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 문학은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라틴 문학의 전통을 계승하며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라틴어를 사용한 작품이 주를 이루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오크어 서정시가 이탈리아 북서부 지역에서 나타났다. 13세기에는 이탈리아어로 된 문학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시칠리아 학파를 통해 표준 이탈리아어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14세기에는 단테, 페트라르카, 보카치오와 같은 걸출한 작가들이 등장하여 이탈리아 문학의 르네상스를 열었다. 15, 16세기에는 인문주의와 르네상스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루도비코 아리오스토, 토르콰토 타소 등이 활약했다. 17, 18세기에는 바로크, 아르카디아, 계몽주의 등의 사조가 나타났고, 19세기에는 신고전주의, 낭만주의, 진실주의, 데카당스 문학이 등장했다. 20세기 이후에는 퓨처리즘, 신사실주의, 에르메티시즘 등 다양한 문학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이탈로 스베보, 루이지 피란델로, 움베르토 에코 등의 작가가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 문학 - 궁정론
《궁정론》은 발다사레 카스틸리오네가 우르비노 공국의 궁정 신사들의 가상 대화 형식을 빌려 이상적인 궁정인의 자질과 웅변술 등을 논하며 16세기 유럽 신사 개념 형성에 기여한 책으로, 스프레차투라 개념을 통해 자연스러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탈리아 문학 | |
---|---|
이탈리아 문학 지도 정보 | |
이탈리아 문학 | |
국가 | 이탈리아 |
시대 | 로마 문학 중세 문학 르네상스 문학 바로크 문학 계몽주의 문학 낭만주의 문학 사실주의 문학 현대 문학 |
주요 장르 | 서사시 서정시 소설 극 단편 소설 희곡 코미디아 델라르테 오페라 리브레토 문학 비평 |
언어 | |
주요 언어 | 이탈리아어 |
방언 | 나폴리어 시칠리아어 베네치아어 |
다른 언어 | 라틴어 그리스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아랍어 |
문학적 특징 | |
주요 특징 | 고전주의 르네상스 바로크 계몽주의 낭만주의 사실주의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
다른 특징 | 인문주의 정치 문학 지역주의 |
주요 작가 | |
고대 | 플라우투스 테렌티우스 카툴루스 키케로 베르길리우스 호라티우스 오비디우스 세네카 페트로니우스 |
중세 | 프란체스코 다시시 야코포 다 토디 단테 알리기에리 조반니 보카치오 페트라르카 |
르네상스 | 루도비코 아리오스토 니콜로 마키아벨리 피에트로 아레티노 미켈란젤로 레오나르도 다빈치 조르조 바사리 |
바로크 | 잠바티스타 마리노 갈릴레오 갈릴레이 토마소 캄파넬라 카를로 골도니 |
계몽주의 | 주세페 파리니 비토리오 알파에리 체사레 베카리아 카를로 골도니 |
낭만주의 | 알레산드로 만초니 자코모 레오파르디 우고 포스콜로 |
사실주의 | 조반니 베르가 루이지 카푸아나 이탈로 스베보 |
현대 | 가브리엘레 단눈치오 루이지 피란델로 주세페 운가레티 에우제니오 몬탈레 움베르토 사바 이탈로 칼비노 엘사 모란테 프리모 레비 알베르토 모라비아 다리오 포 움베르토 에코 안토니오 타부키 |
주요 작품 | |
고대 | 아이네이스 변신 이야기 |
중세 | 신곡 데카메론 칸초니에레 |
르네상스 | 광란의 오를란도 군주론 로미오와 줄리엣 오델로 햄릿 리어왕 |
바로크 | 아도네 두 개의 주요 세계 체제에 대한 대화 |
낭만주의 | 약혼자 세상의 고통 |
사실주의 | 말볼리아의 집안 사람들 나의 생애 |
현대 | 쾌락주의자 세르지오 구소 늦어진 마티아 파스칼 그리스도를 막론한 말 이방인 장미의 이름 |
주요 문학상 | |
주요 문학상 | 스트레가 상 캄피엘로 상 비아레조 상 바구타 상 프란차바르트 상 |
기타 | |
관련 주제 | 이탈리아 예술 이탈리아 문화 이탈리아 영화 이탈리아 음악 이탈리아 요리 이탈리아 철학 |
관련 기관 | 이탈리아 아카데미 단테 알리기에리 학회 이탈리아 문학 협회 |
2. 13세기 이전의 문학
이탈리아어는 라틴어에서 유래하며, 로망스어가 이탈리아반도에서 변천하여 각 지방의 방언이 수 세기 동안 발전한 뒤 문학어로서의 이탈리아어로 나타났다.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초, 피렌체의 경제적, 정치적 생활을 지배한 칼리말라(Arte di Calimala) 조합의 영향으로 인문주의가 싹트기 시작했다. 교회와 봉건 영주의 정권을 벗어난 피렌체, 밀라노, 베네치아 등 자유 도시 국가들은 법률, 의학, 철학, 예술 등에 관심을 가지며 고유한 문학을 찾기 시작했다. 이탈리아 국민 문학 형성에 라틴 문학과 프랑스 문학이 큰 영향을 미쳤다. 남부 이탈리아반도와 여러 섬의 방언이 합쳐져 시칠리아어를 이루어 이탈리아어로서 최초의 시어(詩語)를 구성했다. 13세기 전반 프랑스 남쪽의 서정시가 시칠리아섬 페데리코 2세의 궁전에 전파되어 이탈리아 문학어로 된 연애시가 각 지방으로 유행했다.[2]
1250년 페데리코 2세가 사망하자, 상공업이 융성하고 정치, 경제적으로 민주적 자유 도시를 이루고 있던 토스카나 지방에서 문화가 재흥되었다. 시칠리아에서 시작된 이 문학어는 점차 북상하여 볼로냐로 옮겨갔다. 토스카나 방언은 라틴어의 전통을 잘 보존하고 있었기에, 시칠리아의 연애시가 이 지방에 퍼지자 시칠리아어 내부의 라틴어적 요소, 즉 토스카나어에 가까운 요소가 강화되고 다른 요소는 제거되어 토스카나어가 문학어로서 계승되었다. 볼로냐에는 유럽 학문의 중심인 대학이 있었고, 구이도 구이니첼리(Guido Guinizelli, 1230-1276)가 청신체(淸新體)로 시칠리아어의 서정시보다 순수하고 숭고한 시를 쓰기 시작했다. 단테(Dante Alighieri, 1265-1321)는 청신체를 모방하여 서정시집 《신생(新生)》을 썼고, 걸작 《신곡(新曲)》을 완성하여 문학, 예술, 종교, 정치 면에서 인류 문화 전반에 영향을 주었으며, 토스카나어의 문학어로서의 지위를 굳혔다.[2]
2. 1. 초기 중세 라틴 문학

서로마 제국이 쇠퇴하면서 카시오도루스(Cassiodorus), 보에티우스, 심마쿠스와 같은 작가들이 라틴 전통을 이어갔다. 라벤나에서는 테오도리크 치하에 교양 있는 학문이 번영했고, 고트족 왕들은 자신들을 수사학과 문법의 대가들로 둘러쌌다. 이탈리아에는 일부 평민 학교가 남아 있었고, 주목할 만한 학자로는 마그누스 펠릭스 에노디우스(Magnus Felix Ennodius), 아라토르(Arator), 베난티우스 포르투나투스(Venantius Fortunatus), 펠릭스 문법학자(Felix the Grammarian), 피사의 페트루스(Peter of Pisa), 아퀼레이아의 파울리누스(Paulinus of Aquileia) 등이 있었다.
후에 설립된 볼로냐, 파도바, 비첸차, 나폴리, 살레르노, 모데나, 파르마의 중세 대학교들은 문화를 널리 퍼뜨리고 새로운 토착어 문학이 발전할 토대를 마련했다.[2] 고전 전통은 사라지지 않았고, 로마에 대한 기억, 정치에 대한 집착, 이론보다 실천을 선호하는 경향이 결합하여 이탈리아 문학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2. 2. 고(古) 이탈리아어의 출현
이탈리아어는 라틴어에서 유래하며, 로망스어가 이탈리아반도에서 변천하여 각 지방의 방언이 수 세기 동안 발전한 뒤 문학어로서의 이탈리아어로 나타났다.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초, 피렌체의 경제적, 정치적 생활을 지배한 칼리말라(Arte di Calimala) 조합의 영향으로 인문주의가 싹트기 시작했다. 교회와 봉건 영주의 정권을 벗어난 피렌체, 밀라노, 베네치아 등 자유 도시 국가들은 법률, 의학, 철학, 예술 등에 관심을 가지며 고유한 문학을 찾기 시작했다. 이탈리아 국민 문학 형성에 라틴 문학과 프랑스 문학이 큰 영향을 미쳤다. 남부 이탈리아반도와 여러 섬의 방언이 합쳐져 시칠리아어를 이루어 이탈리아어로서 최초의 시어(詩語)를 구성했다. 13세기 전반 프랑스 남쪽의 서정시가 시칠리아섬 페데리코 2세의 궁전에 전파되어 이탈리아 문학어로 된 연애시가 각 지방으로 유행했다.
1250년 페데리코 2세가 사망하자, 상공업이 융성하고 정치, 경제적으로 민주적 자유 도시를 이루고 있던 토스카나 지방에서 문화가 재흥되었다. 시칠리아에서 시작된 이 문학어는 점차 북상하여 볼로냐로 옮겨갔다. 토스카나 방언은 라틴어의 전통을 잘 보존하고 있었기에, 시칠리아의 연애시가 이 지방에 퍼지자 시칠리아어 내부의 라틴어적 요소, 즉 토스카나어에 가까운 요소가 강화되고 다른 요소는 제거되어 토스카나어가 문학어로서 계승되었다. 볼로냐에는 유럽 학문의 중심인 대학이 있었고, 구이도 구이니첼리(Guido Guinizelli, 1230-1276)가 청신체(淸新體)로 시칠리아어의 서정시보다 순수하고 숭고한 시를 쓰기 시작했다. 단테(Dante Alighieri, 1265-1321)는 청신체를 모방하여 서정시집 <신생(新生)>을 썼고, 걸작 <신곡(新曲)>을 완성하여 문학, 예술, 종교, 정치 면에서 인류 문화 전반에 영향을 주었으며, 토스카나어의 문학어로서의 지위를 굳혔다.
다레스 프리기우스(Dares Phrygius)의 『트로이 멸망사(Historia de excidio Trojae)』는 트로이 전쟁 목격자 기록을 표방했다. 시칠리아 학파의 속어(vernacular) 시인 메시나(Messina) 출신 귀도 델레 콜론네(Guido delle Colonne)는 『트로이의 멸망사(Historia destructionis Troiae)』를 지었다. 귀도는 시에서 프로방스(Provence) 시인들을 모방했지만,[8] 이 책에서는 베누아 드 생트모르(Benoît de Sainte-Maure)의 프랑스식 로맨스를 라틴어 역사처럼 바꾸었다.
퀼리키노 디 스폴레토(Quilichino of Spoleto)는 알렉산더 대왕(Alexander the Great) 전설에 관한 2행시(couplet)를 썼다. 유럽은 아서 왕(King Arthur) 전설로 가득했지만, 이탈리아인들은 프랑스식 로맨스를 번역하고 요약하는 데 만족했다. 야코부스 데 보라지네(Jacobus de Voragine)는 『황금 전설(Golden Legend)』(1260년)을 편찬하며 역사가로 남았다.[9] 파르파(Farfa), 마르시카노(Marsicano) 등 학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살레르노(Salerno) 학파 교훈, 마르코 폴로(Marco Polo) 여행기를 번역하여 고전과 르네상스를 연결했다.[8]
동시에 서사시는 프랑스어를 기반으로 한 이탈리아 방언, 혼합된 언어로 쓰여졌다. 혼종어는 두 언어 규칙에 따라 음운 처리를 보였고, 프랑스어 어근에 이탈리아어 어미를 가졌으며, 이탈리아어나 라틴어 규칙에 따라 발음되었다. 기사도 서사시(chanson de geste) 『마카이르(Macaire)』, 파두아(Padua) 익명 작가의 『에스파냐 입성(Entrée d'Espagne)』, 베로나의 니콜로(Niccolò of Verona)의 『팜플로나 함락(Prise de Pampelune)』 등이 그 예이다. 이 모든 것은 순수 이탈리아 문학이 나타나기 전에 일어났다.[10][11]
2. 3. 시칠리아 파
소네트는 '작은 노래'라는 뜻의 14행시로, 이탈리아 문학의 근간을 이루는 시 형식이다. 13세기 시칠리아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 주변의 문화인들이 만들었다고 여겨진다. 페데리코 2세, 황태자 엔초, 피에르 텔라비냐, 지아코모 다 렌티니, 지아코미노 프레체, 리나르도 다쿠이노이 등이 이탈리아어로 연애시를 읊어 이탈리아 국민 문학의 성립에 이르는 첫걸음을 기록했다.[2] 시의 주제는 주로 프로방스 시인들이 부르던 것으로 여성의 아름다움, 사랑의 기쁨과 고뇌, 봉건 기사도의 부인 예찬 등이었다. 프랑스 남부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음유시인(트루바두르)들이 당시 북이탈리아의 궁정에 있었다. 그들이 이야기하는 기사도와 사랑은 시의 내용으로 활발하게 받아들여졌다. 이탈리아는 로마 제국의 옛 땅이며, 중세에 여러 차례 있었던 고전 부흥 운동으로 라틴 문학에 대한 접근이 용이했다. 이러한 세 가지 흐름이 13세기 후반 토스카나 지방으로 이어져 꽃을 피우게 된다.3. 13, 14세기 문학
13세기 이탈리아 문학은 시칠리아 학파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었다. 프리드리히 2세 황제 궁정을 중심으로 활동한 시칠리아 학파는 자코모 다 렌티니가 소네트 형식을 발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이들은 프로방스 시의 영향을 받아 연애시를 주로 썼는데, 여성에 대한 묘사가 덜 에로틱하고 더 플라톤적인 경향을 보였다.[14] 이러한 경향은 13세기 후반 볼로냐와 피렌체의 달체 스틸 노보(청신체)로 이어진다. 시칠리아 학파는 최초의 표준 이탈리아어를 창조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16] 이들은 시칠리아 방언과 남부 방언의 특징을 결합하고 라틴어와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단어를 사용하여 새로운 어휘를 만들어냈다.
단테 알리기에리는 시칠리아 학파의 언어 연구를 발전시켜 ''illustre, cardinale, aulico, curiale'' 스타일을 확립했다. 토스카나의 서기관들은 남부 이탈리아의 5모음 체계를 7모음 체계로 인식했기 때문에, 표준 이탈리아어는 토스카나에서 약간 변화되었다. 그 결과, 이탈리아 학생들이 읽는 텍스트에는 운율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구절, 즉 "시칠리아 운율"(''rima siciliana'')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단테나 페트라르카와 같은 후대 시인들이 널리 사용했다.[17]
13세기에는 종교 문학도 발전했다. 성 프란체스코는 <성가(聖歌)>를 통해 중부 이탈리아 움브리아 지방의 종교적 분위기를 표현했다. 북 이탈리아에서는 종교시가 불렸고, 중부 이탈리아에서는 구이토네 다레초가 연애시와 시민적 테마의 시를 썼다.
14세기에는 단테, 페트라르카, 보카치오가 등장하여 이탈리아 문학의 황금기를 열었다. 단테는 <신생(新生)>과 <신곡>을 통해 청신체의 전통을 계승하고 토스카나어의 문학적 지위를 확립했다. 페트라르카는 <서정시집>을 통해 인문주의 운동의 선구자가 되었으며, 보카치오는 <데카메론>을 통해 이탈리아어 산문의 발전에 기여했다.
3. 1. 토스카나 문학의 발흥
이탈리아어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이탈리아반도에서 변천한 로망스어가 이탈리아 각 지방의 방언으로 수 세기 동안 변화를 거친 뒤 문학어로서의 이탈리아어로 발전해 나왔다.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초, 피렌체의 경제적, 정치적 생활을 지배하게 된 칼리말라(조합)의 영향으로 인문주의의 요람기가 싹트기 시작했다. 교회와 봉건 영주의 정권을 벗어난 피렌체, 밀라노, 베네치아 등 자유 도시 국가들은 실천적 학문인 법률과 의학뿐만 아니라 철학, 예술 등에도 관심을 가지며 고유한 문학을 찾기 시작했다. 이탈리아 국민 문학의 형성에 있어 전통적인 라틴 문학은 물론, 프랑스 문학의 영향도 크게 작용했다. 남부 이탈리아반도와 여러 섬의 방언이 혼합되어 시칠리아어를 이루어 이탈리아어로서 최초의 시어(詩語)를 구성했다. 13세기 전반 프랑스 남쪽의 서정시가 시칠리아섬에 있는 페데리코 2세의 궁전에 전파되어 이탈리아 문학어로 된 연애시가 각 지방으로 유행되었다.
1250년 페데리코 2세가 사망하자, 상공업의 융성으로 정치, 경제적으로 민주적 자유 도시를 이루고 있던 토스카나 지방에 문화가 재흥되었다. 시칠리아에서 시작된 문학어는 점차 북상하여 토스카나 지방인 볼로냐로 옮겨갔다. 그 당시 토스카나 방언은 라틴어의 전통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었기에, 시칠리아의 연애시가 이 지방에 퍼지자 시칠리아어 내부의 라틴어적 요소, 즉 토스카나어에 가장 가까운 요소가 확장, 강화되고 다른 요소를 제거하여 토스카나어가 문학어로서 계승되게 되었다. 그 당시 볼로냐에는 유럽 학문의 중심 중 하나인 대학이 있었고, 이 도시에서 구이도 구이니첼리(Guido Guinizelli, 1230-1276)가 청신체(淸新體)로 시칠리아어의 서정시보다 훨씬 순수하고 숭고한 시를 쓰기 시작했다. 단테(Dante Alighieri, 1265-1321)는 청신체를 모방하여 서정시집 <신생(新生)>을 출현시켰고, 걸작 <신곡(新曲)>을 완성하여 문학, 예술뿐만 아니라 종교, 정치 면에까지 널리 인류 문화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었으며, 토스카나어의 문학어로서의 지위를 굳건하게 만들었다.[18]
소네트는 '작은 노래'라는 뜻의 14행시로, 이탈리아 문학의 근간을 이루는 시 형식이다. 13세기 시칠리아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 주변의 문화인들이 만들었다고 여겨진다. 또한 프랑스 남부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음유시인(트루바두르)들이 당시 북이탈리아의 궁정에 있었다. 그들이 이야기하는 기사도와 사랑은 시의 내용으로 활발하게 받아들여졌다. 그리고 이탈리아는 로마 제국의 옛 땅이며, 중세에 여러 차례 있었던 고전 부흥 운동으로 라틴 문학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졌다. 이러한 세 가지 흐름이 13세기 후반 토스카나 지방으로 이어져 꽃을 피우게 된다.

13세기 후반 토스카나 지방 피렌체를 중심으로 일어난 혁신적인 문학 운동으로, 트루바두르들의 영향을 받아 귀부인에 대한 사랑을 노래하는 소네트가 성행하였다. 하지만 시적 쇄신파의 시가 기존의 것과 다른 점은, 비유를 교묘하게 사용하여 지적이고 세련되었다는 점에 있다. 또한 자신의 내면을 시에 표현하는 등, 더욱 깊이 있는 표현을 시도하였다. 그들 중 가장 중요한 인물은 시적 쇄신파라는 말을 만들었다고 알려진 거장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일 것이다. 그는 베르길리우스(Vergilius)와 오비디우스(Ovidius)와 같은 라틴 문학을 즐겨 읽었고, 시적 재능에 뛰어났다. 어린 시절 만난 베아트리체에게 열렬한 사랑을 헌정하였고, 그녀의 너무나 이른 죽음을 애도하며 쓴 『신곡』(La Divina Commedia)는 시적 쇄신파의 상징적인 작품이다. 그는 정쟁에 휘말려 피렌체에서 추방되었지만, 자신의 경험과 사상을 기독교적 가치관 속에서 표현한 『신곡』을 추방지에서 썼다. 이 작품은 로마의 시인 베르길리우스를 안내자로 하여 지옥과 연옥, 그리고 신격화된 베아트리체에 의해 천국을 안내받는 삼부작으로, 그 당시까지의 유럽의 다양한 인물과 사건이 엮여 있는 대작이다. 인물 묘사 등에 아직 중세적인 경직성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그 웅장한 스케일은 이탈리아 문학은 물론 세계 문학의 최고 걸작 중 하나로 여겨진다. 또한 그는 시를 라틴어가 아닌 토스카나 방언으로 썼기 때문에, 이탈리아어의 형성에도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업적들로 인해 르네상스의 선구자로 여겨지고 있다.
3. 2. 청신체 파
구이도 구이니첼리는 당시 학원 도시였던 볼로냐에서 '청신체(淸身體; Dolce Stil Novo) 파(派)'를 창시하였다.[25] '시칠리아 파' 시인들의 사랑은 개인적 감정이 아닌 모방적 정서였지만, '청신체 파'는 사랑의 개념을 정신화(精神化)하였다.[22] 즉, 부인은 애인의 마음을 정화하여 숭고한 진, 선, 신(神)에게로 향하게 하는 존재로 여겨졌다. 이 시파에는 단테, 구이니첼리, 카발칸티 등과 치노 다 피스토이아, 디노 프레스코발디, 라포 잔니 등이 참여했다.
3. 3. 단테, 페트라르카, 보카치오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는 가장 위대한 이탈리아 시인 중 한 명으로, 1293년에 사랑을 이상화한 ''신생''을 저술했다.[38] 베아트리체는 이상화된 모습으로 대체되어 인간성을 잃고 신성의 표현이 된다.[39]
''신곡''은 라틴 시인 베르길리우스의 동행 하에 시인이 죽은 자들의 세 영역인 지옥, 연옥, 천국을 여행하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 위대한 서사시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 아래에는 우의적인 의미가 숨겨져 있다. 지옥, 연옥, 천국을 여행하는 단테는 시간적이고 영원한 행복이라는 이중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인류를 상징한다. 시인이 길을 잃는 숲은 죄를 상징한다.[40] 태양이 비추는 산은 보편적인 군주제이다. 질투는 피렌체이고, 교만은 프랑스의 집이며, 탐욕은 교황청이다. 베르길리우스는 이성과 제국을 나타낸다.[41] 베아트리체는 인류가 최고의 목표인 신에게 도달하기 위해 가져야 하는 초자연적인 도움의 상징이다.[41]
''신곡''은 세계 문학의 걸작 중 하나로 손꼽힌다.[43] 시의 장점은 시인의 개별적인 예술, 즉 로맨스 형식으로 처음 주입된 고전 예술에 있다. 자연을 묘사하든, 열정을 분석하든, 악덕을 저주하든, 미덕을 찬양하는 찬가를 부르든, 단테는 그의 예술의 위대함과 섬세함으로 주목할 만하다. 그는 자신의 시를 위한 자료를 신학, 철학, 역사, 신화에서 가져왔지만, 특히 증오와 사랑에서 온 자신의 열정에서 가져왔다.[42]
13세기 후반 토스카나 지방 피렌체를 중심으로 일어난 혁신적인 문학 운동으로, 트루바두르들의 영향을 받아 귀부인에 대한 사랑을 노래하는 소네트가 성행하였다. 시적 쇄신파의 시가 기존의 것과 다른 점은, 비유를 교묘하게 사용하여 지적이고 세련되었다는 점에 있다. 또한 자신의 내면을 시에 표현하는 등, 더욱 깊이 있는 표현을 시도하였다. 그들 중 가장 중요한 인물은 시적 쇄신파라는 말을 만들었다고 알려진 거장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이다. 그는 베르길리우스(Vergilius)와 오비디우스(Ovidius)와 같은 라틴 문학을 즐겨 읽었고, 시적 재능에 뛰어났다. 어린 시절 만난 베아트리체에게 열렬한 사랑을 헌정하였고, 그녀의 너무나 이른 죽음을 애도하며 쓴 『신곡』(La Divina Commedia)는 시적 쇄신파의 상징적인 작품이다. 그는 정쟁에 휘말려 피렌체에서 추방되었지만, 자신의 경험과 사상을 기독교적 가치관 속에서 표현한 『신곡』을 추방지에서 썼다. 이 작품은 로마의 시인 베르길리우스를 안내자로 하여 지옥과 연옥, 그리고 신격화된 베아트리체에 의해 천국을 안내받는 삼부작으로, 그 당시까지의 유럽의 다양한 인물과 사건이 엮여 있는 대작이다. 인물 묘사 등에 아직 중세적인 경직성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그 웅장한 스케일은 이탈리아 문학은 물론 세계 문학의 최고 걸작 중 하나로 여겨진다. 또한 그는 시를 라틴어가 아닌 토스카나 방언으로 썼기 때문에, 이탈리아어의 형성에도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업적들로 인해 르네상스의 선구자로 여겨지고 있다.
페트라르카는 최초의 휴머니스트였으며, 동시에 최초의 근대 서정시인이었다.[44][45] 그의 삶은 길고 격동적이었다. 그는 여러 해 동안 아비뇽에서 살면서 교황청의 부패를 비난했고, 유럽 전역을 여행했으며, 황제와 교황들과 서신을 교환했고, 당대 가장 중요한 작가로 여겨졌다. 페트라르카의 서정시는 프로방스의 트루바두르들과 그 이전의 이탈리아 시인들뿐만 아니라 단테의 서정시와도 매우 다르다.[46] 페트라르카는 심리적인 시인으로, 자신의 모든 감정을 섬세하고 달콤한 예술로 표현한다. 페트라르카의 서정시는 단테의 서정시처럼 초월적이지 않고, 전적으로 인간의 한계 내에 머문다.
《칸초니에레》(Canzoniere)에는 몇 편의 정치적인 시가 포함되어 있는데, 그중 하나는 콜라 디 리엔치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되며, 아비뇽 교황청에 대한 여러 편의 소네트도 있다. 이들은 감정의 강렬함과 단테에 비해 더 넓은 이탈리아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47]
14세기 중반경, 토스카나 지방 아레초 출신의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는 고대 문헌의 수집 및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당시 붕괴되었던 라틴어 문법을 정비하는 등 인문주의자의 시조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또한 연구와는 별도로 스스로도 시를 창작하여, 토스카나 방언으로 미인 라우라를 그리워하는 소네트집 『칸초니에레』를 저술했다. 이 서정시집은 소네트라는 형식의 완성형으로 여겨지며, 르네상스기 유럽 문학의 흐름을 결정지은 걸작이다. 그 외에 서사시로 『개선』『아프리카』 등이 있다.
조반니 보카치오(Giovanni Boccaccio)는 페트라르카와 마찬가지로 고대에 대한 열정적인 사랑과 새로운 이탈리아 문학에 대한 숭배를 가지고 있었다.[48] 그는 최초로 ''일리아드''의 라틴어 번역을 완성했으며, 1375년에는 ''오디세이''를 번역했다. 그의 고전적 학문은 ''신들의 계보(De genealogia deorum)''에서 드러났는데, A. H. 헤렌(A. H. Heeren)이 말했듯이 이는 신화 지식의 백과사전이었고, 15세기 휴머니즘 운동의 전조였다.[49] 보카치오는 또한 ''여성들에 관하여(De mulieribus claris)''에서 최초의 여성 역사가였고, ''저명한 인물들의 흥망성쇠(De casibus virorum illustrium)''에서 불운한 위인들의 이야기를 최초로 전했다. 그는 ''산, 숲, 샘, 호수, 강, 늪, 그리고 바다의 이름에 관하여(De montibus, silvis, fontibus, lacubus, fluminibus, stagnis, et paludibus, et de nominibus maris)''에서 이전의 지리적 조사를 계속하고 완성했는데, 여기서 그는 비비우스 세퀘스터(Vibius Sequester)를 이용했다.
그는 8행시를 발명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테세이다''에서 이것을 장편 작품에 처음으로 사용하여 예술적 가치를 부여했다. 이는 가장 오래된 이탈리아 낭만시이다. ''필로스트라토''는 트로일로와 그리세이다(Troiolo and Griseida)(트로일루스와 크레시다)의 사랑 이야기를 다룬다. ''닌팔레 피에솔라노''는 님프 메솔라와 목동 아프리코의 사랑 이야기를 들려준다. 3행 연으로 된 ''아모로사 비지오네''는 분명 ''신곡''에서 유래했다. ''아메토''는 산문과 운문이 혼합된 최초의 이탈리아 목가적 로맨스이다.
보카치오는 주로 이탈리아어 작품인 ''데카메론''으로 유명해졌는데, 이는 1348년 흑사병을 피해 피렌체 근처 별장으로 피신한 남녀 일행이 들려주는 100편의 소설 모음집이다. 특히 프랑스에서 이전 세기에 풍부했던 소설쓰기는 이제 처음으로 예술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50] 보카치오의 문체는 라틴어를 모방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에게서 산문은 처음으로 정교한 예술의 형태를 취했다. 게다가 ''데카메론''에서 보카치오는 인물 묘사가 뛰어나고 열정을 관찰하는 능력이 탁월했다. ''데카메론'' 소설의 출처에 대해 많은 글이 쓰여졌는데, 보카치오는 아마도 서면 및 구전 자료를 모두 사용했을 것이다.
거의 동시기에 피렌체 출신의 조반니 보카치오는 페스트 피해를 피해 온 신사 숙녀들에게 100가지 이야기를 들려주는 단편집 『데카메론』을 저술했다. 이 작품에는 기사도나 기독교적 가치관을 풍자하고, 때로는 통렬하게 비난하는 이야기가 있으며, 노골적인 성애 이야기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도덕관에서 벗어나 인간이라는 것을 직시했다는 점에서, 가장 르네상스적인 문학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페트라르카의 절친이었고, 단테의 가장 초기 숭배자이기도 했다. 단순히 喜劇(commedia)로 여겨졌던 것에 신성한(divina)을 더하여 『신곡』이라고 명명한 것도 그이며, 피렌체에서 『신곡』 강의를 하기도 했다.
4. 15, 16세기 문학
16세기에 폴리치아노, 로렌초, 보이아르도, 산나차로 등의 노력과 더불어, 1520년에 간행된 피에트로 벰보의 <속어 산문(Prose della volgar lingua)> 3권은 이탈리아어 연혁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612년 크루스카 학회(Accademia della Crusca)에서 간행한 사전을 중심으로 이탈리아어를 발전시켜 라틴 문학의 지위까지 끌어올리려는 노력이 이어졌다.[64] 이러한 노력으로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했고,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을, 아리오스토는 <광란의 오를란도>를 저술했다. 그러나 아리오스토 사후 이탈리아 문학은 쇠퇴했는데, 르네상스가 스스로 무너지고 교회가 인간의 양심을 지배하면서 창작 활동이 억압되었기 때문이다.[64]
4. 1. 인문주의와 르네상스
이탈리아어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로망스어가 이탈리아반도에서 변천하여 이탈리아 각 지방의 방언이 수 세기의 부화기를 거친 뒤에 문학어로서의 이탈리아어로 발전해 나왔다.[64]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초기까지 피렌체의 경제적, 정치적 생활을 지배하게 된 칼리말라의 영향으로 인문주의의 요람기가 싹트기 시작했다. 교회와 봉건 영주의 정권을 벗어난 피렌체, 밀라노, 베네치아 등 자유 도시 국가들은 실천적 학문인 법률과 의학에 흥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철학, 예술 등에도 관심을 가져 고유한 문학을 찾기 시작했고 이탈리아 국민 문학의 형성에 있어 전통적인 라틴 문학은 물론, 프랑스 문학의 영향도 크게 입었다.[64] 남부 이탈리아반도와 여러 섬의 방언이 혼연일치 되어 시칠리아어를 이루어 이탈리아어로서 최초의 시어를 구성했다. 13세기 전반 프랑스 남쪽의 서정시가 시칠리아섬에 있는 페데리코 2세의 궁전에 전파되어 이탈리아 문학어로 된 연애시가 각 지방으로 유행되어갔다.[64]1250년 페데리코 2세가 사망하자 그 당시 상공업의 융성으로 정치, 경제적으로 민주적 자유 도시를 이루고 있던 토스카나 지방에 문화가 재흥되어 시칠리아에서 시작된 이 문학어는 점차적으로 북상하여 토스카나 지방인 볼로냐로 옮겨갔다. 그 당시 토스카나 방언은 라틴어의 전통을 가장 잘 보존 유지하고 있었기에 시칠리아의 연애시가 이 지방에 번지자 시칠리아어 내부의 라틴어적 요소, 즉 토스카나어에 가장 가까운 요소가 확장 강화되고 다른 요소를 제거하여 그 후부터는 토스카나어가 문학어로서 계승되게 되었다.[64] 당시 볼로냐에는 유럽 학문의 중심의 하나인 대학이 있었고 이 도시에서 구이도 구이니첼리가 청신체로 시칠리아어의 서정시보다 훨씬 순수하고 숭고한 시를 쓰기 시작하여 단테에 이르러 그 청신체를 모방하여 서정시집 <신생>을 출현시켰고, 그의 걸작 <신곡>을 완성하여 문학, 예술뿐만 아니라 종교, 정치 면에까지 널리 인류 문화 전반에 걸쳐 하나의 계시를 던져 주었고, 토스카나어의 문학어로서의 지위를 부동하게 만들었다.[64]

14세기에는 단테의 뒤를 이은 거장 페트라르카와 보카치오의 등장으로 위대한 창조력이 발휘된 시기였다. 페트라르카는 라틴 산문과 시를 연구했을 뿐만 아니라 문학, 철학,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었고 이탈리아어로 <서정시집>을 썼다. 또한 각 지방을 여행하면서 고전서를 수집하며 그 가치를 재발견하여 15세기에 배출하는 인문주의자들의 선구자가 되었다.[64] 보카치오는 설화 문학을 통해서 이탈리아어의 지위를 굳건히 했고 그의 걸작품인 <데카메론>은 시민의 승리를 높이 찬양하는 소리이며 건전한 현세 향락의 문학이었다.[64] 13, 14세기경에 이탈리아 각 지방에 일어났던 인문주의 운동은 그리스, 로마의 고전 연구를 북돋았고 그리스어, 라틴어가 존중되어 이탈리아 문학어는 저급한 소설, 연가, 통속문에만 사용되어 경멸시되는 경향이 일어났다. 이리하여 15세기에는 참된 의미의 이탈리아어 문학은 지지부진하는 감이 있었으나, 그러한 경향이 오래 계속되지는 않았다.[64]
16세기에 와서 폴리치아노, 로렌초, 보이아르도, 산나차로의 노력으로, 특히 1520년에 간행된 피에트로 벰보의 속어 <산문> 3권은 이탈리아어 연혁사에 매우 중요했고 크루스카 학회가 1612년에 간행한 사전을 중심으로 활발한 이탈리아어를 더욱 발전시켜 이탈리아 문학을 라틴 문학의 지위에까지 끌어올리려고 했다.[64]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하여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으로 등장했고 아리오스토는 보이아르도보다 더욱 예술의 조화를 보여준 <광란의 오를란도>를 저술했다. 그러나 이탈리아 문학은 아리오스토의 사망 후 쇠퇴해 갔다. 즉 르네상스가 스스로 무너져 교회가 인간의 양심을 지배하게 되어 창작 활동을 억압하게 되었다.[64]
르네상스 인문주의는 14세기와 15세기 초에 발전하여 중세 스콜라 교육에 대한 반응으로 실용적이고 전문적인 사전 및 과학적 연구를 강조했다. 스콜라 철학은 의사, 변호사 또는 전문 신학자가 되도록 사람들을 준비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논리학, 자연철학, 의학, 법학 및 신학에 대한 승인된 교과서를 통해 가르쳤다.[64] 인문주의의 주요 중심지는 피렌체와 나폴리였다.[65]
인문주의자들은 전문 용어와 엄격한 실무를 가르치는 대신, 유창하고 명료하게 말하고 글을 쓸 수 있는 시민을 만들고자 했다. 이는 오늘날 studia humanitatis 즉, 문법, 수사학, 역사, 시와 도덕 철학을 연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었다.[66] 페트라르카, 콜루치오 살루타티, 레오나르도 브루니와 같은 초기 인문주의자들은 고대 사본을 수집하는 데 뛰어났다.
이탈리아에서는 인문주의 교육 프로그램이 빠르게 받아들여졌고, 15세기 중반까지 상류층의 많은 사람들이 인문주의 교육을 받았다. 15세기에는 5명의 인문주의 교황이 있었다.[67] 그중 한 명인 아이네아스 실비우스 피콜로미니(피우스 2세)는 다작의 작가였으며 "소년 교육"에 관한 논문을 썼다.[68]
14세기 중반경, 토스카나 지방 아레초 출신의 페트라르카는 고대 문헌의 수집 및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당시 붕괴되었던 라틴어 문법을 정비하는 등 인문주의자의 시조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또한 연구와는 별도로 스스로도 시를 창작하여, 토스카나 방언으로 미인 라우라를 그리워하는 소네트집 『칸초니에레』를 저술했다. 이 서정시집은 소네트라는 형식의 완성형으로 여겨지며, 르네상스기 유럽 문학의 흐름을 결정지은 걸작이다. 그 외에 서사시로 『개선』, 『아프리카』 등이 있다.
거의 동시기에 피렌체 출신의 보카치오는 페스트 피해를 피해 온 신사 숙녀들에게 100가지 이야기를 들려주는 단편집 『데카메론』을 저술했다. 이 작품에는 기사도나 기독교적 가치관을 풍자하고, 때로는 통렬하게 비난하는 이야기가 있으며, 노골적인 성애 이야기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도덕관에서 벗어나 인간이라는 것을 직시했다는 점에서, 가장 르네상스적인 문학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페트라르카의 절친이었고, 단테의 가장 초기 숭배자이기도 했다. 단순히 喜劇(commedia)로 여겨졌던 것에 신성한(divina)을 더하여 『신곡』이라고 명명한 것도 그이며, 피렌체에서 『신곡』 강의를 하기도 했다.
15세기 피렌체는 메디치 가문의 지배 아래 힘을 얻었고, 눈부신 문화가 꽃피었다. 고전 연구가 진전되면서 다양한 문화재가 피렌체로 모여들었다.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인물 로렌초 데 메디치는 직접 소네트를 짓고, 고전 연구 기관인 플라톤 아카데미를 설립했다. 그 중심 인물 중 한 명으로 산드로 보티첼리의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고 알려진 시인 폴리치아노가 유명하다. 또한 동로마 제국 멸망(1453년)으로 이탈리아로 피난 온 지식인들과, 더욱 발전된 고전 연구를 통해 고대 로마 이전의 고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플라톤주의가 이 시대에 유행하게 된다. 그리고 만능인으로 유명한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와 레오나르도 다 빈치도 문학 이론서를 남겼으며, 회화뿐 아니라 문학에서도 성숙을 보였다.
15세기 후반에 태어나 16세기 전반에 걸쳐 활동한 인물로는 롬바르디아주 모데나 출신으로 상류 계급의 교양에 대해 기록한 『궁정인』의 저자 발다사레 카스티글리오네, 날카로운 분석력과 현실주의적인 정치학 서적 『군주론』을 저술한 피렌체의 관리 마키아벨리(희곡 『만드라고라』도 저술), 베네치아 출신으로 토스카나 방언을 이탈리아어로 정착시키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준 연구가 피에트로 벰보, 그리고 서양 미술사의 거장 미켈란젤로도 많은 소네트를 남겼다. 그리고 기상천외하지만 그 방탕한 모험담이 매우 높이 평가받고 있는 『광란의 오를란도』를 쓴 시인 아리오스토 등, 위대한 재능들이 잇따라 등장하여 이탈리아 문학은 활황을 보였다. 시대를 조금 내려와 16세기 중반, 십자군과 무슬림의 전투와 사랑을 그린 『예루살렘 해방』의 저자 토르콰토 타소가 그 눈부신 시대의 끝을 장식했다.
4. 2. 르네상스 문학의 절정
15세기 후반에 태어나 16세기 전반에 걸쳐 활동한 인물로는 롬바르디아 주 모데나 출신으로 상류 계급의 교양에 대해 기록한 『궁정인(Il Cortegiano)』의 저자 발다사레 카스티글리오네, 날카로운 분석력과 현실주의적인 정치학 서적 『군주론(Il Principe)』을 저술한 피렌체의 관리 니콜로 마키아벨리(희곡 『만드라골라(La Mandragola)』도 저술), 베네치아 출신으로 토스카나 방언을 이탈리아어로 정착시키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준 연구가 피에트로 벰보, 그리고 서양 미술사의 거장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도 많은 소네트를 남겼다.[96] 기상천외하지만 그 방탕한 모험담이 매우 높이 평가받고 있는 『광란의 오를란도(Orlando Furioso)』를 쓴 시인 루도비코 아리오스토 등, 위대한 재능들이 잇따라 등장하여 이탈리아 문학은 활황을 보였다. 시대를 조금 내려와 16세기 중반, 십자군과 무슬림의 전투와 사랑을 그린 『예루살렘 해방(Gerusalemme Liberata)』의 저자 토르콰토 타소가 그 눈부신 시대의 끝을 장식했다.[93]
5. 17, 18세기 문학
17세기 이탈리아는 정신적 활동과 사회생활에서 침체기를 겪었다. 에스파냐의 압제와 교회의 탄압으로 국민들은 억눌렸고, 문학과 예술은 바로크 시대의 특징인 과장된 비유와 허실이 남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문학적 경향은 '마리니스모(Marinismo)'라고 불리며, 잠바티스타 마리노(Giambattista Marino)의 작품 <아도네(Adone)>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타소(Torquato Tasso)는 <예루살렘의 해방>을 통해 바로크 문학 속에서도 이탈리아와 유럽 문학에 영향을 끼쳤다.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전반, 아르카디아 학회는 '마리니스모'에 반발하여 문학 재건을 목표로 하는 반(反) 바로크 운동을 전개했다. 이들은 시의 형식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했으며,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는 빈에서 궁정 시인으로 활동하며 새로운 감각의 시를 선보였다.
18세기 후반은 계몽주의 시대였다. 이성을 통해 인간 생활의 진보와 개선을 추구하는 학술 단체들이 밀라노와 나폴리를 중심으로 등장했다. 또한, <오시안의 노래>와 같은 해외 작품들이 번역되어 낭만주의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5. 1. 바로크 문학
잠바티스타 마리노에서 유래한 '마리니스모(Marinism)'는 이탈리아 문학 분야에서 바로크주의를 구현한 것이다. 마리노는 다른 시인들을 위한 새로운 지도자이자 모델이 되기를 원했으며, 기발함(ingegno)과 예리함(acutezza)을 통해 독자를 놀라게 하고자 했다.[105] 이는 문학적 규칙과 계율을 깨뜨릴 준비가 되어 있음을 의미했다. 마리노와 그의 추종자들은 전통적인 시 형식을 사용했지만, 더 유동적이고 다양한 구조를 개발했다. 그들은 신성한 주제를 다루면서도 감각과 관능을 지배적인 요소로 만들었다.17세기 시인들은 대부분 마리니즘의 영향을 받았다. 가브리엘로 키아브레라(Gabriello Chiabrera)는 그리스를 사랑하여 핀다로스(Pindar)를 모방해 새로운 운율을 만들고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105] 카를로 알레산드로 구이디(Carlo Alessandro Guidi)는 키아브레라를 모방한 초기 핀다로스풍 경향의 주요 대표자로, 이탈리아 시에서 페트라르카 다음으로 꼽혔다. 풀비오 테스티(Fulvio Testi)는 바로크 고전주의의 헬레니즘적 흐름의 또 다른 주요 대표자였으며, 그의 서정시보다 바로크 정치와 문학의 주요 문서인 서신이 더 중요하다.
17세기 이탈리아에서는 바로크 소설이 발전했다. 알베르토 아소르 로사(Alberto Asor Rosa)는 이것이 기사도 문학의 세속화와 노벨라(novella)를 통해 나타났다고 주장했다.[108] 지롤라모 브루소니(Girolamo Brusoni)는 귀족들의 삶과 사랑을 당대 부르주아의 것으로 대체했다. 조반니 프란체스코 비온디(Giovanni Francesco Biondi), 베르나르도 모란도(Bernardo Morando), 루카 아사리노(Luca Assarino), 파체 파시니(Pace Pasini) 등 여러 소설가들이 주목할 만하다. 파시니의 『길 잃은 기사의 이야기』(1644)는 알레산드로 만조니(Alessandro Manzoni)의 『약혼자』의 원천이 되었을 것이다.[109]
조반니 파올로 마라나(Giovanni Paolo Marana)의 『터키 스파이의 편지』(1684)는 최초의 서간체 소설 중 하나로, 몽테스키외(Montesquieu)에게 영향을 주었다.[110] 다니엘 디포(Daniel Defoe)는 마라나 작품의 비공식 속편을 썼다.[111]
페데리코 델라 발레(Federico Della Valle)는 가장 중요한 이탈리아 바로크 극작가였다. 그는 종교적 주제를 다룬 비극에서 뛰어났으며, 인간 상황 속의 비극에 대한 진정한 시적 감각을 보여주었다. 그의 글은 ''세이첸토(Seicento)''의 과장된 수사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스페인을 풍자하는 작품은 트라야노 보칼리니(Trajano Boccalini)에서 시작하여 풀비오 테스티(Fulvio Testi)로 이어졌다. 르네상스 서사시는 알레산드로 타소니(Alessandro Tassoni)의 『빼앗긴 양동이』에서 풍자로 변모했다. 살바토레 로사(Salvator Rosa)는 7편의 장편 풍자시를 썼다. 아르카디아 학파는 마리노 추종자들의 과잉을 공격하는 데 풍자를 사용했다.

철학자, 신학자, 시인인 톰마소 캄파넬라(Tommaso Campanella)는 17세기 이탈리아 문학에서 고립된 인물이다. 그의 ''시집(Poesie)''(1622)은 다양한 운율 형식의 89편의 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대의 문학적 유행을 뛰어넘는 진지함과 직접성이 특징이다. 베르나르디노 텔레시오(Bernardino Telesio)의 영향을 받은 캄파넬라는 세상을 하나님의 살아있는 조각상으로 상상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태양 도시(La città del sole)''로, 이상적인 국가를 묘사한다.[112] 이 국가는 공산주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교육은 정신과 몸의 완벽한 훈련을 강조한다.

이탈리아 최초의 과학 아카데미인 린체이 학회(Lyncean Academy)는 1603년 로마에서 페데리코 체시(Federico Cesi)에 의해 설립되었다. 클라우디오 아킬리니(Claudio Achillini), 피에트로 델라 발레(Pietro Della Valle), 갈릴레오 갈릴레이(1611년부터), 프란체스코 스포르차 팔라비치노(Francesco Sforza Pallavicino) 등이 회원으로 있었다. 학회는 갈릴레이를 변호하고 그의 방법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린체이 학회의 계승자인 치멘토 학회(Accademia del Cimento)는 1657년 피렌체에서 설립되었다. 레오폴도 데 메디치 추기경이 학회 설립을 후원했다. "시험하고 또 시험하라(provando e riprovando)"라는 모토 아래, 회원들은 소규모 연구를 수행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는 문학사에서 두드러진 위치를 차지한다. 아리오스토의 제자였던 그는 명료하고 솔직한 표현, 정확성과 우아함을 자신의 산문에 주입했다.[113] 파가니노 보나페데(Paganino Bonafede)의 ''농부들의 보물(Tesoro dei rustici)''은 농업에 대한 계율을 제시했으며, 이는 전원시의 시작이었다.
16세기 중반 종교 개혁과 반종교 개혁으로 기독교 사상이 이탈리아 문학에 압박을 가했다. 1600년 조르다노 브루노(Giordano Bruno)가 화형당하는 등 자유로운 표현이 어려워졌다. 신대륙 발견으로 경제 중심지가 대서양 연안으로 옮겨가 이탈리아는 경제적으로 쇠퇴했다. 잔바티스타 마리노(Giambattista Marino)가 큰 영향을 미쳤고, 1690년에는 아르카디아 아카데미가 창설되었다.
5. 2. 아르카디아 문학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전반에 걸쳐 아르카디아(Arcadia) 학회의 정신 운동이 반(反) 바로크 운동으로 나타나, '마리니스모'에 대한 반발로 문학 재건을 목표로 했다. 이 시기 시인 메타스타시오는 새로운 감각이 풍기는 시를 써서 빈에서 궁정 시인으로 불리기도 했다.[106]
아르카디아는 로마에서 일어난 아카데미 운동의 범위를 넘어 당시 문명과 문학 전반에 영향을 주었다. 반 바로크 기치를 내세운 고전주의적 정신 운동으로, 시대정신에 깊은 혁신을 주지는 못했지만, 시작(詩作)에서 기술적인 면의 문제를 해결하며 다음 시대 문학을 위한 실험을 했다.[106]
아르카디아 아카데미는 조반니 마리오 크레시멘베니(Giovanni Mario Crescimbeni)와 잔 빈첸초 그라비나(Gian Vincenzo Gravina)에 의해 1690년에 설립되었다. "아르카디아"라는 이름은 황금 시대에 아르카디아에 살았던 고대 목동들의 단순함을 모방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했기 때문이다. 아르카디아 시인들의 작품은 소네트, 마드리갈, 칸조네타(canzonette), 블랭크버스로 구성되어 있다.[107]
아르카디아 아카데미 회장이었던 크레심베니는 안이한 고전주의를 주장했지만, 아카데미 지도자였던 그라비나는 <시론(詩論)>을 통해 그리스·라틴 정신으로 돌아갈 것과 문학이 근대성을 갖추기 위한 합리적 탐구를 주장했다. 그라비나에게 재능을 인정받고 양자가 되어 지도를 받은 메타스타시오는 살롱 풍의 우아한 시와 멜로드라마를 써서 아르카디아 시대 최대 시인이 되었다.
소네트 작가 중에서는 펠리체 자피(Felice Zappi)가 가장 두드러졌다. 가곡 작가 중에서는 파올로 롤리(Paolo Rolli)가 유명했다. 카를로 이노첸초 프루고니(Carlo Innocenzo Frugoni)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아르카디아 회원은 거의 남성이었지만, 마리아 안토니아 스칼레라 스텔리니(Maria Antonia Scalera Stellini)가 시적 공적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빈첸초 다 필리카야(Vincenzo da Filicaja)는 특히 튀르크에 의해 포위된 빈(Vienna)에 관한 노래에서 서정적 재능을 보였다.
5. 3. 계몽주의 문학
18세기 이탈리아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요제프 2세와 그의 후계자들의 통치 아래 정치 상황이 개선되기 시작했다. 이 군주들은 유럽 여러 지역에 널리 퍼진 사상 운동인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았다.[114]지암바티스타 비코는 저서 ''새로운 학문(Scienza nuova)''에서 인류 진보와 사건 전개의 법칙을 탐구하며 역사 의식의 각성을 보여주었다.[115] 그는 인간에 대한 심리적 연구를 통해 역사의 보편적 법칙인 comune natura delle nazioniit를 추론하려 했다.
로도비코 안토니오 무라토리는 ''Rerum Italicarum scriptores''에서 500년부터 1500년까지 이탈리아 역사에 대한 연대기, 전기, 편지, 일기를 수집하고, ''Antiquitates Italicae medii aevi''에서 역사적 질문들을 논의한 후, ''Annali d'Italia''에서 사실들을 상세히 서술했다.[116] 무라토리의 역사 연구 파트너는 스치피오네 마페이와 아포스톨로 제노였다. 마페이는 ''Verona illustrata''에서 훌륭한 역사적 논문을 남겼고, 제노는 ''Dissertazioni Vossiane''와 지우스토 폰타니니의 ''Biblioteca dell'eloquenza italiana''에 대한 주석에서 문학사에 많은 것을 추가했다. 지롤라모 티라보스키와 지암마리아 마주첼리는 문학사에 전념했다.
새로운 시대 정신은 역사적 자료 조사와 경제 및 사회 법칙의 메커니즘에 대한 조사를 촉진했다. 페르디난도 갈리아니는 통화에 대해 저술했고, 가에타노 필랑지에리는 ''Scienza della legislazione''를 저술했다. 체사레 베카리아는 ''범죄와 형벌''에서 형벌 제도 개혁에 기여하고 고문 폐지를 촉진했다.[117]

개혁 운동은 인위적인 것을 벗고 진실로 돌아가고자 했다. 아포스톨로 체노와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는 멜로드라마와 이성을 양립시키려고 노력했다. 메타스타시오는 감정에 새로운 표현을 부여하고, 대화에 자연스러운 전환을 주었으며, 줄거리에 흥미를 더했다. 그는 ''오페라 세리아'' 대본의 가장 중요한 작가이자 18세기 최초의 극적 개혁가로 여겨졌다.[118]
카를로 골도니는 몰리에르의 예를 따라 인물 코미디를 창조했다. 그의 코미디 중 상당수는 베네토어로 쓰였으며,[119] 그의 작품에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유명한 희곡들이 포함되어 있다. 골도니는 아카데미아 데글리 아르카디가 수여한 Polisseno Fegeio, Pastor Arcadeit라는 필명으로도 활동했다.[120]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는 ''두 주인의 하인''이다.

18세기 문학 부흥의 선두 주자는 주세페 파리니였다.[121] 그는 시집에서 실제 삶의 장면을 가져오는 능력을 보여주었고, 풍자적인 작품에서는 당대에 대한 반대 정신을 보여주었다. 《오디》(Odi)에서는 풍자적인 어조가 들리지만, 《델 조르노》(Del giorno)에서 더욱 강하게 드러나며, 사회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조르노》(Giorno)는 아르카디아의 단조로움에 대한 항의로 때때로 다소 어렵고 단절되어 있다.[122]

18세기 후반, 이탈리아어는 프랑스어 표현으로 가득 차 있었고, 언어 순수주의 문제가 제기되었다.[123] 안토니오 체사리는 고대 작가들의 작품을 재출판하고, 크루스카 아카데미아 사전(Vocabolario della Crusca)의 새로운 판을 출판했다. 그는 토스카나어와 단테, 페트라르카, 조반니 보카치오의 우월성을 확립하려고 노력했다.
체사리가 옹호한 토스카나어의 우월성에 대해, 롬바르디아 학파가 반대했다.[124] 롬바르디아 학파는 단테의 "모국어에 관하여"를 통해 lingua illustreit(일루스트레 언어)의 개념으로 돌아갔다. 롬바르디아 학파의 선두에는 빈첸초 몬티와 그의 사위인 줄리오 페르티카리가 있었다. 빈첸초 몬티는 크루스카 아카데미아의 토스카나주의를 공격한 "크루스카 사전에 대한 몇 가지 수정 및 추가 제안"을 집필했다.[125] 언어에 대한 논쟁은 문학 및 정치적 논쟁과 함께 이탈리아 전역에서 참여했다.
피에트로 조르다니는 그리스와 라틴 작가와 이탈리아 트레첸티스티에 정통했으며, 그의 산문은 당시에 큰 찬사를 받았다.[126] 조르다니는 고전주의자들의 문학 시대를 마무리 짓는다.
가스파로 고치(Gasparo Gozzi)의 풍자는 ''Frusta letterariait''(프루스타 레테라리아)라는 저널에서 당시 이탈리아 작품들을 비판했다.[127]
조반니 바티스타 니콜리니는 고전주의자였다. 그는 ''그리스 비극에 관한 강론''과 ''숭고한 미켈란젤로''를 쓰는 등 고대 문학에 헌신했다. 그의 비극에서 그는 정치적인 주제를 선택했다.[128] 니콜리니의 비극은 극적인 천재성보다는 풍부한 서정적 맥락을 보여준다.
카를로 보타는 1789년부터 1814년까지의 ''이탈리아 역사''를 저술했고, 1789년까지 프란체스코 귀차르디니의 ''역사''를 계속 이어나갔다.[129] 피에트로 콜레타는 ''1734년부터 1825년까지의 나폴리 왕국사''에서 타키투스의 문체를 빌려 이탈리아의 독립과 자유를 옹호하려 했다.[130] 라자로 파피는 ''1789년부터 1814년까지의 프랑스 혁명에 관한 논평''의 저자로, 보타와 콜레타와 다르지 않았다.
알베르토 포르티스는 1774년 작품 ''달마티아 여행''을 통해 이탈리아와 베네치아 문학에서 모르라키스트 문학 운동을 시작했다.[131]
6. 19세기 문학
18세기 후반은 계몽주의 문학 시대로, 이성을 통해 인간 생활의 진보와 개선을 목표로 밀라노와 나폴리를 중심으로 각지에 학술 단체가 생겨났다. 이 시기에는 <오시안의 노래(Ossian)> 등 해외 작품이 번역되어 낭만주의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132] 나폴레옹 실각 후 오스트리아 지배 하의 이탈리아에서는 국가 통일 기운과 함께 낭만주의가 19세기 전반에 걸쳐 문학계를 지배했다. 이 운동은 밀라노의 <콘칠리아토레(Il Conciliatore)>지를 통해 전개되었으며, 알레산드로 만초니의 역사 소설 <약혼자>가 대표적이다.
19세기 후반, 이탈리아 독립 후 낭만주의는 빛을 잃고, 남부 이탈리아는 국가 통일에도 불구, 큰 변화를 겪지 못했다. 조반니 베르가는 이러한 상황에서 원시적 본능에 의존하는 인간 군상을 묘사했다. 베르가를 대표로 하는 레알리스모(Realismo) 문학은 베리스모(Verismo), 즉 사실주의(寫實主義)로 불렸다. 이에 대항하여 신비주의자들이 데카당 문학을 이끌었고, 이탈리아에서는 가브리엘레 단눈치오가 대표적이었다.[149]
6. 1. 신고전주의 문학

1789년 프랑스 혁명과 그 후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침공은 이탈리아 문학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비토리오 알피에리는 1774년 희곡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로 명성을 얻은 후 프랑스로 건너가 혁명의 참상을 목격했고, 그의 작품(『자서전』 등)은 전반적으로 정치적 색채가 강하다. 우고 포스콜로는 이탈리아 최초의 서간체 소설 『야코포 오르티스의 마지막 편지』를 썼고, 애국적인 시를 많이 남겨 이탈리아 문학에서 낭만주의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했다. 알레산드로 만쪼니는 밀라노 출신의 소설가로, 젊은 연인을 갈라놓으려는 상류층을 비판하는 『약혼자』를 저술했다. 『약혼자』는 토스카나 방언으로 쓰였으며, 토스카나 방언을 이탈리아어로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작품이다.
자코모 레오파르디는 비관적인 작품으로 유명한 시인이며, 고전적인 소양으로 채색된 『칸티』 등을 저술하여 그 후 이탈리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시대에 이탈리아 통일 운동(리소르지멘토 운동)이 시작되면서, 갖가지 정치적인 문학 작품이 대량으로 쓰여졌다. 그 대부분은 오늘날 문학으로서 주목받지 못하지만, 이 시대 문학의 압도적인 주류가 그것이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6. 2. 낭만주의 문학

낭만주의 사조는 1818년 밀라노에서 창간된 잡지 ''Conciliatore''를 기관지로 삼았다. 이 잡지에는 실비오 펠리코, 루도비코 디 브레메, 조빌레 스칼비니, 톰마소 그로시, 조반니 베르셰, 사무엘레 비아바, 알레산드로 만초니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모두 특히 독일에서 일어난 낭만주의 운동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138] 그러나 이탈리아에서 문학 개혁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개혁의 주요 주창자는 알레산드로 만초니였다. 그는 새로운 사조의 목표를 "단순한 목표를 넘어 아름다움의 가장 광범위하고 영원한 원천으로서 ''il vero storico''(역사적 진실)와 ''il vero morale''(도덕적 진실)을 발견하고 표현하는 것"으로 제시했다. 만초니 이후 이탈리아 문학을 특징짓는 것은 예술적 현실주의이다. 그를 불멸하게 만든 작품은 ''Promessi Sposi''(''약혼자'')이다.[139] 이 소설은 세계 문학의 걸작으로 여겨지며,[140] 애국적인 메시지와[140] 현대적이고 통일된 이탈리아어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는 점에서 리스르지멘토의 상징이기도 하다.[141]

이 시대의 위대한 시인이자 훌륭한 산문 작가는 레오파르디였다. 그의 ''Operette Morali''(인간의 운명에 대한 차갑고 냉소적인 미소가 독자를 얼어붙게 만드는 대화와 담론)는 문체의 명료함, 언어의 단순함, 개념의 깊이가 탁월하여, 단테 이후 가장 위대한 서정시인이자 이탈리아 문학이 낳은 가장 완벽한 산문 작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19세기의 가장 급진적이고 도전적인 사상가 중 한 명으로 널리 여겨지지만,[142][143] 이탈리아 비평가들은 "정반대의 입장"을 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동시대 선배인 알레산드로 만초니와 흔히 비교한다.[144] 그의 시의 강렬한 서정성은 그를 유럽과 국제 문학 및 문화계의 중심 인물로 만들었다.[145]
회화에서 사실주의가 자리를 잡으면서 비평에서도 긍정적 방법론이 발맞추어 발전했다. 조반니 피에트로 비우세가 피렌체에 설립한 ''Archivio storico italiano''와 카를로 트로이아의 ''Storia d'Italia nel medio evo'', 만초니 자신의 주목할 만한 논문인 ''Sopra alcuni punti della storia longobardica in Italia'', 그리고 시칠리아 섬민 반란에 관한 미켈레 아마리의 훌륭한 역사서에서 보여지듯이, 역사는 학문적인 연구 정신으로 회귀했다. 위대한 예술가 레오파르디와 만조니, 그리고 학자들과 함께 19세기에는 애국적인 문학도 등장했다.[146] 비우세는 1820년 월간지 ''Antologia''를 설립할 때 명확한 정치적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그의 ''Archivio storico italiano''(1842)는 ''Antologia''의 연장선이었는데, ''Antologia''는 러시아 정부의 조치로 1833년 폐간되었다.
1848년 정치 혁명에 앞서거나 동시대에 일어난 문학 운동은 주세페 주스티, 프란체스코 도메니코 게라치, 빈첸초 조베르티, 체사레 발보 네 명의 작가로 대표될 수 있다. 주스티는 대중적인 언어로 경구적인 풍자를 썼다. 게라치는 큰 명성과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의 역사 소설은 1848년 이전에 열렬히 읽혔지만 곧 잊혀졌다. 조베르티는 강력한 논쟁적인 작가였으며, 그의 ''Primato morale e civile degli Italiani''는 당시의 중요한 기록으로 남아 있으며, ''Gesuita moderno''는 이탈리아에서 쓰여진 예수회에 대한 가장 엄청난 고발이다.[147] 발보는 역사에 대한 진지한 학자였다. 초기 조베르티와 마찬가지로 발보는 교황 중심의 시민 국가와 교황이 주재하는 이탈리아 국가들의 연방을 열렬히 지지했다. 그의 ''Sommario della storia d'Italia''는 우수한 요약서이다.
1789년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의 이탈리아 침공은 이탈리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혁명기 프랑스를 경험한 비토리오 알피에리는 1774년 희곡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로 명성을 얻은 후 프랑스로 건너가 혁명의 참상을 목격했다. 그 때문인지 『자서전』 등 그의 작품은 전반적으로 정치적 색채가 강하다. 이탈리아 최초의 서간체 소설 『야코포 오르티스의 마지막 편지』를 쓴 시인 우고 포스콜로도 애국적인 시를 많이 남겨 이탈리아 문학에서 낭만주의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했다. 소설가로는 젊은 연인을 갈라놓으려는 상류층을 비판하는 『약혼자』를 쓴 알레산드로 만초니가 있다. 이 『약혼자』는 토스카나어로 쓰였으며, 토스카나 방언을 이탈리아어로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레오파르디는 비관적인 작품으로 유명한 시인으로, 고전적인 소양으로 채색된 『칸티』 등을 저술하여 이탈리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시대에 이탈리아 통일 운동(리소르지멘토 운동)이 시작되면서, 갖가지 정치적인 문학 작품이 대량으로 쓰여졌으나, 대부분은 오늘날 문학으로서 주목받지 못한다.
6. 3. 진실주의와 데카당스 문학
19세기 후반, 이탈리아의 독립이 성취되자 낭만주의의 이상은 빛을 잃었고, 남부 이탈리아는 국가 통일에도 불구하고 큰 변화를 겪지 못했다. 시칠리아 출신의 베르가(1840-1922)는 이러한 상황에서 원시적 본능에 의존해 살아가는 인간 군상을 독특한 문체로 묘사했다.[149] 소설 분야에서 베르가를 대표로 하는 레알리스모(Realismo) 문학은 베리스모(Verismo), 즉 사실주의(寫實主義)로 불렸다. 루이지 카푸아나(Luigi Capuana)도 베리즈모에 기여했지만, 베리즈모 선언문의 주요 대표자이자 저자는 조반니 베르가였다. 카푸아나는 소설 《지아친타(Giacinta)》를 출판했는데, 이는 이탈리아 베리즈모의 "선언문"으로 여겨진다.[149] 프랑스 자연주의가 실증주의적 이상에 기반한 것과 달리, 베르가와 카푸아나는 이 운동의 과학적 성격과 사회적 유용성에 대한 주장을 거부했다.이러한 자연주의, 진실주의에 대항하여 유럽에서는 19세기 말 신비주의자들이 데카당 문학을 이끌었고, 이탈리아에서는 가브리엘레 단눈치오(1863-1938)가 그 대표자였다.[150] 데카당스(Decadentism)는 19세기 말 프랑스와 영국의 데카당 양식에 주로 기반을 두었다. 이탈리아 데카당스의 주요 작가로는 안토니오 포가짜로(Antonio Fogazzaro), 《미리카에(Myricae)》와 《포에메티(Poemetti)》로 잘 알려진 조반니 파스콜리(Giovanni Pascoli), 그리고 가브리엘레 단눈치오가 있다. 이들은 서로 다른 스타일을 가졌지만, 과학적 합리주의에 맞서 특이성과 비합리성을 옹호했다. 가브리엘레 단눈치오는 시, 희곡, 소설에서 뛰어난 독창성을 보였다.[150] 그는 형식의 절묘한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파격적인 내용으로도 주목받았으며, 이러한 특징은 그의 여러 시, 희곡, 소설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7. 20세기 이후의 문학
20세기 초 이탈리아 문학은 미래파 운동의 영향을 받았다. 필리포 톰마소 마리네티의 <미래파 선언>(1909)은 기계 문명의 속도와 역동성을 찬미했다. 루이지 피란델로는 개인의 정체성 문제와 현실의 부조리를 주제로 소설과 희곡을 썼으며, 이탈로 스베보 역시 이러한 주제들을 소설에 사용했다. 에우제니오 몬탈레, 살바토레 콰시모도, 주세페 운가레티와 같은 20세기의 대표적인 이탈리아 시인들의 시에도 철학적 비관주의가 나타난다.
20세기 초 주요 작가로는 『제노의 양심』(1923)의 이탈로 스베보(Italo Svevo)와 193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고 『작가를 찾는 여섯 인물(Six Characters in Search of an Author)』(1921)과 같은 희곡에서 현실의 변화하는 본질을 탐구한 루이지 피란델로(Luigi Pirandello)가 있다. 페데리고 토치(Federigo Tozzi)는 뛰어난 소설가였으나 비평적으로는 최근에야 인정받았으며, 유럽 소설에서 실존주의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그라치아 데레다(Grazia Deledda)는 사르데냐인(Sardinian people)의 삶, 관습, 전통에 초점을 맞춘 작품을 썼으며,[154] 1926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여 이탈리아 최초이자 유일한 여성 수상자가 되었다.[155] 시빌라 알레라모(Sibilla Aleramo)는 1906년 첫 소설인 『우나 돈나(Una Donna, 한 여성)』를 출판했는데, 오늘날 이탈리아 최고의 페미니즘 소설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156] 피티그릴리(Pitigrilli)는 1921년 가장 유명한 소설(코카인)을 출판했는데, 마약 사용과 성을 묘사했기 때문에 가톨릭교회는 이를 "금서"로 지정했다. 마리아 메시나(Maria Messina)는 시칠리아 작가로, 시칠리아 문화에 중점을 두었으며 젊은 시칠리아 여성의 고립과 억압이 주요 주제였다.[157] 안나 반티(Anna Banti)는 1940년에 출판된 단편 소설 『일 코라지오 델레 돈네(Il Coraggio Delle Donne, 여성의 용기)』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158] 엘사 모란테(Elsa Morante) 작품의 중심 주제 중 하나는 자기애이며, 사랑을 은유로 사용하여 사랑은 열정과 집착이 될 수 있으며 절망과 파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한다.[158] 그녀는 1948년에 프리미오 비아레지오(Premio Viareggio) 상을 수상했다.[159] 알바 데 세스페데스(Alba de Céspedes)는 반파시스트였으며 이탈리아 레지스탕스에 참여했다.[160] 그녀의 작품은 제2차 세계 대전을 중심으로 발전한 역사와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160]
시는 크레푸스콜라리(Crepuscolari)와 미래파에 의해 대표되었으며, 후자 그룹의 가장 중요한 구성원은 필리포 토마소 마리네티(Filippo Tommaso Marinetti)였다. 후기의 주요 모더니스트 시인으로는 1959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살바토레 카시모도(Salvatore Quasimodo), 주세페 운가레티(Giuseppe Ungaretti), 시집 『일 칸초니에레(Il canzoniere)』로 명성을 얻은 움베르토 사바(Umberto Saba), 그리고 1975년 노벨 문학상(Nobel Prize in Literature)을 수상한 에우제니오 몬탈레(Eugenio Montale)가 있다. 그들은 비평가들에 의해 "헤르메티시스트"로 묘사되었다.
신사실주의는 1940년대와 1950년대 사이에 급속히 발전한 운동이었다. 이탈리아 파시즘의 몰락 이후에 번성했는데, 이러한 유형의 문학은 사회 비판 때문에 파시스트 당국에 의해 환영받지 못했고, 일부 "신사실주의" 작가들이 반파시스트적 견해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알베르토 모라비아(Alberto Moravia)는 소설 『무관심한 사람들(Gli indifferenti)』(1929)을 출판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출판 후에는 "잠적"해야 했다. 카를로 베르나리(Carlo Bernari)의 『트레 오페라이(Tre operai, 세 노동자)』(1934)는 무솔리니에 의해 비공식적으로 금서로 지정되었다.[161] 이냐치오 실로네(Ignazio Silone)는 망명 중에 『폰타마라(Fontamara)』(1933)를 출판했고, 엘리오 비토리니(Elio Vittorini)는 『시칠리아 대화』(1941)를 출판한 후 투옥되었다. 이 운동은 1930년대와 1940년대에 사회의식이 높은 미국과 영국 작가들, 즉 어니스트 헤밍웨이(Ernest Hemingway), 윌리엄 포크너(William Faulkner), 존 스타인벡(John Steinbeck), 존 도스 파소스(John Dos Passos) 등의 번역에 의해 깊은 영향을 받았다. 전쟁 후 이 운동은 "신사실주의"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고, 마르크스주의와 전쟁 경험이 전후 작가들에게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모라비아는 『순응자(The Conformist)』(1951)와 『두 여인』(1957)을 썼고, 『달과 봉화(The Moon and the Bonfires)』(1949)는 체사레 파베세(Cesare Pavese)의 가장 유명한 작품이 되었다. 프리모 레비(Primo Levi)는 『이것이 인간인가(If This Is a Man)』(1947)에서 아우슈비츠에서의 경험을 기록했다. 다른 작가들로는 카를로 레비(Carlo Levi), 쿠르치오 말라파르테(Curzio Malaparte),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Pier Paolo Pasolini),[162][163] 코라도 알바로(Corrado Alvaro)가 있다.
디노 부자티(Dino Buzzati)는 환상적이고 우화적인 소설을 썼으며, 이탈로 칼비노(Italo Calvino)는 3부작 『이 노스트리 안테나티(I nostri antenati, 우리의 조상들)』(1952~1959)에서 판타지에 도전했고, 소설 『세 우나 노테 딘베르노 운 비아지아토레… (Se una notte d'inverno un viaggiatore…, 겨울밤 여행자가 만약…)』(1979)에서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에 도전했다. 카를로 에밀리오 가다(Carlo Emilio Gadda)는 실험적인 『퀘르 파스티치아초 브루토 데 비아 메룰라나(Quer pasticciaccio brutto de via Merulana)』(1957)의 저자였다. 주세페 토마시 디 람페두사(Giuseppe Tomasi di Lampedusa)는 소설 『표범』(1958) 한 편만 썼지만, 이탈리아 문학에서 가장 유명한 소설 중 하나이며, 19세기 시칠리아 귀족의 삶을 다룬다.[164] 레오나르도 스키아샤(Leonardo Sciascia)는 소설 『올빼미의 날』(1961)로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는 중세 탐정 소설 『장미의 이름(The Name of the Rose)』(1980)으로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다치아 마라이니(Dacia Maraini)는 가장 성공한 현대 이탈리아 여성 작가 중 한 명이다. 그녀의 소설은 이탈리아 여성의 처지를 중심으로 다룬다.[165] 알도 부시(Aldo Busi)는 현대 이탈리아 작가 중 한 명이며, 소설, 수필, 여행기 등 다양한 작품을 통해 현대 사회를 묘사한다.
1861년 이탈리아 왕국이 성립되면서 정치적 문학은 쇠퇴하고 새로운 세대의 작가들이 활동하게 된다. 1906년 이탈리아인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조즈에 카르두치는 사회적 비판을 절제된 시에 담아 국민적 시인이 된다. 프랑스 자연주의 문학의 영향을 받은 베리즈모(현실주의) 문학이 나타나, 조반니 베르가가 대표적인 작가이다. 프랑스 상징주의의 영향을 받은 시인 조반니 파스콜리 등이 19세기 말에 활약했지만, 그중에서 가브리엘레 다눈치오의 존재는 크다. 그는 파시즘의 시초라는 측면도 있어 근대 이탈리아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작가이다. 그 외 아동 문학 작품으로 『꾸오레』의 저자 에드몬도 데 아미치스와 『피노키오의 모험』의 칼로 콜로디가 유명하다.
7. 1.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문학
제1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이탈리아 문학은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1920년에 발표된 문학 개량 운동 프로그램은 문인과 예술가들이 기고했던 <론다(Ronda)>지를 통해 반(反)단눈치오적 논쟁을 전개했다. 주세페 운가레티는 상징주의를 바탕으로 이탈리아 현대시의 혁신을 이끌었고, 1959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 살바토레 콰시모도 역시 상징주의 시인이었다.모더니즘 문학이 번성하면서, 정신 분석학을 도입한 혁신적인 작품 『제노의 의식』을 쓴 이탈로 스베보는 제임스 조이스에게 극찬을 받았다. 극작가 루이지 피란델로는 『작가를 찾는 여섯 인물』을 썼으며, 그라치아 데 레다는 사르데냐 섬을 배경으로 한 소설로 1926년 노벨 문학상을 받은 여성 작가이다. 피란델로 역시 1934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7. 2.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문학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는 정치적, 사회적으로 큰 혼란을 겪었다. 이 시기 영국 문학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설화 문학과 서사시적 형식이 대두되면서 신사실주의(Neorealismo) 작가들이 등장했다. 대표적인 신사실주의 작가로는 알베르토 모라비아, 마리오 토비노, 카를로 카솔라 등이 있다. 이후 많은 이탈리아 작가들이 실험적인 작품들을 선보였는데, 소설가 에밀리오 가다, 시인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등이 대표적이다.20세기 후반의 주요 작가로는 소설가 이탈로 칼비노, 극작가 다리오 포 등이 있다. 현대에는 로마 대학에 철학 연구소(Istituto di studi filosofici)가 창설되어 철학과 문학을 장려하고 있으며, 그 기관지로서 <철학학보>가 발간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전후의 암울한 시대에는 비참한 현실을 직시한 네오레알리즘 문학이 주류를 이루었다. 스페인 내전의 영향을 받은 엘리오 비트리니의 『시칠리아에서의 대화』와 파시스트들에게 구금되었던 이야기를 담은 체자레 파베제의 『고향』은 네오레알리즘 문학의 원류로 여겨진다.[1] 1947년 이탈리아 문학계의 권위 있는 스트레가 상이 제정되었고, 파베제는 『아름다운 여름』으로 두 번째 수상자가 되었으나, 1950년 토리노에서 자살했다.[1] 아우슈비츠 수용소 체험을 바탕으로 한 유대계 작가 프리모 레비, 『어떤 가족의 대화』로 주목받은 나탈리아 긴스부르크, 1920년대 로마 상류층을 비판한 『무관심한 사람들』로 이름을 알린 알베르토 모라비아는 『경멸』을 통해 건재함을 과시했다. 엘사 모란테 역시 저명한 작가였다.[1]

한편, 환상적인 필치로 부조리한 현실을 표현하며 이탈리아의 카프카로 불리는 디노 부차티는 『타타르인의 사막』으로 유명해졌다. 이탈로 칼비노는 이탈리아 민담을 편찬하고 환상적이고 다채로운 소설을 발표하며 이탈리아의 국민적 작가로 불리게 되었다.[1] 대표작으로는 『나무 위의 남작』, 『겨울밤 한 명의 여행자를 위하여』 등이 있다.[1] 작가이자 영화감독으로 활동한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는 『젊은 삶』 등으로 이 시대의 총아가 되었다.[1] 주세페 토마시 디 람페두사는 시칠리아 섬 대귀족의 후손으로, 시칠리아 귀족의 몰락을 소재로 한 『표범』을 저술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다.[1] 같은 시칠리아 출신의 레오나르도 샤샤는 문학에서 최초로 마피아를 악으로 규탄한 『정오의 올빼미』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1]
트리에스테를 무대로 한 시로 유명한 움베르토 사바, 1959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살바토레 콰시모도, 철학적인 시를 남긴 주세페 운가레티, 1975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고 고전 편집자로도 활동한 에우제니오 몬탈레 등이 대표적인 시인으로 꼽힌다.[1]
7. 3. 현대 문학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에서는 모더니즘 문학이 번영하였다. 정신 분석학을 도입한 혁신적인 작품 『제노의 의식』을 쓴 이탈로 스베보는 모더니즘 문학의 거장 제임스 조이스의 극찬을 받았다. 극작가로서 『작가를 찾는 여섯 인물』을 저술한 루이지 피란델로와 고향 사르데냐 섬을 무대로 한 소설로 1926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여성 작가 그라치아 데 레다 등 국제적인 작가가 많았다. (피란델로는 193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제2차 세계 대전 전후의 암울한 시대에는 비참한 현실을 직시한 네오레알리즘 문학이 주류를 이루었다. 특히 스페인 내전의 영향으로 엘리오 비트리니의 『시칠리아에서의 대화』가 쓰여졌고, 체자레 파베제는 파시스트들에게 구금되었던 이야기를 『고향』이라는 작품에 담았는데, 이 두 작품은 네오레알리즘 문학의 원류로 여겨진다. 1947년에는 이탈리아 문학계의 권위 있는 스트레가 상이 제정되었고, 파베제는 『아름다운 여름』으로 두 번째 수상자가 되었으나, 1950년 토리노에서 자살했다. 아우슈비츠 수용소 체험을 바탕으로 한 유대계 작가 프리모 레비와 『어떤 가족의 대화』로 주목받은 나탈리아 긴스부르크, 1920년대 로마 상류층을 비판한 『무관심한 사람들』로 이름을 알린 알베르토 모라비아는 『경멸』을 쓰며 건재함을 과시했다. 모라비아의 아내인 엘사 모란테도 저명한 작가이다.
한편, 환상적인 필치로 부조리한 현실을 표현하며 이탈리아의 카프카로 불리는 디노 부차티는 『타타르인의 사막』으로 유명해졌고, 이탈리아 민담을 편찬하고 자신도 환상적이고 다채로운 소설을 발표한 이탈로 칼비노가 등장했다. 『나무 위의 남작』이나 『겨울밤 한 명의 여행자를 위하여』 등의 작품이 있으며, 이탈리아의 국민적 작가로 불린다. 작가이자 영화감독으로도 활동한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는 『젊은 삶』 등으로 이 시대의 총아가 되었다. 시칠리아 섬에서는 대귀족의 후손인 주세페 토마시 디 람페두사가 시칠리아 귀족의 몰락을 소재로 한 『표범』을 저술했다. 그는 이 작품과 몇 편의 단편만을 남겼지만, 매우 높이 평가받고 있다. 같은 시칠리아 출신의 레오나르도 샤샤는 문학에서 최초로 마피아를 악으로 규탄한 『정오의 올빼미』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시인으로는 고향인 트리에스테를 무대로 한 시로 유명한 움베르토 사바를 비롯하여, 1959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살바토레 콰시모도와 철학적인 시를 남긴 주세페 운가레티, 1975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고 고전 편집자로도 활동한 에우제니오 몬탈레가 있다.
1963년, 낡은 문학 유행에 반발한 그룹63이라는 지식인 그룹이 생겨났다. 그 자체로는 곧 해산했지만, 그 안에는 『이탈리아 환상곡』의 에드알도 상귀네티, 대 베스트셀러가 된 『장미의 이름』의 저자 움베르토 에코 등이 있었다. 그 외에도 페르난두 페소아의 영향을 받아 포르투갈을 무대로 한 『증언에 따르면 페레이라는』이 대표작인 안토니오 타부키가 있다. 풍자극으로 유명한 다리오 포는 1997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ix Tuscan Poets, Giorgio Vasari
https://collections.[...]
Minneapolis Institute of Art
2023-08-28
[2]
웹사이트
Duecento e Trecento, lingua del
https://www.treccani[...]
2022-06-13
[3]
웹사이트
I trovatori nel Veneto e a Venezia
https://www.salernoe[...]
2018-02-26
[4]
웹사이트
LA LIRICA TROBADORICA A GENOVA
https://core.ac.uk/d[...]
2022-06-14
[5]
웹사이트
Razos
https://www.treccani[...]
2022-06-14
[6]
웹사이트
Sordello
https://www.treccani[...]
2022-06-14
[7]
웹사이트
Contrasti tra Chiesa e trovatori
http://www.uciimtori[...]
2022-06-14
[8]
웹사이트
I manoscritti della Crusca
https://manoscritti.[...]
2022-06-15
[9]
웹사이트
JACOPO DA VARAGINE
http://www.cassiciac[...]
2022-06-15
[10]
웹사이트
LA SEZIONE AUREA DEL POEMA CAVALLERESCO IN ITALIA
http://elea.unisa.it[...]
2022-06-15
[11]
웹사이트
ITALIA
https://www.treccani[...]
2022-06-14
[12]
웹사이트
Cinquant'anni prima di Dante la Divina Commedia "esisteva" già: ma in dialetto lombardo
https://centrodantes[...]
2022-06-15
[13]
웹사이트
GIACOMINO da Verona
https://www.treccani[...]
2022-06-15
[14]
웹사이트
SCUOLA POETICA SICILIANA
https://www.treccani[...]
2022-06-16
[15]
웹사이트
Alcamo e la Scuola poetica siciliana
http://www.celeste-o[...]
2022-06-16
[16]
웹사이트
L'italiano deriva dal siciliano?
https://patrimonilin[...]
2017-09-09
[17]
웹사이트
SCUOLA POETICA SICILIANA, METRICA
https://www.treccani[...]
2022-06-16
[18]
간행물
Review of Carlo Delcorno, ''Giordano da Pisa e l'antica predicazione volgare'' (Florence: Olschki, 1975)
1976
[19]
웹사이트
Cantico delle creature di San Francesco: testo e significato
https://www.sololibr[...]
2022-06-17
[20]
웹사이트
Jacopone da Todi, "O papa Bonifazio, molt'hai iocato al monno"
https://library.wesc[...]
2022-06-17
[21]
웹사이트
FASANI, Raniero
https://www.treccani[...]
2022-06-17
[22]
웹사이트
Volgari medievali
https://www.treccani[...]
2022-06-18
[23]
논문
LA LETTERATURA COMICO-REALISTICA NELLA TOSCANA DEL DUE e TRECENTO (Continuazione dal vol. I, pp. 141-161, pp. 558-576)
https://www.jstor.or[...]
1947
[24]
웹사이트
L'UMORISMO DI LUIGI PIRANDELLO: PARTE PRIMA
https://annamariarom[...]
2017-03-13
[25]
웹사이트
Poesie di Guido Guinizzelli
https://www.letterat[...]
2022-06-18
[26]
서적
Francesco da Barberino tra Andrea Cappellano e Averroè: poesia, immagini, profetismo
https://www.academia[...]
2022-06-18
[27]
웹사이트
ALDO MANUZIO, UNA STORIA DI "CARATTERE"
https://www.maremagn[...]
2022-06-18
[28]
웹사이트
La prosa del XIII-XIV sec.
https://letteritalia[...]
2022-06-20
[29]
웹사이트
Il Milione
https://www.liberlib[...]
2022-06-20
[30]
웹사이트
ANDREA DA GROSSETO
https://www.arlima.n[...]
2022-06-20
[31]
웹사이트
RISTORO d'Arezzo
https://www.treccani[...]
2022-06-20
[32]
웹사이트
Le forme del racconto breve
https://www.treccani[...]
2022-06-20
[33]
웹사이트
GUITTONE d'Arezzo
https://www.treccani[...]
2022-06-20
[34]
논문
Some Tendencies of Italian Lyric Poetry in the Trecento
https://www.jstor.or[...]
2022-06-21
[35]
웹사이트
Il Dolce Stil Novo: riassunto
https://library.wesc[...]
2022-06-21
[36]
웹사이트
RICEVUTI, Lapo, detto Lapo Gianni
https://www.treccani[...]
2022-06-21
[37]
웹사이트
Guido Cavalcanti
https://letteritalia[...]
2022-06-21
[38]
웹사이트
Dante
https://www.treccani[...]
2022-06-22
[39]
웹사이트
LA FIGURA E IL RUOLO DI BEATRICE NELL'OPERA DANTESCA
https://core.ac.uk/d[...]
2022-06-22
[40]
웹사이트
Divina Commedia
https://letteritalia[...]
2022-06-22
[41]
웹사이트
Inferno, Canto I
https://divinacommed[...]
2022-06-22
[42]
웹사이트
Dante, Filippo e la tintura di odio
https://www.treccani[...]
2022-06-22
[43]
서적
The Western Canon
https://archive.org/[...]
[44]
웹사이트
Francesco Petrarca: biografia, libri e poetica
https://www.studenti[...]
2022-06-22
[45]
웹사이트
Petrarca
https://web.archive.[...]
2022-06-22
[46]
웹사이트
Dante e Petrarca a confronto
https://www.studenti[...]
2021-04-08
[47]
학술지
Petrarca e l'esilio
https://journals.ope[...]
2022-06-22
[48]
웹사이트
BOCCACCIO, Giovanni
https://www.treccani[...]
2022-06-23
[49]
웹사이트
GIOVANNI BOCCACCIO
https://web.archive.[...]
2022-06-23
[50]
웹사이트
Madonna Oretta: trama, personaggi e parafrasi
https://www.studenti[...]
2022-06-23
[51]
웹사이트
Itinerario della Divina Commedia
https://acikders.ank[...]
2022-06-23
[52]
웹사이트
La novella di Giovanni Fiorentino che ha ispirato "Il mercante di Venezia"
https://web.archive.[...]
2022-06-23
[53]
웹사이트
Sercambi, Giovanni
https://www.treccani[...]
2022-06-23
[54]
학술지
Falsi e Falsificazioni (Tardo Medioevo-Prima Età Moderna) Xxi Seminario Residenziale di Studi – Fonti per la Storia della Civiltà Italiana Tardo Medievale, Fondazione Centro Studi Sulla Civiltà del Tardo Medioevo (San Miniato, 17-20 Settembre 2007)
https://www.jstor.or[...]
2022-06-24
[55]
웹사이트
Villani, Giovanni
https://www.treccani[...]
2022-06-24
[56]
웹사이트
Villani, Giovanni e Matteo
https://www.treccani[...]
2022-06-24
[57]
웹사이트
Santa Caterina da Siena "mistica della politica"
https://www.edizioni[...]
2020-04-29
[58]
웹사이트
L'eredità di Caterina da Siena nel Ducato Sabaudo fra XVI e XVIII secolo
https://hal.archives[...]
2022-06-24
[59]
웹사이트
COLOMBINI, Giovanni, beato
https://www.treccani[...]
2022-06-24
[60]
웹사이트
BONICHI, Bindo
https://www.treccani[...]
2022-06-25
[61]
서적
Tutto letteratura italiana
https://books.google[...]
De Agostini
2022-06-25
[62]
웹사이트
PETRARCHISMO
https://www.treccani[...]
2022-06-25
[63]
서적
Giornale de' letterati d'Italia
https://books.google[...]
2022-06-25
[64]
서적
Humanist Educational Treatises
The I Tatti Renaissance Library
[65]
뉴스
Franco Cardili (historical)
http://corrieredelme[...]
[66]
서적
Renaissance Thought II: Papers on Humanism and the Arts
Harper Torchbooks
[67]
서적
Plato in the Italian Renaissance
Columbia Studies in the Classical Tradition
[68]
서적
Humanist Educational Treatises
[69]
웹사이트
Il Rinascimento fiorentino e l'era dei Medici dal mito alla realtà (parte terza)
https://tuttatoscana[...]
2017-03-24
[70]
웹사이트
Poliziano, Angelo Ambrogini detto il
https://www.treccani[...]
2022-06-28
[71]
웹사이트
"Trionfo di Bacco e Arianna" di Lorenzo de' Medici: riassunto e commento
https://library.wesc[...]
2022-06-28
[72]
웹사이트
CANTASTORIE e Canterini
http://www.enciclope[...]
2022-12-22
[73]
웹사이트
Pulci, Luigi
https://www.treccani[...]
2022-06-29
[74]
웹사이트
Orlando innamorato
https://www.treccani[...]
2022-06-29
[75]
웹사이트
FRANCESCO Cieco da Ferrara
https://www.treccani[...]
2022-06-29
[76]
웹사이트
L'età dell'umanesimo
http://www.storiadel[...]
2022-06-29
[77]
웹사이트
L'HISTORIA DI MILANO VOLGARMENTE SCRITTA DALL'ECCELLENTISSIMO ORATORE M. BERNARDINO CORIO
https://www.maremagn[...]
2022-06-29
[78]
웹사이트
Il secolo d'oro del Rinascimento
https://www.letture.[...]
2017-12-15
[79]
웹사이트
Il teatro del Rinascimento in Italia
https://www.uniba.it[...]
2022-06-29
[80]
웹사이트
Il teatro profano
https://www.sapere.i[...]
2020-10-24
[81]
웹사이트
Il Rinascimento: sintesi dei temi e degli autori principali
https://library.wesc[...]
2022-06-30
[82]
서적
The Fortunes of the Courtier: The European Reception of Castiglione's Cortegiano
Penn State University Press
1995
[83]
서적
The Book of the Courtier: The Scribner's Sons Translation
Charles Scribner's Sons
1901
[84]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http://www.britannic[...]
2008
[85]
서적
Castiglione's Allegory: Veiled Policy in The Book of the Courtier (1528)
Routledge
2014
[86]
웹사이트
In sintesi
https://www.sapere.i[...]
2022-06-30
[87]
웹사이트
Niccolò Machiavelli
https://www.treccani[...]
2022-06-30
[88]
웹사이트
Francesco Guicciardini
https://www.storiadi[...]
2022-06-30
[89]
웹사이트
MACHIAVELLI E GUICCIARDINI
https://italianostor[...]
2017-10-27
[90]
웹사이트
ARIOSTO, Ludovico
https://www.treccani[...]
2022-07-01
[91]
웹사이트
"Prose della volgar lingua" di Pietro Bembo: introduzione all'opera
https://library.wesc[...]
2022-07-01
[92]
웹사이트
Madrigale
http://www3.unisi.it[...]
2022-07-01
[93]
웹사이트
Le peculiarità della poetica tassiana
http://www.letteratu[...]
2022-07-02
[94]
웹사이트
Tasso, Torquato
https://www.treccani[...]
2022-07-02
[95]
웹사이트
Trissino, Gian Giorgio
https://www.treccani[...]
2022-07-04
[96]
웹사이트
Il petrarchismo di Pietro Bembo e Giovanni Della Casa
https://terzotrienni[...]
2022-07-04
[97]
서적
Italian Women Writers: A Bio-bibliographical Sourcebook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4
[98]
웹사이트
Il Rinascimento - Letteratura italiana
https://letteritalia[...]
2022-07-04
[99]
웹사이트
Storia della letteratura italiana
https://www.piccin.i[...]
2022-07-04
[100]
웹사이트
Il sonetto "Alla sua donna" di Francesco Berni
http://www.nuovorina[...]
2022-07-04
[101]
웹사이트
Baldassarre Castiglione: vita, opere e Il Cortegiano
https://www.studenti[...]
2022-07-04
[102]
웹사이트
IL SEICENTO
https://www.homolaic[...]
2022-07-05
[103]
웹사이트
Secentismo
https://dizionari.co[...]
2022-07-05
[104]
웹사이트
Secentismo
https://www.treccani[...]
2022-07-05
[105]
웹사이트
CHIABRERA, Gabriello
https://www.treccani[...]
2022-07-05
[106]
웹사이트
Accademia dell'Arcadia: cos'è, scopo e caratteristiche
https://www.studenti[...]
2022-07-06
[107]
웹사이트
ACCADDE... OGGI: NEL 1634 NASCE MARIA ANTONIA SCALERA STELLINI
https://danielaedint[...]
2015-02-05
[108]
백과사전
Novel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11-16
[109]
백과사전
Pasini, Pace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5-21
[110]
서적
Enlightenment Orientalism: Resisting the Rise of the Nove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1]
서적
Fabulous orients: fictions of the East in England, 1662-1785
Oxford University Press
[112]
백과사전
Campanella, Tommaso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8-13
[113]
웹사이트
Galileo Galilei
https://www.sapere.i[...]
2022-07-06
[114]
웹사이트
Percorsi del diritto tra Austria e Italia (secoli XVII-XX)
https://web.archive.[...]
2022-07-07
[115]
학술지
Scienza e Letteratura Nella Cultura Italiana del Settecento (Bologna, 31 Marzo3 Aprile 1982)
https://www.jstor.or[...]
2022-07-07
[116]
웹사이트
Annali d'Italia dal principio dell'era volgare sino all'anno 1750
https://www.liberlib[...]
2022-07-07
[117]
웹사이트
Cesare Beccaria, "Dei delitti e delle pene": riassunto e idee principali
https://library.wesc[...]
2022-07-07
[118]
웹사이트
Pietro Metastasio
https://www.dizionar[...]
2022-07-07
[119]
학술지
ゴルドーニのヴェネツィア方言劇におけるイタリア語 : ガスパリーナの2言語併用
https://www.jstage.j[...]
2022-07-07
[120]
서적
Memoirs of Goldoni
https://books.google[...]
Henry Colburn
2008-09-06
[121]
웹사이트
Giuseppe Parini: biografia, opere e pensiero
https://www.studenti[...]
2022-07-09
[122]
웹사이트
GIUSEPPE PARINI
https://www.mcurie.e[...]
2022-07-09
[123]
웹사이트
Un percorso privilegiato e misconosciuto per la penetrazione dei francesismi nella lingua italiana (secoli XVII-XVIII)
https://web-data.ati[...]
2022-07-09
[124]
웹사이트
Il "percorso" di Alessandro Manzoni verso l'italiano e la "creazione" dell'italiano moderno, lingua di (quasi) tutti noi
https://meabparcobar[...]
2022-07-09
[125]
웹사이트
Monti, Vincenzo
https://www.treccani[...]
2022-07-09
[126]
웹사이트
"Pietro Giordani persona di spicco della cultura italiana. Serve un evento per celebrarlo"
https://www.ilpiacen[...]
2022-07-09
[127]
웹사이트
Frustea letteraria, La
https://www.treccani[...]
2022-07-10
[128]
웹사이트
Pio Fedi
https://www.santacro[...]
2022-07-10
[129]
웹사이트
La storiografia di Botta
https://www.academia[...]
2022-07-10
[130]
웹사이트
COLLETTA, Pietro
https://www.treccani[...]
2022-07-10
[131]
PhD
Imagining the Morlacchi in Fortis and Goldoni
https://era.library.[...]
University of Alberta
[132]
웹사이트
Miti e simboli della rivoluzione nazionale
https://www.treccani[...]
2022-07-11
[133]
웹사이트
VITTORIO ALFIERI
https://www.homolaic[...]
2022-07-11
[134]
백과사전
Alfieri, Vittorio
[135]
웹사이트
Vincenzo Monti
https://riassumendo.[...]
2022-07-11
[136]
웹사이트
FOSCOLO, Ugo
https://www.treccani[...]
2022-07-11
[137]
웹사이트
Viaggio sentimentale di Yorik lungo la Francia e l'Italia
http://www.internetc[...]
2022-07-11
[138]
웹사이트
La modernità del "Conciliatore": preludio culturale della "nuova Italia"
https://core.ac.uk/d[...]
2022-07-11
[139]
웹사이트
Manzoni a Firenze: i Promessi Sposi in un affresco in riva all'Arno
https://www.lanazion[...]
2022-07-11
[140]
웹사이트
Alessandro Manzoni | Italian author
https://www.britanni[...]
2023-05-18
[141]
웹사이트
I Promessi sposi or The Betrothed
http://manzoni.class[...]
[142]
잡지
The Least Known Masterpiece of European Literature
https://newrepublic.[...]
2022-07-11
[143]
웹사이트
The Zibaldone project
http://www.birmingha[...]
2022-07-11
[144]
서적
Poems and prose
Indiana University Press
1966
[145]
웹사이트
The Infinite
http://www.tcm.phy.c[...]
2022-07-11
[146]
웹사이트
La poesia patriottica e lirico-patetica
https://www.sapere.i[...]
2022-07-12
[147]
웹사이트
Il gesuita moderno di Vincenzo Gioberti
https://albania.gesu[...]
2022-07-12
[148]
웹사이트
Giosuè Carducci: vita, opere e poetica
https://www.sololibr[...]
2022-07-12
[149]
웹사이트
La scuola verista
https://www.sapere.i[...]
2022-07-12
[150]
웹사이트
D'Annunzio, Gabriele
https://www.treccani[...]
2022-07-12
[151]
웹사이트
Grazia Deledda - Facts
https://www.nobelpri[...]
2014-04-16
[152]
웹사이트
Olindo Guerrini, Sonetti romagnoli
http://amicidiolindo[...]
2022-07-12
[153]
웹사이트
Annie Vivanti, fata luminosa da non dimenticare più
https://www.lucialib[...]
2021-09-07
[154]
서적
Grazia Deledda
Greenwood
[155]
서적
20th-century Italian Women Writers: The Feminine Experience
Southern Illinois UP
[156]
서적
Mothers of Invention: Women, Italian Fascism, and Cultur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5
[157]
서적
Maria Messina
Greenwood
[158]
서적
Contemporary Women Writers in Italy: A Modern Renaissanc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90
[159]
저널
Women Novelists in Postwar Italy
https://www.jstor.or[...]
[160]
서적
Alba De Céspedes
Greenwood
[161]
서적
Censorship and Literature in Fascist Ital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7-01
[162]
웹사이트
Italian literature - Hermetic, Renaissance, Poet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163]
웹사이트
Neorealism | Post-WWII Aesthetic & Social Realism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164]
뉴스
Essay: Lampedusa's 'The Leopard,' fifty years on
https://www.nytimes.[...]
2008-07-28
[165]
서적
20th-century Italian Women Writers: The Feminine Experience
Southern Illinois UP
1996
[166]
서적
La corsa di Pinocchio
Vita e Pensiero
[167]
백과사전
Pinocchio: Carlo Collodi – Children's Literature Review
http://www.encyclope[...]
2015-10-01
[168]
서적
Children's Literature: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69]
서적
The Fairy Tale: The Magic Mirror of Imagination
Twayne Publishers
[170]
서적
The Classic Fairy Tal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71]
서적
The Essential Guide to Children's Books and their Creators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172]
저널
The Archetypal Adventures of Emilio Salgari: A Panorama of his Universe and Cultural Connections New Comparison
[17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Fairy Tal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4]
뉴스
Fenomeno 'GiulioConiglio', il cartoon che piace ai più piccoli protagonista di una collana di libri
https://www.repubbli[...]
Repubblica
2021-03-04
[175]
서적
Contemporary Women Writers in Italy: A Modern Renaissanc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90
[176]
논문
Women Novelists in Postwar Italy
1959
[177]
서적
20th Century Women Writers: The Feminine Experienc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96
[178]
서적
A Multitude of Women: The Challenges of the Contemporary Italian Novel
University of Toronto
2008
[179]
뉴스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06
https://www.nobelpri[...]
2022-07-12
[180]
뉴스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26
https://www.nobelpri[...]
2022-07-12
[181]
뉴스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34
https://www.nobelpri[...]
2022-07-12
[182]
뉴스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59
https://www.nobelpri[...]
2022-07-12
[183]
뉴스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75
https://www.nobelpri[...]
2022-07-12
[184]
뉴스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97
https://www.nobelpri[...]
2022-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