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촌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촌동은 한강대교 북쪽에 위치한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행정동으로, 한강변의 모래벌판에서 유래하여 일제강점기에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현재 이촌1동과 이촌2동으로 나뉘며, 이촌1동은 "리틀 도쿄"라는 별칭으로 불릴 만큼 많은 일본인과 외국인 주민이 거주하는 고급 주거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이촌동에는 국립중앙박물관, 용산가족공원, 전쟁기념관 등 주요 시설이 있으며, 이촌역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용산구의 법정동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 서울 용산구의 법정동 - 효창동
    효창동은 조선시대 왕실 묘역인 효창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현재는 효창공원과 효창운동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백범 김구 선생을 기리는 백범기념관과 효창종합사회복지관 등도 위치해 있다.
  • 서울 용산구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 서울 용산구의 행정 구역 - 효창동
    효창동은 조선시대 왕실 묘역인 효창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현재는 효창공원과 효창운동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백범 김구 선생을 기리는 백범기념관과 효창종합사회복지관 등도 위치해 있다.
  • 1936년 폐지 - 청운동
    청운동은 청풍계와 백운동에서 유래된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행정 구역으로, 조선 초기에는 한성부 북부 지역이었으며, 서울청운초등학교, 청와대, 경복궁 등을 포함하고 최규식 경무관 동상 등의 기념물과 장의문이 위치해 있다.
  • 1936년 폐지 - 혜화동
    혜화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중부 동쪽에 위치한 행정동이자 법정동으로,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동부 숭신방, 일제강점기에는 경성부 혜화정으로 불렸으며, 해방 이후 혜화동으로 복구되어 2012년 명륜3가동과 합동되었고, 북쪽과 동쪽으로는 성북구와 경계를 이루며 여러 교육기관과 문화시설이 위치해 있다.
이촌동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이촌동 용산구 지도
이촌동 용산구 지도
기본 정보
한글이촌동
한자二村洞
로마자 표기Ichon-dong
매큔-라이샤워 표기Ich'on-tong
행정 구역
국가대한민국
지역서울특별시
자치구용산구
하위 행정 구역이촌제1동
이촌제2동
면적
전체 면적4.08 km²
인구 정보
전체 인구32941 명
인구 조사 기준2023년 8월 말
이촌제1동 정보
이촌제1동 주민센터
이촌제1동 주민센터
한자 표기二村第1洞
영문 표기Ichon 1(il)-dong
면적2.86 km²
세대10,013
세대 조사 기준2017년 6월 30일
인구25,613 명
인구 조사 기준2022년 8월
법정동이촌동
33
250
동주민센터 주소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71길 24
홈페이지용산구 이촌제1동 주민센터
이촌제2동 정보
이촌제2동 주민센터
이촌제2동 주민센터
한자 표기二村第2洞
영문 표기Ichon 2(i)-dong
면적1.22 km²
세대3,858
세대 조사 기준2017년 6월 30일
인구8,173 명
인구 조사 기준2022년 8월
법정동이촌동
14
96
동주민센터 주소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18길 20
홈페이지용산구 이촌제2동 주민센터

2. 역사

한강대교 북쪽, 한강변 좌우에 위치한 이촌동은 조선시대 말까지도 대부분 모래벌판이었다. 여름철 잦은 홍수로 인해 강 가운데 섬 주민들이 강변으로 이주하면서 '옮겨온 마을'이라는 뜻의 '''이촌동'''(移村洞)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후 일제강점기한자 표기가 이촌동(二村洞)으로 변경되었다.[6] 이촌동은 조선시대부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오늘에 이른다.

2. 1. 조선 시대 및 대한제국

이촌동은 한강대교 북쪽, 한강변 좌우에 자리 잡고 있으며, 조선시대 말까지도 대부분 모래벌판이었다. 여름에 큰 장마가 지면 강 가운데 섬에 살던 사람들이 홍수를 피해 강변으로 옮겨오면서 '옮겨온 마을'이라는 뜻의 '''이촌동'''(移村洞)이라 불리게 되었다.[6] 이후 일제강점기한자 표기가 이촌동(二村洞)으로 변경되었다.

조선시대 초기에 이 지역은 한성부 성저십리에 속했다. 1751년 (영조 27년)에는 한성부 서부 용산방(성외)의 사촌리계와 신촌리계로 편제되었다. 대한제국 시기인 갑오개혁 때는 행정 구역 개편을 통해 서서(西署) 용산방(성외) 사촌리계의 사촌리와 신촌리계의 신촌동으로 나뉘었다.[6]

2. 2. 일제강점기

조선시대 말까지 한강변 모래벌판이었던 이 지역은 여름철 홍수를 피해 주민들이 옮겨와 살면서 '옮길 이(移)' 자를 써서 이촌동(移村洞)이라 불렸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면서 '두 이(二)' 자를 쓰는 이촌동(二村洞)으로 한자 표기가 바뀌었다.

1910년 한일강제병합 이후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졌다. 1911년 1월 4일, 일제는 이촌동 지역 중 신촌리를 경기도 경성부 한지면으로 편입시키고, 나머지 지역은 용산면에 소속시켰다. 이후 1913년 12월 11일에는 경성부 서부에 편입되었고[14], 1914년 4월 1일 부로 경성부 이촌동이 되었다.[15]

1936년에는 일제에 의해 이촌정(二村町)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1943년 6월 10일에는 신설된 용산구에 편입되었다. 광복 후인 1946년 10월 1일, 일제식 동명을 정리하면서 다시 이촌동이라는 이름을 되찾아 오늘에 이른다.[16]

2. 3. 광복 이후

1946년 10월 1일, 일제식 동 이름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이촌동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른다.[16] 광복 이후 행정 구역 관할에도 변화가 있었다. 1947년 말에는 한강로1가동회에서 이촌동 전 지역의 행정을 담당했으며, 1955년 4월 18일부터는 한강로2가 1동사무소에서 한강로2가 일부, 용산동5가와 함께 이촌동의 행정을 맡게 되었다.[17] 현재 이촌동은 크게 이촌1동(동부이촌동)과 이촌2동(서부이촌동)으로 나뉜다.

1970년대에는 정부 주도의 개발 정책에 따라 이촌동 지역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는 등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한편,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이촌1동(동부이촌동)을 중심으로 일본 기업 주재원이나 주한일본대사관 직원 및 가족들이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1천 명이 넘는 일본인이 사는 "리틀 도쿄"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7]

3. 지리적 특징 및 기후

(내용 없음)

3. 1. 지리적 특징

이촌동은 이촌1동(옛 동부이촌동)과 이촌2동(옛 서부이촌동)으로 나뉜다.[6]

이촌1동은 고가 부동산이 많아 부유층 거주 지역으로 인식되며, 일본인을 비롯한 외국인 주민이 많이 거주한다.[7] 인근 용산기지의 영향으로 미국인 거주자도 상당수 있다. 이촌2동은 이촌1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발이 덜 되었으나, 서울특별시가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 등을 통해 개발을 추진해왔다.[1][2]

이촌동의 기후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냉대 동계 건조 기후(계절풍 기후, Dwa)에 속한다. 연평균 기온은 11.9°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346mm 정도로 여름철에 집중되는 특징을 보인다.[3]

3. 2. 기후

이촌동의 기후는 춥고 온화하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이촌동은 계절풍 기후(Dwa)로 분류된다. 연평균 기온은 11.9°C이며, 연간 강수량은 1346mm 정도로, 대부분 여름에 집중된다.[3]

4. 행정 구역 및 인구

한강대교 북쪽, 한강변 좌우에 위치한 이촌동은 조선 말까지 모래벌판이었던 곳이다. 여름철 큰 장마 때 홍수를 피해 강변으로 이주해 온 사람들이 많아 '옮길 이(移)' 자를 써서 '이촌동(移村洞)'이라 불렸으나, 일제강점기에 현재와 같이 '두 이(二)' 자를 쓰는 '이촌동(二村洞)'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행정 구역 상으로는 조선시대 초기에 한성부 성저십리에 속했다. 1751년 영조 27년에는 한성부 서부 용산방(성외) 사촌리계와 신촌리계로 칭해졌고, 갑오개혁 때는 서서 용산방(성외) 사촌리계의 사촌리와 신촌리계의 신촌동으로 나뉘었다. 1910년 한일강제병합 이후, 1911년 1월 4일 일제는 신초리 지역을 경기도 경성부 한지면으로 편입시키고 나머지는 용산면에 소속시켰다. 이후 1913년 12월 11일 경성부 서부에 편입되었고[14], 1914년 4월 1일에는 경성부 이촌동이 되었다.[15] 1936년에는 이촌정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43년 6월 10일 용산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1946년 10월 1일 일제식 동명칭 정리에 따라 다시 이촌동이라는 이름을 되찾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16]

현재 행정동으로는 이촌1동(동부이촌동)과 이촌2동(서부이촌동)으로 나뉜다.[17]

4. 1. 이촌1동 (동부이촌동)

이촌1동은 한강로 동북 지역에 위치하며, 이촌동의 행정을 담당하는 동장 관할 구역이다. 흔히 동부이촌동이라고 불린다.[6]

1947년 말에는 한강로1가와 함께 이촌동 전 지역이 한강로1가동회 소속이었으나, 1955년 4월 18일부터는 한강로2가 일부, 용산동5가와 함께 한강로2가 1동사무소에서 행정을 담당하게 되었다.[17]

이촌1동은 고가의 부동산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많은 외국인들이 거주하는데 특히 일본인 거주 비율이 높다.[7] 또한 인근에 용산기지가 있어 미국인 거주자들도 상당수 거주한다.

4. 2. 이촌2동 (서부이촌동)

이촌동은 이촌1동(옛 이름: 동부이촌동(東部二村洞), Dongbu Ichon-dong)과 이촌2동(옛 이름: 서부이촌동(西部二村洞), Seobu Ichon-dong)으로 나뉜다.[6] 이촌2동은 서부이촌동으로도 불리며[17], 이촌1동보다 개발이 덜 되었지만 서울특별시는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 지역을 개발해 왔다.[1][2]

5. 교통

이촌동은 지하철 노선과 한강을 건너는 주요 교량들이 연결되어 있어 교통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5. 1. 지하철

수도권 전철 4호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지나며, 이촌역에서 두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5. 2. 교량

6. 교육 시설

이촌동에는 다음 세 개의 학교가 있다.

7. 주요 시설 및 명소

이촌동에는 시민들이 즐겨 찾는 여러 시설과 명소가 자리하고 있다. 한강변에는 한강공원 이촌지구가 있어 산책과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다.[4] 한국 최대 규모의 박물관인 국립중앙박물관[5]과 인접한 용산가족공원은 문화와 자연을 함께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또한, 삼각지역 인근의 전쟁기념관에서는 한국 전쟁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다. 한강대교 중간에 위치한 노들섬 역시 이촌동에서 가까운 명소 중 하나이다.[16]

7. 1. 한강공원 이촌지구

이촌 한강공원은 중랑천교와 원효대교 사이 한강 북쪽에 위치해 있다. 강변길은 산책과 가족 나들이 코스로 인기가 있으며, 갈대, 억새, 코스모스 등 계절별 꽃과 식물이 자란다. 공원 내에는 틴 스퀘어, X게임 센터, 인라인 스케이트장, 농구장, 테니스장, 게이트볼장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고무보트를 타고 강을 건널 수 있는 래프팅 프로그램도 운영하는데, 이 프로그램은 학생과 직장인들의 팀워크 훈련 센터로 인기가 많다. 이 외에도 자연 체험 센터, 수상 스포츠, 차범근 축구 교실, 노들섬 등을 즐길 수 있다.[4]

7. 2.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용산역에서 불과 1.5km 거리에 있다.[5] 한국에서 가장 큰 박물관으로, 역사적, 현대적인 귀중한 한국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5] 다양한 국내외 소장품이 전시된 갤러리 외에도 고고학적 수집 및 보존, 연구 및 분석, 사회 교육, 학술 출판, 국제 문화 교류 프로그램, 콘서트 등 다양한 문화 활동의 무대가 된다.[5] 관람객들은 다양한 교육 행사와 질 높은 문화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5] 박물관은 여러 종류의 새들의 자연 서식지인 연못과 80종이 넘는 나무가 있는 숲이 우거진 용산가족공원 근처에 있다.

7. 3. 용산가족공원

국립중앙박물관 근처에 위치하며, 여러 종류의 새들이 서식하는 연못과 80종이 넘는 나무가 있는 숲이 있다.[5]

7. 4. 전쟁기념관

전쟁기념관삼각지역 옆에 있으며, 용산역에서 1km 거리에 있다. 다양한 수집품과 전시물을 전시한다.

7. 5. 노들섬

이촌동에서 양율로 이어지는 한강대교 중간에는 노들섬(옛 이름은 중지도)이 있다. 이 섬은 과거 '납천정리'라고 불렸는데, 이는 마을에 물맛 좋은 우물이 있어 관청에 상납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한강대교가 건설되면서 마을은 사라지고 우물도 자취를 감추었다. 현재 노들섬은 체육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한강에서 낙하산 훈련 중 동료를 구하고 순직한 이원등 상사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16]

8.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이촌동 (Ichon-dong 二村洞) http://www.yongsan.g[...] Doosan Encyclopedia 2008-04-21
[2] 웹사이트 The origin of dongs in Yongsan District https://web.archive.[...] Yongsan District official site 2008-04-21
[3] 웹사이트 Climate: Ichon-dong http://en.climate-da[...] 2014-12-16
[4] 웹사이트 Seoul » Yongsan-gu » Ichon Hangang Park https://web.archive.[...] 2014-12-16
[5] 웹사이트 Seoul » Yongsan District »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ttps://web.archive.[...] 2014-12-16
[6] 웹사이트 Resident registration population status https://www.yongsan.[...] 2023-09-27
[7] 웹사이트 Ichon-dong Japanese Village http://www.lifeinkor[...] Life in Asia, Inc 2014-11-25
[8] 웹사이트 서울신용산초등학교 https://sys.sen.es.k[...] 2013-09-21
[9] 웹사이트 용강중학교 https://yonggang.sen[...] 2013-09-21
[10] 웹사이트 중경고등학교 https://jungkyung.se[...] 2013-09-21
[11] 웹사이트 STAYC(스테이씨) 시은 http://www.hanryutim[...] 2022-12-18
[12] 웹사이트 스테이씨 https://www.mariecla[...] 2022-12-18
[13] 웹사이트 장원영 https://www.mariecla[...] 2023-11-30
[14]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11호
[15] 간행물 경기도 고시 제7호
[16] 웹사이트 이촌제1동 유래및연혁 http://www.yongsan.g[...] 2017-07-09
[17] 간행물 서울시조례 제66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