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촌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촌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역으로, 수도권 전철 4호선과 경의·중앙선이 지난다. 1978년 12월 9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4호선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2005년 12월 15일에는 수도권 전철 중앙선으로 분리되었다. 역 주변에는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동작대교 등이 있으며, 서울 거주 일본인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는 이촌동 지역에 위치해 있다. 두 노선 모두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용산구의 전철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용산구의 전철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을종위탁발매소 - 도고온천역
도고온천역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선장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 및 이전을 거쳐 2007년 현재의 고가역으로 이전했으며,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된다. - 을종위탁발매소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신용산역
신용산역은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용산역 인근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이촌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이촌 (국립중앙박물관) |
한자 표기 | 二村驛 |
로마자 표기 | Ichonnyeok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71길 42, 서빙고로 83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서울 지하철 4호선 경원선 |
승강장 | 4 |
선로 | 4 |
개업 정보 | |
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일 | 1985년 10월 18일 |
경원선 개통일 | 1978년 12월 9일 |
역 상세 정보 (서울교통공사) | |
역 번호 | 430 |
승강장 구조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단말기 번호 | 0430 |
이전 역 | 429 신용산역 |
다음 역 | 431 동작역 |
이전 역 거리 | 1.3km |
다음 역 거리 | 2.7km |
역 상세 정보 (한국철도공사) | |
역 번호 | K111 |
관리역 | 용산역 |
역 종류 | 무배치간이역 |
승강장 구조 | 2면 2선 |
영업 거리 | 용산역 기점 1.9km, 도라산역 기점 59.2km |
이전 역 | K110 용산역 |
다음 역 | K112 서빙고역 |
이전 역 거리 | 1.9km |
다음 역 거리 | 1.7km |
노선 | 용산삼각선 |
이전 역 (용산삼각선) | 노량진역 |
이전 역 거리 (용산삼각선) | 3.4km |
2. 역사
1978년 12월 9일 경원선 복선 전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 ~ 사당 구간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10]
2. 1. 수도권 전철 4호선
- 1983년 9월 13일: 서울 지하철 4호선 역명을 '''이촌역'''으로 결정함.[9]
-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 ~ 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10]
- 2007년 8월 1일: 서울 지하철 4호선 역에 부역명이 추가됨.[11]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4호선의 역 번호는 '''430'''이다.
2. 2.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1978년 12월 9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용산-성북 운행 계통의 경원선 복선 전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1985년 10월 18일에는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 ~ 사당 구간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10] 2005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운행이 개시되면서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분리되어 수도권 전철 중앙선(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소속이 되었고, 역번호도 K131에서 K111로 변경되었다. 2011년 6월 1일에는 경의·중앙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으며,[11] 2012년 12월 27일에는 박물관 나들길 개통과 함께 국립중앙박물관과 지하 통로로 연결되었다.3. 역 구조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4호선 승강장
4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는 풀스크린 타입이다.[4] 승강장에서 개찰구나 경의·중앙선 환승통로로 이어지는 계단은 각 승강장마다 4곳씩, 엘리베이터는 각 승강장마다 1곳씩 있다.[4]
3. 2. 경의·중앙선 승강장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 및 4호선 환승 통로로 이어지는 계단은 승강장마다 2곳씩 있다. 엘리베이터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대신 계단 위에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다.[4]개찰구는 1곳이 있으며,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있다.[4]
4. 역 주변
- 국립중앙박물관
- 국립한글박물관
- 동작대교
- 서울신용산초등학교
- 용강중학교[12]
- 용산가족공원
- 용산공업고등학교
- 용산철도고등학교
- 용산구민회관
- 용산세무서
- 용산청소년수련관
- 중경고등학교
- 한강시민공원
- 한강우체국
- 한가람아파트
- 강촌아파트
- 이촌아파트
- 용산동6가
- 한강로지구대
- 세계일보
출구 번호 | 주요 시설 및 방향 |
---|---|
1번 | 용산구청사 |
2번 | 용산가족공원, 서빙고동, 국립중앙박물관 (혼잡 시 1번 출구 이용 권장) |
3번 | 동작대교 |
3-1번 | 이촌1동, 신용산초등학교 |
4번 | 이촌1동 주민센터, 중경고등학교, 이촌1동 파출소 |
5번 | 용산세무서 |
이 역 주변의 동부이촌동 지역은 서울에 거주하는 일본인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5. 이용객 변동
wikitext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 경의·중앙선 | 승차 | 1,326 | 1,467 | 1,327 | 1,305 | 3,109 | 4,119 | 4,907 | 4,427 | 4,146 | 4,124 | [13] | |||
하차 | 583 | 532 | 760 | 1,002 | 2,819 | 4,116 | 4,964 | 4,534 | 4,279 | 4,264 | |||||
-- 4호선 | 승차 | 4,682 | 4,633 | 4,766 | 4,788 | 4,572 | 6,281 | 8,660 | 7,504 | 8,386 | 9,758 | [14] | |||
하차 | 5,651 | 5,937 | 5,988 | 6,092 | 5,937 | 7,423 | 9,461 | 8,131 | 8,842 | 10,375 | |||||
승하차 | 10,334 | 10,570 | 10,754 | 10,880 | 10,509 | 13,704 | 18,121 | 15,635 | 17,228 | 20,133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 경의·중앙선 | 승차 | 4,068 | 4,102 | 4,098 | 4,127 | 4,290 | 5,302 | 5,425 | 5,441 | 5,187 | 5,078 | 3,298 | 3,477 | 4,391 | [13] |
하차 | 4,132 | 4,117 | 4,097 | 4,098 | 4,246 | 5,253 | 5,416 | 5,410 | 5,120 | 4,979 | 3,249 | 3,413 | 4,326 | ||
-- 4호선 | 승차 | 10,163 | 10,130 | 9,736 | 9,648 | 9,914 | 9,506 | 9,509 | 9,784 | 9,591 | [14] | ||||
하차 | 11,190 | 11,344 | 11,070 | 10,846 | 11,124 | 10,719 | 10,732 | 10,899 | 10,646 | ||||||
승하차 | 21,353 | 21,474 | 20,806 | 20,494 | 21,038 | 20,225 | 20,241 | 20,683 | 20,237 |
6. 인접한 역
wikitext
6. 1. 수도권 전철 4호선
(진접(경복대) 방면)(오이도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