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창》은 1954년 개봉한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스릴러 영화이다. 사진작가 제프리가 다리 부상으로 깁스를 하고 휠체어를 타게 되면서, 창밖 이웃들을 관찰하던 중 살인 사건을 의심하게 되는 이야기를 그린다. 제임스 스튜어트, 그레이스 켈리, 텔마 리터 등이 출연하며, 관음증과 제한된 시점을 활용한 영화 기법으로 유명하다.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았으며, 미국 국립영화등기부에 등재되는 등 영화 역사상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드거상 - 펄프 픽션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1994년 미국 범죄 영화 《펄프 픽션》은 비선형적 서사 구조와 얽히고설킨 세 가지 이야기, 독특한 순환 구조를 통해 폭력, 운명, 자유 의지, 구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영화계와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영화 각본상 - 펄프 픽션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1994년 미국 범죄 영화 《펄프 픽션》은 비선형적 서사 구조와 얽히고설킨 세 가지 이야기, 독특한 순환 구조를 통해 폭력, 운명, 자유 의지, 구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영화계와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영화 각본상 - 아카데미 각본상
아카데미 각본상은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영화 각본의 업적을 기리는 상으로, 원작 및 각색으로 나뉘어 시상되며 독창성을 중시하고, 우디 앨런이 최다 후보 지명 및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성과 포용성을 반영하는 추세이다. - 사진가를 소재로 한 영화 - 셔터 (2004년 영화)
셔터는 2004년 태국 공포 영화로, 사진작가 턴이 자동차 사고 후 겪는 초자연적인 현상과 과거의 비밀을 다루며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 사진가를 소재로 한 영화 - 겟 아웃
겟 아웃은 조던 필 감독의 2017년 공포 영화로, 흑인 남자가 백인 여자친구의 가족을 만나면서 겪는 기괴한 사건들을 통해 인종차별과 백인 자유주의의 위선을 비판하며 아카데미 각본상을 수상했다.
이창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Rear Window |
감독 | 앨프리드 히치콕 |
제작 | 앨프리드 히치콕 |
각본 | 존 마이클 헤이스 |
원작 | 코넬 울리치 |
출연 | 제임스 스튜어트 그레이스 켈리 웬델 코리 델마 리터 레이먼드 버 |
음악 | 프란츠 왁스만 |
촬영 | 로버트 버크스 |
편집 | 조지 토마시니 |
제작사 | Patron Inc. |
배급사 | 파라마운트 영화 |
개봉일 | 미국: 1954년 8월 4일 (뉴욕 시티), 1954년 9월 1일 (미국) 일본: 1955년 1월 14일 대한민국: 1957년 2월 24일 |
상영 시간 | 111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100만 달러 |
흥행 수익 | 세계: 3703만 4514달러 일본: 1억 4219만 엔 |
기타 | |
로튼 토마토 | 로튼 토마토 |
국립 영화 등록부 | 미국 국회도서관 |
관련 정보 | |
기반 작품 | '살인이 있었다' (1942년, Dime Detective 수록) |
2. 줄거리
사진작가 제프리는 카레이싱 촬영 중 다리가 부러져 깁스를 하고 휠체어 신세가 된다. 그는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창밖의 이웃들을 훔쳐보기 시작한다. 신혼부부, 외로운 노처녀, 병든 아내와 남편 등 다양한 이웃들의 모습을 관찰하던 중, 제프리는 외판원 토르발트의 수상한 행동을 포착한다.
새벽에 토르발트가 큰 가방을 들고 세 번이나 나갔다 들어오는 것을 목격한 제프리는 그가 아내를 살해했을 것이라고 의심한다. 제프리는 애인 리사와 간호사 스텔라의 도움을 받아 증거를 찾기 위해 노력한다. 형사 친구 도일은 제프리의 말을 믿지 않지만, 제프리는 토르발트가 아내를 살해했다는 확신을 굳힌다.
리사와 스텔라도 점차 제프리의 의심에 동조하게 되고, 세 사람은 토르발트의 범행을 밝혀내기 위해 힘을 합친다. 제프리는 토르발트를 밖으로 유인하기 위해 협박 편지를 보내고, 리사는 토르발트의 집에 몰래 들어가 증거를 찾으려 한다. 그러나 토르발트가 갑자기 돌아와 리사와 마주치게 되고, 제프리는 경찰에 신고한다.
경찰이 도착하여 리사는 무사히 빠져나오지만, 토르발트는 제프리가 자신을 감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토르발트는 제프리의 집에 찾아가 그를 공격하고, 제프리는 카메라 플래시를 터뜨려 저항한다. 결국 경찰이 토르발트를 체포하고, 토르발트는 범행을 자백한다.
이 사건을 통해 제프리는 리사의 소중함을 깨닫고, 두 사람은 더욱 깊은 관계로 발전한다.
3. 등장인물
역할 배우 설명 L. B. 제프리스 제임스 스튜어트 사진작가. 촬영 중 다리가 부러져 휠체어에 갇힌 채 이웃들을 훔쳐보며 시간을 보낸다. 리사 캐럴 프리몬트 그레이스 켈리 제프리의 여자친구. 사교계 명사이자 패션 모델로, 제프리를 돕기 위해 위험을 무릅쓴다. 스텔라 텔마 리터 거동이 불편한 제프리를 돌보는 간호사. 처음에는 제프리의 훔쳐보기를 못마땅하게 여기지만, 사건에 함께 휘말리게 된다. 토머스 J. 도일 웬델 코리 제프리의 친구이자 형사. 제프리의 의심을 처음에는 믿지 않지만, 결국 사건 해결에 도움을 준다. 라스 토르발트 레이먼드 버 병든 아내와 함께 사는 외판원. 아내를 살해한 혐의를 받는다. 안나 토르발트 아이린 윈스턴 라스 토르발트의 아내 미스 고독 주디스 에블린 혼자서 쓸쓸함을 이겨내려는 외로운 노처녀 미스 토르소 고진 다시 금발의 젊은 발레리나 토르발트 집 위층 부부 프랑크 카디와 세라 버너 강아지를 키우는 부부 신혼 부부 랜드 하퍼와 하비스 다벤포트 신혼 부부 작곡가 로스 배그더세리언 아파트에 살면서 곡을 쓰는 음악가 조각가 제슬린 팩스 조각가 히치콕 앨프리드 히치콕 작곡가의 조수 (카메오)
주요 등장인물 외, 해리 랜더스, 랄프 스마일즈, 프레드 그레이엄, 에디 파커, 앤서니 워드, 캐서린 그랜트, 말라 잉글리시, 베스 플라워스, 베니 바틀렛, 딕 시몬스 등이 단역으로 출연했다.[8]
3. 1. 주요 인물
3. 2. 주변 인물
4. 제작
이 영화는 파라마운트 픽처스에서 제작되었다. 촬영은 파라마운트의 17번 스튜디오에서 4-perf 35mm 테크니컬러를 사용하여 진행되었다.[64]
의상은 에디스 헤드가 담당했다. 히치콕은 파라마운트에서 영화를 제작할 때 주로 에디스 헤드에게 의상을 맡겼으며, 히치콕이 영화 제작을 그만둘 때까지 여자 주인공의 의상과 머리를 담당했다. 히치콕은 켈리의 납작한 가슴을 가리기 위해 에디스 헤드에게 옷에 주름을 잡는 방법을 제안하기도 했다.
음악은 프란츠 왁스만이 담당했다. 작곡가로 등장한 로스 배그더세리언은 실제로 작곡가이다. 영화는 배경 음악 없이 작곡가의 집이나 라디오에서 나오는 음악만으로 구성되었다.[66]
영화는 스튜디오에 31채의 아파트 세트를 만들어 촬영되었는데, 이 중 12채는 가구가 완비되었다. 스튜디오 천장 때문에 아파트를 높이 올릴 수 없어, 스튜디오 바닥을 파내고 지하에 1층과 안뜰을 만들었다.
존 마이클 헤이즈가 각본을 쓴 이 영화는 코넬 울리치의 1942년 단편 소설 "It Had to Be Murder"(원제: After-Dinner Story)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15] 1990년 울리치의 원작 소설에 대한 영화 판권 소유권을 놓고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스튜어트 대 아벤트(Stewart v. Abend)》 사건이 진행되었다.
영화는 파라마운트 스튜디오의 17번 스테이지에서 전부 촬영되었는데, 그리니치 빌리지의 안뜰을 재현한 거대한 실내 세트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세트는 지하 창고 바닥부터 천장의 조명 설비까지 뻗어 있었다.[16] 조명은 아침, 오후, 저녁, 야간의 네 가지 교체 가능한 장면 조명 배치로 설치되었다. 세트 디자이너 할 페레이라와 조셉 맥밀런 존슨은 6주 동안 매우 정교하고 복잡한 세트를 건설했는데, 이 세트는 결국 파라마운트에서 가장 큰 세트가 되었다. 세트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영화의 비 장면을 위해 건설된 대규모 배수 시스템이었다. 또한 낮과 밤 장면 모두에 대해 자연스러운 조명 효과를 만들 수 있는 매우 정교한 조명 시스템을 중심으로 세트를 건설했다. 영화에서 제시된 주소는 뉴욕 그리니치 빌리지의 웨스트 9번가 125번지이지만, 실제 세트는 크리스토퍼 스트리트 125번지에 있는 실제 안뜰을 기반으로 했다.[17]
세트에 대한 정교한 배려와 세부 사항 외에도 자연스러운 소리와 음악을 사용하여 안뜰을 가로질러 제프리스의 아파트로 흘러들어가는 사운드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빙 크로스비의 목소리가 1952년 파라마운트 영화 《발리로 가는 길》에서 나온 "To See You Is to Love You"를 부르는 소리가 들리기도 한다. 또한 사운드트랙에는 1950년대 초에 냇 킹 콜이 대중화한 노래("모나리자"), 1952년 딘 마틴이 부른 "사랑스러워", 레너드 번스타인이 제롬 로빈스의 발레 《판시 프리》(1944)를 위해 작곡한 음악, 리처드 로저스의 노래 "연인"(1932), 프리드리히 폰 플로토의 오페라 《마르타》(1844)의 "M'appari tutt'amor" 등의 부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대부분 파라마운트의 음악 출판사인 페이머스 뮤직에서 가져온 것이다.
할리우드의 베테랑 작곡가 프란츠 왁스만이 영화 음악을 담당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그의 기여는 오프닝과 엔딩 타이틀, 그리고 피아노곡("Lisa")에 국한되었다. 이것은 히치콕과 함께한 왁스만의 마지막 음악 작업이었다. 감독은 영화 전반에 걸쳐 주로 "화면 내" 사운드—등장인물들의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사용했다.[18]
5. 영화적 기법
- 카메라는 극 중 거의 전편에 걸쳐 제프의 방을 벗어나지 않는다.[60] 구명보트와 로프에서처럼 히치콕은 무대극같이 장소를 제한한 서스펜스 영화에 도전했다. 전 2작품에서는 반드시 성공했다고는 할 수 없었지만, 이 영화에서는 그 반성을 거울삼아 전편에 걸쳐 긴장감이 지속되는 상질의 서스펜스로 완성되어 있다.
- 주인공 제프가 창문에서 추락하는 장면은 스턴트맨을 사용하지 않고 제임스 스튜어트 본인이 연기했지만, 실제로 추락한 것은 아니고, 블루 마스크 합성을 이용한 특수 촬영이다. 이 촬영 기법은 훗날 현기증에서도 사용되었다.
- 이 영화는 주인공과 그의 방 창문에서 보이는 아파트 주민들의 생활 풍경을 전원이 일제히 연기하고, 일련의 흐름 속에서 촬영해야 했다. 그래서 실제 아파트를 빌려 로케이션하는 것이 아니라 "전편 스튜디오 세트 촬영"이라는 방법을 채택했다. 따라서 창밖에 펼쳐지는 이웃 아파트들과의 거리, 보이는 각도, 차도를 통과하는 자동차의 종류, 대수, 타이밍 등 모든 것이 완벽하게 계산되었으며, 히치콕 작품 중에서도 특히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 쓴 작품이다.
- 작중 제프가 사는 아파트의 주소는 뉴욕시 그리니치 빌리지 서쪽 9번가 125번지로 되어 있지만, 서쪽 9번가에 125번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스튜디오에 재현된 중정은 크리스토퍼 스트리트 125번지 등의 뒤편에 펼쳐진 중정(크리스토퍼 스트리트, 허드슨 스트리트, 서쪽 10번가에 둘러싸여 있다)을 베이스로 한 것이며, 실제 중정의 경관은 지금도 거의 변하지 않았다.
- 히치콕의 다른 작품과 마찬가지 패턴이 곳곳에서 보인다.
- * 금발의 활동적인 히로인
- * 체제측의 무이해(이 작품에서도 형사는 마지막 장면까지 거의 도움을 주지 않는다)
- * 코미디 릴리프가 되는 노부인(여기서는 리터가 연기하는 스텔라)
- * 마지막 액션 전에 맥거핀(여기서는 여성이 사라진 이유)을 명확히 하고 액션에 관객을 집중시키는 구성 등
- 히치콕은 옆 건물 옥상층에 있는 작곡가의 방에 등장하여 피아노 옆에서 시계 태엽을 감고 있다.
5. 1. 관음증
영화는 주인공 제프가 창밖으로 이웃들을 관찰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극 중 거의 모든 장면은 제프의 방 안에서 촬영되었으며, 이는 히치콕 감독이 《구명보트》, 《로프》와 같은 이전 작품에서 시도했던 제한된 공간에서의 서스펜스 연출 기법을 발전시킨 것이다.[60]히치콕은 관객이 제프의 시선을 따라 이웃들을 훔쳐보도록 유도하며, 관음증의 어두운 면과 그로 인한 도덕적 문제를 제기한다. 제프가 창문에서 추락하는 장면은 스턴트맨 없이 배우 제임스 스튜어트가 직접 연기했으며, 블루 마스크 합성 기법을 사용한 특수 촬영으로 완성되었다. 이 기법은 훗날 《현기증》에서도 활용되었다.
5. 2. 맥거핀
영화 초반부에 중요한 역할인 듯했다가 관객으로 하여금 헛다리 짚도록 만드는 장치인 맥거핀이 등장한다. 앨프리드 히치콕은 프랑수아 트뤼포의 책 《히치콕과의 대화》에서 맥거핀을 영화 초반부에 중요한 것처럼 등장해 관객의 기대 심리를 자극하다가, 사건의 전말이 확고해질 무렵 슬쩍 사라져버리는 서사적 장치라고 설명했다. 영화에서는 강아지가 자꾸 파헤치는 화단이 맥거핀으로 작동한다. 화단 주위를 얼쩡거리는 강아지에게 토르발트가 신경질적으로 화내는 모습을 보며 관객은 그 화단 밑에 아내의 시체가 파묻혀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심을 품게 된다. 제프리와 리사, 스텔라 역시 화단에 지속적인 관심을 표하면서 관객의 이러한 의심을 부추긴다. 마치 화단에 결정적 단서가 숨겨져 있는 것처럼 관객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하지만 리사와 스텔라가 직접 가서 파 보았지만, 화단 아래에는 아무것도 묻혀있지 않았다. 이처럼 맥거핀은 그 실체가 아니라 관객을 영화 속 이야기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도록 만듦으로써 긴장감, 서스펜스를 배가시킨다.[18]5. 3. 제한된 시점
영화는 거의 전적으로 제프의 방에서 창밖을 통해 사건을 바라보는 시점으로 진행된다.[60] 이러한 제한된 시점은 관객에게 정보를 제한적으로 제공하여 궁금증을 유발하고, 긴장감을 높이는 효과를 낸다. 이는 히치콕이 《구명보트》, 《로프》에서도 시도했던 방식이며, 이 영화에서는 그러한 시도가 성공하여 긴장감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6. 평가 및 영향
개봉 당시 이창은 비평가들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뉴욕 타임스의 보슬리 크로워는 "긴장감 넘치고 흥미진진한 작품"이라 평하며, 히치콕 감독이 "최대한의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관객을 즐겁게 하며 흥미를 유발한다"고 언급했다.[19] 버라이어티는 "알프레드 히치콕의 더 나은 스릴러 중 하나"로 칭하며, "기술적, 예술적 기술을 결합하여 이례적으로 훌륭한 살인 미스터리 오락물을 만들어낸다"고 평가했다.[22] 타임은 "아마도 알프레드 히치콕이 만든 두 번째로 재미있는 영화(39계단 다음)"라고 평했다.[24] 해리슨 리포트는 이 영화를 "일급 스릴러"라고 평가했다.[25]
시간이 흘러도 이창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높다. 1983년 로저 에버트는 이 영화가 "처음부터 끝까지 깔끔하고 복잡하지 않은 줄기를 이어나가기 때문에 우리는 쉽게 영화 속으로 빨려든다"고 평했다.[26] 빈센트 캔비는 "다른 동등하게 뛰어난 히치콕 작품을 넘어서는 이 영화의 매력은 여전히 줄어들지 않고 있다"고 썼다.[27]
리뷰 종합 사이트인 로튼 토마토에서는 130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98%의 신선도를 기록하며, 평균 평점 9.30/10점을 받았다. 평론가들은 "히치콕은 이 걸작에서 서스펜스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4] 메타크리틱에서는 18명의 평론가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100점을 받아 "만장일치 찬사"를 받았다.[28]
이창은 현재 영화 역사상 최고의 작품 중 하나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7. 수상
연도 | 주최국 | 주관 | 수상 부문 | 수상자 | 수상 여부 |
---|---|---|---|---|---|
1954 | 이탈리아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황금사자상 | 앨프리드 히치콕 | X |
1954 | 미국 | 뉴욕 비평가 협회 | 여우주연상 | 그레이스 켈리 | O |
감독상 | 앨프리드 히치콕 | X | |||
감독상 | 앨프리드 히치콕 | X | |||
각본상 | 존 마이클 헤이스 | X | |||
컬러촬영상 | 로버트 버크스 | X | |||
1955 | 음향녹음상 | 로렌 L. 라이더 | X | ||
1955 | 영국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작품상 | 앨프리드 히치콕 | X |
1955 | 미국 | 에드거 앨런 포 상 | 최우수 영화 각본상 | 존 마이클 헤이스 | O |
8. 한국 관련 정보
이창은 미국에서 제작되었지만, 한국 영화 추격자와 숨바꼭질에 영향을 주었다.[19][20][21][62][63] 또한, KBS 1TV에서 '추석특선영화'로 방영되었고,[20] 케이블 채널 등에서 여러 차례 재방영되었다. 2012년에는 '히치콕 특별전'을 통해 극장에서 다시 개봉되기도 했다.
8. 1. 한국 방영
1986년 10월 19일, KBS 1TV에서 '추석특선영화'로 방영되었다.[20] 이후 케이블 채널 등에서 여러 차례 재방영되었다. 2012년에는 '히치콕 특별전'을 통해 극장에서 다시 개봉되었다.8. 2. 한국어 더빙
Rear Window영어는 대한민국에서 KBS, MBC, SBS 등에서 여러 차례 더빙 방영되었다. 제임스 스튜어트 역은 주로 오세홍 성우가, 그레이스 켈리 역은 송도영 성우가 맡았다. 2012년 발매된 블루레이에는 새로운 더빙 버전이 수록되었다.[50]8. 3. 한국 영화에 미친 영향
2008년 개봉한 한국 영화 추격자와 2013년 개봉한 숨바꼭질은 <이창>의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19][20][21][62][63]
9. 논란
《이창》은 저작권 문제와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9. 1. 저작권 문제
《이창》은 윌리엄 아이리시의 소설 《아마도 살인이 벌어졌다》를 원작으로 하여 제작되었는데, 영화 제작 과정에서 저작권을 침해하여 미국 대법원은 저작권자에게 영화 수익의 일정 부분을 배상하라고 판결하였다.[67] 저작권자는 1972년 단 650USD에 권리를 샀지만, 당시 벌어들인 수익은 1200만달러에 이르렀다.[67]9. 2. 디스터비아와의 비교
샤이아 러버프 주연의 2007년 영화 《디스터비아》는 《이창》과 스토리 구성 및 소재가 매우 유사하다. 《디스터비아》의 제작사 드림웍스는 영화화 판권을 구매하지 않고 제작했다는 이유로 원작자에게 소송을 당했다.[68] 그러나 뉴욕지방법원은 원작과 다른 독창적인 세부 줄거리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들어 원작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았다고 판결했다.[69]참조
[1]
서적
Alfred Hitchcock: A Life in Darkness and Light
Wiley
2003
[2]
뉴스
When Hitchcock Banned Audiences from Seeing His Movies
https://www.mentalfl[...]
2020-09-09
[3]
웹사이트
Rear Window (1954)
http://www.boxoffice[...]
Box Office Mojo
2012-04-12
[4]
웹사이트
Rear Window (1954)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19-08-13
[5]
웹사이트
Complete National Film Registry Listing
https://www.loc.gov/[...]
2020-05-08
[6]
웹사이트
New to the National Film Registry (December 1997) - Library of Congress Information Bulletin
https://www.loc.gov/[...]
2020-08-06
[7]
웹사이트
https://www.usinflat[...]
2024-08
[8]
AFI film
Rear Window
[9]
논문
Visual Pleasure and Narrative Cinema
https://academic.oup[...]
1975
[10]
서적
The Films in My Life
Diversion Books
[11]
서적
Hitchcock and Poe: the Legacy of Delight and Terror
The Scarecrow Press, Inc.
[12]
서적
The Art of Alfred Hitchcock: Fifty Years of His Motion Pictures
https://archive.org/[...]
Doubleday & Company, Inc.
[13]
서적
Alfred Hitchcock's 'Rear Window'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Hitchcock's Films Revisited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5]
미국 대법원 판례
[16]
비디오
Rear Window Ethics
[17]
웹사이트
The Greenwich Village Building With a Starring Role in Hitchcock's Rear Window
https://www.villagep[...]
2024-04-29
[18]
비디오
DVD documentary
[19]
뉴스
A 'Rear Window' View Seen at the Rivoli
https://www.nytimes.[...]
1954-08-05
[20]
웹사이트
Statement by the President on the fund-raising campaign of the American–Korean Foundation
http://www.presidenc[...]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21]
뉴스
1954 Boxoffice Champs
https://archive.org/[...]
2020-09-13
[22]
뉴스
Film Reviews: Rear Window
https://archive.org/[...]
2020-09-13
[23]
웹사이트
Cahiers du Cinema: Top Ten Lists 1951-2009
http://alumnus.calte[...]
2017-12-17
[24]
잡지
Cinema: The New Pictures
http://content.time.[...]
2020-09-13
[25]
뉴스
'Rear Window' with James Stewart, Grace Kelly, and Thelma Ritter
https://archive.org/[...]
2020-09-13
[26]
뉴스
Rear Window (1954)
https://www.rogerebe[...]
2020-09-13
[27]
웹사이트
'Rear Window' - Still a joy
https://archive.nyti[...]
1983-10-09
[28]
웹사이트
Rear Window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19-06-10
[29]
웹사이트
My favourite Hitchcock: Rear Window
https://www.theguard[...]
2012-07-25
[30]
웹사이트
Top 100 Films (Readers)
http://www.filmsite.[...]
American Movie Classics Company
2010-08-17
[31]
웹사이트
Critics' Top 100
http://www.bfi.org.u[...]
British Film Institute
[32]
웹사이트
Directors' Top 100
https://www.bfi.org.[...]
British Film Institute
[33]
웹사이트
The Greatest Films of All Time
https://www.bfi.org.[...]
[34]
웹사이트
The 100 Greatest Movies
https://www.empireon[...]
2018-03-20
[35]
웹사이트
The 100 best thriller films of all time
https://www.timeout.[...]
2022-03-23
[36]
서적
Getting It Right: Robert Harris on Colour Restoration
Film History
[37]
웹사이트
AFI 100 Years...100 Movies
https://www.afi.com/[...]
[38]
웹사이트
American Film Institute's 100 Years, 100 Thrills (winners)
http://www.afi.com/1[...]
[39]
웹사이트
AFI 100 Years...100 Movies
https://web.archive.[...]
2021-07-14
[40]
웹사이트
AFI's 10 Top 10
http://www.afi.com/1[...]
American Film Institute
2016-08-23
[41]
잡지
Hi, Mom!
https://www.newyorke[...]
2024-02-19
[42]
뉴스
'Sisters' Isn't 'Psycho,' but It's a Lacerating Spin on Hitchcock
https://www.nytimes.[...]
2024-02-19
[43]
웹사이트
How Alfred Hitchcock influenced Brian De Palma
https://faroutmagazi[...]
2022-08-13
[44]
뉴스
Spielberg ripped off Hitchcock Classic
https://www.reuters.[...]
2008-09-08
[45]
뉴스
2nd UPDATE: Trust Files Copyright Lawsuit Over ''Disturbia''
https://money.cnn.co[...]
2008-09-08
[46]
뉴스
Rear Window copyright claim rejected
https://www.bbc.co.u[...]
2010-09-22
[47]
사진
''Vanity Fair'' photograph
https://media.vanity[...]
[48]
웹사이트
Taylor Swift's "Me!" Music Video Includes Quite a Few Nods to Iconic Movies
https://www.popsugar[...]
2019-04-26
[49]
웹사이트
Taylor Swift Talks Cinematic Influences, Metaphorical Scarf At Toronto Film Fest
https://www.stereogu[...]
2022-09-10
[50]
보도자료
From Universal Studios Home Entertainment: Alfred Hitchcock: The Masterpiece Collection
https://www.prnewswi[...]
2020-09-13
[51]
웹사이트
Rear Window Blu-ray
https://www.blu-ray.[...]
2020-09-13
[52]
웹사이트
Rear Window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21-02-03
[53]
서적
キネマ旬報ベスト・テン85回全史 1924-2011
キネマ旬報社
2012-01-01
[54]
뉴스
裏窓[吹]機内上映版
https://www.star-ch.[...]
2024-12-01
[55]
웹사이트
鈴木 弘子 -主な出演作品-
https://www.kenprodu[...]
賢プロダクション
2022-06-28
[56]
문서
クレジットなし
[57]
잡지
映画解説 今月のプログラムから
JAL
1984-08-01
[58]
웹사이트
Rear Window (1954)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2021-02-03
[59]
웹사이트
Rear Window Reviews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21-02-03
[60]
문서
終盤、ジェフが窓から落下したあとに短時間のみ屋外でのシーンがある。
[61]
뉴스
Rear Window Review {{!}} TV Reviews and News
http://www.ew.com/ew[...]
2021-02-03
[62]
뉴스
ヒッチコック監督「裏窓」が舞台化!主演はケビン・ベーコン
https://eiga.com/new[...]
2015-08-28
[63]
뉴스
ケヴィン・ベーコン主演の舞台版「裏窓」ヒロイン決定
https://www.cinemato[...]
2015-10-05
[64]
웹사이트
Rear Window
https://www.imdb.com[...]
[65]
웹인용
Rear Window Movie Reviews, Pictures – Rotten Tomatoes
http://www.rottentom[...]
로튼 토마토
2012-12-04
[66]
문서
DVD documentary
[67]
뉴스
http://query.nytimes[...]
뉴욕타임즈
1990-04-25
[68]
웹인용
한국일보 2008년 9월 10일자, 인터넷판 기준
https://web.archive.[...]
2011-06-28
[69]
뉴스
http://www.bbc.co.uk[...]
BBC News
2010-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