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군 (성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성군은 조선 성종과 숙용 심씨의 아들로, 1489년에 태어나 1552년에 사망한 조선의 왕족이다. 1497년 이성군에 책봉되었으며, 총명함으로 종친임에도 불구하고 문소전, 연은전, 사옹원 등의 도제조를 역임했다. 중종 대에 첩을 두고 민간에 피해를 입혀 파직될 뻔했으나, 명종 즉위 후 윤임을 탄핵한 공으로 위사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중종의 어진을 추화할 때 감독을 맡았으나, 모습이 똑같지 않자 대죄를 청하기도 했다. 묘는 경기도 고양시에 있으며, 시호는 장평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52년 사망 -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는 1506년 나바라 왕국에서 태어나 파리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예수회 창립에 참여하여 인도, 일본 등지에서 선교 활동을 펼치다 중국에서 사망한 가톨릭 사제이자 예수회 선교사이며,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1552년 사망 - 익양군 (1488년)
익양군 이회는 조선 성종의 서9남으로 연산군 시대에 우매한 척 화를 피했으며 중종반정에 협력하여 정국원종공신에 책록되고 사후 순평의 시호가 추서, 묘소는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1489년 출생 - 숙의 나씨 (중종)
조선 중종의 후궁인 숙의 나씨는 나주 나씨로, 중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26세에 출산 중 사망하여 경빈 박씨와의 관계 속에서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며, 그녀의 묘는 이천시의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 1489년 출생 - 미마르 시난
미마르 시난은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끈 건축가이자 토목 기사로, 쉴레이만 1세, 셀림 2세, 무라트 3세 세 명의 술탄을 섬기며 쉴레이마니예 모스크와 셀리미예 모스크를 포함한 300개가 넘는 건축물을 설계하여 오스만 건축 양식의 정점을 보여주었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견성군
견성군 이돈은 조선 성종의 아들로 연산군 시대에 횡포와 부정행위를 저질렀으나 중종반정 이후 공신이 되었고, 이후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된 후 신원된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다. - 조선 성종의 자녀 - 정숙옹주 (성종)
정숙옹주는 조선 성종과 숙의 홍씨의 딸로, 영평위 윤섭에게 출가하여 사후 양자를 들여 의지하며 장수하고 예법을 중시한 삶을 살았으며, 사망 후 선조가 장례를 치르도록 했다.
이성군 (성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성종의 왕자 |
휘 | 이관(李慣) |
시호 | 장평(章平) |
출생과 사망 | |
출생일 | 1489년 2월 20일 (양력) |
사망일 | 1553년 1월 23일 (양력) (64세) |
가족 관계 | |
부친 | 성종 |
모친 | 숙용 심씨 |
배우자 | 전처 곤산군부인 남평 문씨 후처 풍산군부인 안동 권씨 |
자녀 | 5남 1녀 |
묘소 | |
능묘 | 이성군 묘(利城君 墓) |
위치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
2. 생애
1489년(성종 20년) 성종과 후궁 숙용 심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이름은 관(慣)이다. 1497년(연산군 3년) '''이성군'''(利城君)에 봉해졌다. 그는 총명하고 능력이 뛰어나 종친으로서는 드물게 조정의 여러 직책을 맡아 활동했다.[1]
중종 대에는 선릉과 선원전의 제사에서 헌관(獻官)을 맡기도 했으나, 1537년에는 질병 치료를 핑계로 첩과 함께 살며 백성들에게 피해를 주어 사간원으로부터 파직과 추궁을 요청받기도 했다.[2]
명종 즉위 후에는 윤임을 탄핵한 공으로 위사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며, 1549년에는 중종의 어진을 그리는 작업을 감독하다가 그림이 실제 모습과 다르다는 이유로 스스로 죄를 청하기도 하였다.[3] 1552년(명종 7년) 음력 12월에 사망하였고, 시호는 장평(章平)이다.[1]
2. 1. 초기 생애
1489년(성종 20년) 성종과 숙용 심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이름은 관(慣)이다.1497년(연산군 3년) '''이성군'''(利城君)에 책봉되었다. 그는 총명하고 능력이 뛰어나 종친으로서는 드물게 조정에서 직책을 맡아 활동했다. 문소전(文昭殿), 연은전(延恩殿), 사옹원(司饔院) 등의 도제조를 역임하였다.[1]
1515년(중종 10년) 첫 부인 문씨와 사별하였고, 3년 뒤인 1518년(중종 13년)에 안동 권씨와 재혼하였다.
2. 2. 중종 대의 활동
총명하고 능력이 뛰어나 종친으로서는 드물게 조정에서 직책을 맡아 일하였으며, 문소전·연은전·사옹원 등의 도제조를 역임하였다.[1]1515년(중종 10년) 첫 번째 부인 문씨와 사별하였고, 3년 뒤인 1518년(중종 13년)에 안동 권씨와 재혼하였다. 1528년(중종 23년)에는 선릉 제사의 헌관(獻官)으로 임명되었으며, 1540년(중종 35년)에는 선원전 제사의 헌관을 맡았다.
1537년(중종 32년), 이성군은 질병을 치료한다는 핑계로 거처를 따로 마련하여 첩을 데리고 살면서 주변 백성들에게 피해를 끼쳤다. 이 때문에 살던 곳을 떠나 이사하는 백성들까지 생겨나자, 사간원에서는 중종에게 이성군을 파직하고 그 죄를 추궁할 것을 청하기도 하였다.[2]
2. 3. 명종 대의 활동과 사망
명종이 즉위하자 윤임(尹任)을 탄핵한 공적으로 위사공신(衛社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1549년(명종 4년) 중종의 어용(御容)을 추화(追畵)할 때는 도제조가 되어 감독하였는데, 완성된 모습이 실제와 똑같지 않자 대죄를 청하기도 하였다.[3]
1552년(명종 7년) 음력 12월에 사망하였다. 시호는 장평(章平)이다.[1]
3. 묘소
묘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대자골에 위치한다. 이성군의 봉분을 중심으로 부인 곤산군부인 남평 문씨와 계부인 풍산군부인 안동 권씨의 봉분이 좌우에 자리 잡고 있다. 3기의 봉분 앞에는 각각 묘비가 서 있으며, 봉분의 총 둘레는 17cm이다. 묘역에는 묘 앞 중앙에 상석, 장명등, 망주석, 문인석 등의 석물이 각기 배치되어 있다.
1556년(명종 11년)에 세워진 대리석 묘비에는 ‘왕자이성군 증시장평공지묘(王子利城君贈諡章平公之墓)’라고 새겨져 있다. 이 묘비는 네모난 받침돌(비좌) 위에 정교하게 조각된 머릿돌(이수)을 갖추고 있다. 비문은 정사룡이 짓고 송인이 글씨를 썼으며, 한경우가 전서체 글씨(전자)를 썼다. 묘비의 크기는 높이 170cm, 폭 65cm, 두께 15cm이다.
4. 가족 관계
- * 누나 : 경순옹주 옥환(慶順翁主 玉環, 1482 ~ ? )
- * 누나 : 숙혜옹주 벽환(淑惠翁主 璧環, 1486 ~ 1525)
- * 동생 : 영산군 전(寧山君 恮, 1490 ~ 1538)
4. 1. 부모
4. 2. 배우자
- '''정부인''' : 곤산군부인 남평 문씨( ) - 인의(引儀) 증찬성(贈贊成) 문간(文簡)의 딸
- '''계부인''' : 풍산군부인 안동 권씨( ) - 군수(郡守) 증찬성(贈贊成) 권수중(權守中)의 딸
4. 3. 자녀
- '''정부인''' : 곤산군부인 남평 문씨(昆山郡夫人 南平文氏) - 인의(引儀) 증찬성(贈贊成) 문간(文簡)의 딸
- '''계부인''' : 풍산군부인 안동 권씨(豊山郡夫印 安東權氏) - 군수(郡守) 증찬성(贈贊成) 권 수중(權守中)의 딸
- * 장남 : 경양군 이수환(景陽君 李壽環)
- ** 며느리 : 김혼(金渾)의 딸
손자 : 영평군 이구(寧平君 李耉, 1529 ~ 1577)
손자 : 영성부정(寧城副正) 이노질(李老至)
손녀 : 윤자(尹栥)의 아들 찰방(察訪) 윤천석(尹天錫)의 처
손녀 : 전주 이씨 - 류복(柳澓)의 처
손자 : 영해부수(寧海副守) 이모(李耄)
- * 차남 : 금구정(金龜正) 이수붕(李壽朋)
- ** 며느리 : 심분(沈汾)의 딸
- ** 며느리 : 봉사(奉事) 송헌(宋獻)의 딸
손자 : 광릉부정(廣陵副正) 이기(李麒)
손녀 : 남륜(南崙)의 아들 별제(別提) 남대해(南大海)의 처
손자 : 월성도정(月城都正) 이노방(李老放)
- * 3남 : 운성군 이수철(雲城君 李壽鐵)
- ** 며느리 : 장인효(張仁孝)의 딸
손자 : 해풍군 이기(海豊君 李耆)
손자 : 월성도정(月城都正) 이방(李耂+放)
- * 4남 : 한원수(漢原守) 이인수(李麟壽)
- ** 며느리 : 송기연(宋杞連)의 딸
- * 5남 : 화산군 이수경(花山君 李壽卿)
- ** 며느리 : 정관(鄭綰)의 딸
손자 : 명원도정(明原都正) 이효(李孝)
손자 : 순원령(順原令) 이저(李翥) → 백부 한원수(漢原守)에게 양자로 출계
손자 : 흥원군 이자(興原君 老+者)
손녀 : 신건(申鍵)의 처
손자 : 의원군 이모(義原君 李 老+山)
손자 : 계원부령(桂原副令) 이물(李 老+易)
손녀 : 황정신(黃正身)의 처
- * 장녀 : 경주 이씨 감찰(監察) 이락(李洛)[4]의 처
참조
[1]
문서
〈종실 이성군 묘지명〉
[2]
간행물
간원이 이성군 이관의 일을 아뢰니 파직시키고 헌부의 건의에 대해 답하다
1537-04-23
[3]
간행물
이성군 이관이 중종의 영정을 잘못 조감한 일로 대죄를 청하나 불윤하다
1549-09-14
[4]
문서
태종의 9녀 숙혜옹주의 외고손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