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현준 (군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현준은 일제강점기 만주국 군 장교로 복무했으며, 대한민국 해병대 창설을 주도한 군인이다. 경상북도 김천 출신으로, 만주 봉천군관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군 간도특설대에서 활동하며 항일 무장 세력을 토벌했다. 해방 후에는 조선해안경비대 장교로 임관,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해병대 초대 사령관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인천 상륙 작전 등에서 공을 세웠으며, 이후 국방부 차관보와 대사직을 수행했다. 만주군 간도특설대 복무 경력으로 인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으며, 박정희의 비밀 광복군설과 관련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로코 주재 대한민국 대사 - 박수길 (1933년)
    박수길은 1933년 경상북도 경산군 출생으로 외교부에서 유엔 주재 대사,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의장 등을 역임했으며, 세계유엔협회연맹 회장으로 활동했다.
  • 성좌 주재 대한민국 대사 - 박노영
    박노영은 대한민국 군인 출신으로, 군 주요 보직과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거쳐 대장으로 예편한 후 원주시장, 한국관광공사 이사장, 국방부 방산국장, 주 대만/로마 교황청 대사를 역임하며 군사, 행정, 외교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 성좌 주재 대한민국 대사 - 강영훈 (1922년)
    강영훈은 대한민국의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서 육군사관학교 교장, 국방부 차관, 합동참모본부 의장 등을 역임하고 국회의원과 국무총리를 지냈으며, 남북총리회담 성사 및 대한적십자사 총재로서 남북 협상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 해병 중장 - 김동하 (1918년)
    김동하는 일제강점기 만주군 장교이자 대한민국 해병대 창설에 참여한 군인,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역임했으나 반혁명사건에 연루되었고,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대한민국 해병 중장 - 김정호 (1931년)
    경상남도 고성군 출신인 김정호(1931년)는 대한민국 해병대 장성으로 해병대 사령관과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을 지냈으며, 제11대 국회의원과 건양기업 및 대한중석광업 대표를 역임했다.
신현준 (군인)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신현준
로마자 표기Shin Hyun-joon
한글 표기신현준
한자 표기申鉉俊
출생일1915년 10월 23일
사망일2007년 10월 14일
출생지일제강점기 경상북도 김천군 (現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사망지미국 플로리다주 나이스빌
종교천주교 (세례명: 요아킴)
거주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군사 정보
소속만주국군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병대
복무 기간1937년 ~ 1961년
최종 계급만주국군: [[파일:Manchukuo Army Lieutenant insignia.svg|20px]] 대위
대한민국 해군: [[파일:SouthKorea-OF-4.svg|20px]] 중령
대한민국 해병대: [[파일:SouthKorea-Collar-OF-8.svg|20px]] 중장
참전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인천 상륙 작전
지휘국방부 차관보
주요 지휘대한민국 해병대 사령관
정치 및 외교 경력
직책국방부 차관보
임기1961년 1월 9일 ~ 1961년 7월 4일
대통령윤보선
국방부 장관권중돈
현석호
우희창 (직무대리)
장도영
신응균 (직무대리)
송요찬
국방부 차관박병배
김업
우희창
신응균
국무총리장면
김종오 (내각수반 권한대행)
장도영 (내각수반)
송요찬 (내각수반)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장도영
박정희
직책 2바티칸 시국 주재 대사
임기 21974년 2월 12일 ~ 1981년 3월 7일
교황교황 바오로 6세
교황 요한 바오로 1세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국무총리 2김종필
최규하
신현확
박충훈 (총리 서리)
남덕우 (총리 서리)
남덕우
대통령 2박정희
최규하 (대통령 권한대행)
최규하
박충훈 (대통령 권한대행)
전두환
외무부 장관 2김동조
박동진
노신영
외무부 차관 2윤석헌
김정태 (직무대행 서리)
노신영
윤하정
이민용
김동휘
기타 정보
배우자함혜용
자녀2남 4녀 (장남 신옹목)
정당신민주공화당 (1988년~1989년)
서훈[[파일:Silver_Star_Medal_ribbon.svg|23px|border]] 은성 훈장
경력세계반공연맹 사무총장
바티칸 시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
신민주공화당 당무위원 (1988년~1989년)
묘소국립대전현충원 장군 제1묘역 273호

2. 생애

일제 강점기에 만주국으로 건너가 봉천군관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국군에서도 항일 조직을 소탕하는 부대인 간도특설대 장교로 근무하였다. 이 경력으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해방 후 귀국하여 1946년 조선해안경비대 장교로 근무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해병대 창설을 주도하여 1949년부터 1953년까지 대한민국 해병대 초대 사령관을 역임하였다. 한국 전쟁 중 인천 상륙 작전과 도솔산 전투 등에서 해병대가 전과를 올리는 데 공을 세웠다.

1961년 해병 중장으로 예편할 때까지 국방부 차관보 등을 역임하였고, 예편 이후에는 초대 모로코 대사와 초대 바티칸 대사, 제5대 세계반공연맹 사무총장을 지냈다. 유해는 국립대전현충원 장군묘역에 묻혔다.

2004년 4월, 해병대 창설 55주년을 기념해 해병대 발전기금으로 1억을 기탁했다. 해병대사령부는 이 기금을 토대로 해병대 발전과 인재 양성을 위한 '신현준 장학회'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11]

유가족으로 장남 신옹목 등 2남 4녀가 있다.[11]

2. 1. 초기 생애와 만주군 복무 (1915년 ~ 1945년)

경상북도 김천군에서 태어나, 1919년 부모를 따라 만주로 이주하여 성장하였다.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1928년 하얼빈의 빈민구제기관인 인화료(仁和療)로 이주하였다. 1932년 하얼빈 보통학교 고등과를 중퇴하고, 만주 파견군 14사단 사령부에서 통역으로 근무하였다.[8] 1934년에는 14사단 작전참모의 권유로 만주군 제5관구 고문부에서, 1935년부터는 만주국군 보병 제34단 본부에서 통역을 담당했다.[8]

1936년 일본이 만주에 세운 봉천군관학교에 입학하여 1937년 졸업하였다. 이후 만주국군 장교로 복무하며, 특히 항일 무장 세력을 소탕하는 간도특설대에서 1938년 12월부터 1943년 4월까지, 그리고 1943년 4월부터 1944년 8월 이전까지 대위로 근무하였다. 1940년에는 우다카와 요시히토(宇田川義人)로 창씨개명하였다.[8] 1944년 8월에는 만주국군 보병 제8단 제6연장(連長 : 중대장)으로 임명되어 팔로군과 교전하였다.[8]

1945년 광복 이후, 박정희, 이주일 등과 함께 베이징에서 광복군 제3지대 핑진(平津)대대에 합류하여 대대장으로 활동하였다.[8] 1946년 귀국하였다.[8]

민족문제연구소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과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9] 간도특설대사회주의 계열 민족 해방세력과 대한독립군단을 토벌하기 위한 특수 목적 부대였다.[9]

2. 2. 해방 후 행적과 대한민국 해병대 창설 (1945년 ~ 1953년)

일제 강점기 만주국 봉천군관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국군 장교로 근무하였다. 해방 후 귀국하여 1946년 조선해안경비대 장교로 근무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해병대 창설을 주도하였다. 1949년부터 1953년까지 대한민국 해병대 초대 사령관을 역임하였다.[10]

1946년 5월 6일 미군 수송선을 타고 부산항에 도착, 봉천군관학교 동기생 정일권의 권유로 해안경비대총사령부 견습사관으로 입대했다. 12월 한국군 중위로 정식 임관했다. 1947년 9월 해병소령으로 진급하면서 동시에 부산기지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948년 5월 조선해안경비대 진해특설기지참모장을 역임했으며, 같은 해 10월 여순사건이 일어나자 해군함정 4척을 이끌고 여수항 일대를 점령한 다음, 해상에서 저항세력을 진압했다.[10]

1949년 4월 15일 약 380명의 병력으로 해병대가 창설될 때 초대 사령관을 맡았다. 당시 계급은 중령이었다. 손원일 제독은 신현준에게 해군 내 지상 전투 부대(육전대) 창설을 명령했고,[2] 그는 대한민국 해병대의 핵심 구성원으로 임명되어 해병대를 창설했다. 신현준은 박정희를 비롯하여, 정일권, 백선엽, 이한림, 김석범, 원용덕, 김창룡 등과 함께 국군 내의 대표적인 만주군 인맥이었다.[10]

한국 전쟁 중 인천 상륙 작전과 도솔산 전투 등에서 해병대가 전과를 올리는 데 공을 세웠고, 1953년 해병대 사령관 임기를 마친 뒤 새로 창설된 해병대 제1여단(현 해병대 제1상륙사단)의 초대 여단장을 맡았다.[1]

2. 3. 군 복무 이후와 사망 (1953년 ~ 2007년)

1953년 해병대 사령관 임기를 마친 뒤 새로 창설된 해병대 제1여단(현 해병대 제1상륙사단)의 초대 여단장을 맡았다. 국방부 차관보를 거친 뒤 1961년 해병 중장으로 예편하였으며, 이후 초대 모로코 대사와 초대 바티칸 대사를 지냈다. 제5대 세계반공연맹 사무총장도 역임했다. 유해는 대전현충원 장군묘역에 묻혔다.[10]

2004년 4월 해병대 창설 55주년을 기념해 해병대 발전기금으로 1억을 기탁했다. 해병대사령부는 이 기금을 토대로 해병대 발전과 인재양성을 위한 '신현준 장학회'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11]

유가족으로 장남 신옹목 등 2남 4녀가 있다.[11] 말년에 그는 플로리다주 니스빌에 살았다. 2007년 10월 14일 플로리다주 니스빌에서 사망하여 대한민국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그는 두 아들 신옹목, 신옹인과 네 딸 세실라 라포레, 신순미, 신순화, 마리아 애봇을 두었다. 신현준의 아내 함해룡은 그보다 6년 앞선 2001년에 사망했다.[3]

3. 논란과 비판

민족문제연구소는 2008년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 군 부문에 신현준을 포함시켰고,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그를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결정했다.[8] 이는 신현준이 일제 강점기 만주국군 장교로 복무했기 때문이다.

1967년 대선을 앞두고 출간된 박영만의 소설 《광복군》은 박정희를 비밀 광복군으로 묘사해 논란이 되었다. 소설에는 박정희와 신현준이 김학규 장군에게 일본군 공격 명령을 받고 1945년 7월 베이징에서 철석부대로 돌아왔다는 내용이 나온다.[16] 그러나 신현준은 광복군 존재를 광복 후 베이징으로 갈 때까지 몰랐고, 보병 8단 시절 광복군과 비밀리에 관련되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증언했다.[12]

3. 1. 친일반민족행위

일제 강점기 만주국으로 유학, 봉천군관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국군 중에서도 항일 조직을 소탕하는 부대인 간도특설대 장교로 근무하였다. 이 경력으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됐다.[8]

1936년 일본이 만주에 세운 봉천군관학교에 입학하였다. 졸업 후에는 만주국군 중에서도 항일 조직인 동북항일연군김일성 부대를 소탕하는 간도특설대 대위로 근무했으며, 이때 중위인 박정희보다 상관으로 같은 부대에 있었다.

1937년 10월부터 박격포중대에서 견습 군관으로 복무한 뒤, 같은 해 12월 보병소위로 임관했다. 이해 말 대각진(大閣鎭) 부근에서 이장명(李長明)이 이끄는 항일 빨치산 부대를 진압하기 위하여 배장(排長 : 소대장)의 한 사람으로 작전에 참가했다. 1938년 4월 제5군관구 제5교됴내 예하 보병 제5사단 제6련에 배치되었다. 1938년 12월 1일부터 제6관구 옌지(연길)지구사령부에 부임해 간도특설대 창설요원으로 활동했다. 일본인 군관 7명, 조선인 위관 9명과 조선인 사관 9명을 먼저 선발하여 같은 해 12월 15일 제1기 지원병 입대식을 열었다. 모두 7기까지 모집한 간도특설대는 총인원 740명 중에서 하사관과 사병 전원, 그리고 군관 절반 이상이 조선인이었다. 간도특설대는 일제의 패망으로 해산할 때까지 동북항일연군과 팔로군을 모두 108차례 공격했다. 이들에게 살해된 항일무장세력과 민간인은 172명에 달했으며, 그 밖에 많은 사람이 체포되거나 강간· 약탈 ·고문을 당하였다.[8]

1940년 우다카와 요시히토(宇田川義人)로 창씨개명하였다. 같은 해 11월 국경사변종기장(國境事變從軍記章)을 받았다. 1941년 3월 중위로 승진하였다. 1943년 4월 간도특설대로 원대복귀하였다. 이후 간도특설대 기박련(機迫連 : 기관총 박격포 중대)에서 백선엽 소위(봉천군교 9기)와 함께 근무했다. 1943년 12월 간도특설대는 중국공산당 산하의 팔로군 토벌작전을 지원하라는 만주국 치안부의 명령을 받고 러허방면으로 출동했다. 1944년 3월 1일 대위로 진급했다. 같은 해 8월 만주국군 보병 제8단 제6연장(連長 : 중대장)으로 임명되었다. 보병 제8단에는 박정희· 이주일 ·방원철 등이 장교로 복무하고 있었다. 신현준이 이끄는 제6련은 팔로군과 교전했다.[8]

만주군 간도특설대 장교 근무 경력으로 인해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군 부문에 포함되었으며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9] 간도특설대는 만주국 북부에 있던 사회주의 계열 민족 해방세력인 팔로군, 동북항일연군, 조선의용대와 만주 북서부에 잔존해 있던 대한독립군단을 토벌하기 위한 특수 목적을 띈 독립군 토벌 부대였다. 간도특설대가 살해한 항일무장세력과 민간인은 172명에 달한다. 강간·약탈·고문을 당한 이들도 적잖다.[9]

3. 2. 박정희 비밀광복군설 관련 논란

1967년 대통령 선거에 맞추어 출간된 소설 《광복군》(저자 박영만)은 박정희를 비밀 광복군으로 묘사하여 논란이 되었다. 이 소설에서 박정희신현준이 광복군 김학규 장군에게서 일본군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받고 1945년 7월에 베이징에서 철석부대로 돌아오는 등 비밀 광복군이었다는 이야기가 등장한다.[16] 그러나 신현준은 광복군의 존재 자체를 광복 후 베이징으로 이동할 때까지 전혀 모르고 있었으며, 보병 8단 시절 광복군과 비밀리에 관련을 맺었다는 것은 사실무근이라고 증언했다.[12] 신현준의 증언은 박정희 비밀광복군설에 대한 중요한 반박 근거로 사용되고 있다.[12]

해방 직후 베이징에는 광복군 출신, 학도병 출신 등 약 400여 명의 조선 청년들이 집결했는데, 만주군 대위 출신인 신현준과 중위 출신인 박정희도 있었다. 임시정부는 이들을 김학규 광복군 3지대장 휘하로 편입시켰고, 신현준과 박정희는 만주군 장교 경력을 인정받아 각각 3지대 1대대장과 2중대장을 맡았다. 이들은 모두 '해방 후 광복군'으로 분류된다.[13]

박정희가 소속된 광복군 부대는 북평잠편지대 혹은 제3지대 주평진대대로 추정되는데, 이 부대는 실제 광복군 부대라기보다 해방 이후 광복군이 세력을 불리기 위해 부대 명칭을 부여한 것으로, 사실상 일종의 포로수용부대였다.[15]

소설 《광복군》의 내용은 육군본부가 발간한 '창군전사'와 장창국이 출간한 '육사 졸업생'에도 등장하며, 박정희를 비밀 광복군으로 묘사하고 있다.[17] 그러나 이는 모두 날조된 것으로, 철석부대 출신인 박창암, 송석하 등은 박정희가 철석부대 근처에도 가본 적이 없다고 증언했다.[17]

광복군 출신인 장준하는 1967년 대선 당시 소설 《광복군》에 대해 "박정희 후보가 광복군이라고 하면서 써놓은 책이 있는데 이것은 전부 다 거짓말이다. 내가 광복군이기 때문에 정확히 안다. 그는 당시에 만주에서 일본군 장교로 있었다"라며 비판했다.[18]

김승곤 전 광복회장은 박영만이 청와대에서 돈을 받을 줄 알고 《광복군》을 썼으나, 박 대통령은 책 내용을 보고 화를 내며 "내가 어디 광복군이냐. 누가 이 따위 책을 쓰라고 했냐"라고 말했고, 결국 박영만은 돈 한 푼 받지 못했다고 증언했다.[19]

이종찬 전 국회의원은 1967~68년 중앙정보부에 《광복군》 책을 모두 거둬들이라는 지시가 내려왔고, 박 대통령은 책 내용에 대해 "이런 거짓말을 해선 안 된다. 해방 후 김학규 광복군 3지대장이 만주에 있던 한국 국적 군인을 모았다. 그때 잠시 구대장으로 사병을 모아 훈련시킨 적이 있다. 이것은 해방 이후로 내가 장준하나 김준엽처럼 일제 때 독립군을 했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그래서 책을 거두어들이라고 했다"라고 말했다고 증언했다.[20]

박정희가 '해방 후 광복군'이 아니라 길거리를 배회하던 그를 체포해서 국내로 송환했다는 자료도 있다. 광복군 출신 이재현은 북평 판사처 주임으로서, 일제 패망 후 박정희가 속한 만주군 8단이 해체되고 베이징에서 배회하던 박정희를 잡아 한국으로 송환한 책임자였다.[21]

4. 상훈

수여 년도훈장비고
1940년 11월종군기장국경 사변[1]
1943년 9월훈팔위경운장[1]
1950년 10월미국 은성훈장(Silver Star Medal)
1951년 8월미국 공훈훈장(Legion of Merit)대장(Commander)
1951년 10월을지무공훈장 금성(Gold Star)
1952년 10월태극무공훈장 은성(Silver Star)
1952년 12월충무무공훈장 금성(Gold Star)
1953년 6월충무무공훈장
1953년 10월태극무공훈장 은성(Silver Star)
1954년 2월미국 공훈훈장(Legion of Merit)대수장(Chief Commander)
1954년 11월을지무공훈장 금성(Gold Star)
1962년 12월충무무공훈장 은성(Silver Star)
1963년 12월외교공로훈장(Diplomatic Service Award)
1964년 1월대수훈장(Great Band)라이베리아 대통령 윌리엄 터브먼
1970년 7월대훈장(Grand Cordon)모로코 국왕 하산 2세
1976년 6월교황 비오 9세 훈장 대십자훈장(Grand Cross of the Order of Pope Pius IX)교황 바오로 6세
1950년실버스타(Silver Star)
1952년금성을지무공훈장
1952년금성충무무공훈장
1952년 10월 26일은성태극무공훈장
1953년 10월 15일은성태극무공훈장
1953년은성충무무공훈장
1953년무성을지무공훈장


5. 학력

참조

[1] 저널 General Shin Hyun-joon: Father of the Marine Corps http://icks.org/n/da[...] 2017
[2] 저널 The Ghost Catching Marines: The ROKMC Before the Inchon Landing https://web.archive.[...] 2018-08-05
[3] 뉴스 Hyun-Joon Shin, 1915–2007 https://www.legacy.c[...]
[4] 웹사이트 日韓水面下の怪物、崔書勉の現代史秘話(月刊朝鮮2002年6月記事より。Vladimir訳) http://www.pyongyang[...] 2013-05-16
[5] 웹사이트 【噴水台】朴正煕の顔 https://japanese.joi[...] 2013-05-16
[6] 기타
[7] 기타
[8] 저널 <김관후의 4·3칼럼> (56) ‘귀신 잡는 해병’ 창설의 주역 친일군 출신 신현준 http://www.jejusori.[...] 제주의소리 2015-12-07
[9] 저널 일본군 장교 되어 독립군 토벌했는데, 독립유공자 묘역 옆에 잠들다니…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9-07-30
[10] 뉴스 일제괴뢰 만주국서 끈끈한 '군맥' 다져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6-08-07
[11] 뉴스 신현준 해병대 초대사령관 별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10-15
[12] 뉴스 한홍구의 역사이야기/ 기회주의 청년 박정희! - 만주군관학교-광복군-남로당-숙군 협조, 양지만을 좇은 그의 끝없는 변신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http://h21.hani.co.k[...] 한겨레21 2002-10-23
[13] 저널 [정정당담]잘못된 독립유공 포상 사례 셋 http://www.idomin.co[...] 경남도민일보 2018-10-22
[14] 저널 ‘ 짝퉁 광복군 ’ 수두룩하다 https://news.naver.c[...] 한겨레21 2005-06-24
[15] 저널 기회주의 청년 박정희! https://news.naver.c[...] 한겨레21 2002-10-23
[16] 저널 "조선인부대 말만 믿고 입대…민간인 학살說은 사실무근"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06-08-08
[17] 저널 중위 진급 한달 뒤 일제패망에 낙담 해방 이듬해 패잔병 몰골 귀국선 타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04-08-24
[18] 저널 "박정희 비밀광복군?…허무맹랑한 소설 이야기"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15-10-23
[19] 저널 만주군 중위 박정희, '비밀광복군' 둔갑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06-08-10
[20] 저널 [원희복의 인물탐구]임정기념관건립위원장 이종찬 “이승만부터 김원봉까지 다 아우르겠다”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8-03-18
[21] 저널 박정희 광복군편입은 허위날조 https://web.archive.[...] 김홍신 홈페이지 2019-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