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매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매창은 조선시대의 기생으로, 거문고 연주와 시조에 능했다. 전라북도 부안현에서 현감을 지낸 이탕종의 딸로 태어났으며, 황진이와 비견될 정도로 뛰어난 기량을 보였다. 생전에 작품을 출판하지는 못했으나, 시조 "이화우 흣뿌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님" 등이 전해진다. 현재 묘는 전라북도 부안군에 위치하며, 매창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녀 - 계월향
계월향은 임진왜란 시기 평양 기생으로 일본군 정보를 빼내기 위해 적장을 살해했다는 전설의 인물이나,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다양한 문화 콘텐츠로 제작되었다. - 기녀 - 황진이
황진이는 조선 시대 중종 때 활동한 기생이자 시인, 예술가로서 뛰어난 재능과 용모로 당대 명사들과 교류하며 시조 작품을 통해 남녀 간의 애정을 솔직하게 표현하여 한국 문학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예술가로서 자유로운 여성상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 1573년 출생 - 도이 도시카쓰
도이 도시카쓰는 에도 막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데타다, 이에미쓰 3대 쇼군을 섬기며 막부의 정치, 행정, 재정 등 여러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막번 체제 확립과 외교, 통화 제도 개혁에 기여했으나, 후반에는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된 인물이다. - 1573년 출생 - 시몬 마리우스
시몬 마리우스는 독일의 천문학자로,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별개로 목성의 주요 위성들을 발견하고 이름을 붙였으며, 안드로메다 은하를 관측하는 등 업적을 남겼으나, 우주 구조에 대한 견해는 지동설을 지지하지 않았다. - 1610년 사망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는 16세기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중국에서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선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서양 학문과 기독교를 소개하고 중국 문화를 유럽에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가경자로 선포되었다. - 1610년 사망 - 앙리 4세
앙리 4세는 위그노 전쟁 시대를 살며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프랑스 왕위에 오른 후 낭트 칙령으로 종교 전쟁을 종식시키고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암살당한 프랑스이자 나바라의 왕이다.
이매창 | |
---|---|
기본 정보 | |
한글 | 이매창 |
한자 | 李梅窓 |
로마자 표기 | I Maechang |
다른 이름 | 이향금 (李香今) |
호 | 매창 (梅窓) |
생애 | |
출생 | 1573년 |
출생지 |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
사망 | 1610년 (향년 37세) |
아버지 | 이양종 (李湯從) |
직업 및 활동 | |
직업 | 기생, 시인 |
장르 | 시조 |
주제 | 연애, 이별, 자연 |
주요 작품 | 이화우 (梨花雨) |
2. 생애
이매창은 전라북도 부안현(현재의 부안군)에서 현감을 지낸 이탕종(李湯從)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거문고 연주와 시조 및 기타 시를 짓는 재능으로 유명했다. 황진이가 송도 삼절의 한 명으로 알려진 것처럼, 매창은 벽산 삼절 중 한 명으로 알려졌다. 기생이었기 때문에, 그녀는 생전에 자신의 작품을 출판할 수 없었다.[5]
그녀의 시조 한 구절은 다음과 같다.
"이화우 흣뿌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님.
추풍 낙엽에 저도 날 생각난가?
천리에 외로온 꿈만 오락가락 하노매"
그녀의 묘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부안군에 보존되어 있다.
2. 1. 출생과 가계
2. 2. 기생으로서의 삶
이매창은 전라북도 부안현(현재의 부안군)의 현감을 지낸 이탕종(李湯從)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5] 거문고 연주와 시조 및 기타 시를 짓는 재능으로 유명했다.[5] 황진이가 송도 삼절의 한 명으로 알려진 것처럼, 이매창은 벽산 삼절 중 한 명으로 알려졌다.[5] 기생이었기 때문에, 생전에 자신의 작품을 출판할 수 없었다.[5]그녀의 시조 한 구절이 전해진다.
"이화우 흣뿌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님.
추풍 낙엽에 저도 날 생각난가?
천리에 외로온 꿈만 오락가락 하노매"
그녀의 묘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부안군에 보존되어 있다.
2. 3. 유희경과의 관계
2. 4. 허균과의 관계
3. 작품 세계
3. 1. 시조
이화우(梨花雨) 흣뿌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님.추풍 낙엽에 저도 날 생각난가.
천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노매.
3. 2. 작품의 한계
4. 관련 시설
4. 1. 매창공원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에 매창공원이 있으며, 공원 경내에 이매창의 묘소가 있다.5. 평가
5. 1. 당대의 평가
5. 2. 현대의 평가
6. 기타
참조
[1]
서적
Women in Korean History 한국 역사 속의 여성들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8
[2]
서적
South Korean Education and Learning Excellence as a Hallyu: Ethnographic Understandings of a Nation's Academic Succes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8-11
[3]
서적
Korean Cultural Series
https://books.google[...]
1960
[4]
서적
The Poetic World of Classic Korean Women Writers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5-01-01
[5]
서적
研究論文集
https://books.google[...]
誠信女子大學校
1987
[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