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화공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화공주는 고려 말 이자춘과 최씨의 딸이자 이성계의 유일한 동복 누나이다. 조선 태조가 조선을 건국한 후, 1872년 고종에 의해 공주로 추증되어 정화공주가 되었다. 조인벽과 혼인하였으며, 조연 등을 낳았다. 묘소는 현재 황해북도 장풍군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환조의 자녀 - 태조 (조선)
고려 말 무신으로서 위화도 회군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고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뛰어난 리더십으로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나, 왕위 계승 갈등으로 인해 상왕으로 물러났다. - 조선 환조의 자녀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 고려의 귀족 - 최응
최응은 고려 초 문신으로, 궁예 휘하에서 문한을 담당하고 고려 건국 후 왕건의 참모로 활동하며 내봉경에 이르렀으나 요절하여 태조의 사당에 배향되었고, 시호는 희개이다. - 고려의 귀족 - 심종
심종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로, 태조 이성계의 사위가 되어 청원군에 봉해지고,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회안군 이방간과 내통한 죄로 폐서인되어 사망했다. - 조선 태조 - 태조 (조선)
고려 말 무신으로서 위화도 회군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고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뛰어난 리더십으로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나, 왕위 계승 갈등으로 인해 상왕으로 물러났다. - 조선 태조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정화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이씨 |
작위 (추존) | 공주 |
시호 (추존) | 정화공주 (貞和公主) |
본관 | 전주 이씨 |
출생 | 1330년 고려 |
사망 | 장풍군 |
묻힌 곳 | 천수원(天水原) 적교(赤橋) 서계취(棲雞翠) |
배우자 | 조인벽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이자춘 |
어머니 | 의혜왕후 최씨 |
형제자매 | 조선 태조 이성계 등 |
아들 | 6남 (조온, 조허, 조익, 조량, 조견, 조전) |
딸 | 3녀 |
양자 | 1남 |
양녀 | 1녀 |
기타 정보 | |
신분 | 고려의 여인, 조선의 공주 (추존) |
활동 시기 | 14세기 |
2. 생애
생몰년은 정확하지 않으며, 고려 말기 이자춘과 부인 최씨의 딸로 태어났다. 이성계의 유일한 동복 누나이며[9][10], 정종, 태종 등의 고모이다.
정화공주는 환조와 의혜왕후의 딸로, 태조의 유일한 동복 누나였다.[9][10] 한양 조씨인 조돈의 아들 조인벽과 혼인하였으며, 조인벽에게는 계실이다.[14]
1392년(태조 원년) 친동생 이성계가 새 왕조 조선을 세우면서, 남매의 아버지 이자춘은 환왕으로, 어머니 최씨는 의비로 추존되었다[11]. 이후 1872년(고종 9년) 음력 12월 4일 고종에 의해 공주로 추증되어 '''정화공주'''(貞和公主)가 되었다[12]. 1411년(태종 11년) 음력 4월 22일 환왕은 환조의 묘호를 받고, 의비는 의혜왕후의 시호를 받았다[13].
정화공주는 한양 조씨 조돈의 아들 조인벽과 혼인하였으며, 조인벽에게는 계실이다[14]. 조인벽은 조선 개국 후 용원부원군에 봉해졌다[15]. 정화공주에게는 조연 등의 아들이 있는데, 조연은 태종의 신임을 받아 한평부원군에 봉해지고 우의정을 지낸 후 1429년(세종 11년) 56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16]. 조인벽에게는 아들 조온도 있으나, 당대 기록에 조온의 어머니의 성씨를 모른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조온은 정화공주의 아들은 아닌 듯하다[14].
정화공주의 묘소는 현재 황해북도 장풍군에 있다[9].
3. 가족 관계
3. 1. 친정
정화공주 친정 | |
---|---|
아버지 | 환조 (1315~1360)[9] |
어머니 | 의혜왕후 (생몰년 미상)[9] |
남동생 | 제1대 태조 (1335~1408, 재위 : 1392~1398)[9] |
올케 | 신의왕후 (1337~1391)[9] |
신덕왕후 (1356~1396)[9] | |
조카 | 제2대 정종 (1357~1419, 재위 : 1398~1400)[9] |
제3대 태종 (1367~1422, 재위 : 1400~141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