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리시 (1950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리시 (1950년 선거구)는 1949년 이리부가 이리시로 개칭된 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이리부 선거구에서 개편되어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익산군 갑, 익산군 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이리시·익산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이춘기, 김춘호, 김원중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익산시의 정치 - 익산시장 선거
    익산시장 선거는 1995년부터 8회에 걸쳐 실시된 익산시장을 선출하는 선거로, 민주당, 국민의당, 더불어민주당 등 여러 정당 후보들이 경쟁했으며 조한용, 채규정, 이한수, 박경철, 정헌율 등이 시장을 역임했고, 특히 2014년에는 초접전, 2022년에는 정헌율 후보가 3선에 성공하는 등 정치 상황과 후보 지지율에 따라 결과가 달라졌다.
  • 익산시의 정치 - 익산시 을
    익산시 을은 2004년 익산시에서 분구되어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선거구 경계 조정과 다양한 정당 후보들의 경쟁을 거쳐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다수 승리하였으며, 본 페이지는 선거구의 역사, 경계 변화, 관할 구역, 역대 선거 결과 등을 상세히 다룬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폐지된 선거구 - 군산시 (2000년 선거구)
    군산시 (2000년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계기로 군산시 갑, 군산시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군산시 전역을 관할하다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갑 (서울)
    중구 갑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를 통해 원세훈, 윤치영, 주요한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으며, 주요한은 민주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선거구)
    1949년 청주부에서 개칭된 청주시를 기반으로 신설되어 1963년 청원군 사주면을 편입하며 확장되었으나, 1973년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청주시·청원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이리시 (1950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리시
의회국회
큰 지도전라북도
연도1950
폐지1963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이리부
이후 선거구이리시·익산군
의원수1인

2. 역사

1949년 8월, 이리부가 이리시로 개칭되었다. 이에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이리부 선거구가 이리시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익산군 갑, 익산군 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이리시·익산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내용 없음)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wikitext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라북도 이리시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후보자정당득표수득표율
1이춘기무소속6,69926.41%
2배헌대한국민당5,54121.85%
3강갑수무소속3,25012.81%
4이종만무소속2,4259.56%
5도득선무소속2,0007.88%
6양윤목한국독립당1,5616.15%
7김창제대한노동총연맹8123.20%
8박영기대한국민당6932.73%
9이원기사회당6232.45%
10김성무소속4361.71%
11박춘무소속3601.41%
12김동진대한노동총연맹3261.28%
13이병석무소속3211.26%
14김진태무소속3101.22%
15김원용무소속00.00%



선거 결과, 무소속 이춘기 후보가 당선되었다.

4. 2.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라북도 이리시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유당 소속의 김춘호 후보가 6,108표(33.56%)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민주국민당의 이춘기 후보는 6,078표(33.39%)를 득표하여 근소한 차이로 낙선하였다.

후보자정당득표수득표율
김춘호자유당6,10833.56%
이춘기민주국민당6,07833.39%
강갑수무소속3,15617.34%
이종만무소속2,01511.07%
박동섭무소속8424.62%
최경진무소속00.00%


4. 3.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라북도 이리시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원중자유당7,90236.80%
이춘기민주당7,17533.42%
김춘호무소속5,24124.41%
최경진무소속1,1495.35%
합계21,467표



자유당 소속의 김원중 후보가 7,902표(36.80%)를 얻어 당선되었다. 민주당의 이춘기 후보는 7,175표(33.42%)를 득표하며 2위를 기록했다.

4. 4.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라북도 이리시 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소속의 이춘기 후보가 과반이 넘는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이리시 선거구 결과'''
후보자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이춘기민주당12,20450.81%당선
김춘호자유당5,92124.65%
신상묵무소속2,42310.08%
최경진무소속1,8177.56%
민남기사회대중당1,6526.87%
24,017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