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동 (191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규동은 1911년 경상북도 고령에서 태어나 만주국 육군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경리관으로 복무했다. 해방 후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준장으로 예편했으며, 대한주정협회 회장과 대한노인회 회장을 역임했다. 그의 사위는 전두환으로, 이순자와 결혼하여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령군 출신 - 정희택
정희택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으로 검사, 중앙수사국장 등 요직을 거쳐 제11대 국회의원, 감사원장, 방송위원회 위원장,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언론 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권위주의 정권과의 협력에 대한 비판도 있다. - 고령군 출신 - 최재욱 (정치인)
최재욱은 경향신문 사장, 대통령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 환경부 장관, 국회의원, 국무조정실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국민당 (1971년 대한민국) 당원 - 한영수 (정치인)
한영수는 충청남도 서산군 출신의 정치인으로, 5·9·10·11·14·15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신민당 대변인, 민한당 정책위 의장, 국회 국방위원장 등을 지냈으나 잦은 당적 변경과 간통 혐의로 비판받았다. - 국민당 (1971년 대한민국) 당원 - 신상초
신상초는 일제강점기 항일 운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정치인으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에서 국회의원, 교수, 연구원 대표 등을 역임했다. - 성주 이씨 - 이학봉
이학봉은 육군사관학교 출신으로 12.12 군사 반란과 5.17 쿠데타에서 신군부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며, 징역형을 선고받고 사면 후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성주 이씨 - 이정환 (1919년)
이정환은 1919년 경상남도 동래군 출신으로, 도쿄상과대학을 졸업하고 부산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대한민국 재무부 장관, 한국은행 총재, 한국산업은행 총재 등을 거쳐 석유화학공업 육성 공로로 금탑산업훈장을 수훈했다.
이규동 (1911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규동 |
원어명 | 李圭東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고령군 |
사망지 |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이대목동병원 |
종교 | 불교 |
본관 | 성주(星州) |
정당 | 무소속 |
배우자 | 이봉년 |
자녀 | 1男6女 |
형제 | 이규승(친아우) 이규광(친아우) |
친인척 | 이웅석(친조카) |
출생일 | 1911년 11월 7일 |
사망일 | 2001년 9월 11일 (89세) |
공직 정보 | |
직책 | 대한민국 대통령 비서실 행정관 |
임기 | 1964년 2월 29일 ~ 1964년 5월 13일 |
대통령 | 박정희 |
장관 | 이후락 대통령 비서실 실장 |
총리 | 최두선 국무총리 정일권 국무총리 |
군 경력 | |
군 복무 | 만주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 |
복무 기간 | 1933년 ~ 1945년 (만주국 육군) 1946년 ~ 1960년 (대한민국 육군) |
근무 | 육군본부 |
지휘 | 육군본부 경리감 |
참전 | 한국 전쟁 |
기타 경력 | |
경력 | 대한노인회 회장 성강문화재단 이사장 자민련 상임고문(1995년) |
2. 생애
이규동은 1911년 11월 7일 경상북도 고령에서 태어나 상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후 성주에서 성장하였다. 봉천군관학교를 졸업하고 만주에서 육군 경리관으로 일했다. 해방 후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59년 육군본부 경리감을 거쳐 1960년 육군 준장으로 전역하였다.
1965년부터 1969년까지 대한주정협회 회장을 지냈고, 제5공화국 당시에는 대한노인회 회장을 지냈다. 동생 이규승은 육사 7기로 대령 예편, 이규광은 육사 3기로 준장 예편하였다. 사후 국립대전현충원 장군1묘역에 안장되었다.[1]
2. 1. 초기 생애 및 만주군 복무
이규동은 1911년 11월 7일 경상북도 고령에서 태어나, 상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후 성주에서 성장하였다. 성주에서 이봉년과 결혼하여 만주국으로 이주, 1남 6녀를 두었으나 딸 셋은 요절하였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부인 이순자는 그의 차녀이다.[1]봉천군관학교 4기 졸업 후, 만주에서 육군 경리관으로 복무하였다. 광복 후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2기를 졸업하였다.[1]
2. 2. 대한민국 육군 복무 및 예편
봉천군관학교 4기를 졸업하고 만주에서 육군 경리관으로 일했다. 해방 후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2기를 졸업, 1959년 육군본부 경리감에 보임되었고 이듬해 1960년 육군 준장으로 전역하였다.[1]2. 3. 예편 후 활동
1965년부터 1969년까지 대한주정협회 회장을 지냈고, 제5공화국 당시에는 대한노인회 회장을 지냈다. 사위 전두환은 그의 직속 부하 장교였는데, 차녀인 이순자가 전두환을 마음에 들어 하여 그와 결혼했고, 전두환은 대한민국의 제11·12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동생 이규승은 육사 7기로 졸업하여 대령으로 예편하였고, 그 밑의 동생 이규광도 육사 3기로 졸업하여 준장으로 예편하였다. 이규광의 아내 장성희를 통해 장영자와 김대중과도 인척 관계를 형성했다.[1] 사후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으며 묘소는 장군1묘역에 있다. 이규동이 남긴 서울 연희동 저택의 본채 500평은 사위인 전두환이 물려받았다는 속설이 있다.2. 4. 전두환과의 관계 및 논란
이규동은 전두환 전 대통령의 장인이며, 이순자의 아버지이다. 이규동은 전두환의 직속 부하 장교였는데, 차녀인 이순자가 전두환을 마음에 들어 하여 결혼이 성사되었다.[1]이규동은 대한주정협회 회장, 대한노인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전두환이 대통령이 된 후, 이규동이 남긴 서울 연희동 저택의 본채 500평을 전두환이 물려받았다는 속설이 있다.[1]
2. 5. 가족 관계 및 사망
이규동은 성주에서 이봉년과 결혼하여 만주국으로 가서 슬하에 1남 6녀를 두었으나 딸 셋은 요절하였다. 전두환의 아내 이순자는 그의 차녀이다.[1] 사후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으며 묘소는 장군1묘역에 있다. 이규동이 남긴 서울 연희동 저택의 본채 500평은 사위인 전두환이 물려받았다는 속설이 있다.가족 관계 | |
---|---|
아버지 | 이봉희(1886년~1969년 이후) |
배우자 | 이봉년 (李鳳年, 1911년 ~ 1991년 10월 21일) |
장녀 | 이정자 (李貞子, 1935년 ~ 1936년) |
차녀 | 이순자 (李順子, 1939년 ~ ) |
사위 | 전두환 (全斗煥, 1931년 ~ 2021년) |
외손자 | 전재국 (1959년 ~ ) |
외손주며느리 | 정도경 (1961년 ~ ) |
증손녀 | 전수현 (1985년 ~ ) |
증손자 | 전우석 (1988년 ~ ) |
외손녀 | 전효선 (1963년 ~ ) |
외손자 | 전재용 (1964년 ~ ) |
외손자 | 전재만 (1971년 ~ ) |
3녀 | 이영자 (李英子, 1941년 ~ 1942년) |
4녀 | 이신자 (李信子, 1945년 ~ ) |
5녀 | 이정순 (李貞順, 1947년 ~ ) |
6녀 | 이영순 (李英順, 1949년 ~ 1961년) |
장남 | 이창석 (李昌錫, 1951년 ~ ) |
며느리 | 홍정녀 (洪貞女, 1952년 ~ ) |
손자 | 이원근 (1980년 ~ ) |
남동생 | 이규승 (李圭昇, 1920년 ~ 2000년, 일제 강점기 말기 간도특설대 대원을 지내다가 8·15 광복 이후 육사 7기 및 보병학교 졸업. 1958년 대한민국 육군 대령 예편.) |
남동생 | 이규광 (李圭光, 1925년 ~ 2012년) |
제수 | 장성희 (張星姬, 1932년 ~ ) |
친조카 | 이웅석 (李雄錫, 1953년 ~ ) |
3. 학력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사망 |
---|---|---|
아버지 | 이봉희 | 1886년 ~ 1969년 이후 |
배우자 | 이봉년 (李鳳年) | 1911년 ~ 1991년 10월 21일 |
장녀 | 이정자 (李貞子) | 1935년 ~ 1936년 |
차녀 | 이순자 (李順子) | 1939년 ~ |
사위 | 전두환 (全斗煥) | 1931년 ~ 2021년 |
외손자 | 전재국 | 1959년 ~ |
외손주며느리 | 정도경 | 1961년 ~ |
증손녀 | 전수현 | 1985년 ~ |
증손자 | 전우석 | 1988년 ~ |
외손녀 | 전효선 | 1963년 ~ |
외손자 | 전재용 | 1964년 ~ |
외손자 | 전재만 | 1971년 ~ |
3녀 | 이영자 (李英子) | 1941년 ~ 1942년 |
4녀 | 이신자 (李信子) | 1945년 ~ |
5녀 | 이정순 (李貞順) | 1947년 ~ |
6녀 | 이영순 (李英順) | 1949년 ~ 1961년 |
장남 | 이창석 (李昌錫) | 1951년 ~ |
며느리 | 홍정녀 (洪貞女) | 1952년 ~ |
손자 | 이원근 | 1980년 ~ |
남동생 | 이규승 (李圭昇) | 1920년 ~ 2000년 |
남동생 | 이규광 (李圭光) | 1925년 ~ 2012년 |
제수 | 장성희 (張星姬) | 1932년 ~ |
친조카 | 이웅석 (李雄錫) | 1953년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