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치카와 후사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치카와 후사에는 일본의 여성 참정권 운동을 이끈 인물로, 1893년 아이치현에서 태어났다. 신부인협회를 설립하여 여성의 지위 향상을 위해 활동했으며, 1924년에는 일본 최초의 여성 참정권 단체인 일본 부인 유권자 동맹을 결성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공직에서 추방되었으나, 1953년 참의원에 당선되어 정계에 복귀, 선거 개혁과 여성 관련 의제에 집중했다. 1974년 라몬 막사이사이상을 수상했으며, 사후에는 기념관 건립과 기념회 운영을 통해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치현의 정치인 - 가와무라 다카시 (1948년)
가와무라 다카시는 1948년 나고야시 출생으로, 고지 회수업체에서 일하다가 정계에 입문하여 중의원 의원과 나고야 시장을 역임했으며, 난징 대학살 부정 발언 등으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 일본의 여권운동가 - 야마카와 키쿠에
일본의 사회주의 페미니스트 야마카와 키쿠에는 여성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도입하여 일본 여성 해방 운동의 사상적 원점으로 평가받으며, 여성의 경제적 자립과 모성 보호의 양립을 주장하고 전후에는 일본 사회당에서 여성 권익 향상에 기여했다. - 일본의 여권운동가 - 마쓰이 야요리
마쓰이 야요리는 일본의 언론인이자 사회운동가로서 아사히 신문 기자로 활동하며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적인 연대를 구축하고 여성 국제 전범 법정 설립을 주도했으며, 아시아 여성들의 인권 증진을 위해 헌신했다. - 이치노미야시 출신 - 다네무라 아리나
다네무라 아리나는 1996년 데뷔한 아이치현 출신의 일본 만화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로, 섬세하고 화려한 그림체와 소녀들의 성장과 사랑을 다룬 소녀 만화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만화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이치노미야시 출신 - 토마츠 하루카
토마츠 하루카는 2005년 데뷔한 일본의 여성 성우, 가수, 내레이터로서, 애니메이션 ''[[신곡주계 폴리포니카]]''의 코티칼테 역, ''[[소드 아트 온라인]]''의 아스나 역 등으로 인지도를 높였으며, 성우 유닛 [[스피어 (성우 유닛)|스피어]] 멤버이자 솔로 가수로도 활동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이치카와 후사에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이치카와 후사에 |
로마자 표기 | Ichikawa Fusae |
출생 | 1893년 5월 15일 |
출생지 | 아이치현나카시마군묘지촌 (현: 이치노미야시 묘지) |
사망 | 1981년 2월 11일 (87세) |
사망지 | 도쿄도시부야구 (일본 적십자사 의료 센터) |
국적 | 일본 |
학력 | 아이치현 여자 사범학교 (현 아이치 교육대학) |
직업 | 정치인, 페미니스트, 여성 참정권 운동가 |
소속 정당 | (무소속 →) (제17공실 →) (무소속 클럽 →) 제2원 클럽 (1962-81) |
전직 | 나고야 신문 기자, 국제 노동 기구 직원, 일본 부인 유권자 동맹 회장 |
칭호/훈장 | 참의원 영년 재직 의원, 아이치현 이치노미야시 명예 시민 (구 오와리사 시) |
정치 경력 | |
직책 | 참의원 의원 |
선거구 | 도쿄도 선거구 → 전국구 |
당선 횟수 | 5회 |
임기 시작 | 1953년 5월 3일 - 1971년 7월 3일, 1974년 7월 8일 |
임기 종료 | 1981년 2월 11일 |
2. 어린 시절
이치카와 후사에는 1893년 아이치현 비사이시(현 이치노미야시)에서 태어났다. 교육을 중시하는 가정 환경에서 성장했지만,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신체적 학대를 가하는 모습을 목격하기도 했다.[2] 초등학교 교사가 되려는 꿈을 가지고 아이치 여자 사범학교에 재학했다.[2] 1910년대에 도쿄로 이주하면서 여성운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917년 아이치로 돌아온 후에는 나고야 신문의 첫 여성 기자가 되었다.[2] 1920년에는 히라쓰카 라이초와 함께 신부인협회를 공동 창립하였다.[2][3]
2. 1. 교육 환경과 가정 환경
이치카와 후사에는 1893년 아이치현 비사이시(현 이치노미야시)에서 2남 4녀 중 셋째 딸로 태어났다. 교육을 중시하는 가정 환경에서 성장했지만,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신체적 학대를 가하는 모습을 목격하기도 했다.[2] 집안은 대대로 농업을 이어왔으며, 이치카와가 태어날 당시에는 7~8반(약 7~8 헥타르)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아버지 후지쿠로는 1848년생으로, 잠시 상업에 종사하기도 했으나 평생 농부로 살았으며, 폭력적인 성향을 지닌 인물이었다. 어머니 타츠는 1859년생으로, 후지쿠로보다 11살 연하였다.아버지의 교육열은 매우 높았다. 장남 후지이치는 초등학교 교사를 거쳐 도쿄의 정치 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의 대학에서 유학생으로 공부했다. 장녀는 나라현의 여자 사범학교에 진학했다. 후사에의 여동생은 나고야시의 슈토쿠 여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일본계 미국인과 결혼했다.
이치카와는 아케치 촌립 아케치 심상 소학교, 키타마치 외 3개 마을 학교 조합립 세이호쿠 고등 소학교, 아사히 심상 고등 소학교를 차례로 졸업했다. 졸업 후에는 오빠 후지이치의 도움으로 상경하여 미와다 고등 여학교 3학년 보충 시험을 보았으나 불합격했다.
1908년 4월, 여자 학원에 입학했으나, 7월에 귀향하여 하기와라 마을립 하기와라 심상 소학교(현 이치노미야 시립 하기와라 소학교)의 대용 교원으로 근무했다. 1909년 1월 27일, 심상 소학교 준교원 면허를 취득했다. 얼마 후, 둘째 언니가 다니던 아이치현 제2사범학교 여자부에 진학하기로 결심했다. 당시 사범학교는 학비와 기숙사비가 무료였고, 의복도 지급되었다. 졸업 후 5년간 현내 초등학교에서 근무할 권리와 의무가 주어졌기 때문에, 독립적인 직업을 원하는 여학생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이치카와는 본과 1학년 보충 시험에 합격하여 4월에 입학, 기숙사에서 3년간 공부했다. 테니스에 열중했으며, 오카자키 마을립 고등 여학교와의 대항전에서 우승하기도 했다.
1912년 4월, 나고야시니시구에 신설된 아이치현 여자 사범학교[11][12]로 옮겼다. 그해 7월, 신임 교장의 현모양처 교육에 반발하여 동급생 28명과 함께 수업 스트라이크를 실시하고 28개 조항의 요구서를 제출했다.
1913년, 아이치현 여자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모교인 아사히 심상 고등 소학교의 훈도로 임명되었다. 1914년 4월, 나고야시의 제2고등 소학교로 전임되었다.

2. 2. 교사 시절
이치카와는 1893년 아이치현 비사이시에서 태어났다. 교육을 중시한 집안에서 성장하였으나 어머니가 아버지에게 신체적 학대를 당하는 것을 목격하기도 하였다.[2] 초등학교 교사가 되겠다는 꿈으로 아이치 여자 사범학교에 재학하였다.[2] 1910년대 도쿄로 이주하면서 여성운동에 대해 알게 되었다.
3. 여성 운동의 시작
1919년 히라츠카 라이초 등과 함께 일본 최초의 여성 단체인 신부인협회를 결성하고, 여성의 집회 및 결사의 자유를 금지하던 치안경찰법 제5조 개정 운동을 전개했다.
1921년 요미우리 신문 특파원으로 미국에 건너가 시카고와 뉴욕에서 일하며 미국의 여성 운동과 노동 운동을 견학하고, Alice Paul영어 (앨리스 폴)과 캐리 채프먼 캣을 만났다.
1924년 귀국하여 부인 참정권 획득 기성 동맹회를 결성했다. 1925년 남성 보통 선거가 성립되자 동맹회를 "부선 획득 동맹"으로 개칭하고 여성 참정권을 요구하는 운동을 계속했다. 국제 노동 기구 (ILO) 직원으로 여성의 심야 노동 실태를 조사했다(1927년 사직).
1930년 "제1회 부선 대회"를 개최했으나, 부인 참정권(공민권) 부여 법안은 중의원에서 가결되고도 귀족원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이후 모자 보호, 생활 방위 등 다양한 운동에 참여했다.
1945년 8월 25일 구부시로 오치미, 야마타카 시게리, 아카마츠 토코 등과 "전후 대책 부인 위원회"를 조직, 정부와 정당에 여성 참정권을 요구했다. 10월 10일 시데하라 내각의 첫 각의에서 여성 참정권이 제안되었고, 보통 선거법 개정이 결정되었다.[18]
11월 3일 전후 최초의 여성 단체 신일본 부인 동맹을 결성하고 회장에 취임했다. 12월 17일 중의원 의원 선거법 개정으로 여성 참정권이 실현되었다.
1946년 제2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39명의 여성 의원이 탄생했다. 이치카와는 입후보하지 않았고 투표도 못했지만, 여성의 정치 참여 계몽과 교육을 위해 시부야구 요요기에 "부선회관"을 설립했다.[19]
3. 1. 신부인협회 창립
1919년 (다이쇼 8년) 히라츠카 라이초 등과 함께 일본 최초의 여성 단체인 신부인협회를 설립했다. 이 단체는 여성의 지위와 복지 향상을 목표로 하였다. 치안 경찰법 제5조 개정 운동을 전개하여, 여성의 집회 및 결사의 자유를 금지하는 법 조항에 대한 개정을 요구하였다.

이치카와는 신부인협회를 이끌며 여성의 정치 참여를 금지하는 일본 법률 개정을 위한 운동을 벌였다. 당시 여성들은 이러한 종류의 운동을 하는 것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강연 회의"라는 행사를 개최하여 운동을 계속했다.[48] 1922년 (다이쇼 10년) 제국의회에서 법이 개정된 뒤, 신부인협회는 해산하였다.[48]
3. 2. 언론 활동
1917년 (다이쇼 7년) 3월, 병으로 퇴직한 이치카와 후사에는 문화인 그룹에서 알게 된 고바야시 킷센의 소개로 같은 해 7월 10일 나고야 신문(현재의 주니치 신문사)에 입사하여 기자로 활동했다. 당시 십여 명의 기자 중 여성은 이치카와뿐이었다.[14][15] 1918년 (다이쇼 7년) 8월, 나고야 신문사를 퇴직하고 도쿄로 상경했다.1921년 (다이쇼 10년) 7월에는 요미우리 신문 특파원으로 미국에 건너갔다. 시카고와 뉴욕에서 일하며 미국의 부인 운동과 노동 운동을 견학[16]하고, 앨리스 폴과 캐리 채프먼 캣과도 만났다.
4. 여성 참정권 운동
1919년 히라츠카 라이초 등과 함께 일본 최초의 여성 단체인 신부인협회를 설립하여 여성의 정치 참여를 위한 운동을 시작했다. 신부인협회는 여성의 지위 향상과 복지 향상을 목표로, 여성의 정치 참여를 금지하는 일본 법률 개정을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당시 일본 법률은 여성의 정치 활동을 금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강연 회의"라는 행사를 통해 운동을 이어갔다.[48] 1922년 제국의회에서 관련 법률이 개정되면서 신부인협회는 해산되었다.
이후 이치카와는 미국의 여성 참정권 운동가 앨리스 폴과 교류하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다. 1924년 일본으로 돌아온 후에는 국제노동기구 도쿄지부에서 일하면서 일본 최초의 여성 참정권 단체인 일본부인유권자동맹(日本婦人有権者同盟)을 결성하고, 1930년 일본 최초의 여성 선거권 부여에 관한 대회를 개최하였다.[4] 야마타카 시게리와 긴밀히 협력하며 여성 참정권 획득을 위해 노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치카와는 일본의 전후 헌법에 여성 참정권을 명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여성의 정치적 권한이 일본의 전쟁 참전을 막을 수 있었다고 주장하며, 신일본 부인 동맹을 통해 여성 참정권 획득 운동을 이끌었다.[5] 1945년 11월, 포츠담 선언의 요구와 이치카와의 노력으로 여성에게 완전한 참정권이 부여되었다.[50]
4. 1. 신부인협회 활동
1919년 (다이쇼 8년) 히라츠카 라이초 등과 함께 일본 최초의 여성 단체인 신부인협회를 설립했다. 이들은 여성의 집회 및 결사의 자유를 금지하고 있던 치안 경찰법 제5조 개정 운동을 전개했다.[14][15][16]신부인협회는 여성의 지위 향상 및 복지 향상을 위해 일본에서 처음으로 결성된 단체였다. 이치카와가 이끌었던 이 단체는 여성의 정치 참여를 금지하는 일본 법률 개정을 위한 운동을 벌였다. 여성들이 이러한 종류의 운동을 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률 때문에, 단체는 운동을 계속하기 위해 "강연 회의"로 알려진 행사를 개최하였다. 1922년 제국의회에서 법을 개정한 뒤 단체는 해산하였다.
4. 2. 미국 방문과 국제 연대
1919년 히라츠카 라이초 등과 함께 일본 최초의 여성 단체인 신부인협회를 설립했다. 이들은 여성의 집회 및 결사의 자유를 금지하는 치안경찰법 제5조 개정 운동을 전개했다.1921년 요미우리 신문 특파원으로 미국에 건너가 시카고와 뉴욕에서 일하며 미국의 여성 운동과 노동 운동을 견학했다.[16] 앨리스 폴과 캐리 채프먼 캣 등과도 교류했다.
1924년 귀국 후, 부인 참정권 획득 기성 동맹회를 결성했다. 1925년 남성 보통 선거가 성립되자, 동맹회를 "부선 획득 동맹"으로 개칭하고 정부와 의회에 여성 참정권을 요구하는 운동을 계속했다. 같은 해 국제 노동 기구(ILO) 직원이 되어 여성의 심야 노동 실태를 조사했다. (1927년 사직)
1930년 "제1회 여성 참정권 대회"를 개최했다. 같은 해 여성 참정권(공민권) 부여 법안이 중의원에서 가결되었으나, 귀족원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했다.
4. 3. 부인참정권획득기성동맹회와 부선 획득 동맹
1919년(다이쇼 8년), 히라츠카 라이초 등과 함께 일본 최초의 여성 단체인 신부인협회를 설립했다. 이들은 치안 경찰법 제5조 개정을 요구하는 운동을 전개했다.1924년 (다이쇼 13년) 12월 13일, "부인 참정권 획득 기성 동맹회"를 결성했다.[48] 1925년 (다이쇼 14년), 남자 보통 선거가 성립되자 동맹회를 "부선 획득 동맹"으로 개칭하고 정부와 의회에 부인 참정권을 요구하는 운동을 계속했다. 1930년 (쇼와 5년)에는 "제1회 부선 대회"를 개최했다. 같은 해 부인 참정권(공민권) 부여 법안이 중의원에서 가결되었지만, 귀족원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했다.

4. 4. 전후 참정권 실현
1945년 8월 15일, 이치카와는 오사다 미키히코의 집에서 옥음방송을 들었다. 같은 해 8월 25일, 구부시로 오치미, 야마타카 시게리, 아카마츠 토코 등과 함께 "전후 대책 부인 위원회"를 조직하고, 정부와 각 정당에 여성 참정권을 요구했다.같은 해 10월 10일, 시데하라 내각의 첫 각의에서 여성 참정권 실현이 제안되었고, 같은 내각은 보통 선거법 개정을 결정했다.[18] 11월 3일에는 전후 최초의 여성 단체인 '신일본 부인 동맹'을 결성하고 회장에 취임했다. 12월 17일, 중의원 의원 선거법 개정으로 여성 참정권(남녀 보통 선거)이 실현되었다.
1946년 4월 10일에 실시된 제2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39명의 여성 의원이 탄생했다. 이치카와는 입후보하지 않았고, 유권자 명부 등록 누락으로 투표도 할 수 없었지만, 여성들이 주체적으로 정치에 참여하기 위한 계몽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같은 해 12월, 시부야구 요요기에 "부선회관"을 설립했다.[19]
1947년 3월 24일, 전시 중 대일본보국언론회 이사였다는 이유로 공직 추방을 당했다. 이치카와는 공직 추방된 최초의 여성이었다.
1950년 10월 13일, 공직 추방이 해제되었다. 같은 해 11월 9일에는 신일본부인동맹 임시 총회에서 단체 명칭이 "일본부인유권자동맹"으로 개칭되어 이치카와가 회장으로 복귀했다.
1951년 11월 2일, "공창제도 부활 반대 협의회"를 결성하여 매춘 금지 운동을 일으켰다. 같은 해 12월 19일, 히라츠카 라이초, 가미다이 타노 등과 "재군비 반대 부인 위원회"를 결성했다.
5. 기타 활동
이치카와는 여성 문제 옹호자로서 일본과 국제 무대에서 여성 회의를 조직하고 참가했으며, 1980년에는 일본 정부가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철폐 협약을 비준할 것을 촉구하는 데 앞장섰다.[16]
1945년 8월 15일, 이치카와는 오사다 미키히코의 집에서 옥음방송을 들었다. 같은 해 8월 25일, 구부시로 오치미, 야마타카 시게리, 아카마츠 토코 등과 함께 "전후 대책 부인 위원회"를 조직하고, 정부와 각 정당에 여성 참정권을 요구했다. 같은 해 10월 10일, 이치카와와 교류가 있던 내무대신 호리키리 젠지로가 시데하라 내각의 첫 각의에서 여성 참정권 실현을 제안했고, 같은 내각은 보통 선거법 개정을 결정했다.[18]
1945년 11월 3일에는 전후 최초의 여성 단체인 신일본 부인 동맹을 결성하고 회장에 취임했다. 1946년 4월 10일에 실시된 제22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39명의 여성 의원이 탄생했다. 이치카와는 스스로 입후보하지 않았고, 유권자 명부 등록 누락으로 투표도 할 수 없었지만, 총선거를 계기로 여성들이 주체적으로 정치에 참여하기 위한 계몽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같은 해 12월, 시부야구 요요기에 "부선회관"을 설립했다.[19]
5. 1. 선거 정화 운동
이치카와는 1933년 선거 부패를 억제하기 위한 노력으로 만들어진 도쿄 정치 정화 여성 협회 활동에 참여했다. 또한 공식 정부 기관인 선거 정화 중앙 협회가 설립되면서 이치카와는 5명의 여성 이사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 정부가 전쟁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높이기 위해 만든 조직인 국민 정신 총동원 중앙 협회의 총무로 임명되었다. 그는 민간 지원 단체의 노력을 조직화한 대일본 부인회의 이사도 역임하였다.5. 2. 전시 체제 협력
이치카와 후사에는 국책(전쟁 수행)에 협력하는 자세를 보임으로써 여성의 정치적 권리 획득을 목표로 하는 방침을 취해 평론 활동을 했다. 1940년(쇼와 15년)에 부인선거 획득 동맹을 해소하고 "부인시국연구회"로 통합했다. 1942년(쇼와 17년)에 부인 단체가 대일본부인회로 통합되고, 대정익찬회를 중심으로 한 익찬 체제에 편입되었고, 이치카와는 대일본언론보국회 이사로 취임했다.[14]1943년 (쇼와 18년) 12월, 도쿄도미나미타마군가와구치 마을(현 하치오지시)에서 강연했다.
1944년 (쇼와 19년) 6월, 이치카와는 피난을 갔다. 강연을 통해 인연이 닿은 가와구치 마을 촌장에게 "소중한 서적과 자료를 피난시키고 싶다"고 말했고, 지역 출정 군인이 두 칸의 별채와 창고를 빌려주었다.
5. 3. 여성 문제와 국제 활동
이치카와 후사에는 여성 문제에 헌신하며 국내외에서 여성 회의를 조직하고 참여했으며, 1980년에는 일본 정부에 여성 차별 철폐 협약 비준을 촉구하는 데 앞장섰다.[16] 1933년에는 선거 부패를 근절하고자 도쿄 정치 정화 여성 협회를 결성했고, 공식 정부 기관인 선거 정화 중앙 협회에서 5명의 여성 이사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 정부가 전쟁 지원을 위한 대중의 지지를 높이기 위해 결성한 국민 정신 총동원 중앙 협회의 서기로 임명되었고, 민간 지원 단체의 노력을 조정하는 대일본 부인회 이사로도 활동했다.[14][15]6. 정치 경력
이치카와 후사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직에서 추방되어 점령군에 의해 정치 및 정부 직책에서 한동안 배제되었다. 점령이 끝난 후인 1953년 도쿄 대표로 참의원에 선출되어 정계에 복귀하였다. 여성 문제와 선거 개혁에 집중하며 활동하던 중, 두 번 더 재선되었으나 1971년 재선에 실패하여 퇴임하였다.
1974년, 81세의 나이로 다시 출마하여 참의원 4선에 성공하였고, 1980년 참의원 선거에서는 전국구 최다 득표로 재선되었다.[7]
6. 1. 참의원 의원 당선
제2차 세계 대전 후, 이치카와는 공직에서 추방되어 점령군에 의해 정치 또는 정부 직책에서 배제되었다.[51][7] 점령이 끝난 후 정치에 복귀하여 1953년 도쿄 대표로 참의원에 선출되었다.[51][7] 그녀는 여성에게 중요한 문제와 선거 개혁에 계속 집중했다.[7] 두 번 더 재선되었으나 다음 재선 시도에서 실패하여 1971년에 퇴임했다.[7]1974년, 당시 81세였던 이치카와는 다시 출마하라는 요청을 받고 참의원 4선을 달성하였다.[7] 1980년 참의원 선거에서 전국구 최다 득표로 재선되었다.[7]
6. 2. 의정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후, 이치카와는 공직에서 추방되어 점령군에 의해 정치 또는 정부 직책에서 배제되었다.[7] 점령이 끝난 후 정치에 복귀하여 1953년 도쿄 대표로 참의원에 선출되었다.[7] 여성에게 중요한 문제와 선거 개혁에 계속 집중했다.[7] 두 번 더 재선되었지만 다음 재선 시도에서 실패하여 1971년에 퇴임했다.[7]그러나 1974년, 당시 81세였던 이치카와는 다시 출마해 국회에서 네 번째 임기를 얻었다.[7] 1980년 전국 선거구에서 최다 득표를 얻어 참의원에 재선되었다.[51][7]
6. 3. 마지막 임기
1974년, 81세의 이치카와는 다시 출마하라는 요청을 받고 참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4선에 성공하였다.[51] 1980년 참의원 선거에서는 전국구 최다 득표로 재선되었다.[7]7. 수상
이치카와 후사에는 사회 평등을 위한 노력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1974년 라몬 막사이사이상 사회 지도자 부문을 수상하였다.[6][50]
8. 사후
이치카와 후사에는 생전에 일본 여성 참정권 운동과 여성의 지위 향상에 큰 업적을 남겼다.
8. 1. 평가와 영향
이치카와 후사에는 일본 여성 참정권 운동의 선구자로, 평생 여성의 권리 향상과 사회 참여 확대에 헌신했다. 1919년 히라츠카 라이초와 함께 일본 최초의 여성 단체인 신부인협회를 설립하여 여성의 정치 참여를 제한하는 법률 개정 운동을 주도했다.[16] 1924년에는 부선 획득 동맹을 결성하여 여성 참정권 획득을 위한 본격적인 활동을 전개했다.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신일본 부인 동맹을 결성하고 회장에 취임하여, 1945년 여성 참정권 실현을 이끌어냈다.[18] 이후에도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를 위한 교육과 계몽 활동에 힘썼으며, 1946년 시부야구 요요기에 "부선회관"을 설립했다.[19]
이치카와 후사에의 업적은 2000년 아사히 신문사의 "가장 좋아하는 정치 지도자" 설문 조사에서 여성으로는 유일하게 9위에 오르며 그 역사적 중요성을 인정받았다. 그의 정신은 일본 여성 유권자 동맹과 "이치카와 후사에 기념회 여성과 정치 센터"를 통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치카와 후사에는 간 나오토 전 총리를 비롯한 여러 정치인에게 영향을 주었다. 간 나오토는 1974년 참의원 선거에서 이치카와의 선거 사무장을 맡았으며[41][42], 이후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 이치카와의 비서 출신인 기히라 테이코 역시 참의원 의원으로 활동하며 그의 정신을 계승했다.[41]
참조
[1]
웹사이트
Fusaye Ichikawa
https://web.archive.[...]
Biography.com
2008-01-14
[2]
서적
Japan at War: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3]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Moder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서적
父が子に送る一億人の昭和史:人物現代史(One Hundred Million People's Showa History, from Father to Child: Modern Historical Biographies)
Mainichi Shimbun Press
[5]
서적
Feminism in Modern Japan: Citizenship, Embodiment and Sexual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1974 Ramon Magsaysay Award for Community Leadership
https://web.archive.[...]
2008-01-15
[7]
서적
Who's Who in World Politics: From 1860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Routledge
[8]
웹사이트
市川房枝 {{!}} 近代日本人の肖像
https://www.ndl.go.j[...]
국립국회도서관
2024-02-08
[9]
웹사이트
市川房枝の生家跡地
https://hello138.net[...]
ハロ~いちのみや
2013-07-23
[10]
웹사이트
見よ、飛行機の高く飛べるを
https://www-10.potat[...]
旭川市民劇場
2024-02-12
[11]
서적
愛知教育大学史
愛知教育大学
1975-03-20
[12]
웹사이트
学校案内
https://nagoyanishi-[...]
愛知県立名古屋西高等学校
2024-02-12
[13]
서적
岡崎・西尾の昭和
樹林舎
2011-12-07
[14]
웹사이트
愛知の草創期女性新聞記者 ―市川房枝を中心に―
https://www.jstage.j[...]
愛知県史研究
2024-02-10
[15]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事典 第5版
三省堂
[16]
웹사이트
市川房枝ってどんな人なの?
https://www.ichikawa[...]
公益財団法人 市川房枝記念会 女性と政治センター
2021-08-26
[17]
웹사이트
「オンライン版 市川房枝資料 1905-1946」解題
https://j-dac.jp/ich[...]
ジャパン デジタル アーカイブズ センター
2024-02-26
[18]
웹사이트
執務提要
https://www.gender.g[...]
男女共同参画局
2021-08-26
[19]
웹사이트
市川房枝記念会 女性と政治センター
http://azarea-epoca.[...]
静岡県男女共同参画センター あざれあ
2024-02-08
[20]
간행물
月刊婦人展望
財団法人婦選会館出版部
1963-01
[21]
문서
公益財団法人市川房枝記念会女性と政治センター 定款
2017-06-29
[22]
웹사이트
『女性展望』総目次データベース
https://www.ichikawa[...]
公益財団法人市川房枝記念会女性と政治センター
2024-05-29
[23]
문서
生存者叙勲の開始について
https://ndlsearch.nd[...]
1963-07-12
[24]
웹사이트
美濃部革新都政への道をふりかえる
http://heikenkon.coc[...]
2012-11-22
[25]
웹사이트
統一戦線論の再構築が急務 清水慎三氏没後20年、胎動する新たな動き
http://gendainoriron[...]
現代の理論
2023-09-26
[26]
웹사이트
第1回(1994年度)読売国際協力賞 緒方貞子 国連民高等弁務官
http://info.yomiuri.[...]
読売新聞
1994-09-30
[27]
간행물
月刊婦人展望
財団法人婦選会館
1974-06
[28]
웹사이트
婦人運動の先駆者・市川房枝
https://hello138.net[...]
ハロ~いちのみや
2013-07-21
[29]
웹사이트
掲載
https://mds.isseymiy[...]
ISSEY MIYAKE Official Site
2024-03-25
[30]
웹사이트
組織沿革
https://iwylg-jp.com[...]
국제부녀년연락회
2024-02-10
[31]
서적
秋田の母ちゃん統一協会とわたりあう
かもがわ出版
[32]
문서
第94回 参議院 本会議 第6号 昭和56年2月27日
https://kokkai.ndl.g[...]
1981-02-27
[33]
문서
議事録・参議院 - 本会議
1981-02-13
[34]
웹사이트
市川房枝 氏
https://fuhou-shinbu[...]
訃報新聞
[35]
비디오
八十七歳の青春 -市川房枝生涯を語る-
http://sakuraeiga.co[...]
[36]
웹사이트
映画 『八十七歳の青春-市川房枝生涯を語る- 』 ダイジェスト(1/3)
https://www.youtube.[...]
株式会社桜映画社
2011-02-01
[37]
간행물
『月刊婦人展望』1983年11・12月号
財団法人市川房枝記念会
[38]
웹사이트
朝日新聞ミレニアム企画 読者投票第一弾の結果 第一位は坂本龍馬
https://web.archive.[...]
[39]
웹사이트
団体概要
https://www.ichikawa[...]
公益財団法人市川房枝記念会女性と政治センター
[40]
비디오
参議院議員、婦人参政権獲得運動・女性と政治等
https://ndlsearch.nd[...]
1978-03-00/1978-05-00
[41]
간행물
七月の参院選挙に対する私の立場
財団法人婦選会館
1977-06-00
[42]
웹사이트
総理 菅直人氏の横顔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0-09-18
[43]
웹사이트
菅直人は「主役」になれるのか
https://www.newsweek[...]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
2010-06-04
[44]
서적
婦人界の動向 : 婦人年報第1輯
日本図書センター
[45]
서적
婦人界の動向 : 婦人年報第1輯
日本図書センター
[46]
웹사이트
Fusaye Ichikawa
http://www.biography[...]
Biography.com
2008-01-14
[47]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Moder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8]
서적
父が子に送る一億人の昭和史:人物現代史(One Hundred Million People's Showa History, from Father to Child: Modern Historical Biographies)
Mainichi Shimbun Press
[49]
서적
Feminism in Modern Japan: Citizenship, Embodiment and Sexual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웹사이트
1974 Ramon Magsaysay Award for Community Leadership
http://www.rmaf.org.[...]
2008-01-15
[51]
서적
Who's Who in World Politics: From 1860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