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건 (대한제국 황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건은 대한제국 고종의 손자이자 의친왕 이강의 장남으로, 1909년에 태어났다. 1910년 한일 병합 이후 왕공족 신분을 부여받았으며, 일본 유학 후 육군 유년 학교에 입학하여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군 복무를 했다. 1931년 마쓰다이라 요시코와 결혼했으나 1951년 이혼했으며, 이후 일본으로 귀화하여 모모야마 겐이치로 개명했다. 1952년 재혼 후, 1990년에 사망했다. 그는 일본 육군 복무와 일본 귀화로 인해 친일 논란에 휩싸였으며, 대한 황실 계승 문제와 관련해서도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동차 수집가 -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는 이란의 샤로 재위하며 근대화를 시도했지만, 이슬람 성직자, 노동계급 등의 반발과 이란 혁명으로 인해 망명하여 사망했다.
  • 자동차 수집가 - 이건희
    이건희는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의 아들로, 삼성 회장으로서 혁신을 주도하여 삼성을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시켰으나, 비자금 사건과 상속세 문제 등 논란 또한 남겼다.
  • 사동궁 - 이해원 (1919년)
    이해원은 대한제국 의친왕 이강의 딸로, 2006년 대한제국황족회에 의해 ‘문화대한제국 여제’로 추대되었으나 정부와 다른 황실 관련 단체의 반발을 겪었고, 복잡한 가족사와 함께 2020년 사망 후 대한제국황족회는 사실상 해체되었다.
  • 사동궁 - 이준 (1961년)
    이준은 대한제국 고종의 증손이자 의친왕 이강의 손자이며 사동궁 사손이자 의친왕가의 종손으로, 희망의한국신당 중앙위원과 자유민주연합 상임행정위원을 지냈고 현재는 의친왕기념사업회 회장으로서 의친왕의 업적을 기리고 황실 문화를 계승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이건 (대한제국 황족)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37년경, 일본 제국 육군 군복 차림의 이 건
1937년경, 일본 제국 육군 군복 차림
이름이건
본명이용길
일본어 통명모모야마 겐이치 (桃山虔一)
출생1909년 10월 28일
출생 장소대한제국 한성부 사동궁
사망1990년 12월 21일
사망 장소일본 사이타마현 요노 도쿄 본궁 별저
가문이씨
아버지의친왕
어머니숙원당 정씨
신분
작위공 (公) → 신위 상실
경칭전하 (殿下) → 신위 상실
가족 관계
배우자마쓰다이라 요시코 (1931년 결혼, 1951년 이혼)
마에다 요시코 (1952년 결혼, 1990년 사망)
자녀첫 번째 결혼: 1남 1녀, 두 번째 결혼: 1남
군사 경력
소속일본 제국 육군
복무 기간1930년 – 1945년
계급대좌
지휘일본육군사관학교 기마술 교관
훈장대훈위국화장
훈1등욱일동화대수장

2. 생애

이건은 1909년 10월 28일 한성부 사동궁에서 의친왕 이강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생모는 측실 수관당 정씨이다. 1924년 '건(鍵)'으로 개명했다.[45] 1910년 한일병합 당시 왕공족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1926년 《왕공가궤범》 공포 후 정식으로 왕공족으로 인정받았다.[47][48]

1916년 경성유치원을 졸업하고 1917년 일출소학교에 입학, 1921년 일본으로 건너가 학습원 초등과를 졸업했다.[49][50] 1926년 일본 육군사관학교 예과에 입교했으며, 같은 해 순종이 사망하자 장례식 종척집사로 임명되었다.[52]

1930년 아버지 이강의 은거로 공위를 세습받았고,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기병 소위로 임관하여 근위 기병 연대에 배속되었다.[50][54] 1931년 이방자의 외사촌 마쓰다이라 요시코와 혼인했다. 1933년 육군기병학교 졸업, 기병 중위로 진급했고, 1935년 육군사관학교 교관이 되었다.[50][55] 1936년 대위 진급 후 일본 육군대학교에 입학, 1938년 졸업 후 근위 기병 연대 중대장이 되었다.[56][59][60] 일제 강점기에 일본육군대학을 졸업한 조선인은 이건, 영친왕 이은, 이우, 홍사익 뿐이다.[61] 1940년 소좌, 1943년 중좌로 진급했다.[63][64]

이건과 마쓰다이라 요시코
(1931년)


1931년 마쓰다이라 요시코와 결혼했으나 성격 차이와 장남의 혈연관계에 대한 소문 등으로 1951년 이혼했다. 1949년 긴자 클럽 사장으로 취임한 요시코와 달리, 이건은 자신감을 잃고 등사판 인쇄 일을 하기도 했다. 이후 마에다 요시코를 만나 첩으로 삼아달라는 부탁을 받았으나, 첩을 둘 생각은 없었다고 한다.[27]

1947년 신적강하로 평민이 되어 '모모야마 겐이치(桃山健一)'로 개명하고, 1955년 일본으로 귀화했다.[5][26] 시부야에서 단팥죽 장사, 긴자에서 제과점 운영 등 생계를 위한 사업을 했다.

1952년 마에다 요시코와 재혼하여 아들 모모야마 고야(桃山孝哉)를 낳았다. 가족과 사이타마현 요노 시(현 사이타마시 주오구) 시영주택에서 살았다. 1970년대부터 사망할 때까지 일본 클래식 자동차 클럽 회장을 역임했으며, 1990년 12월 21일 일본에서 사망했다.

2. 1. 출생과 대한제국

1909년 (융희 3년) 10월 28일 한성부 중부 관인방 사동궁(寺洞宮)에서 고종의 다섯째 아들인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생모는 의친왕의 측실 수관당 정씨이다. 초명은 용길(勇吉)이었으나 1924년 3월 17일에 건(鍵)으로 개명하였다.[45]

1910년 한일병합 당시 공포된 메이지 천황의 조서에 따라 고종, 순종, 순정효황후, 영친왕, 의친왕, 의친왕비, 흥친왕, 흥친왕비 등 총 8명만 왕공족이라는 새로운 신분을 부여받았고, 나머지 왕실 구성원들은 공식적으로 이에 포함되지 못하였다. 이건의 이복동생 이우(李鍝)가 1917년이준용의 양자로 들어가 공위를 계승하면서 동생은 왕공족인데 형은 왕공족이 아닌 상황이 발생하였다.[46] 이건은 일본 유학 이후 임의적으로 ‘공자’(公子)라는 칭호를 받았고, 1926년에 《왕공가궤범》(王公家軌範)이 공포되고 난 이후에야 왕공족으로 정식 인정받게 되면서 그때까지 한정된 범위의 왕공족에게만 사용되던 ‘전하’(殿下)의 경칭을 받게 되었다.[47][48] 태황제 고종의 다섯째 아들이자 황제 순종의 이복 동생이었던 의왕 이강의 장남으로, 한일 병합 전 해인 대한제국에 태어났다.[7]

2. 2. 일본 유학과 군 복무

1916년 6월에 경성유치원을 졸업하고, 1917년 4월 6일에 일출소학교에 입학하였다.[49] 1921년에 유학 명분으로 일본으로 보내져 학습원 초등과에 입학하였고, 1923년 3월에 초등과를 졸업하였다.[50] 같은 해 4월에 육군유년학교에 입학하였다. 1926년 4월에 일본 육군사관학교 제42기생으로 예과에 입교하였다. 1926년 4월 26일에 순종이 사망하자 장례식을 집행하는 종척집사(宗戚執事)로 임명되었고,[52] 5월 10일에 순종의 능을 천릉할 때에도 종척집사로 임명되었다.[53]

1930년 6월 12일에 아버지 이강이 은거하는 형태로 공위를 세습 받아 사동궁의 새로운 주인이 되었으며 ‘공 전하’로 불렸다. 1930년 7월에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였고,[50] 같은 해 10월 25일에 기병 소위로 임관하면서[54] 근위 기병 연대에 배속되었다.[50]

1931년 10월 5일에 도쿄에서 이방자의 외사촌 마쓰다이라 요시코와 혼인하였다. 요시코는 옛 다카마쓰번다이묘였던 백작 마쓰다이라 요리토시의 열번째 아들 해군 대좌 마쓰다이라 유타카의 장녀로, 외가의 친족인 백작 히로하시 다다미쓰(廣橋眞光)의 의붓동생이 되어 히로하시 세이코로 개명하였다. 이건과 결혼 이후에는 이건공비 이 세이코(李誠子)로 불렸다.

1933년 7월에 육군기병학교를 졸업하였고, 같은 해 8월에 기병 중위로 진급하였다.[50] 1935년 3월 15일에 육군사관학교 교관으로 임명되었다.[55] 1936년 8월 1일에 대위로 진급하였고,[56] 같은 해 12월 17일에 일본 육군대학교 제51생으로 입학하였으며,[57] 12월 28일에는 육군대학교 입학과 관련하여 육군사관학교 마술(馬術) 교관에서 근위 기병 연대 소속으로 전보되었다.[58] 1938년 12월 8일에 육군대학교를 졸업하였고,[59] 12월 10일에 근위 기병 연대 중대장으로 임명되었다.[60] 일제 강점기에 일본육군대학을 졸업한 조선인은 이건을 포함하여 영친왕 이은, 이우, 홍사익 뿐이다.[61] 1939년 9월 13일에 육군대학교 연구부 주사 겸 병학 교관으로 전보되었다.[62] 1940년 8월 1일에 소좌로 진급하였으며,[63] 1943년 3월 1일에 중좌로 진급하였다.[64] 1944년 5월 15일에 육군대학교 연구부 주사로 전보되었다.[65]

1926년 12월 1일에 일본 황실령 제17호로 제정·공포되었던 《왕공가궤범》(王公家軌範) 제59조에 따르면 왕·왕세자·왕세손·공은 만18세에 달한 후 육군이나 해군 무관으로 임관하여야 하는 의무가 강제되었다.[51]

2. 3. 결혼과 이혼

1931년 10월 5일 도쿄에서 이우 공주의 이종사촌이자 마쓰다이라 가문의 일원인 마쓰다이라 요시코와 결혼했다.[4] 요시코는 어머니 쪽 친척인 히로하시 타다미쓰 백작의 이복 여동생으로, 결혼 후에는 이세이코(李誠子)로 불렸다.

이건과 요시코(세이코)의 결혼은 성격 차이로 인해 몇 가지 의문점을 낳았다. 세이코는 사교적인 반면, 이건은 조용한 성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둘은 슬하에 두 아들과 딸 하나를 두었다.

쇼와 초기, 이건은 한 일본인 여성을 아내로 맞이하려 했으나 주변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이로 인해 술에 의존하게 된 이건을 걱정한 이왕직의 호리바 릿타로가 혼담을 주선했다. 혼담 상대는 해군 대좌 마쓰다이라 유타카(마쓰다이라 요리토시 백작의 열 번째 아들)의 장녀 세이코(요시코)였다.[4]

유타카의 아내 토시코의 언니는 나시모토노미야비 이쓰코로, 이왕 은의 의붓어머니였다. 하지만 유타카 자신은 분가였고 화족이 아니었다. 유타카는 본가의 형 요리히사 백작에게 요시코를 양녀로 보내려 했으나, 요리히사는 "요시코가 행복해질 것이라고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다"며 강하게 반대했다. 결국 나시모토노미야 가문이 이쓰코 비의 친정인 광교 가문과 교섭하여, 광교 진광 백작의 양녀로 들이는 절차를 밟았다.

1931년(쇼와 6년) 10월, 기병 소위 시절 이건과 세이코의 결혼이 성사되었다. 이건은 "여자라면 누구라도 좋다"며 자포자기한 상태였고, 한 번도 만나지 않고 입적했다고 회상했지만, 세이코의 증언에 따르면 약혼 발표 전에 다과회에서 만난 적이 있었다고 한다. 결혼 생활은 행복했고, 1934년 (쇼와 9년)에는 아카사카의 저택에서 조선풍 시트 커버가 씌워진 자가용 피어스 애로우나 알비스 자동차와 함께 부부의 사진이 찍히기도 했다.

그러나 이건과 세이코는 성격 차이, 장남의 혈연관계에 대한 소문 등으로 갈등을 겪었다. 이건은 회고록에서 장남에 대해 "포용할 만한 도량이 부족하다", "불쌍한 아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1949년(쇼와 24년)에 세이코는 긴자의 회원제 사교 클럽 "긴자 클럽"의 사장으로 취임했다. 이건의 가족은 이 사장 부인의 집에 동거하게 되었다. 이건은 같은 시기에 등사판의 가리판 인쇄 일을 하게 되었지만, 점차 자신감을 잃어갔다.

이 무렵, 이건은 밤거리에서 일하던 마에다 요시코라는 여성을 만나게 되었고, 그녀의 아버지 마에다 토키치는 이건에게 딸을 으로 삼아 돌봐달라고 부탁했다. 이건은 아버지의 첩들 때문에 괴로웠던 경험과 생모의 비참한 인생 때문에 첩을 둘 생각은 없었다고 한다.[27]

1951년(쇼와 26년) 5월, 이건은 궁내청에 이혼 절차를 문의했고, 세이코와의 이혼이 성립되었다. 이건의 증언에 따르면 세이코는 "가정 운영을 포기하고, 실질적으로는 아내도 엄마도 아니었다"고 하며, 이혼을 제안했을 때 "더 빨리 이혼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답했다고 한다. 반면 세이코는 아이들의 도시락을 준비하기도 했다고 하며, 이혼 제안을 이해하지 못하고 "네"라고 대답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세이코와의 사이에서 낳은 2남 1녀 중 차남과 장녀는 이건이, 장남은 세이코가 맡았다.

2. 4. 일본 귀화와 재혼

1947년 신적강하로 평민이 되자 이건은 '모모야마 겐이치(桃山健一)'로 개명하였고, 부인 이 세이코(誠子)는 요시코(佳子)로, 장남 충은 다다히사(忠久)로, 차남 기(沂)는 긴야(欣也)로, 장녀 옥자(沃子)는 아키코(明子)로 각각 개명하였다.[5] 생계를 위해 도쿄 시부야에서 단팥죽과 산양젖을 팔거나 긴자에서 제과점을 운영하는 등 장사를 하였다.

모모야마 요시코는 사교적인 반면 이건은 조용한 성격이었기에 아내의 긴자 클럽 취직에 대한 불화, 그리고 전쟁 중 장남 다다히사(忠久)가 자신의 친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된 점 등이 겹쳐 1951년 5월에 마쓰다이라 요시코와 이혼하였다. 이건은 조선어를 할 수 없었고[22], 아버지 이강의 낭비로 인해 원래 자산이 부족했고 그나마도 대부분 한반도에 있었기 때문에[66] 1955년에 일본으로 귀화하였다.[26]

이혼 후 장남 다다히사(忠久)와 장녀 아키코(明子)는 요시코가 데려갔고, 차남 긴야(欣也)는 마에다 요시코(前田美子)의 아버지인 마에다 후지요시(前田藤吉)의 양자가 되었다.[67] 1952년 마에다 요시코(前田美子)와 재혼하여 아들 모모야마 고야(桃山孝哉)를 낳았다. 모모야마 고야(桃山孝哉)는 훗날 가이세이 학원(開成学園) 학교 교감을 역임하였다. 이건은 가족과 함께 사이타마현 요노 시의 시영주택을 임대하여 살았으며, 1990년 12월 21일 일본에서 사망하였다.

2. 5. 말년

1947년 신적강하로 평민이 된 이건은 '모모야마 겐이치'로 개명하고, 부인과 자녀들도 일본식 이름으로 바꾸었다.[5] 생계를 위해 시부야에서 단팥죽 장사를 하거나 긴자에서 제과점을 운영하는 등 여러 사업을 시도하였다.

1951년 5월, 첫 부인 마쓰다이라 요시코와 이혼하였다. 장남 다다히사(忠久)가 자신의 친아들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 것과 아내의 긴자 클럽 취직에 대한 불화가 이혼의 원인이었다.[66] 장남과 장녀는 요시코가 데려갔고, 차남 긴야(欣也)는 장인 마에다 후지요시(前田藤吉)의 양자가 되었다.[67] 1955년, 이건은 일본으로 귀화하였다.[66]

1952년 마에다 요시코(前田美子)와 재혼하여 아들 모모야마 고야(桃山孝哉)를 낳았다. 모모야마 고야는 훗날 가이세이 학원(開成学園) 학교 교감을 역임하였다. 이건은 가족과 함께 사이타마현 요노 시(현 사이타마시 주오구)의 시영주택에서 살았다.

전쟁 이전부터 스포츠카 애호가였던 이건은 1970년대부터 사망할 때까지 일본 클래식 자동차 클럽(CCJC)의 회장을 역임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국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자, 1947년 황족 신분을 잃고 평민이 되었으며, 1950년에 일본 시민으로 귀화했다.[5]

1990년 12월 21일, 이건은 일본에서 사망하였다. 장례식에는 육사 동기이자 일본 황족인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친왕이 참석하였다.

3. 가족 관계

이건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 아버지: 의친왕 이강(1877년 3월 30일 ~ 1955년 8월 16일)
  • * 할아버지: 고종(1852년 9월 9일 ~ 1919년 1월 21일)
  • * 할머니: 덕수 장씨 귀인(1838년 10월 10일 ~ 1887년 10월 14일)
  • 어머니
  • * 생모: 수관당 정씨
  • * 계모: 덕인당 연원군부인 김씨(1880년 12월 22일 ~ 1964년 1월 14일)
  • 배우자
  • * 마쓰다이라 요시코 (1911년 10월 6일 ~ 2006년 6월 28일, 1951년 이혼)
  • * 마에다 요시코

3. 1. 첫 번째 부인과 자녀

이건은 의친왕과 측실 수관당 정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첫 번째 부인은 일본 황족 출신의 요시코이다.[23] 요시코와의 사이에서 2남 1녀를 두었다.[23]

1947년 신 헌법이 발포되면서 공족 신분을 상실하고, 메이지 천황후시미모모야마 능에서 따온 '모모야마'라는 성을 사용하게 되었다.[23] 이때 쇼와 천황의 승낙을 얻었으며,[23] 아내 요시코 및 2남 1녀도 이우 공가의 두 왕자(이청, 이종)와 마찬가지로 삼수변이 들어간 조선식 이름을 그대로 일본식 통칭으로 사용하였다.[23]

1951년 요시코와 이혼하였는데, 이건은 요시코가 가정 운영을 포기하고 아내와 엄마 역할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주장한 반면, 요시코는 아이들의 도시락을 챙기는 등 나름의 노력을 했다고 회고했다. 이혼 후, 차남 이기, 장녀 이옥자는 이건이 맡았고 장남 이충은 요시코가 맡았다.

3. 2. 두 번째 부인과 자녀

이건은 두 명의 부인을 두었다. 첫 번째 부인은 요시코로, 1951년 이혼하였다. 두 사람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자녀가 있었다.[23]

이건의 자녀 (첫 번째 부인)
순서이름출생일
장남이충(李沖)1932년 8월 14일
차남이기(李沂)1935년 3월 4일
장녀이옥자(李沃子)1938년 12월 19일



1947년 신 헌법 발포 전후, 이건은 공족 신분을 상실하고 "모모야마 켄이치"로 이름을 바꾸었다. "모모야마"는 메이지 천황후시미모모야마 능에서 따왔으며, 쇼와 천황의 승낙을 받아 결정되었다.[23] 아내 요시코도 모모야마 요시코로 개명하였고, 자녀들은 삼수변이 들어간 조선식 이름을 그대로 일본식 통칭으로 사용하였다.[23]

이건은 이후 마에다 요시코와 재혼하여 삼남 모모야마 고야(桃山孝哉)를 얻었다. 그는 1952년에 태어났다.

3. 3. 대한 황실과의 관계 단절

창덕궁 이왕세자였던 이구가 사망한 뒤 영친왕계가 단절되자 후계를 누가 이을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생겨났다. 장자 계승법을 따르자면 영친왕의 형인 의친왕의 장자인 이건의 후사가 적통의 계승자이나, 이건은 일본으로 귀화하였고, 일본과의 혼혈이라 정통성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었다.[4]

또한 마쓰다이라 요시코의 장남 다다히사(忠久)는 이건의 후사가 아니었으며 차남은 마에다 후지요시의 양자가 되었고, 마에다 요시코와의 아들인 모모야마 고야는 어머니가 사망할 때까지 아버지의 출신에 대하여 들은 바도 없고 대한황실과도 '나와는 관계없다'라고 선을 그으며 다른 황족과의 교류가 없는 상태이다.

이에 대한황실의 적통을 잇는 인물은 영친왕의 형인 의친왕계에서 찾는 것이 맞았고, 의친왕의 장남 이건은 일본으로 귀화하였으며, 2남부터 5남까지 종친 집안으로 양자를 갔기 때문에 6남 이곤의 장남인 이준이 적통의 계승자였다. 그러나 이준은 의친왕 가문을 사동궁 사손으로서 이어야 했고, 7남 이광도 양자출계, 8남 이현은 후사없이 사망하였기에 9남 이갑의 아들 이원이 영친왕계로 출계하여 전주이씨 대동종약원의 황사손을 지내고 있다.

1947년 5월, 일본국 헌법 발효 전후로 이건은 공족의 신분을 상실하고, 메이지 천황후시미모모야마 능에서 따온 "모모야마"라는 성을 쇼와 천황의 승낙을 얻어 칭하게 되었다. 아내 요시코도 모모야마 요시코로 개명하였고, 2남 1녀도 사촌인 이우 공가의 2왕자(이청, 이종)와 공통적으로 "삼수변"(이충, 이기, 이옥자)이 있는 조선 이름 그대로 일본식 통칭을 사용했다.[23]

2005년에 전 이왕세자이자 이왕가 당주인 이구가 후사 없이 사망함에 따라, 모모야마가의 세대주인 효야는 전주 이씨의 적류·당주를 칭할 수도 있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효야는 미코가 사망할 때까지 아버지의 출생에 대해서는 들은 적이 없었다고 하며, 이왕가에 대해서도 "자신은 100% 일본인이라고 생각한다. 이왕가의 일이나 왕위 계승 따위는 나에게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라며 한국 등에 있는 다른 이왕가 후손들과 친척 관계를 맺고 있지 않다고 한다. 다른 이건의 자녀들도 이왕가 후손들의 모임 등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4. 평가 및 유산

이건은 일본 제국 육군에 복무했고 일본 황족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다는 점에서 친일 논란이 있었다.[77] 광복 이후 모모야마 겐이치(桃山虔一)로 이름을 바꾸고 일본으로 귀화하였다는 점도 비판의 대상이다.[80]

영친왕계가 단절된 후, 장자 계승법에 따르면 의친왕의 장남인 이건의 후사가 적통이었다. 그러나 이건은 일본으로 귀화했고 일본인과의 혼혈이라는 점에서 정통성 문제가 제기되었다.[37] 이건의 아들 모모야마 고야는 대한황실과 관계가 없다고 선을 그으며 다른 황족과의 교류도 하지 않고 있다.

이건은 의왕 이강의 장남으로 1930년 공계 습계를 받아 1947년까지 '이건 공'으로 불렸다. 2005년 이구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이건의 아들은 전주 이씨의 적류이자 당주를 칭할 수 있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을 "100% 일본인"으로 여기며 이왕가와 거리를 두었다.[37][38][39]

이복 동생 이우는 이건에게 일본인에게 마음을 열면 끔찍한 일을 당할 것이라고 충고했는데, 이건은 전후에 그 의미를 깨달았다고 한다.[41]

4. 1. 친일 논란과 비판

이건은 일본 제국 육군에 복무했고, 일본 황족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다는 점에서 친일 논란이 있었다.[77] 민족문제연구소는 2009년에 친일인명사전을 발간하면서 왕공족의 책임이 결코 가볍지 않지만, 친일보다는 망국에 대한 정치적·도의적 책임을 묻는 것이 타당하다고 밝혔다. 또한 왕공족은 대한제국 황실을 예우하기 위해 일본 정부가 고안한 특수한 지위로, 협력에 대한 대가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건은 영친왕 이은, 이복동생 이우와 마찬가지로 《친일인명사전》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다.[79] 하지만 광복 이후 모모야마 겐이치(桃山虔一)로 이름을 바꾸고 일본으로 귀화하였다는 점 때문에 비판받고 있다.[80]

이복동생 이우 공은 이건에게 "지금처럼 일본인에게 마음을 허락하고 있으면, 반드시 끔찍한 일을 당할 때가 올 것입니다"라고 충고했다. 이건은 "전후에 와서 처음으로 그 지언(至言)임을 나도 이해하게 되었다"라고 적고 있어, 이우 공에게 굴절된 감정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41]

4. 2. 대한 황실 계승 논란

창덕궁 이왕세자였던 이구가 사망한 뒤 영친왕계가 단절되자 후계를 누가 이을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생겨났다. 장자 계승법을 따르자면 영친왕의 형인 의친왕의 장자인 이건의 후사가 적통의 계승자이나, 이건은 일본으로 귀화하였고, 일본과의 혼혈이라 정통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었다.[37]

마츠다이라 요시코의 장남 다다히사(忠久)는 이건의 후사가 아니었고, 차남은 마에다 후지요시의 양자가 되었으며, 마에다 요시코와의 아들인 모모야마 고야는 어머니가 사망할 때까지 아버지의 출신에 대하여 들은 바도 없고 대한황실과도 '나와는 관계없다'라고 선을 그으며 다른 황족과의 교류가 없는 상태이다.

대한황실의 적통을 잇는 인물은 영친왕의 형인 의친왕계에서 찾는 게 맞았고, 의친왕의 장남 이건은 일본으로 귀화하였고, 2남부터 5남까지 종친 집안으로 양자를 갔기 때문에 6남 이곤의 장남인 이준이 적통의 계승자이나, 이준의친왕 가문을 사동궁 사손으로서 이어야 했다. 7남 이광도 양자출계, 8남 이현은 후사없이 사망하였기에 9남 이갑의 아들 이원이 영친왕계로 출계하여 전주이씨 대동종약원의 황사손을 지내고 있다.

4. 3. 역사적 상징성

이건은 의왕 이강의 장남으로, 1930년 이강 공으로부터 '공계 습계'를 받아 1947년까지 '이건 공'으로 불렸다. 2005년 이구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이건의 아들 효야는 전주 이씨의 적류이자 당주를 칭할 수 있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효야는 자신을 "100% 일본인"으로 여기며 이왕가와 거리를 두었고, 다른 이건의 자녀들도 이왕가 후손 모임에 참여하지 않았다.[37][38][39]

이복 동생 이우는 5세에 영선군 이준용의 양자가 되어 당주가 되었기에, 이건은 이우에게 경의를 표해야 했다.[40] 이우는 이건에게 일본인에게 마음을 열면 끔찍한 일을 당할 것이라고 충고했는데, 이건은 전후에 그 의미를 깨달았다고 한다.[41] 1944년 가회시에서 이우는 한 수를 지었지만, 이건은 짓지 않았다.[42][43][44]

5. 상훈

수여 날짜훈장 및 기념장비고
1928년 11월 10일-- 대례 기념장[68][32]昭和일본어 천황 즉위 기념
1930년 10월 25일--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69][33]1888년 제정, 욱일장의 최고위 훈장.[70] 1926년 일본 제국 《왕공가궤범》에 따라 만 15세 이상 공에게 수여.[51]
1930년 12월 5일-- 제도 부흥 기념장[34]
1940년 11월 3일-- 대훈위 국화대수장[71][35]1876년 제정, 일본 최고위 훈장, 주로 황족에게 수여.[72] 영친왕 이은(1920년 4월 27일)[73], 의친왕 이강(1924년 1월 10일)[74], 이우(1943년 11월 7일)[75]도 수훈.[76]
1940년 8월 15일기원 2600년 축전 기념장[36]


참조

[1] 뉴스 황세손 이구·이방자 여사 참배 http://www.chosun.co[...] The Chosun Ilbo
[2] 웹사이트 일본에 인질로 간 의천왕의 두 아들 http://www.arirang21[...]
[3]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p[...] 2023-09-30
[4] 서적 四代の天皇と女性たち
[5] 서적 四代の天皇と女性たち
[6] 문서 Prior to her marriage, her real name was Hirohasi Seiko or/and Matsudaira Seiko
[7] 문서 黄玹「梅泉野録」隆煕3年11月1日条
[8] 서적 皇室及皇族 (奥付は「大正二年一月一五日増訂改版印刷」)
[9] 서적 わが青春の車たち-二つの大戦の間の自動車ー 株式会社 内山工房 1996-08-18
[10] 문서 李鍵公のエッセイや遺稿集「わが青春の車たち-二つの大戦の間の自動車-」、取材を受けた高橋紘・高橋邦彦「天皇家の密使たち〔秘録〕占領と皇室」との間には相互に矛盾があるので取捨選択した上で判断すべきだが、今となってはどれが正しいのかは不明な個所が多々ある。
[11] 서적 朝鮮王公族-帝国日本の準皇族 中央公論新社
[12] 문서 東京陸軍幼年学校史・わが武寮 東幼会
[13] 서적 旧皇族・華族秘蔵アルバム・日本の肖像11 毎日新聞社
[14] 잡지 朝鮮王朝の末裔-日韓併合と日韓条約の谷間で- 文藝春秋
[15] 문서 昭和天皇実録 昭和5年6月18日条
[16] 문서 王公家規範が成立する大正15年まで李勇吉(李鍵)の身分は確定せず、また陸軍士官学校が朝鮮人に門戸を開くのは奇しくも李鍝公が入学した45期からなので、「超特別待遇」と言える。
[17] 서적 終戦時帝国陸軍全現役将校職務名鑑 戦誌刊行会
[18] 문서 昭和天皇実録 昭和20年8月12日条
[19] 문서 昭和天皇実録 昭和20年8月12日条
[20] 서적 天皇の韓国併合・王公族の創設と帝国の葛藤
[21] 문서 韓国人・朝鮮人が日本国籍を喪失したのは1952年(昭和27年)のサンフランシスコ講和条約発効による。
[22] 문서 李鍵公が「桃山虔一」名で『文藝春秋』昭和26年(1951年)9月号に寄稿した「運命の朝鮮王家-もと李鍵公殿下の記録-」99~100頁
[23] 문서 昭和天皇実録 昭和22年5月3日条
[24] 문서 昭和天皇実録、田島道治「昭和天皇拝謁記」及び田島日記を元にした加藤恭子「昭和天皇と田島道治と吉田茂」の記述
[25] 간행물 公職追放に関する覚書該当者名簿 日比谷政経会
[26] 서적 昭和新修 華族家系大成
[27] 서적 朝鮮王公族
[28] 문서 李鍵公(桃山虔一)と松平佳子の離婚は1951年(昭和26年)であり、サンフランシスコ講和条約発効による韓国人・朝鮮人の日本国籍が喪失する前年であったこと、帰化手続きによって李鍵公と3人の子女が日本国籍を取得して戸籍を作成したのが1955年(昭和30年)であったことが関係があったと思われる。
[29] 서적 李方子
[30] 서적 昭和の皇室をゆるがせた女性たち 講談社
[31] 서적 三笠宮崇仁親王 三笠宮崇仁親王伝記刊行委員会編
[32] 간행물 官報 1929-10-28
[33] 간행물 官報 1930-10-27
[34] 간행물 官報 1931-12-28
[35] 간행물 官報 1940-11-05
[36] 간행물 官報 第4438号・付録「辞令二」 官報 1941-10-23
[37] 간행물 王公族-日帝下の李王家一族・第4話・日本政府の王公族政策 Korea Today 今日の韓国 1999-12
[38] 서적 皇族に嫁いだ女性たち 角川学芸出版 2009
[39] 서적 平成新修旧華族家系大成
[40] 간행물 朝鮮王朝の末裔 文藝春秋 1965-12
[41] 간행물 朝鮮王朝の末裔 文藝春秋 1965-12
[42] 저널 歌会始と李王の和歌 2014
[43] 서적 住吉大社遷宮記念出版 新年御歌会始歌集 住吉大社社務所 1963-01-01
[44] 문서 덕혜옹주
[45] 웹인용 《이강공계제2세이건공족보》(李堈公系第貳世李鍵公族譜) http://221.150.168.6[...] 2012-06-15
[46] 논문 일제하 재일 왕공족의 형성배경과 관리체제 부경대 대학원 학위논문(석사) 2009
[47] 서적 일제하 재일 왕공족의 형성배경과 관리체제 2009
[48] 뉴스 왕공궤범 제정과 덕혜옹주, 이건공자에게 전하의 경칭을 사용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2012-06-16
[49] 뉴스 총애를 일신에 종하고, 이강공 장자 용길아지기, 지금은 일출학교에 통학 통명하고 활발한 그 천성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2012-06-16
[50] 서적 人事興信録 第13版 http://dl.ndl.go.jp/[...] 人事興信所 1941
[51] 웹인용 왕공가궤범 http://law.go.kr/lsI[...] 국가법령정보센터 1941-07-10
[52] 웹인용 후작 윤택영을 총호원으로 임명하고 이해창, 이해승, 이윤용 등을 종척집사에 임명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6-04-26
[53] 웹인용 천릉할 때의 수빈원과 종척집사를 임명하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6-05-10
[54] 뉴스 이건공 전하 기병 소위 어임관 http://db.history.go[...] 동아일보 1930-10-26
[55] 뉴스 육군 정기 대이동 15일 정식 발령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2012-06-16
[56] 뉴스 육군정기이동내명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2012-11-17
[57] 뉴스 이건공 전하 육대 어입학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2012-06-16
[58] 뉴스 이건공 전하 어전보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2012-06-16
[59] 뉴스 육군대학교 졸업식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2012-06-16
[60] 뉴스 육군 정기 이동 발표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2012-06-16
[61] 서적 제국의 후예 황소자리 2006
[62] 뉴스 이건공 전하 어전보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2012-06-16
[63] 뉴스 미카사노미야 전하 승진 다케다노미야 이건공 전하께서도 http://db.history.go[...] 동아일보 1940-08-02
[64] 뉴스 육군 정기 이동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2012-06-16
[65] 뉴스 이건공 전하 육대 연구부 주사 어전보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2012-06-16
[66] 간행물 法務省告示第165号 官報 1955-03-01
[67] 서적 皇族に嫁いだ女性たち(황족에 시집간 여성들) 角川学芸出版 2009
[68] 저널 官報 敍任及辭令 http://dl.ndl.go.jp/[...] 1929-10-28
[69] 뉴스 이건공 전하 서훈 12월경 환차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2012-06-15
[70] 웹인용 훈장의 종류(동화대수장) http://www8.cao.go.j[...] 2012-06-05
[71] 뉴스 다케다노미야, 이건공 양전하 서훈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2012-06-15
[72] 웹인용 훈장의 종류(대훈위국화장) http://www8.cao.go.j[...] 2012-06-05
[73] 웹인용 왕세자가 육군 보병 중위에 임명되고 대훈위에 서임되어 국화 대수 훈장을 받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0-04-27
[74] 웹인용 이강 공 부부와 이희 공 비에게 훈위를 내린다는 궁내성의 통지가 있다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1924-01-10
[75] 뉴스 타케히코왕, 이우공 양전하께 대훈위 http://gonews.kinds.[...] 매일신보 2012-06-16
[76] 웹인용 대훈위국화장경식·대훈위국화대수장 수장자 일람 http://www.geocities[...] 2012-06-01
[77] 뉴스 친일 책임 가장 큰 왕족은 왜 빠졌나 https://news.naver.c[...] 주간동아 2012-07-22
[78] 간행물 〈《친일인명사전 편찬》의 쟁점과 의의〉 http://www.minjok.or[...] 2010
[79] 간행물
[80] 뉴스 〈역사 속의 인물〉 나라 뺏은 적국 신민이 된 조선의 왕족 이건 https://news.naver.c[...] 매일신문 2013-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