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가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가염은(李可染, 1907-1989)은 중국의 화가이다. 그는 20세기 초 서구 미술의 영향을 받아 중국 전통 회화에 혁신을 시도했으며, 수묵 사생 기법을 발전시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했다. 중일 전쟁 시기에는 항일 선전 활동을 했으며, 마오쩌둥의 시에서 영감을 얻어 작품을 제작하기도 했다. 대표작으로 《만산홍편》 등이 있으며, 그의 작품은 미술 시장에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화가 - 제백석
    제백석은 가난한 농민 출신 목수에서 독학과 다양한 스승을 통해 독창적인 화풍을 구축하고 화조화, 곤충, 풀, 은자, 산수화 등 다양한 소재를 서정적으로 묘사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20세기 중국의 대표 화가이다.
  • 중국의 화가 - 팔대산인
    명나라 황족 후손으로 몰락한 왕족의 고뇌와 은둔 생활, 독특한 화풍으로 유명한 팔대산인은 중국 청나라 초기의 예술가로서 화훼, 산수, 새, 물고기 등을 소재로 한 수묵화에서 대담하고 개성적인 표현을 추구하며 멸망한 명나라에 대한 슬픔과 저항 정신을 상징하는 작품을 남겼다.
  • 쉬저우시 출신 - 장위페이 (수영 선수)
    중국의 수영 선수 장위페이는 접영을 주 종목으로 올림픽, 세계 선수권, 아시안 게임 등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2020 도쿄 올림픽 여자 200m 접영 금메달,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6관왕을 달성하는 등 세계적인 선수로 인정받고 있다.
  • 쉬저우시 출신 - 방훈
    방훈은 당나라 말기 서주에서 일어난 군인 반란의 지도자였으며, 독립을 선언했으나 내부 배신과 토벌군의 공격으로 사망하면서 반란이 진압되었다.
  • 중국의 문화 - 본관
    본관은 한국 씨족의 발상지를 나타내는 지명으로,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에 형성되어 문벌 귀족의 권력 유지에 기여했으나 조선 시대 이후 관념적 혈연 의식으로 변화하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성씨와 함께 존재하나 사회적 중요성은 감소하고 있다.
  • 중국의 문화 - 사직단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으로, 한국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중국의 명청시대까지 존재했으며, 현재는 한국의 사직단 터 일부와 중국 베이징의 사직단이 남아 각 지역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다.
이가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57년 라마노하르와 함께 있는 리커란
1957년 베오하르 라마노하르 신하와 함께 있는 리커란
본명리융순 (李永順)
출생1907년 3월 26일
출생지장쑤성 쉬저우 시
사망1989년 12월 5일
사망지베이징 시
국적중국
직업화가, 미술 교육자
분야중국화
작품
중국어 정보
간체李可染
병음Lǐ Kěrǎn
웨이드-자일스Li K'o-jan
관련 정보
관련 인물베오하르 라마노하르 신하

2. 생애

이가염(리커란)은 1907년 3월 26일 중국 장쑤성 쉬저우시에서 리융순(李永顺|리융순zho)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2] 그는 어릴 때부터 그림에 재능을 보여 13세부터 산수화를 공부했고[17], 상하이 미술전문학교와 항저우 국립 예술원에서 중국화유화를 배웠다.[1][3] 1929년 국립 예술원에 입학하여 서양 미술을 공부했으며[1], 1932년 첫 개인전을 열었다.[17]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이후 항일 선전 활동에 참여하여 다수의 선전물과 포스터를 제작했다.[17][4] 1943년에는 충칭의 국립 예술원에서 강사로 활동했다.[4]

전쟁 후 1946년 쉬베이훙의 추천으로 베이핑의 국립 베이핑 예술학교 교수가 되었고[4], 이곳에서 치바이스와 황빈훙의 지도를 받으며 전통 화법을 익혔다.[3] 1949년부터 중국 미술가협회 이사로 활동했으며[17], 1950년대에는 양쯔강 유역 등을 여행하며 사생(寫生)을 통해 자신만의 화풍을 발전시켰다.[5] 특히 렘브란트의 기법에서 영감을 받아[8] 독자적인 '역광 풍경' 기법을 개발했다.[9] 또한 그림 연작과 굴원, 두보 등 시인들의 시를 주제로 한 작품들을 남겼다.[17]

1960년대에는 마오쩌둥의 시에서 영감을 받은 연작을 제작했으며, 대표작 《만산홍편》(万山红遍|만산홍편zho)은 1964년에 완성되었다.[6][7] 그러나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검은색을 주로 사용하는 화풍 때문에 비판을 받기도 했다.[1]

문화 대혁명 이후 활동을 재개하여 1979년 중국 국립 회화원 초대 원장으로 임명되었고[3], 중국 미술가협회 중국화연구원장으로 임명되어[17]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그의 화풍을 따르는 '리파(李派)'가 형성되기도 했다.[8] 1989년 심장병으로 82세의 나이로 별세했다.[17]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쉬저우에 있는 리커란의 옛 거주지


리커란은 1907년 3월 26일 장쑤성 쉬저우에서 '''리융순'''(李永顺|리융순중국어)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2] 그의 부모는 글을 읽거나 쓰지 못했다.[1]

어릴 때부터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여 예술적 재능을 보였고, 13세부터 산수화를 공부했다.[17] 지역 화가인 첸 시즈에게 그림을 배웠다. 1923년 상하이 미술전문학교에 입학했다. 1925년 졸업 후 고향인 쉬저우로 돌아와 교사로 일했다.[3]

1929년 리커란은 서양 미술을 배우기 위해 항저우에 있는 국립 예술원에 입학했다.[1] 그곳에서 원장 린펑몐과 프랑스인 교수 앙드레 클로도의 지도 아래 유화를 공부했다. 1931년 그는 '18 예술 협회'(이바 예술 협회, 一八艺社)에 가입했는데, 이 단체는 좌익 성향으로 인해 정부에 의해 폐쇄되었다. 학원의 대학원 과정이 폐지되면서 리커란은 다른 회원들과 함께 다음 해 학원을 떠나야 했다. 그는 다시 쉬저우로 돌아가 교편을 잡았다.[3]

2. 2. 중일 전쟁 시기 활동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이가염은 항일 선전 공작에 힘썼다. 그는 국민정부를 위해 활동하며 전쟁 선전을 목적으로 다수의 반일 포스터와 벽화를 제작했다.[4] 1943년에는 충칭으로 피난 온 국립 예술원에서 중국화 강사로 활동했다.[4]

2. 3. 중앙미술학원 교수 시기

1946년 쉬베이훙의 인정을 받아 베이핑(현 베이징)의 국립 베이핑 예술학교(중앙미술학원의 전신)에서 가르치도록 초청받았으며[4], 1948년에는 정식 교수가 되었다. 이 시기에 그는 저명한 전통 화가인 치바이스와 황빈훙에게서 지도를 받으며 전통 회화에 대한 이해를 깊게 했다.[3]

1949년부터는 중국 미술가협회 이사로 활동하며 미술계에서의 역할을 넓혀갔다. 1954년에는 화가 장딩, 루오밍과 함께 양쯔강 하류 지역을 3개월간 여행하며 현장에서 풍경화를 다수 제작했다.[5] 이들은 사회주의 사실주의의 영향을 받아 유물론적 관점에서 당대의 사회상을 전통 화법인 궈화(國畫|국화중국어)로 담아내고자 시도했다.[5] 1956년 여름부터는 중국 남부 지역을 더 오랫동안 여행하며 현대 중국 회화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작품들을 완성했다.

1950년대 후반부터는 마오쩌둥의 시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들을 제작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당시 중국 화단의 주류 경향이기도 했다. ''류판산''은 이러한 시도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이었으며, 이 시기를 거치며 그의 화풍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만산홍편》(万山红遍|만산홍편중국어)[6]은 1964년에 완성되었으며, 후대의 많은 중국 풍경화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7]

이가염은 서양화 기법을 중국 전통 회화에 접목하는 데에도 관심을 가졌다. 특히 렘브란트키아로스쿠로(명암대비) 기법에서 영감을 받아[8], 음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독자적인 "역광 풍경" 기법을 개발했다.[9] 또한, 작업실에 머무르기보다는 직접 자연 속에서 사생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10]

그러나 문화대혁명(1966-1976) 시기에는 그의 특징적인 검은색을 많이 사용하는 화풍이 부르주아적이라는 이유로 심한 비판을 받기도 했다.[1]

2. 4. 독자적 화풍 확립 및 전성기

1942년부터 이가염은 자신만의 독특한 수묵 사생 기법을 발전시켜 여러 점의 그림 연작을 남겼다. 또한 굴원, 왕희지, 두보와 같은 유명 시인들의 시구를 주제로 한 작품들도 이 시기에 제작하기 시작했다.[17] 1946년에는 쉬베이훙의 인정을 받아 중앙미술학원의 전신인 국립 베이핑 예술학교에서 가르치게 되었고[4], 이곳에서 당대 최고의 전통 화가로 꼽히던 치바이스와 황빈훙에게 직접 지도를 받으며[3] 화풍을 더욱 발전시켰다.

이가염은 실제 자연을 직접 보고 그리는 사생(寫生)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며[10], 이를 위해 여러 차례 장기간의 여행을 떠났다. 1954년, 동료 화가 장딩, 루오밍과 함께 양쯔강 하류 지역을 3개월간 순회하며[5] 현장에서 직접 풍경화를 제작했다. 이 순회는 사회주의 현실을 반영하는 새로운 중국화(''궈화'')를 모색하는 과정의 일환이었다.[5] 이후 1956년 여름부터는 중국 남부 지역을 더 오랫동안 여행하며 현대 중국 회화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다수의 작품을 남겼다.

1950년대 후반부터는 마오쩌둥의 시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들을 창작하기 시작했다. 특히 마오쩌둥의 시 <심원춘·장사(沁園春·長沙)>의 구절 "만산홍편(万山红遍)"을 바탕으로 그린 동명의 연작은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6] 1964년에 완성된 이 작품[7]은 당시 중국 화단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 시기를 거치며 이가염의 화풍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이가염은 서양화 기법, 특히 렘브란트키아로스쿠로(명암대비)에서 영감을 받아[8] 이를 전통적인 수묵 기법과 결합하여 중국 풍경화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그는 과감한 먹의 사용과 음영 표현을 통해 독특한 '역광 풍경'을 창조했으며[9], 생동감 넘치는 물소 그림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검은색을 많이 사용한 그의 화풍이 비판받기도 했으나[1], 혁명 이후 다시 활발히 활동하며 1979년에는 신설된 중국 국립 회화원의 초대 원장으로 임명되었다.[3] 만년에는 그의 화풍을 따르는 많은 제자들이 배출되어 1980년대 '리커란 화파(李家樣)' 또는 '리파(李派)'를 형성하기도 했다.[8]

2. 5. 말년 및 사망

문화 대혁명 동안 검은색 풍경화로 인해 비판을 받았으나[1], 혁명이 끝난 후 다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1979년에는 중국 미술가 협회 중국화연구원장으로 임명되어[3][17] 다양한 작품 활동과 더불어 수십 번의 개인전을 개최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17] 만년에는 많은 추종자를 얻어 1980년대 '리파(李派)'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8]

1989년 심장병을 원인으로 82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17]

3. 특징 및 화풍

20세기 초 서구 문화 유입으로 변화를 맞던 중국 미술계에서[18] '''이가염'''은 전통과 혁신을 조화시킨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했다. 그는 제백석, 황빈흥 등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쉬베이훙, 린펑미엔 등이 추구한 개량주의적 시도처럼, 서양화의 명암법 등 기법을 중국 전통 필묵에 접목하여 현대적 감각을 더했다.[19][20] 특히 렘브란트에게서 영감을 받은 빛과 그림자 활용[8], '역광 풍경' 기법[9], 그리고 현장 사생[10]을 중시한 점은 그의 화풍을 특징짓는 요소이다. 이가염은 중국화 개혁에 있어 전통의 '영혼'을 지키는 것과 새로운 시도를 위한 '담량(용기)'이 모두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통해 중국 현대 회화 발전에 기여했다.[19]

3. 1. 20세기 초 중국 미술계의 상황

'''이가염'''이 활동했던 20세기 초 중국 미술계는 급격한 서구 문화의 유입으로 새로운 화풍과 중국 전통 화풍이 뒤섞이며 혼란을 겪던 시기였다.[18] 당시 미술계는 제백석과 황빈흥으로 대표되는 전통주의와 쉬베이훙, 린펑몐이 이끄는 개량주의로 나뉘어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가염은 기존 화가들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과 기법을 활용하여 중국 전통 회화에 혁신을 가져온 작가로 평가받는다.[19] 그는 서양화의 명암 처리 방식을 중국 전통 필묵에 접목시켜 현대적 감각이 더해진 독특한 작품들을 주로 창작했다.[20] 이가염은 중국화 개혁에 대해 "가장 중요한 것은 담량(용기)이고, 중국화 개혁을 위해 버리지 말고 지켜야 할 것은 영혼이다"라고 강조했다.

3. 2. 이가염 화풍의 특징

이가염이 활동했던 20세기 초 중국 미술계는 서구 문화의 유입으로 전통 화풍과 새로운 화풍이 혼재하며 혼란을 겪던 시기였다.[18]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가염은 제백석과 황빈훙으로 대표되는 전통주의와 쉬베이홍, 린펑몐이 이끄는 개량주의 사이에서, 기존 화가들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자신만의 독창적인 화풍과 기법을 통해 중국 전통 회화에 혁신을 가져온 인물로 평가받는다.[19]

그는 서양화의 명암 처리 방식을 중국 전통의 필묵 기법에 접목하여 현대적 감각이 돋보이는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20] 특히 렘브란트키아로스쿠로 기법에서 영감을 받아, 서양 기법과 중국 전통을 융합하여 중국화를 혁신했다.[8] 이를 통해 음영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역광 풍경"이라는 독자적인 스타일을 개발했다.[9] 이가염은 "중국화 개혁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담량(용기)이고, 중국화 개혁을 위해 버리지 말고 지켜야 할 것은 영혼이다"라고 말하며, 전통의 정신을 지키면서도 과감한 혁신을 추구해야 함을 강조했다.

또한, 그는 현장에서 직접 자연을 관찰하고 스케치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으며[10], 1954년 장딩, 루오밍과 함께 양쯔강 하류를 3개월간 순회하고[5] 1956년 중국 남부에서 더 긴 사생 여행을 하는 등[5] 현장 스케치를 통해 현대 중국 회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다수의 작품을 남겼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완산홍변''(万山红遍, ''수천 개의 언덕이 붉게 물든 풍경'')은 1964년에 완성되었으며, 많은 후대 중국 풍경화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6][7] 이가염은 생동감 넘치는 물소 그림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11]

그의 서예 역시 독특한 개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으며, 수준급의 후친 연주자이기도 했다.[11] 그의 화풍은 많은 추종자를 낳아 1980년대에는 "리파(李派)"라는 유파를 형성하기도 했다.[8]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그의 대표적인 검은색 풍경화 스타일 때문에 비판을 받기도 했으나[1], 혁명 이후 다시 활동을 재개하여 1979년 중국 국립 회화원의 초대 원장으로 임명되었다.[3]

3. 3. 이가염의 예술 철학

'''이가염'''이 활동했던 20세기 초 중국 미술계는 서구 문화의 급격한 유입으로 새로운 화풍과 중국 전통 화풍이 뒤섞여 혼란스러운 시기였다.[18] 당시 미술계는 제백석과 황빈흥으로 대표되는 전통주의와 쉬베이홍, 린펑미엔이 이끄는 개량주의로 나뉘어 있었다. 이가염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기존 화가들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과 기법을 통해 중국 전통 회화에 혁신을 가져온 작가로 평가받는다.[19]

그는 서양화의 명암 처리 방식을 중국 전통의 필묵 기법에 접목하여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독특한 작품들을 창작했다.[20]

이가염은 "중국화 개혁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담량(용기)이고, 중국화 개혁을 위해 버리지 말고 지켜야 할 것은 영혼이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예술 철학을 명확히 했다.

4. 대표작

이가염의 대표작으로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있다. 그의 작품 세계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회화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회화

이가염은 중국화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서양 미술 기법을 접목하여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한 화가이다. 그의 작품은 중국 현대 미술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950년대부터 마오쩌둥의 시를 주제로 한 그림들이 중국 본토에서 주류를 이루었는데, 이가염의 ''류판산''은 이러한 경향을 따른 첫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이후 그의 화풍 변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인 ''만산홍편''(万山红遍중국어, ''수천 개의 언덕이 붉게 물든 풍경'' 또는 ''붉은 풍경''으로도 번역됨)[6]은 1961년부터 1964년 사이에 총 7점이 제작되었으며[7], 특히 1964년 완성작은 많은 중국 풍경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가염은 렘브란트키아로스쿠로(명암대비) 기법에서 영감을 받아 중국 전통 기법과 서양 기법을 통합하여 중국 풍경화를 혁신하고자 했다.[8] 그는 그림에 음영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독특한 '역광 풍경' 기법을 개발했다.[9] 또한, 작업실에서 상상에 의존하기보다는 직접 자연 속에서 스케치하거나 그림을 그리는 현장 사생을 중요하게 생각했다.[10]

그의 대표적인 화풍은 검은색을 많이 사용한 풍경화였는데, 이 때문에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심한 비판을 받기도 했다.[1] 그러나 문화 대혁명이 끝난 후 다시 작품 활동을 재개했으며, 1979년에는 중국 국립 회화원의 초대 원장으로 임명되었다.[3] 말년에는 그의 화풍을 따르는 많은 추종자들이 생겨나 1980년대 '리커란파'(李派중국어)를 형성하기도 했다.[8]

이가염은 풍경화 외에도 생동감 넘치는 물소 그림으로도 유명하다. 그의 서예 역시 독특한 경지를 이루었다고 평가받으며, 수준급의 후친(호금) 연주자이기도 했다.[11]
주요 작품 목록:

  • 화산측영 (1959)
  • 강성조시 (1965)
  • 이강승경 (1977)
  • 목동도 (牧童图중국어, 1980)
  • 류판산 (1950년대)
  • 만산홍편 (万山红遍중국어, 1961-1964)[6][7]

5. 전시관

이가염의 작품과 유품을 감상할 수 있는 주요 전시 공간으로는 중국 장쑤성 쉬저우시에 위치한 그의 옛 생가를 개조한 리커란 구쥐 예술관과 베이징에 자리한 리커란 예술기금회 예술관이 있다. 각 전시관의 상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리커란 구쥐 예술관 (쉬저우)



중국 장쑤성 쉬저우시에 위치한 박물관이자 이가염의 옛 생가이다. 사방에 건물이 있고 가운데 정원이 있는 전통적인 사합원 양식의 저택으로, 이가염의 작품과 유품이 전시되어 있다.

대표작 黄山人字瀑|황산인자폭zho을 비롯해 漓江山水天下殊|리강산수천하수zho, 黄山烟云|황산연운zho, 江南喜雨图|강남희우도zho, 五牛图|오우도zho 등 주요 작품 40여 점이 전시되어 있다.

5. 2. 리커란 예술기금회 예술관 (베이징)

리커란의 부인이 주도하여 1988년 설립된 '리커란 예술기금회'에서 2010년 예술관을 개관하였으며, 2015년에는 베이징 산수문원단지로 이전했다. 이 기금회는 홍콩, 대만, 한국 등지에서 리커란 예술전을 20여 차례 주관하였으며, 중국 내에서도 대형 전시와 순회전을 수십 회 진행해왔다.

6. 미술 시장

중국 미술 시장에서 가장 가치 있는 현대 화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12] 그의 작품들은 주요 경매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가격에 거래되며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예를 들어,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만산홍변"은 2012년 경매에서 상당한 고가에 낙찰되어 큰 주목을 받기도 했다.[12][14] 이가염의 주요 작품 경매 기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주요 경매 기록'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주요 경매 기록

이가염은 미술 시장에서 가장 가치 있는 중국 예술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12] 그의 주요 작품 경매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작품명경매사낙찰가비고
"사오산" | 중국 가디언 옥션 | 1.24억위안 | 마오쩌둥의 옛 거주지인 사오산을 묘사한 작품. 이전 최고가 작품 장정(1억 700만 위안)의 기록을 경신했다.[12][13]
"만산홍변" (가장 큰 버전) | 폴리 옥션 | 2.9325억위안 | 1964년 작. 마오쩌둥의 시 "창사"에서 영감을 얻어 1961년부터 1964년까지 그린 7점 중 가장 큰 작품이다. 경매 당시 4600만달러 상당의 가치로, 개인 최고가 기록을 세웠다.[12][14]
"만산홍변" (가장 작은 버전) | 중국 가디언 옥션 | 1.84억위안 | "만산홍변" 연작 7점 중 가장 작은 버전이다. 이 작품은 40년 전 베이징의 롱바오자이에서 80위안에 구매되었으며, 2000년에는 500만 위안에 판매된 바 있다.[15]
"거친 폭포가 있는 웅장한 산" | 소더비 홍콩 | 1.22억홍콩 달러 | 경매 당시 1560만달러에 해당하는 금액이다.[16]


7. 개인사

1989년 12월 5일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

7. 1. 결혼

1931년 蘇娥|쑤어zho(Su E)와 결혼하여 4명의 자녀를 두었다. 1938년 첫 부인 쑤어가 사망한 후, 1944년 조각가 鄒佩珠|쩌우페이주zho(Zou Peizhu)와 재혼하여 세 명의 자녀를 더 낳았다.

7. 2. 자녀

이가염은 1931년 수이(Su E)와 결혼하여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1] 1938년 수이가 사망한 후, 1944년 조각가 조우 페이주(Zou Peizhu)와 재혼하여 세 명의 자녀를 더 낳았다.[1]

참조

[1] 저널 A Century of Li Keran http://www.chinaheri[...] 2007-12
[2] 서적 徐州名人 Zhonghua Book Company
[3] 서적 中国大百科全书(第二版) Encyclopedia of China Publishing House
[4] 웹사이트 徐悲鸿赏识李可染 http://news.takungpa[...] 2018-04-19
[5] 서적 One and All: The Logic of Chinese Sovereignt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4
[6] 문서 The title from a verse of Mao Zedong's ''Changsha, to the tune of Qin Yuan Chun'' (沁园春·长沙) has several translation versions, in [[Xu Yuanchong]]'s, is "Hill on Hill All in Red, And Wood on Wood in a deep dye"
[7] 서적 新中国美术史
[8] 웹사이트 Li Keran https://www.britanni[...]
[9] 서적 美国红牡丹亭珍藏中国书画
[10]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China
[11] 서적 比我老的老头
[12] 웹사이트 Li Keran bucks market trend http://usa.chinadail[...] 2018-04-25
[13] 웹사이트 Chinese renowned painter Li Keran's masterpiece fetches 124mln yuan http://english.cntv.[...] 2018-04-25
[14] 웹사이트 Chinese painting sells for $46 million https://www.chinadai[...] 2018-04-25
[15] 뉴스 Mao Zedong-inspired landscape painting, sold by artist Li Keran for 80 yuan four decades ago, fetches 184 million yuan at auction http://www.scmp.com/[...] 2018-04-25
[16] 웹사이트 Sotheby's Hong Kong Fine Chinese Paintings Autumn Sale http://www.sothebys.[...] Sotheby's 2017-10
[17] 서적
[18] 저널
[19] 서적
[20] 문서 Chinese Art: Modern Express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