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일 (군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주일은 일제강점기 만주군에서 복무하고,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활동한 군인이다. 신경군관학교와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으며, 박정희의 선배로 만주군에서 함께 복무했다. 5.16 군사 정변에 참여하여 군사혁명위원회 위원,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육군 대장으로 예편 후 민주공화당에서 감사원장을 지냈다.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인해 친일 논란이 있었으며, 6.25 전쟁과 백마고지 전투에 참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주 이씨 - 이현 (1950년)
이현은 1950년 부산 출생의 가수, 기업인으로, 1970년 가수로 데뷔하여 활동하다가 연예계를 은퇴하고, 이후 기업인과 정치인으로 활동했으며, 2014년 가수 활동을 재개했다. - 공주 이씨 - 이상근 (군인)
이상근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육군사관학교 1기로 임관하여 군인의 길을 걸었으며, 영화 《증언》에서 배우 김진규가 연대장 역할로 그를 연기했다. - 대한민국의 사회주의자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대한민국의 사회주의자 - 서준식
서준식은 유학생 간첩단 사건에 연루되어 징역형을 선고받고 사회안전법 폐지 운동을 전개했으며, 《서준식 옥중 서한》을 출간하고 사회주의자임을 선언한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감사원장 - 한승헌
한승헌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인권 변호사, 사회운동가, 수필가로, 군사정권 시절 시국 사건 변론을 맡아 인권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감사원장과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감사원장 - 이회창
이회창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판사, 최연소 대법관, 국회의원,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세 차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며, 자유선진당을 창당하여 활동하며 강경한 보수주의적 정치 성향으로 알려졌다.
이주일 (군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주일 |
로마자 표기 | I Ju-il |
한자 표기 | 李周一 |
생년월일 | 1918년 11월 14일 |
사망일 | 2002년 1월 28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함경북도 경성군 |
사망지 | 서울특별시 |
본관 | 공주 이씨 (公州) |
군사 경력 | |
소속 | 만주국군 한국광복군 대한민국 육군 |
복무 기간 | 1943년-1945년 (만주국군) 1945년-1946년 (광복군) 1948년-1963년 (한국 육군) |
최종 계급 | 중위 (만주국군) 대장 (한국 육군)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
주요 지휘 및 근무 | |
근무 | 육군 제6사단 육군본부 국가재건최고회의 대한올림픽위원회 대한체육회 |
지휘 | 육군 제6사단장 육군본부 포병국 국장 육군본부 작전참모부 부장 육군본부 기획참모부 부장 육군본부 관리참모부 부장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국가재건최고회의 재정경제위원장 국가재건최고회의 부의장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대한체육회 회장 |
기타 이력 | |
정치 활동 | 민주당 국방외교안보특보위원 (1964년) 한국국민당 고문 (1981년) 신민주공화당 고문 (1988년) 자민련 고문 (1995년) 국민회의 고문 (1996년) |
기타 | 감사원 원장 |
이미지 | |
![]() | |
외부 링크 | |
엠파스 인물정보 | 이주일 |
서울신문 기사 | 청백리 이주일 전 감사원장 별세 |
2. 생애
이주일은 1918년 11월 함경북도 경성군에서 태어났다. 광명중학교를 졸업하고 만주의 신경군관학교 예과(제1기)를 졸업했다. 우수한 성적으로 박림항, 최창언 등과 함께 일본육사에 유학(제56기 상당)하여 졸업 후 만주국군 장교가 되었다.
1945년 광복 후에는 박정희, 신현준과 함께 베이징에서 잠시 한국광복군에 몸담았다가 귀국, 1946년 육군사관학교 특별 7기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국군 장교로 복무했다. 한국 전쟁 중에는 백마고지 전투에서 김종오 장군 등과 함께 중공군을 상대로 승리하는 데 기여했다.
1961년 5·16 군사 정변에 참여하여 국가재건최고회의 재정경제위원장, 부의장 등을 역임했고, 1963년 육군 대장으로 예편했다. 제3공화국에서는 감사원장을 지냈으며, 1980년 정계 은퇴 후에는 시민사회단체와 우익 단체에서 활동했다.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군 부문에 포함되었다.
2. 1. 만주군 복무와 해방
함경북도 경성군 출신으로, 만주의 신경군관학교와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군 장교로 복무했다. 박정희의 신경군관학교 1년 선배였으며, 광복 시점까지 만주군 제8단에서 박정희, 신현준, 방원철과 함께 근무했다.[1]일본이 태평양 전쟁에서 패망하자, 이주일은 중위 계급으로 박정희와 함께 베이징의 광복군을 거쳐 대한민국으로 왔다. 이때 광복군 제3지대 평진대대 제1중대장이 되었다.[1]
1946년 조선경비사관학교(육군사관학교의 전신) 특별 7기에 입교하여 4개월 만에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1949년 박정희가 좌익 혐의로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을 때, 이주일도 남로당 가입 혐의로 무기징역을 구형받았으나 무죄로 풀려났다.[8] 당시 대위였던 이주일은 박정희의 권유로 남로당에 입당했으며, 대한민국 국군에 입대할 때도 박정희의 주선이 있었던 것으로 재판 기록에 나와있다.[8]
2. 2. 대한민국 국군 복무와 한국전쟁
1946년 조선경비사관학교(육군사관학교의 전신) 특별 7기로 입교하여 4개월 만에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8]1949년 박정희가 좌익 혐의로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을 때, 이주일도 무기징역을 구형받았으나 무죄로 풀려났다. 재판 기록에 따르면, 당시 대위이던 이주일은 박정희의 권유로 남로당에 입당했으며, 대한민국 국군에 입대할 때도 박정희의 주선이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다.[8]
1950년 6월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참전하였으며, 제28연대장이 되었다.
1952년 10월에는 제9보병사단 정면으로 공격하기 위해 포진한 중공군 제38군 예하 113, 114 보병사단의 예비 부대로 제112보병사단이 후방에 대기 중이었다. 이를 간파한 김종오 소장은 1952년 9월 22일 좌측 전방의 395 고지에 임익순 대령의 제30보병연대, 우측 전방에는 김봉철 대령의 제29보병연대를 전개시키고 그에게도 연락을 취해 제28보병연대를 예비 부대로 하여 유사시 양 연대를 지원하도록 하였다. 이후 김종오 장군 등과 함께 중공군을 육탄으로 대결하여 승전으로 이끌기도 하였다.
1961년 제2군사령부 참모장으로 5·16 군사 정변에 참여하였다.
다음은 이주일의 대한민국 국군 복무와 한국전쟁과 관련된 주요 이력이다.
- 1948년 12월: 육군사관학교 졸업(특별 제7기), 소령 임관(군번 11638번).
- 1949년: 박정희의 소개로 남조선노동당 당원이 되었고, 여수·순천 사건에 관련된 혐의로 체포되었다.[2]
- 1950년 7월: 제2군단 작전부장.
- 1950년 12월 10일: 제28연대장(대령).[3]
- 1952년 10월: 백마고지 전투에 참가.
- 1953년: 육군대학교 졸업.
- 1954년: 제12사단장.
- 1956년: 국방대학교 졸업.
- 1959년 6월: 제2군 참모장.[4]
2. 3. 5.16 군사정변과 정치 활동
1961년 박정희가 주도한 5·16 군사 정변에 제2군사령부 참모장으로 참여했다. 군사정변 성공 후, 군정 시기 국가재건최고회의 재정경제위원장과 부의장을 역임했고, 제3공화국에서는 감사원장 등 요직을 거쳤다.[4] 5·16 군사 정변에 가담한 함경도 출신 인사들은 이후 반혁명 사건으로 대부분 숙청되었으나, 이주일은 박정희와의 오랜 친분 덕분에 숙청되지 않았다.1963년 12월, 국가재건최고회의 위원으로 재직 중 대한민국 육군 대장으로 1계급 특진과 동시에 예편하였다.
제3공화국 출범 후 국가재건최고회의가 해산되면서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였으며, 감사원장을 지냈다.[5]
3. 논란과 평가
이주일은 박정희와 함께 만주군 장교로 복무했으며, 해방 후 한국으로 돌아왔다. 박정희가 비밀리에 광복군 활동을 했다는 주장은 여러 증언과 자료를 통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박정희 비밀광복군설은 박정희가 만주군에 있을 당시 비밀리에 광복군 활동을 했다는 설이나, 박정희와 함께 근무했던 신현준은 광복군의 존재 자체를 광복 후 베이징으로 이동할 때까지 전혀 모르고 있었다고 증언하여 중요한 반박의 근거로 사용되고 있다.[9]
해방 직후 베이징에는 광복군 출신, 학도병 출신 등 수많은 조선 청년들이 집결하였는데, 만주군 대위 출신 신현준과 중위 출신 박정희도 있었다. 임시정부는 이들을 김학규 광복군 3지대장 휘하로 편입시켰고, 신현준과 박정희는 만주군 장교 경력을 인정받아 각각 1대대장과 2중대장을 맡았다. 이들은 모두 '해방 후 광복군'이다.[10]
박정희처럼 고등교육을 받은 일본군 장교는 일본군 출신 조선인들을 광복군에 적극 편입한다는 한국독립당의 방침에 따라 광복군에 적극 편입됐다. 해방 이후 확군된 병사의 수는 베이징 1300여명, 난징 800여명, 상하이 1300여명 등이었다.[11]
박정희가 소속된 광복군 부대는 북평잠편지대일 것으로 추정되는데, 일부 증언에는 제3지대 주평진대대라고도 한다. 이 부대의 대대장은 박정희와 같이 근무한 신현준이었고, 신현준은 광복군의 존재를 해방 이전에는 알지 못했다고 회고했다. 이 부대는 실제 광복군 부대라기보다 해방이라는 급격한 상황 변화에 따라 광복군이 세를 불리기 위해 부대 명칭을 부여한 것으로, 사실상 일종의 포로수용부대였다.[12]
박정희가 일제 패망 이전에 광복군 비밀요원이었다는 주장은 소설 <광복군>(저자 박영만)의 근거로 활용됐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박정희·신현준이 광복군 김학규 장군에게서 “적당한 시기에 일본군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고 1945년 7월에 베이징에서 다시 철석부대로 돌아오는 등 비밀광복군이었다는 얘기는 거짓말이다.[13]
소설 <광복군>에 근거하여 많은 가짜 정보들이 유통되었다. 육군본부가 발간한 '창군전사', 장창국이 출간한 '육사 졸업생'에도 박정희를 비밀 광복군으로 묘사하는 내용이 등장한다. 그러나 이는 모두 날조된 것이다. 철석부대 출신인 박창암, 송석하 등은 "박정희는 철석부대 문전에도 가본 적이 없다"고 증언했다. '신태양 악극단' 단원이었던 가수 신카나리아와 영화배우 황해 등도 "이용기라는 이름은 기억에 없다"고 증언했다. 박정희와 8단에 같이 근무했던 방원철은 "8단 시절 연예인이 부대로 위문온 적이 없었다"며 "박정희는 8단 부임 이후 반벽산을 떠난 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고 증언했다.[14]
장준하는 1967년 대선에 맞춰 나온 소설 <광복군>에 격분하여, 친일파 박정희 대통령을 비밀광복군으로 둔갑시켰다고 비판했다. 당시 야당 대통령 후보 윤보선을 지지하며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박정희 후보가 광복군이라는 것은 거짓말이라고 주장했다.[15]
김승곤 전 광복회장은 “박영만은 청와대에서 돈을 받을 줄 알고 ‘광복군’을 썼는데, 내용을 훑어본 박정희 대통령은 ‘내가 어디 광복군이냐. 누가 이 따위 책을 쓰라고 했냐’며 화를 냈고, 결국 박영만은 돈 한푼 못 받고 거창하게 준비한 출판기념회도 치르지 못했다”고 증언했다.[16]
1967~68년 중앙정보부에 ‘<광복군> 책을 모두 거둬들이라’는 지시가 내려왔고, 박정희 대통령은 ‘이런 거짓말을 해선 안된다. 해방 후 김학규 광복군 3지대장이 만주에 있던 한국 국적 군인을 모았다. 그때 잠시 구대장으로 사병을 모아 훈련시킨 적이 있다. 이것은 해방 이후로 내가 장준하나 김준엽처럼 일제때 독립군을 했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그래서 책을 거두어들이라고 했다’고 말했다.[17]
박정희가 '해방후 광복군'이기는커녕 길거리를 배회하던 그를 체포해서 국내로 송환했다는 자료도 있다. 광복군 출신의 항일투사 이재현은 북평 판사처 주임이었다. 일제가 패망하자 박정희가 속한 만주군 8단이 해체되고 베이징으로 나와 길거리를 배회하던 박정희를 잡아 들여 한국으로 송환한 책임자가 이재현이라고 한다. 당시 북평 판사처의 임무는 재중국동포와 한국 국적의 일본군들을 본국으로 송환하는 것이었다. 일본군 출신이 너무 많아 군의 편제가 필요하여 신현준 일본군 대위를 대대장으로, 이주일과 박정희 일본군 중위를 중대장으로 하여 통솔케 하고 본국으로 송환하였던 것뿐이다. 박정희가 광복군 3지대에 편입되었다는 주장은 틀렸다는 것이다.[18]
3. 1. 만주군 경력과 친일 논란
이주일은 함경북도 경성군 출신으로 만주의 신경군관학교와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군 장교로 복무했다. 박정희의 신경군관학교 1년 선배였으며, 광복 시점까지 만주군 제8단에서 박정희, 신현준, 방원철과 함께 근무했다.[8]일본이 태평양 전쟁에서 패망하자 이주일은 중위 계급에서 박정희와 함께 베이징의 광복군을 거쳐 대한민국으로 왔다.
1949년 박정희가 좌익 혐의로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을 때, 이주일도 무기징역을 구형받았으나 무죄로 풀려났다. 재판 기록에 따르면, 당시 대위이던 이주일은 박정희의 권유로 남로당에 입당했으며, 대한민국 국군에 입대할 때도 박정희의 주선이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다.[8]
만주군 장교 경력으로 인해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 부문에 포함되었다.
박정희가 만주군에 있을 당시 비밀리에 광복군 활동을 했다는 설이 있으나, 박정희와 함께 근무했던 신현준은 광복군의 존재 자체를 광복 후 베이징으로 이동할 때까지 전혀 모르고 있었다고 증언했다. 신현준의 증언은 박정희 비밀광복군설에 대한 중요한 반박의 근거로 사용되고 있다.[9]
3. 2. 5.16 군사정변 참여
1961년 제2군사령부 참모장으로 5·16 군사 정변에 참여하여, 군정 시기 국가재건최고회의 재정경제위원장과 부의장, 제3공화국 감사원장 등 요직을 거쳤다. 5ㆍ16에 가담한 함경도 출신 인사들은 반혁명 사건을 통해 대부분 숙청되었으나 이주일은 박정희와의 오랜 친분관계 덕에 숙청되지 않고 살아남았다.[8]3. 3. 학력
- 신경군관학교 졸업 (제1기)[19]
- 1943년 : 일본육군사관학교 졸업
- 1948년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졸업 (특별 7기)
- 1951년: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 1953년 : 대한민국 육군대학교 졸업
4. 약력
함경북도 경성군 출신으로 만주 신경군관학교와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군 장교로 복무했다. 박정희의 신경군관학교 1년 선배였으며, 광복 시점까지 만주군 제8단에서 박정희, 신현준, 방원철과 함께 근무했다.[1]
1946년 조선경비사관학교(육군사관학교 전신) 특별 7기로 입교하여 4개월 만에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1949년 박정희가 좌익 혐의로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을 때, 이주일도 무기징역을 구형받았으나 무죄로 풀려났다. 재판 기록에 따르면, 당시 대위이던 이주일은 박정희의 권유로 남로당에 입당했으며, 대한민국 국군에 입대할 때도 박정희의 주선이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다.[8][2]
1950년 6월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참전하였으며, 제28연대장이 되었다.[3]
1952년 10월 백마고지 전투에서 제9보병사단장 김종오 소장의 지휘 아래, 제28연대장으로서 중공군 제38군에 맞서 싸워 승리하는 데 기여했다.
1961년 제2군사령부 참모장으로 5·16 군사 정변에 참여하였고, 군정 시기 국가재건최고회의 재정경제위원장과 부의장, 제3공화국 감사원장 등 요직을 거쳤다. 5ㆍ16에 가담한 함경도 출신 인사들은 반혁명 사건을 통해 대부분 숙청되었으나 이주일은 박정희와의 오랜 친분관계 덕에 숙청되지 않고 살아남았다.
1963년 12월 대한민국 육군 대장으로 1계급 특진과 동시에 예편하였다.
제3공화국 출범 후 국가재건최고회의가 해산되면서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였으며, 감사원장을 지내기도 했다. 1980년 정계를 은퇴한 이후에는 시민사회단체와 우익 단체에서 활약하였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1918년 | 함경북도 출생 |
- | 광명중학교 졸업 |
- | 신경군관학교 예과 졸업(제1기) |
- | 육군사관학교 유학(제56기 상당) |
- | 만주국군 장교 (종전 당시 중위) |
- | 한국광복군 제3지대 평진대대 제1중대장[1] |
1948년 | 육군사관학교 졸업(특별 제7기), 소령 임관(군번 11638번) |
1949년 | 남조선노동당 당원, 여수·순천 사건 관련 혐의로 체포[2] |
1950년 | 제2군단 작전부장, 제28연대장(대령)[3] |
1952년 | 백마고지 전투 참가 |
1953년 | 육군대학교 졸업 |
1954년 | 제12사단장 |
1956년 | 국방대학교 졸업 |
1959년 | 제2군 참모장[4] |
1961년 | 5·16 군사정변 가담,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인사소위원, 부정축재처리위원회 위원장, 상임위원, 재정위원장, 부의장 역임 |
1962년 | 중장 진급[5],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겸 대한체육회 회장 |
1963년 | 동지회 부회장, 예비역 편입 |
1964년 | 감사원 원장 |
1974년 | 함북장학회 이사장 |
1978년 | 재경군인회 고문 |
1985년 | 대한체육회 고문 |
참조
[1]
뉴스
共匪達と血縁関係を持ったせいで…
http://www.jejusori.[...]
2015-12-17
[2]
뉴스
좌익혐의로 무기징역... 재심서 '구사일생' - [실록 '군인 박정희'-친일과 좌익의 기록 1] 1949년 군사재판
오마이뉴스
2004-08-09
[3]
웹사이트
對非正規戰史(1945~1960)
http://www.imhc.mil.[...]
한국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0-02-12
[4]
뉴스
將星級 15名 異動
http://www.busan.com[...]
1959-06-02
[5]
웹사이트
金鍾五中將 大將에 昇進 李周一少將은 中將으로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6]
웹인용
이주일
http://people.empas.[...]
엠파스 인물정보
2008-03-31
[7]
뉴스인용
청백리 이주일 전 감사원장 별세
http://www.mediagaon[...]
서울신문
2002-01-31
[8]
뉴스인용
좌익혐의로 무기징역... 재심서 '구사일생' - [실록 '군인 박정희'-친일과 좌익의 기록 1] 1949년 군사재판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4-08-09
[9]
뉴스인용
한홍구의 역사이야기/ 기회주의 청년 박정희! - 만주군관학교-광복군-남로당-숙군 협조, 양지만을 좇은 그의 끝없는 변신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한겨레21
2002-10-23
[10]
저널
[정정당담]잘못된 독립유공 포상 사례 셋
http://www.idomin.co[...]
경남도민일보
2018-10-22
[11]
저널
‘ 짝퉁 광복군 ’ 수두룩하다
https://news.naver.c[...]
한겨레21
2005-06-24
[12]
저널
기회주의 청년 박정희!
https://news.naver.c[...]
한겨레21
2002-10-23
[13]
저널
"조선인부대 말만 믿고 입대…민간인 학살說은 사실무근"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06-08-08
[14]
저널
중위 진급 한달 뒤 일제패망에 낙담 해방 이듬해 패잔병 몰골 귀국선 타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04-08-24
[15]
저널
"박정희 비밀광복군?…허무맹랑한 소설 이야기"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15-10-23
[16]
저널
만주군 중위 박정희, '비밀광복군' 둔갑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06-08-10
[17]
저널
[원희복의 인물탐구]임정기념관건립위원장 이종찬 “이승만부터 김원봉까지 다 아우르겠다”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8-03-18
[18]
저널
박정희 광복군편입은 허위날조
http://hongshin.net/[...]
김홍신 홈페이지
2004-08-29
[19]
서적
청산하지 못한 역사 1
청년사
1994-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