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지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각지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1983년 9월 13일 역명으로 결정되어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으며, 2017년 5월 31일 서울교통공사 관할이 되었다. 4호선과 6호선이 지나가며, 주변에는 대한민국 국방부, 전쟁기념관, 용산기지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용산구의 전철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서울 용산구의 전철역 - 신용산역
신용산역은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용산역 인근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녹사평역
녹사평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2000년에 개통하여 2013년에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용산구청 등이 인근에 위치해 있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신용산역
신용산역은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용산역 인근에 위치한 지하철역이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역 - 숙대입구역
숙대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에 위치하며, 숙명여자대학교를 비롯한 다수의 교육기관 및 공공기관이 인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1985년 개통 이후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진접 방면과 오이도 방면 열차가 모두 정차한다.
삼각지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 삼각지 |
로마자 표기 | Samgakji |
철도 노선 | |
주소 | 180 한강대로, 293 한강로1가, 용산구, 서울 한강대로 지하 180 (4호선) 한강대로 지하 185 (6호선)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4호선: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6호선: 1면 2선 (섬식 승강장)" |
선로 수 | 4 |
개업일 | 1985년 10월 18일 (4호선) 2000년 12월 15일 (6호선)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1 | ●4호선 |
이전 역 1 | 427 숙대입구 |
역간 거리 1 | 1.2 |
다음 역 1 | 신용산 429 |
역 번호 1 | 428 |
기점으로부터 거리 1 | 21.9 |
기점 역 1 | 당고개 |
소속 노선 2 | ●6호선 |
이전 역 2 | 627 효창공원앞 |
역간 거리 2 | 1.2 |
다음 역 2 | 녹사평 629 |
역 번호 2 | 628 |
기점으로부터 거리 2 | 18.6 |
기점 역 2 | 응암 |
통계 | |
2015년 승차 인원 | 13,060 |
2015년 승강 인원 | 25,802 |
기타 정보 | |
![]() | |
2. 역사
1983년 9월 13일 '''삼각지역'''으로 역명이 결정되었다.[11]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고,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상월곡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2014년 4월 3일에는 4호선의 코레일 소속 전동차가 이 역에서 탈선하여, 서울역~사당역 구간 운행이 5시간 동안 중단되기도 하였다.[4]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되었다.
2. 1. 삼각지역의 건설과 개통 (1983년 ~ 1985년)
1983년 9월 13일에 삼각지역으로 역명이 결정되었다.[11] 1985년 10월 18일,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사당 구간이 개통되면서 영업을 시작하였다.[12]2. 2. 6호선 개통과 환승역 (2000년)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 ~ 상월곡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11]2. 3. 역명 유래와 삼각지 고가도로 철거 (1967년 ~ 1994년)
역 이름은 1967년에 개통된[5]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였다. 그러나 이 고가도로는 서울 지하철 6호선 공사로 인한 지반 침하가 우려되어 1994년 7월 9일 자정에 철거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6] 가수 베호(裵湖)가 부른 "돌아오는 삼각지"도 이 삼각지 고가도로를 배경으로 만들어졌다.2. 4. 기타
2014년 4월 3일 -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코레일 소속 전동차가 이 역에서 탈선하여, 서울역~사당역 구간 운행이 5시간 동안 중단되었다.[4]2017년 5월 31일 -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 관할 역사로 변경되었다.
3. 역 구조
4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고, 6호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두 노선 모두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호선은 환승 통로를 통해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 출구는 14개가 있다.
층 | 구조 | 시설 |
---|---|---|
지상 | 출구 | |
L1 | 대합실 |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ATM) |
L2 | 4호선 승강장 | |
L3 | 6호선 승강장 |
4호선 개찰구는 2곳이 있고, 화장실은 개찰구 안에 1곳 있다. 6호선 개찰구는 2곳,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1곳 있다.
3. 1. 4호선 승강장
4호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환승 통로를 통해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1]
3. 2. 6호선 승강장
6호선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호선으로 환승하려면, 당고개 방향은 승강장 녹사평 쪽 계단을, 오이도 방향은 승강장 효창공원앞 쪽 계단을 이용하여 연결 통로를 이용할 수 있다.
3. 3. 환승
4호선 당고개 방면 승강장과 6호선 지하 4층을 잇는 환승 통로가 있다. 4호선 승강장과 6호선 지하 3층을 잇는 통로에는 무빙 워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6호선 역의 지하 3층과 지하 4층 사이는 계단 및 휠체어 리프트를 이용한다.[2]4. 역 주변
삼각지역 주변에는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대통령실, 전쟁기념관, 용산기지(미군기지), 남영역 등 주요 시설과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서울지방보훈청, 용산소방서, 특수임무수행자 보상심의위원회, 서울용산초등학교, 한강대로, 백범로, 이태원로 등이 있다.
4. 1. 주요 시설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대통령실, 전쟁기념관, 용산기지(미군기지), 남영역 등이 있다.4. 2. 행정 및 공공기관
삼각지역 인근에는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서울지방보훈청, 용산소방서, 특수임무수행자 보상심의위원회 등이 있다.4. 3. 교육기관
서울용산초등학교4. 4. 도로
한강대로, 백범로, 이태원로5. 사고
2014년 4월 3일 이 역에서 시흥차량사업소로 향하던 코레일 소속 전동차가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이 사고로 서울역부터 사당역까지 4호선 운행이 5시간 동안 중단되어 지하철 이용객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13][4]
6. 이용객 변동
4호선과 6호선의 이용객 수를 합산하여 제시하며, 2000년 6호선 자료는 개통일(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4][15]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각주 | ||
-- 4호선 | 승차 | 5,886 | 5,273 | 5,143 | 5,007 | 5,011 | 5,610 | 6,050 | 5,206 | 5,338 | 5,670 | 5,882 | 5,927 | 5,701 | 5,715 | 5,850 | 5,360 | 5,047 | 5,190 | 4,992 | 4,963 | [14] |
하차 | 6,786 | 6,461 | 6,262 | 5,979 | 5,948 | 6,527 | 7,048 | 6,626 | 6,706 | 6,993 | 7,215 | 7,238 | 6,869 | 6,931 | 7,177 | 6,698 | 6,310 | 6,349 | 6,010 | 5,858 | ||
승하차 | 12,672 | 11,734 | 11,405 | 10,986 | 10,959 | 12,137 | 13,097 | 11,833 | 12,044 | 12,663 | 13,097 | 13,165 | 12,570 | 12,646 | 13,027 | 12,058 | 11,357 | 11,539 | 11,002 | 10,821 | ||
-- 6호선 | 승차 | 2,407 | 3,123 | 3,647 | 3,795 | 4,091 | 4,660 | 5,237 | 6,164 | 6,901 | 6,867 | 6,959 | 7,170 | 7,200 | 7,152 | 7,715 | 7,699 | 7,586 | 7,564 | 7,201 | 7,086 | [15] |
하차 | 1,103 | 1,898 | 2,328 | 2,512 | 2,740 | 3,161 | 3,765 | 4,396 | 5,018 | 5,054 | 5,201 | 5,437 | 5,304 | 5,465 | 5,958 | 6,044 | 6,043 | 6,041 | 5,769 | 5,758 | ||
승하차 | 3,510 | 5,020 | 5,975 | 6,306 | 6,831 | 7,821 | 9,002 | 10,560 | 11,919 | 11,921 | 12,159 | 12,608 | 12,504 | 12,617 | 13,673 | 13,743 | 13,629 | 13,605 | 12,970 | 12,844 |
7. 인접한 역
- - 서울 지하철 4호선 숙대입구 (427) ← 삼각지역 (428) → 신용산 (429)
- - 서울 지하철 6호선 효창공원앞 (627) ← 삼각지역 (628) → 녹사평 (629)
7. 1. 서울 지하철 4호선
: 숙대입구역 (427) - '''삼각지역 (428)''' - 신용산역 (429)
7. 2. 서울 지하철 6호선
- - 서울 지하철 6호선 효창공원앞역 (627) - '''삼각지역''' (628) - 녹사평역 (629)[1]
참조
[1]
웹사이트
삼각지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7-03-29
[2]
웹사이트
Samgakji (Line 4)
http://dmzap1.seoulm[...]
Seoul Metro
2017-03-29
[3]
웹사이트
삼각지역
http://www.doopedia.[...]
Doosan Encyclopedia
2017-03-29
[4]
뉴스
4호선 삼각지역서 탈선…한때 5시간 운행 중단
http://news.naver.co[...]
SBS
2014-04-03
[5]
뉴스
삼각지 교차로서 교통사고 잇따라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9-10-08
[6]
뉴스
삼각지로터리 고가차도 오늘부터 철거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94-07-09
[7]
웹사이트
서울메트로 > 공사소개 > 운행현황 > 수송통계 자료실
http://www.seoulmetr[...]
[8]
웹사이트
서울도시철도공사 >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9]
뉴스
삼각지 교차로서 교통사고 잇따라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9-10-08
[10]
뉴스
삼각지로터리 고가차도 오늘부터 철거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94-07-09
[11]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http://event.seoul.g[...]
1983-09-13
[12]
뉴스
지하철 3,4호선 완전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5-10-18
[13]
뉴스
4호선 삼각지역서 탈선…한때 5시간 운행 중단
https://news.naver.c[...]
SBS
2014-04-03
[14]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15]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