 조선국대부인 김씨(花山郡夫人 朝鮮國大夫人 金氏)
아버지증 영흥부원군 정효공 최한기(贈 永興府院君 靖孝公 崔閑奇)
어머니증 홍원군부인 조선국대부인 이씨(贈 洪原郡夫人 朝鮮國大夫人 李氏)
언니영흥군부인 최씨(永興郡夫人 崔氏)
전석(全碩)에게 출가
동생경창옹주 최씨 (慶昌翁主 崔氏)
석양선(石良善)에게 출가
조카석천을(石天乙)
통훈대부 중랑장
왕가(王家) 전주 이씨
시조부추존 익조대왕(翼祖大王, 생몰년 미상)
시조모정숙왕후 등주 최씨(貞淑王后 登州 崔氏, 생몰년 미상)
시아버지추존 도조대왕(度祖大王, ?~1342)
시어머니경순왕후 문주 박씨(敬順王后 文州 朴氏, 생몰년 미상)
남편추존 환조(桓祖, 1315 ~ 1360)
장남제1대 태조대왕(太祖大王, 1335~1408)
장녀정화공주(貞和公主)
외손자조온(趙溫, 1347년 ~ 1417년)


참조

[1] 백과사전 의혜왕후 懿惠王后 – Doosan Encyclopedia http://terms.naver.c[...]
[2] 웹사이트 안변군(安邊郡) http://encykorea.aks[...] 2021-10-09
[3] 웹사이트 의혜왕후(懿惠王后) http://encykorea.aks[...] 2021-10-09
[4] 웹사이트 의혜왕후 (懿惠王后) http://encykorea.aks[...] 2021-12-30
[5] 서적 斗山世界大百科事典
[6] 서적 斗山世界大百科事典
[7] 서적 rootsinfo
[8]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태조 2권, 1년(1392 임신 / 명 홍무(洪武) 25년) 11월 6일(계미) 1번째기사
[9]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태종 21권, 11년(1411 신묘 / 명 영락(永樂) 9년) 4월 22일(임자) 1번째기사
[10] 웹인용 안변군(安邊郡)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1-11-22
[11] 웹인용 의혜왕후 https://terms.naver.[...] 2021-11-22
[12] 서적 의혜왕후(懿惠王后) 한국학중앙연구원
[13]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14] 뉴스 정화릉(定和陵) 동아일보 1934-01-02
[15] 문서 태조실록이나 열성팔고조도 등 관찬 기록에는 하나같이 휘가 천보라 기록되어있다. 한편 영흥 최씨 족보에 의하면 휘를 지미(之美), 자를 천보로 적고 있으며, 영흥 최씨의 시조이며 고려국 문하시중 최승로(崔承老)의 6대손이라 전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